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바랜 ‘대마불사’…인텔·폭스바겐의 위기[월드 이슈] / KBS 2024.09.05.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독일 최대 자동차업체인 폭스바겐뿐 아니라 한때 반도체 시장을 평정했던 인텔이 모두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경쟁에 뒤처지면서 어려움을 겪게 된 것으로 보이는데요.
월드이슈에서 홍희정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폭스바겐이 공장 폐쇄와 구조조정 추진에 나서면서 독일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제 "잔치는 끝났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죠?
[기자]
폭스바겐은 독일어로 국민차, 민족차라는 뜻입니다. 1930년대 세워져 세계를 주름잡는 자동차 업체로 성장했는데요.
독일 뿐 아니라 유럽 자동차 회사의 대표 주자로 꼽히던 폭스바겐의 위기가 현실화하면서 유럽의 자동차 산업에 전반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스테판 브라첼/독일 자동차관리센터 책임자 : "실제로 자동차 산업에서 전환점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이 오랫동안 누려왔고, 독일 제조업체들이 혜택을 누렸던 큰 파티가 막을 내렸습니다."]
폭스바겐은 도요타에 이은 세계 2위 자동차 업체입니다.
1930년대 창립한 이후 한 번도 독일 내 공장이 문을 닫은 적은 없었는데요.
만약 독일 공장이 폐쇄된다면 타격은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현지 언론은 이번 구조조정으로 일자리 2만개 정도가 사라질 수 있다고 추정했는데요.
[악셀 벤즈라프/폭스바겐 직원 : "위에 있는 경영진을 포함해서 책임 있는 사람들부터 내보내야 합니다. 우리는 단지 시키는 대로 했을 뿐입니다."]
[에카드 지버첸/폭스바겐 퇴직자 : "제 개인적인 생각이긴 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경영진 때문에 이렇게 된 것 같습니다."]
[앵커]
폭스바겐의 위기는 중국 전기차 업체와의 경쟁에서 뒤떨어졌기 때문으로 보이는데요.
폭스바겐만의 문제가 아니죠?
[기자]
최근 폭스바겐의 위기는 중국에서의 판매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이 전기차로 대세가 바뀌고 가격 경쟁에 밀리면서, 올해 폭스바겐의 중국 판매량은 3년 전에 비해 25퍼센트 이상 줄었습니다.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자동차 브랜드 지위도 중국업체인 비야디에 내주게 됐는데요.
수년간 이어진 경쟁력 저하와 자동차 수요 둔화가 이미 근간을 흔들고 있었는데, 여기에 내연기관 시대가 저물고 하이브리드와 전기차가 급부상하면서 전기차 시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폭스바겐이 먼저 타격을 입기 시작한 겁니다.
위기는 폭스바겐뿐만이 아닙니다.
기존 자동차 업체들도 세계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중국 업체들의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유럽과 북미 정부가 관세 인상이나 보조금 지급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반전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앵커]
반도체 시장을 평정했던 인텔도 위기를 겪고 있죠?
시대가 빠르게 변하면서 대기업들의 수명도 줄어드는 것 같아요?
[기자]
한때 반도체 시장 거인이었던 인텔은 지금 거의 굴욕이라고 할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주가가 60% 떨어지며 미국 우량주 위주의 다우지수에서도 제외될 위기에 놓였는데요.
세계 10대 반도체 기업에서도 밀려났습니다.
인텔이 물러난 자리에는 엔비디아나 TSMC 같은 반도체 기업이 들어섰는데요.
인텔은 엔비디아나 TSMC에 비해 비참할 정도로 뒤처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인텔은 만 5천개의 일자리를 줄이고 배당금도 중단하는 등 자구계획안을 마련하고 있는데요.
인텔은 1990년대부터 마이크로소프트와의 동맹으로 개인용 컴퓨터 시장을 장악했습니다.
하지만 PC에 집중하다 보니 휴대전화 칩에 대해 대응하지 못했고, 최근에는 인공지능 칩에서도 세계적인 추세에 전혀 동참하지 못했습니다.
여기에 인텔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던 1나노대의 최첨단 반도체 제조 테스트에 실패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악재가 겹쳤습니다.
[앵커]
일각에서는 우리나라의 현대자동차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반사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데, 좋아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죠?
[기자]
각각 자동차 업계와 반도체 업계를 대표하는 우리나라의 현대차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급변하는 시장에 비교적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폭스바겐과 인텔이 위기를 겪으면서 우리 업체의 글로벌 순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현대차는 폭스바겐 공장 폐쇄의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을 매각할 경우 삼성전자에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분야에서 뒤처진 인텔과 달리, SK하이닉스는 인공지능 반도체에 필요한 HBM에서의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는데요.
하지만, 폭스바겐과 인텔의 위기로 인한 반사이익을 즐기기에는 환경이 녹록하지 않습니다.
중국 업체의 공세와 반도체 시장에서의 기술 급변 등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위기를 피해 갈 수 없는 상황인데요.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은 파급력이 큰 핵심 산업인 만큼 인텔과 폭스바겐의 위기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김주은 구자람/자료조사:소진영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월드24 #폭스바겐 #자동차 #반도체 #인텔 #독일 #완성차 #전기차 #중국 #현대차
폭바겐은 뭐 경쟁이 치열하다보니 그럴수 있다지만 인텔은 거의 독과점 시장이었는데 그걸...못 지키네...ㅋ
코인 채굴에 cpu보다 gpu가. AI에도 GPU가 ...... 인텔 GPU도 만들었어야 했다.
못지킨게 아니라 시장이 사라졌잖아요 개인pc cpu가 주업종이었는데 시장이 모바일cpu시장으로 옮겨갔으니 나락갈수밖에요 자동차도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일어나는데 그에따른 적응을 하지못하면 현대기아도 도태될겁니다 그런대 국내시장은 전기차에 긍정적이지 않죠
@@chlrkd0506 르노삼성 쥐엠대우 쌍용이 하나로 통폐합 되거나 사라지겠죠. 현기차는 살아남을겁니다. 몽구보다 정의선이 머리 좋거든요. 강남한전부지에 롯데타워처럼 지을려는거 반으로 줄이고 남는돈 알앤디에 투자하고 있고요. 양궁협 잘 나가고 있죠. 갠적으론 현기차 안좋아하는데 현기차 잘 나갈겁니다. 전 무능한 이재용이 회장으로 있는 삼성이 도태될거같아 걱정입니다.
@@chlrkd0506시장이 사라지다뇨 ㅋㅋㅋ 모바일cpu 잘 개발했음 지키고도 남을 위치였죠 ㅋㅋㅋ 지들이 발 못맞춰서 도태된건데 먼 시장이사라졌대 ㅋㅋㅋ 현기차는 전기차 시대 준비해서 지금 더 올라가고있는데 걍 경영자들이 못한거임 ㅋㅋㅋ 전기차랑 내연차 아예 다른개념인데 현기차는 뭔데요그럼 ㅋㅋ
@@chlrkd0506 시장이 사라져요...?
pc시장은 더 커졌습니다... 그것을 경쟁사로 취급도 안하던 회사에게 상당히 많이 뺏기고 전망도 앞으로의 전망도 어두워서 주가가 나락간거구요
중국산이라기 보다는 자만이 문제입니다.
개인적 생각은 독일차의 어려움은 중국 시장 의존에 있다고 봅니다. 중국 시장의 꿀 빨던 시기가 지났는데도 그 시기를 잊지 못해 미련을 가지고 게속한 행동이 도리어 지금의 자충수를 만들었다고 봅니다. 중국 같은 나라는 미련을 절대 가지면 안됩니다.
반대로 서브프라임때는 중국의존도 덕분에 경쟁사들보다 피 덜봄. 다 케바케임
@@zard1214 이제 그 케바케가 안됨. 중국은 전기차로 100% 밀고 있고, 중국전기차만 밀어주니 될리가 있나? 그리고 중국에 비해 전기차 기술도 밀림. 걍 폭바는 끝임.
폭바 중국에서 엄청 팔리던데 중국시장 위축이 큰가보네
@@신원진-b7t끝은 아님.
@@신원진-b7t 디젤게이트때도 폭바는 이제 끝났다는 사람들 있었지. 그게 10년도 넘었지
비슷한 점이...마치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지 못한 일본전자업계처럼...전기자동차로의 변화하지 못한 독일자동차...
도요타는 전기자동차 선두주자 아니어도 여전히 잘 나감. 폭스바겐이 안 좋은 게 오로지 전기차 시장에서 못 나가서일까? 전기자동차 산업 성장세 자체가 정체 중인데 뭔.
그리고 애당초 2024년 중국 전기차 시장에선 중국 브랜드 말고는 버티기 힘듬
@@Himizu2023 일본차는 하이브리드 선구자
@@Himizu2023사기를 37년을 쳤는데 안부끄럽냐 일본국뽕 애들아?????
@@GeeHanShin 도요다 가문은, 자랑스런 백제 왕자의 후손들.
그래서 김대중이 독도수역 일본에 팔아먹은거고.
알지도 못하고 쓰는 지식….
폭스바겐(국민차) 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너무 비싸져서 독일 국내에서도 더이상 선호하지 않는 브랜드가 된거임
폭스바겐 산하 자동차 그룹이 몇갠데 ㅋㅋㅋㅋㅋㅋ😂😂😂😂😂😂
독일은 새로운거 안하거든.. 산업 다 내리막
독일차의 과도한 중국의존이 문제
문제 없습니다. 문제는 독일 자동차가 중국에서만 판매된다는 것입니다. 이제 중국은 현지 브랜드를 선호합니다. 무역전쟁 때문에
정의선은 재벌 3세 중 경영을 제일 잘하는듯.
재용아 본받아라.
삼성이 인텔을 인수하자
인텔 폭바보다 더 심각한 위기는 KBS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변해야 할 때 변하지 않고 안주하면 죽는다 전기차 시대에 독일,일본 자동차 브랜드는 없을 것
정은아! 봤니? 영원한 건 없다. 주민들 괴롭히지 마라
북조선 신경쓸때가 아니다
대한민국이 다 인수합병합시다
경영진의 문제가 맞음.
실제로 폭스바겐은 에이~ 전기차라도 내연기관수준의 150마력정도면 되지 하면서 그 수준에 머물러있는 동안 중국차들은 미친듯이 발전하고있고.... 실제로 폭스바겐 전기차시리즈 타보면 지나친 원가절감에 뒷유리창 버튼조차 삭제하고 앉아보면 중국차보다도 못한 수준인데 그돈을 주고 왜 그차를 살까 하는 생각이 들정도.
거기다 과거의 상징적인 디자인들은 다 버리고 윗 디자이너들은 전부다 진부하고 재미없는 2010년도 다이나믹 디자인들만 계속 만들고있으니 디자인으로도 가치 없고, 성능도 가치없는 그저 그런 국민차가 되버림. 가장 최근에 나온 파사트나 이런차량들 운전하다 거울에 보이면 진짜 괴기하게 웃고있는 이상한 얼굴임 진짜 ID 시리즈 그따위로 만들라고했던 경영진들이랑 디자이너들 다 짜르고 피를 토해내야 하는데 거기도 경영진들은 우리가 남이가? 이러면서 밑에있는 저렴한 사람들만 짜르고있겠지...ㅉㅉ
지금 그나마 미국&유럽 시장에서 중국산 전기차 관세 100% 먹이고 있으니까 다행이지 상황이지, 안 그랬으면 이미 미국&유럽 시장 중국산 전기차로 초토화 되었을 거임
결론은 유럽의 자일대우버스 꼴입니다.
중국이 문제가 아니라 한국도 고여있는 연못처럼 기업 생태계가 활력을 잃어가는데 있다. 규제를 다 없애 신생기업이 나타날수있게 해야한다.
현대차 도요타 잡고 1위 가즈아!
조용해라.
@@아이넘뭘 조용해 조선족아
@@andykim5778 이놈아
현대는 도요타 못잡는다
시진핑 똥꾸녕은 잡아도
다음 도요타
10년 빨리 구조조정한 미국회사 대단해~
인텔은 본업이 반도체 설계이고 비교대상이 amd,arm등 인데 뭔 자꾸 반도체 제조기업이랑 비교를 하지. 인텔 파운드리야 미정부한테 보조금타기용 그것뿐이고
이런데 현기랑 삼성은 버티는 걸 넘어서 계속 성장하는거 보면 대단하네
현기는 코로나 이후 성장한 건 맞지만 삼성은 제자리임
현대노조 잘 봐둬라
뭔 멍멍이 소릴하네..
@@김태종-c5q 강성 노조있는 나라치고 잘되는 나라 없다 당신이야 말로 🐕 소리 하는거요
경영진이 봐야지 ㅋㅋ
그걸 알기에 빨 수 있을 때 겁나 빨아먹는거지
현대, SK 공장 다 미국으로 옮겼는데 뭔 의미가 있나...
삼성도 까놓고 보면 성장 정체된지 꽤 오래된것 같은데
좌정권들에게 씹어 제치기
에 혼수상태
이제라도 늦지않았다 용인 원주 새반도체 공장 국가단위 지역단위 무조건 협조 필요하다
세계화 혜택을 가장 많이 보았던
두 주역 중국과 독일. 미국발 신고립
독트린에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고, 러우전쟁인한 신냉전 탓도 있는듯.
04:55 HMB가 아니라 HBM이에요. 기자님 반도체에대해 문외한이실듯... 적어도 대한민국 대표기업의 대표 상품에 대한 이해는 하셨으면 좋겠어요. AI이슈된 이후에 일년내내 HBM뉴스가 쏟아졌는데 ㅠ 경제 공부는 하셨으면 합니다 😂
삼성도 걱정된다.
폭스바겐은 비효율이나 시장추세등 어쩔수없는일였지만 인텔은 진짜 한숨나온다 에휴
일본 샤프 전성기 삼성전자는 발도 못쫒아
갔는데
샤프 폭망 보는거 같다
전기차시대에 유럽자동차는 증기기관 잘만드는 것과 같아짐.
인텔의 큰타격은 13,14세대의 불량품이죠... ceo 크르자니치 2016년 당시 베테랑 파운드리/cpu설계인원(연구개발) 인력 해고(tsmc-삼성) 으로 이직 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어자피 벤츠는 이제중국꺼고..
인텔은 .. 이제 cpu나 파는 회사가 되었고..
반면교사 하시고 중국을 대비해야 합니다
남의 일이 아닙니다 현기차 구조조정 끝없는 혁신 피하다간 저꼴 납니다 반면교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우리나라 대기업이라고 다를까? 언제 그 위기가 올지 모른다. 대비해야 함. 중국과 인도가 현재의 우리를 대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대비해야만 살아 남을 수 있다.
삼성은 어떤가요?
중국에 일등으로 들어가서 줄거 다주고 더 퍼줘서 남은건 어려움뿐인 폭스바겐...
인텔이 요즘 시대 따라가지 못하긴함 라이젠 성능 더 좋은게 아이러니 하긴함
생산직은 잘 되면 내 탓... 잘 안되면 경영진 탓 !
직원들의 하소연이 맞죠. 어느 조직이나 우두머리를 잘못 만나면 큰 일 납니다. 가정, 사회여러 조직, 대통령 잘 못 만나면 망 합니다.
벤츠도 중츠 되어가는데.... 😮😮😮
통화를 무한으로 찍으면 인플레가 심화되고 물가에, 직장으론 집도 평생 못산다고. 이 부분을 파고든게 모기지. 인플레는 제조를 사장시키는 통화정책이야. 근데 그런 통화를 거기?는 채택해서 사용하고 있다며? 그걸 금융자본주의라고 하지. 그건 제조를 사장시키는 통화설게야. 페이퍼잡 화이트 컬러, 제조가 될 수 가 없어-_- 그럼 생산되는 제품으로, 물가는 어떻게 할거야? 거의 그런 첨단은 필수소비재라고 봐도 되지만 고가의 소비재라고. 그래서 전부 외주하는거야 ㅋ
"대마불사" 란 "임시방편"과 같은 의미로 영속성이 있을 수 없다 .
결국은 조만간 망하는 것이다.
인텔 망하는거랑 하이닉스 잘되는건 전혀 상관없는데, 공영방송 뉴스면 최소한 전문가라도 데리고서 뉴스를 띄우던가..
인텔이 지금 힘들어 하는건 파운드리고 하이닉스는 메모리임. 반도체란 이름만 같지, 아주 다름. 애초에 경쟁관계가 아님.
그리고 파운드리도 삼성이 반사이익을 받을 수 있는 입장도 아니고, 삼성이 현재 3, 4나노 공정에서 죽써서, 미국 팹리스 업체들이 TSMC한테 엄청 떼이고 있음.
미국 팹리스 업체들 입장에서도 삼성이 파운드리를 잘해줬으면 좋은 대체제로서 삼성으로 가는데, 삼성이 지금 미세공정에서 파운드리를 제대로 못하고 있으니 이런 문제가 생긴거.
현 시점에서 파운드리 외주받는거에서 인텔 지분이 거의 없는데, 삼성이 이로인해 반사 이익을 얻을거란건 무슨 논리인지 납득이안가네.
미래에 잠재력 넘쳐나는 경쟁자가 줄어들거 같다는 논조가 맞는거지. 현시점에서 삼성이 이득 볼 건덕지가 없음, 애초에 지금 인텔이 파운드리에서 가져가는 파이가 거의 없으니.
인텔이 아니더라도.. 삼성은 애초에 TSMC에 크게 밀려있는 상태이고. 삼성이 TSMC 기술에서 6개월 정도 차이나게 못하는 수준만 가더라도 TSMC가 이렇게까지 독주는 못할텐데..
현시점에서 삼성이 반사이익 얻는 시나리오는, 중국의 대만 침공임. 미국에서 중국이 TSMC 먹기전에 먼저 TSMC 공장 다박살내는거.
삼성 살리자고 대만기업 터지길 바라네ㄷ 글쓴이 말되로 반도체 라는게 어느거 하나 빠지면 안되는 산업인데..당장 폭파되믄 우리는 어케 쓰냐구요.? 메모리 하나만 있음 해결되는;;;;
전동화에서 늦었다......
이런거 보면 정의선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 알 수 있지
현대와 삼성도 이제 노키아의 길을 가는거지
전기차로의 전환을 게을리한 댓가 그리고 중국의존도 심화 우리도 전기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함 세계 자동차산업의 추세인데 빨리 지각해야지 불난다 이런 생각은 버리고~~
불나는 전기차 아직 이르다.
난 아직도 내연기관차가 좋아
내가 말했지 결국 현대가 전세계 1위된다고 삼성의 길을 갈꺼다
중국은 과거 박정희, 전두환 시대의 우리 나라를 닮고 싶어하는 나라다.
이런 저런 나라들로부터 기술 받고 카피하고 더 발전시켜서 자리를 만들어 온 건 우리나 중국이나 다를 게 없다.
지금 중국이 부동산이다 뭐다 해서 경제가 안 좋다고 하지만 정말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독일 삼사의 위기는 전기차 시대를 좀 더 빨리 대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엔진과 변속기 기술만 가지고 수많은 협력사에 위존하는 시스템이 전기차로의 빠른 변화를 불가능하게 한것이다. 토요타 포함 일본차도 마찬가지다 자동차 기술을 그룹내 수직계열화한 현대차 그룹은 변화에 빨리 적응할 수 있었다
@@paperboyhong9743 도요타는 전기차에 집중 안해도 전세계1위고 잘만 나가는데 그건 어찌 설명함?
The Hyundai-Kia Automotive Group sold 34,600 EV units globally in July, which is far behind the electric car giants BYD (315,600) and Tesla (112,400), and the group is clearly focused on fuel vehicles.
애초에 현대 수직계열화 도요타한테 배웠는데ㅋㅋㅋㅋㅋㅋㅋㅋ
일본차 하이브리드만 하고 전기차는 전고체밧데리 만들고 하겠다 해서 미쳤나 했는데 벤츠 지하주차장 화재로 전기차는 아직 아니구나. 일본이 요번엔 잘 하네 느낌. @@Himizu2023
23년까지는 그랬는데 24년도 1월~6월 글로벌 전기차 점유율 보면 테슬라>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현기>비엠>벤츠....현기랑 비엠이랑 점유율 소수점대다....!! 금방 따라잡히는구만 ㅋ
삼전도 비스무리함
HMB...?
현대차 그룹이 폭스바겐 잡고 2위로 가자~~~~!!!!
4:55 아나운서님 HMB아니고 HBM 입니다.
폭스바겐 전시장 부동산까지 다 팔아제끼는중임ㅋ
돈 잘 벌때는 성과금 더 달라. 임금 인상해달라.. 파업파업 하더니.. 회사 어려워서 나가라니까 경영진 탓하네~~
옛날 잘 팔리던 시절 생각하고
변화에 대응 안하고 있으니깐 도태 되는거지
인텔은 위탁생산 진작에 했어야 했고
폭스바겐은 고급차만 독일에서 생산하고
저가차량은 인건비 싼 해외공장 늘렸어야 했고
옛날 독과점 시절에 빠져 있었으니
변화도 못하고 우물안 개구리 됨
폴크스 : 국민의 , 바겐 : 웨건 (자동차) -> 히틀러가 독일의 일반 국민들에게 보급하기위해 명령에의해 만들어진 자동차 그때 나온게 비틀
세계자동차시장에서 모양으로만 봤을때..... 폭스바겐만큼 구린차도 드물다....
인텔은 x86 pc 시대가
영원할줄 알았지
14나노에서 한발자국도
못나갔다 이해가 가지 않는다
tsmc는 5나노 공정까지
왔고
아니 그많은 번돈으로 뭘
한거야 그냥 파티하고
배당했나
tsmc만 5나노 공정서
수율이 매우 높다
삼성전자도 로직칩의
기술격차 tsmc 따라
갈수 없고
ㅋㅋ
인텔과 폭스바겐은 엔비디아와 테슬라가 잡아먹는 중.... 삼성전자의 자리는 하이닉스가 대체 중
다음은 도요타 차례임
아마고수 프로에서도 대마가 잡히는 일이 많은데, 어느 기업이 안전해,
삼성은 인텔을 사야된다
가격만 비싸고 품질이 별로이면 안사는거여 현기차는 새겨들어라 니들 미래일 수 있다
인텔이 나가리면 삼성전자는? 심각하네..
폭스바겐과 인텔도 웨스팅하우스 와 같은 꼬라지로 전락하여 ...... 남의 산업 밥상에 숟가락 얹으려고 할테지 .....
인텔 다음음 삼전, 폭바 다음은 현대,,,, 일수도,,,변화에 대한 대응을 철저히 합시다.
fire 겔싱어
폴크스바겐 티구안😊
인텔은 뭔가 일어날 것만 같음. 폭스바겐은 자빠질것 같은데
인텔 못 일어남. 이미 핵심 인력 이탈...
다시 돌아오지않음.. 끝
@@GgirlFF 인력 이탈을 떠나 그냥 수장이 너무 ㅂㅅ임...🫠
그동안 한쪽은 사기, 한쪽은 버블로 하였는데 이제는 모든 영역이 한계. 공급과잉으로 자원 낭비. 위대한 이재명 대표 화이팅
All of the EU (European Union) foundry business were shut closed many years ago, because the foundry business is heavy investment and high risk business to enter and to survive.
현대기아 2위가자
일본 가전 망했고 지금은 우리나라 가전이 최고
나중에 독일 차 이렇게 되지
그건 미국 통화 구조상 어쩔 수 없어. 정책, 행정종이, 법종이를 마음대로 마구 무한으로 만들어낸다고 생각해봐. 양이 어마어마하지. 그걸 거기는 통화 정책을 그렇게 하지 않아? 그래서 사실상 인플레만 있지. 근데 사람들이 그러면 그런 제조계를 잘 안해. 여기도 진짜 코딱지만한 사이즈에 노동 제조 아무도 안하지. 그런 통화, 지금 지폐통화는 옛날에 중국도 했었던거야
혹시 조현병이십니까?
테슬라 공장을 중국에 지은 이후로 기술 다 넘어갔다...ㅋㅋ
역사는 흫망성쇠를 반복한다. 우리나라도 100년 앞을 내다보는 국가의 올바른 지도자들이 없어서 큰 일이로고.
삼성이 인텔인수
그동안 중국에서 꿀 많이 빨았지요. 더 이상 꿀 빨게 없어지니 독일차가 어려워 진 거지요.
폭스바겐에는 벤츠 BMW 모두 속해 있는데, 폭스바겐은 수십년 동안 중국에 공장 세우고 매년 수십 수백억 불씩 이익 내고 독일 본사 송금하고 해왔고 독일 공장 6개 중 대부분은 이미 수년 전부터 적자 운영하는 곳이 많았지만...문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중국 시장에 전기차가 급증 하면서 기름차들이 고급 중급 하급 할 거 없이 시장에서 밀려나면서...중국 시장에서 보내는 이익금이 크게 줄어드니 자꾸 버틸 방법이 없는거임 . 앞으로는 어찌 되었던 전기차가 대세인데 이걸 중국 업체들이 대부분 장악하고 있음
폭스바겐엔 아우디가 속해있고, 벤츠 비엠 모두 다른회사임.
뭔 소리야 ㅋㅋㅋㅋ
아는 척은 해야겠고.....ㅋㅋㅋㅋㅋㅋ 폭스바겐 그룹 산하에 벤츠랑 BMW가 왜 속해 있을까...?
사기꾼 회사. 망해야지.
이제 중마, 소마도 순차적으로 나락갈 듯.
인텔 주식 담구는즉시.. 골로 갈것같네... 지금 싸다고 덤비지마래이~~
80년대에 폭스바겐 풍뎅이차 끌고다니던 이대교수 생각난다.
우리도 찌라시에서 계속 전기차 포비아 조장하는 기사 써대며 선동질하면 현기차도 언제 나락갈지 모른다. 내수가 어느정도 받쳐줘야지, 내수없이 수출만으론 답 없다.
인텔은 현실 안주하고 연구개발과 투자어 소홀한 결과
폭스바겐도 마찬가지고 한가지더 디젤차 망한거가 타격이 컸음
디젤게이트 과징금이 40조 넘는데 현대차 영업이익 11년치 넘는 금액임.
중국차와는 가격 경쟁력에도 비교가 안되고
그런차를 중국에서 차 팔려고 해봐라. 팔리는지.
전동화 전환도 너무 늦었음
오래 해먹었잖아 그만 가라 삼성도 점점 맛탱이 가던데
일본 회사도 다 망했지
파나소닉 샤프
ㅋㅋ
독일내에서는 러시아가스 수입중단으로 생산단가가 너무 올라 남아있는 공장마저 문을 닫는 모양이네!
우리도 탈원전한다고 밀어붙였다면 치솟는 전기세때문에
문닫는 공장 많았을거다!
의료인 관련인들이 응급진료를 어떻게 받는지 정확히 파악하길~~ 의료관료 친인척 관련자들 점검을 부탁드립니다.
인텔은 다르지 않음? 저긴 윗선이 그냥 기술 개발 않하고 사골 우려내듯이 계속 그지랄 하다 처 망하는건데
글쎄... 삼성은 걱정이다.
이재용이라는 세습 오너의 무능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우리가 볼때는 삼성도 거기에 포함시켜야 할거 같은대...인텔,삼성,폭스바겐 은 분명 쇠락중이거나 위기이다...
기술 유출이나 조심해라...
기술자들 대우좀 잘 해주고...
조선업 LNG 기술 유출 되어서 위험하더만..
기술 유출하는 산업스파이는 법좀 강화좀 법이 약해서 , 유출해도 몇년 안살고..잘 먹고 살더만...
폭스바겐~전부 뒤쳐졌지~전기차 &내연도 디자인 구리고
인텔은 모르겠고 독일자동차 산업의 몰락은 경영자들의 자질부족도 있겠지만 노동자들의 저생산성 고비용으로 저부가가치 인건비로 너무 많은 비용을 지불 했기 때문이다
연구개발과 차세대 산업에 투자되야 할 자금이 파업이다 고용안정이다 해서 노동복지에 밑빠진독에 물을 부은 결과이다
그 지역의 특징은 어디가 안 좋거나 죽은 것에 대해 크게 관심을 보이고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그 관심을 자기나 사회 발전으론 쓰지 않고 발전하려는 다른 사람들을 잡아채는 데 사용한다. 그 지역만 있었으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후진국에서 벗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그 지역 기업 중에 나라를 이끄는 좋은 기업이 한 개도 없다는 것에서 충분히 증명이 된다. 생산적인 것은 하지도 못하면서 세금만 빼먹으려는 모습도 쉽게 볼 수 있다. 역시 자기들끼리도 출신을 숨길만 하다.
다음에는 삼성 전자 망하는 뉴스 취재 해야 겠네요..
폭스바겐의 문제는 독일 제조업 전체의 문제로서 러시아에서 독일로 가는 북해 가스관을 미국이 2022년 9월 파괴하면서 일어나고 있는 독일의 철강, 기계, 자동차, 화학, 비료, 의약품 등 독일의 주력산업의 몰락 현상 중의 하나입니다. 앞으로 독일에는 이로 인해 약 350만 명의 신규 실업자(4인 가족 기준 1400만 명)가 발생할 것으로 봅니다.
가스관 폭파> 에너지가격 급상승> 물가 급등> 인플레 유발> 수요감소> 인건비+원부자재 가격상승> 기업의 수익 악화와 가계소득 하락이라는 악순환이 시작되고 있는 겁니다
오 설득력있음ㅋ
에너지시대 직격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