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수는 어딜 향해 가는걸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5

  • @pki0273
    @pki0273 2 года назад +14

    무리수도 상수니까 당연히 움직이지 않죠ㅋㅋ 숫자가 움직인다고 생각을 하다니...

    • @kimjunsik540
      @kimjunsik540 2 года назад

      움직이면 어쩔건데요? 움직이면 어쩔거냐고요.

    • @pki0273
      @pki0273 2 года назад +5

      @@kimjunsik540 혹시 문과..?

    • @하민박사
      @하민박사 2 года назад +6

      0273같은 사람들 때문에 우리나라 수학이 발전을 못하는거에요..

    • @pki0273
      @pki0273 2 года назад

      @@하민박사 저요?

    • @user-jh5is2so2b
      @user-jh5is2so2b 2 года назад +1

      0.99999999...
      같은 경우 많은 일반인들이 저 수가 1로 움직이는 수라던지 극한이나 이런걸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음

  • @nnn00135
    @nnn00135 2 года назад +1

    결국 표현이 수를 향해 움직이는 거죠. 수 자체가 아니라

  • @JY-fh1fe
    @JY-fh1fe 2 года назад

    수학의 본질님 그럼 자연로그의 및의 정의중에 모든 자연수의 역수의 합도 있는데 이것은 수렴값에 다가가는것 아닌가요?

    • @eomath
      @eomath  2 года назад

      자연수의 역수의 합은 발산합니다

  • @user-mineenick88
    @user-mineenick88 2 года назад +4

    10진수가 아닌 다른 수 체계에서는 끝을 볼 수 있을까요?

    • @dicat16
      @dicat16 2 года назад +1

      루트2를 1로 보면 되죠. 루트2m를 1m라고 보면 끝을 볼 수 있습니다.

  • @user-ci4vf1tx5e
    @user-ci4vf1tx5e 2 года назад

    간단하면서도 핵심적인 개념이죠.

  • @hiskimhyunjun
    @hiskimhyunjun 2 года назад +8

    고등학교 3학년입니다. 뜬금없는 질문일 수도 있지만 질문하고 싶은 것이 하나 있습니다. 수직선 위 임의의 실수를 하나의 수로 표현할 수 있을까요? 제가 아는 실수라고는 유리수와, n제곱근, 파이, e, log를 포함하는 무리수밖에 없는데 수직선 위에는 매우 많은 실수들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실수들을 필요하다면 문자로 표기할 수 있나요?(예를 들어 sinx=4/7을 만족하는 x라던지 그런 수요...)

    • @민댜-m4e
      @민댜-m4e 2 года назад +3

      실제로 수학적으로 의미있는 상수들은 따로 파이같이 기호를 붙입니다.

    • @진사구
      @진사구 2 года назад

      할 수 있겠죠.
      저도 고3인데
      그래프로 생각해보면 정의역과 치역을 만족한다면 되지 않을까요?

    • @바르고고운말
      @바르고고운말 2 года назад +1

      그건 이름 붙이기 나름이죠 어쨋든 수직선 위의 한 점에 대응하는 실수는 반드시 존재하고 만약 누군가가 그 중에 뭔가 굉장히 중요한 수를 발견했다면 거기다가 이름붙여서 책이나 논문을 냅니다 그러면 수학계에서는 그걸보고 관용적으로 그 이름을 따라갑니다 자연상수 e같은 경우도 오일러(euler)가 그렇게 이름붙여서 모두 e라고 부르고 있죠ㅋㅋ

    • @이솔지-n5y
      @이솔지-n5y 2 года назад

      네 당연하죠
      그리고 예를 드신 수는 삼각함수의 역함수로 씁니다.

    • @황진구-s9l
      @황진구-s9l 2 года назад +4

      실수에는 이름붙일 수 없는 수가 이름붙일 수 있는 수보다 훨씬 많습니다. 이름을 붙일 수 있다는 건 유한 개의 수학 기호(유리수, 사칙연산, 거듭제곱(근), 로그 등)을 알맞은 규칙에 따라 유한 번 나열하여 정의할 수 있다는 뜻이고, 따라서 유한 개의 수학 기호로 만든 유한 수열의 개수보다 적습니다. 이때 유한 개의 수학 기호로 만든 유한 수열의 개수가 자연수의 개수(=유리수의 개수)와 같고, 실수의 개수는 유리수의 개수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이름붙일 수 없는 실수가 더 많습니다.
      ko.wikipedia.org/wiki/%EC%A0%95%EC%9D%98_%EA%B0%80%EB%8A%A5%ED%95%9C_%EC%88%98
      이 링크도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 @아메리카노에밀리
    @아메리카노에밀리 2 года назад

    인간이 만들어낸 수학의 개념에서만 끝이 없는것인가?

    • @user-globalgrammar2752
      @user-globalgrammar2752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리수를 유리수화하는순간
      유리수가 무리수가되어버립니다
      1.5를 1이라고하는순간
      1이 0.6667 로 바뀌죠
      지구인이 해도 우주인이 해도
      기준은 잡아야하고
      잡으면 결국 같게 된다고 봅니다

  • @wow-.-
    @wow-.- 2 года назад

    이...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