- Видео 244
- Просмотров 2 358 074
6500rpm
Добавлен 8 июн 2007
자동차와 운전의 잡식 채널
Видео
바닥효과! 그라운드 이펙트 다운포스의 원리 (feat. 스플리터, 디퓨저)
Просмотров 5 тыс.3 месяца назад
언더커버, 프런트 스플리터, 사이드 스커트, 리어 디퓨저가 어떻게 다운포스를 높이는지 그 원리를 알아보자
돛단배가 이렇게 움직이는 게 맞나? 세일링 요트의 신박한 항해 기술과 원리 (feat. 삼각돛, 용골, 하이드로포일)
Просмотров 31 тыс.4 месяца назад
Sailing yacht 세일링 요트가 맞바람을 이기는 법 바람보다 3배 빠르게 움직이는 법 설명해드립니다
자전거와 바이크의 코너링 원리와 카운터 스티어링 (feat. 캐스터)
Просмотров 2,6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전거와 바이크의 코너링 원리와 카운터 스티어링 (feat. 캐스터)
여름철에 에어컨과 제습기를 동시에 써야 하는 이유 (feat. 불쾌지수)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의 가장 만족도 높은 가전제품 중 하나가 제습기인데 쾌적한 여름을 위한 에어컨과 제습기의 사용 꿀팁 알려드립니다
닛산의 전륜구동 GT-R LM Nismo가 망한 이유 (feat. KERS의 역습)
Просмотров 12 тыс.7 месяцев назад
망했지만 배울 점이 많은 닛산의 프런트엔진 전륜구동 LMP1 레이스카 GT-R LM Nismo 흥미진진 르망24시 도전 이야기
헬리콥터가 날개를 파닥거리는 이유 (feat. 엔진이 꺼져도 추락 안하는 법)
Просмотров 27 тыс.8 месяцев назад
헬리콥터가 전후좌우 자유자재로 날 수 있는 원리 설명해 드림
FF FR FMR RMR RR - 자동차 엔진 위치의 흥미진진한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5 тыс.9 месяцев назад
0:00 Intro 0:42 FR 2:33 FF 4:04 MR 5:24 FMR 6:42 RMR 8:01 RR 8:37 Conclusion 전륜구동은 왜 프런트 엔진만 있는지 FMR은 왜 고출력에 적합하지 않은지 레이스카나 슈퍼카는 왜 RMR이 대세인지 흥미진진한 엔진 위치 이야기 저는 본넷이 길고 아름다운 FMR이 멋지더라구요! 아 탐난다 ♡
아무도 말해주지 않은 소닉붐과 수증기 응축 현상 이야기 (feat. 충격파)
Просмотров 4,8 тыс.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음속을 돌파하면 왜 폭발음이 생길까? 소닉붐의 실체를 더 깊이 들여다 보자
포르쉐 911이 빠를 수밖에 없는 이유 (feat. RR & 박서엔진)
Просмотров 29 тыс.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알고 보면 만능캐 포르쉐 911 RR과 박서엔진으로 풀어보는 911 미친 성능의 이유! (수정) 포르쉐 356을 만든 건 페르디난트 포르쉐 박사가 아니라 그의 아들이었습니다.
전륜차 코너링 잘 타는 법
Просмотров 56 тыс.Год назад
전륜구동으로 코너링 빠르게 타는 법. (은)는 오버스티어 차를 만들어서 풀악셀 언더로 상쇄시키며 타기. 이게 진짜 하드코어다!
8,000m 심해어 잡아 올렸는데 왜 안 터짐? 초고압에서 버티는 진짜 비결
Просмотров 1,9 тыс.Год назад
그동안 심해어를 이렇게 설명한 영상이 없어서 직접 만들어 봄 ㅎ
쉽고 개운하게 말아주는 진화 이야기 (feat. 살아있는 화석 되는 법)
Просмотров 700Год назад
쉽고 개운하게 말아주는 진화 이야기 (feat. 살아있는 화석 되는 법)
빗길은 수막현상만 조심하면 될 줄 알았지? 타이어 빗길 달리기 성능 제대로 알려드림
Просмотров 4,6 тыс.Год назад
빗길은 수막현상만 조심하면 될 줄 알았지? 타이어 빗길 달리기 성능 제대로 알려드림
코너링이 자동으로 되는 트윈클러치의 마법 (feat. 토크 벡터링)
Просмотров 7 тыс.Год назад
코너링이 자동으로 되는 트윈클러치의 마법 (feat. 토크 벡터링)
타임어택 할 때 베랩이 시합중에 안나오는 이유중 하나이죠. 전륜 트레드를 랩타임으로 바꾸는 기술.
물리+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의해 아우디가 최강 맞고 윈터타이어 끼면 우주급된다 .
고등학교 때 시험 문제로 선풍기가 왜 시원한가 설명하는게 출제됐었는데 답은 땀이 증발해서였습니다. 땀이 안나도 시원하지 않나? 뭔가 아닌거 같아서 친구들과 선생님께 찾아가서 물어보기도 했었는데, 다른 뚜렷한 이유가 생각나질 않아서, 땀이 안나는거 같아도 미세하게 나는가보다.. 대충 그렇게 생각하면서 넘어갔었죠. 지금은 제가 뭐라고 적었었는지도 기억이 안나네요ㅎㅎ 그냥 그때가 그립습니다ㅠ
내가 옥상에서 뛰어 내리면서 팔을 위아래로저어 공기를누르면 날수있을까? 내일 아침에 해봐야지 근데 날씨 너무 추워
벨로스터N 타고있는데 감속을 강하게 하면서 살짝만 조향해도 설명대로 뒤가 매우 쉽고 빠르게 미끄러집니다(=오버스티어) 연석에 치고 휠 깨트렸는데요 장점은 전륜인데도 오버스티어를 코너링에 활용할 수 있는 민첩함이고 단점은 경험이 적거나 특성을 모를 경우 불안정하다는것을 잘 알수 있는 특징입니다 특정 성능을 부각시키려면 다른 부분에서 희생이 필요하다는 걸 알 수 있는 특성이기도 합니다.
내가살꺼야!!!!!!!
랠리카에 나오는 현대차 . 진짜 이쁘다...
정확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바퀴커지면 승차감좋아진단소리 첨들어보네요 영상에서처럼 퀵보드바퀴랑 자동차바퀴야 그렇다치지만 자동차시장에서 18인치19인치20인치 보았을때 가장승차감에 유리한건 18인치 입니다 편평비가 그만큼 크기때문에 잔진동잔충격을 완화해주기때문이죠 일부유투브들에 내용이 마냥 사실을기반으로 한것처럼 정보오전달되는게 많은데 요즘처럼 정보가넘쳐나는시대에 걸러들을건 좀 걸러들을눈이 필요해 보입니다
스바루가 2010 년경 한국에 들어와서 실패한 이유는 디자인 때문인 것 같습니다. 또한 벤츠 비엠타면서 한국인 특유의 하차감도 한몫했겠죠. 지금 스바루 디자인이면 좀 팔릴 것 같습니다.
디자인도 판매량에 큰 몫을 하지만, 실용성을 중요시하는 캐나다나 북유럽 쪽에서 스바루의 AWD가 가치를 인정받기 쉬운 반면, 브랜드와 엠블럼에서 오는 가치가 상대적으로 큰 아시아 쪽에서는 아무래도 판매량에 불리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앞쪽에 디스크 패드를 전부다 전부다 정품으로 교체 했습니다~ 운전석쪽은 베드인이 잘되고 있는데 동승석은 베드인이 안되서 그런지 로터가 깔끔 합니다. 좌우 패드가 디스크에 자리 잡는데 좌우 다른가요? 급감속은 하지 않았습니다.
로터든 캘리퍼든 패드든 각각의 정렬이 완벽한 평면 또는 평행이 아니므로 적절한 마모를 통해 '잘 닳는' 패드 표면이 깎여나가면서 완벽히 밀착되도록 하는 게 길들이기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새 패드나 로터나 캘리퍼 장착 시 좌우 브레이크 표면 밀착도가 다른 건 흔한 일인데 급제동 과정 없이는 제대로 밀착시키기 힘들 겁니다.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저는 영상에 나온 이유 때문에 조금이라도 휠베이스가 더 짧은 벨엔을 선택했습니다. 1년 운행했고 결과는 대만족입니다. 숏코너에서 가볍게 휙휙 도는 맛이 일품입니다.
아래로 공기를 밀어낸다기 보단 가르고 올라가는 거임
날개가 공기를 가르면서 헬리콥터 기체를 떠받칠 때 '날개에 의해 갈라진 그 공기는 어떻게 되는가'가 영상의 주요 내용입니다.
3:30 이걸 잘못된 설명이라하시는 이유는 LSD 이전의 디퍼렌셜 기능을 이미 차량 기본기능에 포함시켜 생각해서 아닙니까? LSD를 기본 디퍼렌셜 + 슬립제한기능 으로 보면 그냥 옳은 설명같습니다만
슬립제한 기능을 끌 수도 있다는 점을 기계식 LSD 대비 e-LSD의 장점이라고 생각하면 말씀해주신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다만, 통상적으로 LSD를 코너링이 잘 되게 해주는 장치로 표현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라 저는 영상을 보고 그와 같은 설명으로 이해했습니다.
근데 실제 경기에서는 타이어 관리도 해야하니깐 트레일 브레이킹을 잘 못 쓰지 않나요? F1에서는 거의 안쓰는거 같던데.
기본적으로 차든 바이크든 코너링을 하는 기록 경기에서는 트레일 브레이킹을 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영상의 스티그처럼 과할 정도로 뒤가 흐르게 트레일 브레이킹을 할 수도 있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 조절하기 나름입니다. 슬립이 과하지 않도록 트레일을 적절히 쓰는 것이 트레일 브레이킹을 전혀 쓰지 않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에서도 슬립이 적어 타이어 소모가 적을 수도 있습니다.
왜 젠쿱이 LSD가 달려있는데 없는것같은 느낌이 드는지에 대한 이유를 이제야 알게 되어서 매우 기쁩니다 ㅎㅎ
7:12 이 경기의 이름을 알 수 있을까요?
Rallye Cœur de France 2023 입니다
시빅8세대엔진은 레드존이 7천 RPM인데, 4~5천rpm유지하다 레드존까지 별다른 동력손실없이 끝까지 치솟으면서 쉬프트레버로 변속하던 손맛을 잊지 못함. 차체강성도 좋아서 스태빌만 si것으로 교체 해도 쇼바교체 없이 왠만한 롤링이 없음. 엔진음도 카랑카랑한듯 오로로로롱~ 하면서 아주 듣기 좋음. 요새 배기음위주의 세팅과는 다름. 엔진음 제일 무미건조한 게 현대 가솔린엔진임.
미국 살고 있습니다. 스바루는 보면 진짜 시대에 뒤떨어진 디자인이고 객관적으로 못생기긴했는데, 그럼에도 묘한 매력이 있어서 이번 자동차는 스바루로 구매할려구요. 아웃백 윌더니스.
K-55 자주포는 나의 분신~
하트 좀 주삼~!!!
1사단 보병 직접지원. 군단 일반지원을 해줬던 나의 K55 자주포 대대.
나 포병 전술 도사임.
헬기 타봤어요? 난 MD500 타고 자주포 사격요청 해봤삼.
👍좋은 영상 감사해요👍유튜브 외국 보면 페라리 람보로 멋지게 좌회전 또는 우회전 드리프트 한 직후 보행자로로 손도 못 쓰고 쳐박던데 그게 바로 되돌리기가 안되서 그런가봐요⁉️
@@Butter-Z 코너 안쪽로 쳐박는다면 카운터가 늦었거나 부족했던 것이고, 코너 바깥 쪽으로 쳐박는다면 카운터 되돌리기가 늦은 것입니다.
@semilife2 답변 감사합니다👍 정말 궁금했어요💕
전자식 스티어링에 스티어링 반응은 무슨… 내가 20년전 썩 벤츠를 타는 이유 …
💕넘 유익해서 구독했어요👍😃
난 이거 중딩때 베르누이로 설명하는거 도저히 공감이 안돼서 혼자 고무다라에 물받아놓고 책받침으로 밀어보면서 이건 작용 반작용일뿐이다라고 생각한적이 있네요.
과도한 스페이서는 몇미리 이상이라고 봐야할까요?
@@yong8304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 것 같지만 제 기준에 스페이서라면 5mm 넘어가면 일단 허브와 볼트에 무리가 생긴다고 생각해서요. 윤거를 넓히고 싶다면 스페이서보다는 휠의 폭이나 옵셋으로 조절하는 게 나아 보입니다.
미아타에 카본메탈 패드썻다가 1년 밖에 못버텨서 카본세라믹으로 다시 바꿈...
@@lmju21 초고오오급이네요 ㄷㄷ
@semilife2 미아타는 에프터 파츠가격이 싸서 말한 패드 한대분 50-69만원대
@@lmju21 카본세라믹 브레이크 세트가 수 천 만원이라고만 들었는데 로터 제외인가 보네요
@@semilife2 그런 고급진거 말고 뭐랄까.. 군대 불고기같은거라고 하면 되겠습니다
설계단계에서 바퀴 큰거 들어가는게 허브베어링도 큰게 들어가고 주행감이 좋아집니다.
어... 프리렌에서 비행마법이 어떻게 뜨는지도 모르고 쓰던데 고증이었구나
요즘 자동차 튜닝에 관심이 많아져서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는데 도움많이 되는 영상이였습니다 휠 옵셋에 관련된 내용들이 특히 인상 깊었네요 순정의 범위 안에서 보강의 느낌으로 튜닝을 진행하고 싶은데 현재 브레이크 캘리퍼 때문에 허브스페이스 20mm or 25mm 장착이 되있어서 탈거를 위해 튜온 순정휠 8j 옵셋+39 이나 플로포밍 휠 8.5j 옵셋25(경량 휠 욕심..?ㅎㅎ) 중에서 고민중인데 관점별로 어떤 특징들이 나타날까요 플로포밍 휠이 옵셋이 30대 였으면 고민안하고 갔을거 같은데 25는 윤거가 너무 넓어지는거 아닌가 해서 고민입니다
@@건우-g3r 차종마다 적정 휠 스펙이 있을텐데요. 휀다 간섭이 생기거니 휀다 밖으로 삐져나오지만 않으면 괜찮다고 봅니다. ㅎㅎ
@ 그렇군요..! 옵셋조정시 운전자가 느낄만 한 부분 설명 부탁드릴수 있을까요..? 찾아보면 다들 이론적인 부분만 말씀하시던데 차에 대해서 잘 알고 운전스킬이 일반인 이상 되시는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건우-g3r 옵셋 자체가 운동성능 면에서 체감되긴 힘들 것 같네요. 다만, 윤거가 늘어나면 코너링 속도가 약간 증가하는 부분이 기록적으로 보일 수도 있구요. 가장 체감이 쉬운 부분은 앞 또는 뒤만 옵셋을 튀어나오게 세팅해서 앞뒤 코너링 밸런스를 조절해 언더 또는 오버스티어가 커지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전 바이크 타는데 18000 rpm 돌리니 쾌감이 엄청납니다
전기차가 아닌 이상 순간적으로 레드존 찍는다고 갑자기 속도 150 된다거나 그러진 않습니다. 매번 합류할때마다 푸락셀 밟아보는데, 시속 60~70이 갑자기 150이 된다거나 그러진 않으니, 한번씩 밟아주는 거 괜찮다고 봅니다ㅋㅋㅋ 그나저나 출고하고 첫 1천킬로 제외 하고는 N모드 아닌 적이 없었어서 차에 무리가 가려나 싶었는데, 댓글보고 안심하고 지나갑니다ㅋㅋㅋㅋㅋ 이 영상에서 가장 공감이 가는 건, 강려크한 엔진 브레이크네요. 저는 이거 진짜 죽어도 못 놓을 것 같습니다ㅋㅋ
아 고알피엠 보기만해도 신난다 ㅋㅋㅋ
평소에는 켜고 다니라는 말이죠?
@@primeaaa8785 평소에는 끌 이유가 전혀 없구요. 스포츠주행 시에 끌지 말지의 내용을 영상에서 말씀드렸습니다 ㅎㅎ
로터스 애미라는 도대체 mr인가 rr 인가..... 엔진이 뒷바퀴축 바로 위에 있던데... 혹시 mrr?
중간에 전설의 이원일선수 영상 !!
와 뭔소린지 하나도 못알아듣겠다
@@abcd-pe7tx 앗. 날개가 날개 주위의 공기를 끌어내려서 결과적으로 공기 위에 올라타고, 그리고 공기에 매달려 날아가는 원리입니다. 어느 부분이 어려우신지 적어주시면 열심히 더 설명해 보겠습니다. ㅎㅎ
바퀴크기가 크면 속도도 빨라지죠. 고성능 차는 힘이야 충분하니까. .
@@금별불 말씀하신대로 기어비 감소 효과가 있는데, 단순히 기어비 변경으로도 충분히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어서 꼭 바퀴 크기로 조절할 일은 아니긴 힙니다.
양력이런건 다 알겠고 기수가 들리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무게중심이 뒤로 쏠리는 뭐 그런건가요
@@5조500억 2:48 이 부분인데요. 꼬리날개의 승강타(날개)를 바람이 위로 꺾이도록 조절하여 꼬리쪽을 눌러주면 바퀴를 지렛대로 앞머리가 떠오릅니다. 공기중에서도 가능하구요.
벨로스터n lsd가 언더를 상쇄시켜준다고는 하는데... Lsd 작동되기전 거동이 너무 굼떠서 불안했어요... 그래서 그냥 JS .6 으로 계속 타고 있습니다... 이 덩치에 2.0 은 너무 과한듯...
@@user-cp7ie2vk7h 1.6이 훨씬 앞머리 무게가 가벼워서 안그래도 코너링 거동이 1.6이 더 낫다는 평이 있더라구요.
2023 wrx 수동으로 타고 있습니다. 윈터타이어에 트랙션끄고 눈길달리면 너무 재밌습니다. 차 없을때 원형로타리에서 뱅글뱅글 돌다가 나가고 ㅎㅎ 다만 단점은 연비가 안좋네요. 상시 사륜이라 시내 타고 다니면 7-8km/l 나오는거 같습니다 더이상 sti가 안나와서 아쉽네요.
@@야스-x9l 최신의 마지막 STi를 갖고 계시다니... 부럽습니다!
길거리에서 레이 아방궁 흉기차에 케스퍼 스포일러 단다. 심지어 카니발 까지 ㅡ,.ㅡ; 그런차를 보면 믿고 거르고 피해라. 정신 상태가 사고난다.
결론. 어릴 때 생각했던 그게 맞는거였다
후륜245 45 18 전륜245 40 18 사이즈면 타이어 직경이 차이가 나는데 관계없나요??
@@hjj2460 원래 순정 뒷타이어 외경이 딱 그만큼 크게 나왔습니다. ㅎㅎ
작용반작용의 극단적인 경우로 안둘기라고 불리는 AN-2 기는 맞바람만 제대로 받으면 제자리에서 둥둥 뜨는 것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비행기는 그냥 엔진 달린 큰 연이죠.
@@태양의밭관리자사딸라 안둘기 ㅋㅋㅋ 안타깝게도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파괴됐죠. 보잉 C-17 글로브마스터도 양력이 월등해서 이륙거리가 대단히 짧더라구요.
M8은?
@@bbg9283 BMW M8이 7시리즈보다 휠베이스가 훨씬 짧습니다. 5시리즈보다도 더 짧아요 ㅎ
@semilife2 m8 5,095mm라서 7이랑은 300mm정도 차이나네요, 5는 5,060mm이라 8보다 30mm짧네요
2:55 FMF?
@@joopiy0628 맞습니다!
ㅇㅎ! 궁뎅이로 이미 방향을 조정하는군요!
엔진오일 주제로 영상부탁드립니다!
@@super-dance8932 데이터가 고난도인 대단히 어려운 주제군요. ㅎㅎ 엔진오일의 어떤 부분이 궁금하신가요?
@semilife2 아.. 역시 아는만큼 더 많이 보이시겠군요! 저는 엔진오일을 선택할때 6500rpm님의 기준이 가장 궁금했어요 그밖에 레이싱용 엔진오일은 일반엔진오일과 어떤부분이 차이가 있고 일반적인 운전자가 가끔 쏘는정도의 사람에게 레이싱 오일은 필요한지 궁금하기도하고 배기량에 따른 엔진오일 선택 기준따위가 있는지도 궁금하고 터보엔진과 자연흡기엔진에 따른 엔진오일선택기준따위가 있는지도 궁금하고 일반인들이 주로 오해하는 엔진오일 상식 등을 바로잡을 부분이 있는지 궁금하고 엔진오일을 쓰던것 말고 다른종류의 엔진오일을 넣었을때 차에 일어나는 현상이나 적응해가는 단계의 이해와 대략 몇km주행하면 새종류의 엔진오일을 차가 학습하고 적응하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super-dance8932어...그냥 엔진오일에 대한 모든걸 알려 달라고 하시는것 같은데요 ㅋㅋ
@super-dance8932 사실 제가 엔진오일에 대해 아는 게 별로 없어서 새로 공부하려면 어려울 것 같다는 의미였습니다. ㅎㅎ 저는 오래전부터 킥스 파오1만 주구장창 쓰고 있구요. 1년에 한 번씩만 대충 갈아주고 있네요. 레이싱용 오일은 고온 고회전 조건에서도 윤활과 간극 실링 작용을 잘 하도록 만든 것인데, 내구레이스 뛰는 것도 아니고 서킷 한 세션 수준에서는 썩 필요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학습 관련은 차의 소프트웨어 문제인 것 같은데 그 쪽은 전혀 모르겠네요. 도움이 되지 못해 미안합니다. ㅎㅎ
똥차로 제발 주접 좀 떨지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