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용 비행기 영상에서 제가 알기로 앞에서 날던 비행기가 뒤에 따라오는 비행기한테 방수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대형 비행기는 아래쪽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방수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앞에서 작은 비행기가 아래쪽을 보면서 위치를 알려주는것이라고 알고 있어요. 영상 자세히 보시면 앞에 날던 비행기가 뿌린건 물이 아니라 스모크 같아 보입니다.
B52는 날개가 너무 길어 그라운드 클리어런스가 굉장히 작습니다. Wing low는 꿈도 못꾸는 거죠ㅠㅠ 실제로 저 기체같은 경우 랜딩기어는 조종사가 측풍치를 계산해서 실제 기체 헤딩보다 틀어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랜딩하고 난 후에 아직도 기수가 오른쪽으로 틀어져있는 것을 볼 수 있으실 겁니다.
4:17 오른쪽 영상은 자세히 보시면 연료가 배출되는 노즐이 튀어나와 있습니다. 그 뒤쪽부터 흰색구름처럼 보이듯이 연료가 배출되고 있고요. (구글에서 '비행기 연료배출구'라고 검색하시면 더 이해가 잘 가실 겁니다. 링크 달려고 했더니 유튜브에서 자동 삭제 해버리네요.) 왼쪽 영상은 모두 연료 배출이라기에는 흐르는 흰색모양이 여러개이고 또 모두 비행기 날개 윗쪽면을 타고 흐르므로 수증기 응축이라 볼 수 있겠네요(?) 보통 여객기에서 연료 배출구는 플랩 조절장치(뭐라하죠?) 끝 쪽에있지 않나요? 그걸 생각하면 왼쪽 영상은 확실히 연료배출은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바운싱 랜딩 최악의 경우는 바로 나리타 페덱스 착륙실패 사고 입니다. MD11 의 고질적인 비행기 메커니즘 조종사의 피로 공항의 날씨가 딱맞어 떨어져 사고가 났죠 관제탑에서는 즉시 구조대를 보냈지만 조종사를 구할수는 없었죠 그바람에 대형기는 뜨고 내리지 못하고 겨우 중형기만 이륙 시켰습니다. 미국은 산불 진화 비행기는 DC 10 뿐만 아니라 보잉737 747도 산불을 끕니다. 우리나라도 산불 진화 비행기 3대 정도는 구비 해야 하지 않을까요 737급이나 BE200 기종으로요
두가지 비교 영상에서 우측은 연료 버리는 것이 맞습니다. 좌측은 공기의 단열 압축, 팽창에 따른 수증기 응결 현상으로 생기는 겁니다. 흔히 초음속 돌파 사진이라고 올라오는 사진 중에 기체 둘레나 날개쪽에 하얗게 생기는 것을 두고 초음속이라 생긴다라는 소리를 하는데 그것이 공기의 단열 압축, 팽창에 따른 수증기 응결 현상으로 생기는 겁니다. 따라서 초음속이 아닌 아음속의 느린 속도에서도 생기며 충분한 수증기만 있다면 아주 저속에서도 충분히 생길 수 있죠.
소방용 비행기 영상에서 제가 알기로 앞에서 날던 비행기가 뒤에 따라오는 비행기한테 방수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대형 비행기는 아래쪽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방수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앞에서 작은 비행기가 아래쪽을 보면서 위치를 알려주는것이라고 알고 있어요.
영상 자세히 보시면 앞에 날던 비행기가 뿌린건 물이 아니라 스모크 같아 보입니다.
진짜 이 영상을 보고 조종사는 아무나 하는게 아니란걸 깨달았습니다
B52는 날개가 너무 길어 그라운드 클리어런스가 굉장히 작습니다. Wing low는 꿈도 못꾸는 거죠ㅠㅠ 실제로 저 기체같은 경우 랜딩기어는 조종사가 측풍치를 계산해서 실제 기체 헤딩보다 틀어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시면 랜딩하고 난 후에 아직도 기수가 오른쪽으로 틀어져있는 것을 볼 수 있으실 겁니다.
5:08 잘못아시고 계신거 같아서 설명해 드릴려고 했는데 다른분이 이미 댓글에서 친절히 알려주셨네요
옆 덕후(밀덕, 역덕)에서 온 사람입니다. 이탈리아군은 2차 대전 내내 졸전만 하여 트롤이라는 이미지는 여기서도 유효합니다. 아마 유래가 같지 않을지... 의심되네요
'무솔리니의 공격은 프랑스 산악사단에 막힙니다'
열강 주제에 그리스와 에티오피아한테 패배한 우리 대단한 이탈리아
2:00 랜딩기어 였던것
2:29 제로노트
4:17 오른쪽 영상은 자세히 보시면 연료가 배출되는 노즐이 튀어나와 있습니다.
그 뒤쪽부터 흰색구름처럼 보이듯이 연료가 배출되고 있고요.
(구글에서 '비행기 연료배출구'라고 검색하시면 더 이해가 잘 가실 겁니다. 링크 달려고 했더니 유튜브에서 자동 삭제 해버리네요.)
왼쪽 영상은 모두 연료 배출이라기에는 흐르는 흰색모양이 여러개이고
또 모두 비행기 날개 윗쪽면을 타고 흐르므로 수증기 응축이라 볼 수 있겠네요(?)
보통 여객기에서 연료 배출구는 플랩 조절장치(뭐라하죠?) 끝 쪽에있지 않나요?
그걸 생각하면 왼쪽 영상은 확실히 연료배출은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항공영상 기다렸어요 ㅠㅠ
항상 재밌게 보고 갑니다~~
방구석 조종사님 화이팅 하세요! 근데 이번에 진짜 골때리네요 ㅋㅋㅋ
항상 재미있게 영상 보고있어요^^
영상 잘 봤습니다!~~~^^
0:41 이젠 비행기도 관성드리프트를 하는군요 (끄덕)
언제 오나 했네ㅎ
마지막에 b52ㅎㄷㄷㄷ(폭격기)
@ㅎㅎ 할아버지에아버지
동체착륙 와 ㅋㅋㅋ 대박
그러게
02:50 아…ㅠ
와 저 바퀴없이 착륙한거 처음에 착륙한줄도 몰랐다....진짜 부드럽네
마지막 클립 지린다 저거 가지고 크랩 렌딩을..ㅋㅋ
영상 재밌고 목소리 좋고~ 자격증 취득 축하드립니다~!! 딴김에 PPL CPL까지 가즈아~!!! :)
4:03 왼쪽은 윙팁 볼텍스라고 하는 현상입니다.
5:43 비행기 물수제비 ㅋㅋ
와 칼날비행 미쳤다
잼나고 목소리도 좋으시네요! 구독!
안녕하세요. 16년차 대한항공 기장입니다.
6:18 스트레토포트리스, b-52 입니다
2:40 아마 공기의 압축성 형상때문에 일어난것인거 같습니다 차가운 대기와 압축열로인해 발생된 형상인거 같네요.
바운싱 랜딩 최악의 경우는 바로 나리타 페덱스 착륙실패 사고 입니다. MD11 의 고질적인 비행기 메커니즘 조종사의 피로 공항의 날씨가 딱맞어 떨어져 사고가 났죠 관제탑에서는 즉시 구조대를 보냈지만 조종사를 구할수는 없었죠 그바람에 대형기는 뜨고 내리지 못하고 겨우 중형기만 이륙 시켰습니다. 미국은 산불 진화 비행기는 DC 10 뿐만 아니라 보잉737 747도 산불을 끕니다.
우리나라도 산불 진화 비행기 3대 정도는 구비 해야 하지 않을까요 737급이나 BE200 기종으로요
산불전용 비행기를 구비 하는것 자체가 한국에서는 비효율적 입니다.
@@주해열-f4i 가동시간이 사용처가 한정적이니 그럴수 밖에요. 야간 산불진압하는 헬기를 늘려야 할거 같습니다. c 130 수송기에도 탈부착 산불 장비가 있습니다. 00년 동해안 산불 22년 산불만 봐 2주정도 산불이 제대로 끄지도 못했어요
"닉값을 못하는 유튜버"
엌
저 물수제비행기 뭐냐 ㅋㅋ
수증기가엄청빠르게돌아가서그런겁니다.
5:40 이걸 전문용어로 물수제비라고 하죠
5:52초 이건 물수제비원리일수도잇을것같아요
4:38 이건 벨리 착륙이라네요
첫 클립은 하타 채널 가야 겠는데? ㅋㅋㅋㅋ
ㅇㅈ
어떻게 비행기가 옆으로 가냐고 ㅋㅋㅋ
3:44 비행기는 착륙할 때는 가벼운 상태에서 랜딩을 해야 해서 필요 없는 연료는 공중에서 버립니다
일반적으로 고어라운드 계산해서 연료 맞춰서 넣는데 굳이 버리는건 특수한 경우죠. 필요 없는 연료는 애초에 넣질 않습니다 연료값이 얼만데..
5:20 술마신 다음날 내가 술똥지리는거같다..
3:01 플레어 너무 짧고 빠르게 팍팍해서 벌룬 된거같네요. 랜딩기어 너무 쌔게 꼬라박아서 ELT 켜지고 난리 났을꺼같네요 ㅋㅋㅋ
3:10 정비사들 오열중
2:31 공중에서 시동을 껏다가 키는거 아닙니다...
물에 착륙하는거 물수제비같닼ㅋ
어지럽다...
5:40 물수제비 고수
1:08 아마 추측인데 이거 사방 못본 터그카 실수 아닐까요?
1:57 예시:페덱스 14,80,가루다 인도네시아 200
비행기는플랩을내렷으을때빨리가면수중기가생기고저거보이는거에요
2:35 제로노트인줄 알았다는
저도 ㅋㅋㅋㅋ
물수제비ㅋㅋㅋ
2:04 붕 떳다가 노즈기어부터 처박을것 같으니 조종사 엘리베이터 겁나 빨리 조작 헉헉
Dc-10...저 사고다발기를 소방항공기로도 쓰이는군요....
오른쪽 영상은 플랩 패어링 에서 나오기 때문에 제티슨이 맞구요 왼쪽은 747-400으로 보이는데 패어링에서 안나오니 수증기랑 관련이 되어있을것 같습니다
오오오드디어 면허를??축하드려요!
레전드 ㅋㅋㅋ
두가지 비교 영상에서 우측은 연료 버리는 것이 맞습니다.
좌측은 공기의 단열 압축, 팽창에 따른 수증기 응결 현상으로 생기는 겁니다.
흔히 초음속 돌파 사진이라고 올라오는 사진 중에 기체 둘레나 날개쪽에 하얗게 생기는 것을 두고 초음속이라 생긴다라는 소리를 하는데 그것이 공기의 단열 압축, 팽창에 따른 수증기 응결 현상으로 생기는 겁니다.
따라서 초음속이 아닌 아음속의 느린 속도에서도 생기며 충분한 수증기만 있다면 아주 저속에서도 충분히 생길 수 있죠.
@@SG-mv9oz 헬리콥터의 로터도 비행기의 날개와 똑같은 원리와 구조로 작동하기 때문에 날개들에서 생기는 공기의 압축, 팽창 현상이 동일하게 일어납니다. 그래서 저런 현상은 똑같이 생길 수 밖에 없죠.
항공 클립에 나온것을 비교하면 이번것은 연료 방출 하는거구요. 지난번꺼는 수중기 웅측입니다.
C47 은 그럼 수송기중 고조 할아비네.
5:10DC10든든 하구만
다른유투버 볼땐 crab착륙(게 착륙을)개 착륙처럼봐 ㅋㅋ
2:36 제가 틀렷을수도잇는데 스톨턴이어니라 제로노트아닌가요?(그건 전투기가하는것만인가)
C-130 니미츠 항모착륙도 이론상 가능하다고.....
연기는열류입니당
면허 취득 축하 드리지만 닉값은 실패했네요
6:38 측풍 착륙 하는 저 비행기는 무슨 기종인가요?? 커보이는데 일반적인 여객기는 아닌것같은데 미공군인가요??
B52
와ㅡㅡ우
으우아
1:00 토잉 시 양쪽 윙렛 끝, 후방에 인원 배치 해야 된다는 기본을 무시해서 발생되어진 사고네요
면허취득 축하드립니다!
오우 B52가 ㄷㄷ
오늘도 수고 많으십니다! 이번애 일어난 중화항공기 사고 다뤄주실수 있을까요!
전항공덕후여서알아요
902 대한항공편도 만들어주세용
中木
RC 비행기도 해주시면 좋겠는뎅...
정보) 이탈리아는 공군뿐만아니라 군대 그 자체가 조롱거리다
당연히 기류지 날개위에서 분사하겠냐 ㅋㅋㅋㅋ
ㄹㅈㄷ
4번째꺼 "그" 항공사인줄ㅋㅋ
RYANAIR
왜 J를 써? K를 써야지
처음에 비행기가 활주로에서 이탈했을떼
한쪽엔진이 정지한 상태로 한쪽만 사용하니
추력 불균형으로 쏠린거 같아요
아으 턱이 쓰라림 ㅠ
마지악의 꼭구독 과 좋아요꾹꾹 하던대 이거마지막엔 이렇게하는게 나는좋터라ㅋ
근데 스톨턴은 돌아가는거 빼면 제로 노트랑 똑같은 거 같은데
2:00 내가실제로 겪은거
2:56 망선생?
그럼이제 이름바꾸나요 면허땃으니 방구석아니잖아요
와 1분전!
중국이 그렇지 뭐
살고 싶으면 중국 항공은 피하라고 하더라
c130은 배그 비행기 아닌가?
🤨
이탈리아종사하냐
5:03 이걸 이렇게 비하한다고?
6
와 10등! 4빠
3:32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