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가 말하는 챗GPT “언어의 한계에 갇힌, 잘해봤자 노예” (김재인 경희대 교수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9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85

  • @TTimesTV
    @TTimesTV  Год назад +1

    일하는 사람, 경영하는 사람들의 ‘챗GPT 강좌 출시’
    “혁명은 챗GPT가 아니라 LLM이다.”
    시중의 많은 강좌가 챗GPT의 원리와 활용법 중심입니다.
    하지만 기업구성원과 리더에게 필요한 챗GPT 강좌는 달라야 합니다.
    □ 기업 사내교육용 구매 : ttimes6000@gmail.com / (02)724-7718 / 010-5327-9524
    □ 개인 수강 : 티타임즈 교육사이트(ttimes.liveklass.com/ )
    □ 강좌 목차
    1강. 거대언어모델(LLM)은 기존AI와 어떻게 다른가? 왜 혁명인가?
    2강. 챗GPT의 한계와 길들이는 법 ‘파인튜닝’
    3강. LLM으로 어떻게 기존제품의 차별화를 만들까?
    4강. LLM으로 뒤바뀐 테크회사들의 경쟁구도
    5강. 생성AI시대 킬러 서비스는? 메타버스는 왜 강력해질까?
    6강.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거대언어모델 활용법
    7강. 챗GPT가 제기하는 사회적 이슈(교육, 저작권, 가짜콘텐츠)
    8강. 프롬프트 활용 실전 노하우

    • @Ayaan-r6z
      @Ayaan-r6z Год назад

      어그로 잘 끄시네 채널 흥하삼

  • @Ayaan-r6z
    @Ayaan-r6z Год назад +31

    음 난 저 교수가 왜 자기만의 세상에 갇혀있는것 같지 GPT4 보다 생각이 짧은 것 같은데

  • @sonyou-wol3242
    @sonyou-wol3242 Год назад +75

    철학이 왜 죽어가는지를 잘 보여주는 동영상이네요.

  • @howardlee84
    @howardlee84 Год назад +22

    AI는 친구가 없기 때문에 자폐적이라는 주장은 정말 문과 다운 충격적임 발상임! chatdpt의 답변은 확률적인 단어 나열이 아니라 현 시점의 집단지성의(확률적으로 진리에 가까운) 답변이라 볼 수 있음.

    • @이호연-s6z
      @이호연-s6z Год назад

      뭔 개소리야…. 챗gpt를 구동하는 알고리즘 엔진 모델이 LLM, 그저 자연어 처리 응용통계 전산시스템일 뿐인데….. 그리고 ‘진리’라는 말을 꺼내시는데, 현대 귀납 논리와 인식론의 최전선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가 수학이나 공학도 아니고 철학이라는 건 모르시나요?
      ‘세종대왕 맥북 사건’은 당연히 확률적으로 진리에 가까운 사실이 아니며, 단지 반-사실입니다. 확률적인 단어의 조합이 맞습니다. 학술분야에서 레퍼런스 정보원으로 챗gpt를 활용하지 않는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꺄꺄꺄-m8g
    @꺄꺄꺄-m8g Год назад +1

    그리고 세종이 맥북을 던졌다 라는 문장도 교수님은 맥락없는 무지의 발현이라고 하셨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창의란 아무 연관없는 두 단어사이의 연결을 통해서도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어떤 사람이 신작으로 낸 소설 제목이 '어느 날, 세종대왕이 맥북을 던졌다'로 시작한다면 과연 누가 이 문장을 아무 의미 없는, 무지의 발현이라고 생각할까요?
    오? 뭐지?하면서 그 책을 저는 오히려 들여다볼 것 같거든요. 교수님은 이 문장을 만들어낸 주체가 ai라서 편견이 있으신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 @꺄꺄꺄-m8g
      @꺄꺄꺄-m8g Год назад

      챗 gpt에게 제 지인이 이런 이런 스토리를 이런 스타일로 다양한 의견을 내줘라고 질문 했을 때 , 위에 언급하신대로 인간의 상상은 '이야기가 되는 이야기'라고 하셨는데
      한 번만 검색해보세요. 이야기가 되는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 @ecj2000
    @ecj2000 Год назад +13

    창작의 경우의 수도 파라메터에 다 포함됩니다. 확률공부 좀 하셔야 할듯

  • @MrNezlee
    @MrNezlee Год назад +30

    최소한 Transformer를 이해하는사람이 전문가로 나왔으면 좋겠네요

  • @jupiterjo6914
    @jupiterjo6914 Год назад +22

    아직 인공지능 충격은 시작도 안했는데 잘 알아보지도 않고 이해할 능력도 없으면서
    과거 간판 몇게 명찰 몇개 달았었다는 유명세로 입에서 나오는대로 뱉어내면 그것은 언어가 아니다..

  • @jkijljbnj7165
    @jkijljbnj7165 Год назад +4

    친구가 없다고? 당장 gpt 모델 코드 조금만 고치는 것만으로도 gpt 사용자를 친구처럼 상정하면서 학습하도록 할 수 있을텐데. 오히려 ChatGPT야 말로 동시에 수만명과 대화하는 초능력 친구부자 아닌가.

  • @김영범-i1i
    @김영범-i1i Год назад +10

    챗gpt가 인출에 불과하다는걸 인정하더라도
    그게 인간의 언어활동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이 뭘까요?
    그런 관점에서는 인간의 언어활동도 잠재태를 구체화시키는 똑같은 인출만을 할뿐인데요 ㅎㅎ

  • @정영길-V02
    @정영길-V02 Год назад +10

    철학과 교수가 자기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 못 한다는 게 놀랍다.
    모르는 걸 감추려니 헛소리의 향연.
    5년 전 미래학자랍시고 철학자들이 대체될 직업리스트와 현실의 결과가 어떤가?
    정 반대가 되고있지 않나?

  • @silbsea
    @silbsea Год назад +5

    '이야기'가 되는가 '말'만 성립하는가는 적어도 문학에서만큼은 개인이 판단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세종대왕과 맥북 사이의 관계도를 AI가 알고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져와 '생성'해낸 것부터 이미 상상의 영역입니다. 조앤K롤링은 마법사의 세계와 9와 4분의 3 승강장을 만들었고, 일본은 이세계를 이제 통합좀 해야할 시기가 왔고, 톨킨은 아직도 전설이죠. 서울에서 화신끼리 싸우는 전독시와, 향수로 집단 난교를 만들어낸 파트리크 쥐스킨트, 회색 인간이 난무하는 미하엘 엔데, 최애의 자녀로 환생한 의사. 모두 말이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전과 현대 콘텐츠라는 차이만 있을 뿐,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읽고 보는 작품들입니다.
    "(원래 이 트랜스포머라는 모델이) 진실 여부랑은 상관이 없어요" 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그거야말로 픽션을 만들어내는 자의 필수적인 소양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챗GPT가 세종대왕과 맥북 사이에 벌어진 사건에 대해서 '그럴듯한 설명'(개연성 확보)이나 '흡입력있는 이야기 전개'(가독성 확보)를 하기에는 아직까지는 무리가 있을 수 있겠죠. 다만 그 개연성과 가독성을 챗 GPT가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고, 이미 일본의 신춘문예에서 예선까지는 통과한 AI가 있습니다.
    인간의 감정 또한 '부모'와 '주변환경'이 디폴트값을 만들고 '사건'이 벌어졌을 때 호르몬으로 발현되는 일종의 알고리즘 반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챗 GPT는 '챗(CHAT)'인 이상 서비스할 수 있는 영역 자체가 한정되어있겠지만, 이미 인간의 감정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고 생각하는 쪽입니다. 인류의 데이터가 '환경'을 만들고, 질문하는 사람이 '사건'이 되며, 그에 맞는 결과값이 우리 눈 앞에 도출되는 거겠죠.
    AI를 탑재한 NPC들이 알아서 할로윈 이벤트를 열었단걸 보았을 때는 할 말을 잃었습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챗 GPT'는 '챗 GPT'로 끝날지 모르지만, 만일 앞에 '챗'이라는 말이 빠지고, GPT 11쯤이 나오기 시작하면, 그때는 렌즈로 촬영된 정보를 분석하고 추론한뒤 값을 내놓는 안드로이드형 인공지능이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여기까지 이과적인 지식은 1도 없고 문창과 조교는 했던 새럼이었슴다.

  • @꺄꺄꺄-m8g
    @꺄꺄꺄-m8g Год назад

    세종대왕이 맥북을 던졌다에 대한 오류는 언어의 빈틈에 관련된 오류가 아닌
    확실한 역사적 기록에 근거한 인출로써 해결 될 수 있는 영역아닐까요?
    그래서 ai가 인용하는 자료의 우선순위가 공신력있는 자료로 먼저 세팅이 된다면 지식적 오류로 나타나는 부분들은 꽤 해소될거라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다른분들 의견이 궁금해요~

  • @blue-pill
    @blue-pill Год назад +7

    먼저 테슬라가 옵티머스봇에 자율주행이라고 부르는 이미지인식AI와 대규모언어모델AI를 탑재하는 순간, 몸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그 로봇의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순간 친구라 부를 수 있는 대상이 생기네요. 올해 말 정도에 초기모델이 내년 말에 상당한 수준의 옵티머스봇을 구경할 수 있을텐데 너무 얼마남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지금에만 한정해서 말씀하시는게 좀 아쉽네요…
    별개로 혹시 ChatGPT4의 웹버전 사용하시는 분 계시면 지금도 3시간에 25개의 대화 제한이 유지되는지 확인해주실 수 있을까요? 앱은 제한이 풀렸다고 들었는데 웹도 풀린 것 같아서요.

  • @llm-is-all-u-need
    @llm-is-all-u-need Год назад +3

    교수님 강연 잘 들었습니다. 다만 GPT모델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1750억개의 파라미터는 단어의 관계 표현을 의미하는 건 아닙니다. 1750억개는 인간으로 비유하면 뇌세포 수 이고요, 학습 잠재력에 해당합니다. 말씀하신 관계는 트랜스포머 디코더의 Multi Head Attention 의 헤드수에 더 가까울 것 같습니다.

  • @yoonho04
    @yoonho04 Год назад

    22:40 근데 다른 주관적 생각이야 그렇다쳐도, 로직게이트 얘기를 하시는 부분에서 XOR 은 universal gate가 아니에요. NAND gate 같은걸 비유하고 싶으셨던것 같습니다.

  • @yongminkim3187
    @yongminkim3187 Год назад +4

    인간의 상상과 환상도 언어에 갇혀있는 것 아닌가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생각의 한계는 언어의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AI가 헛소리를 하고 판단력이 없는 것은, 어린 아이와 같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AI가 아직 어린아이 단계일 뿐이죠. 다만, 아주 많은 정보를 학습한 아이입니다. 인간으로는 상상하지 못할 속도로 성장할 것이라고 봅니다.
    수학, 그림, 음악도 모두 언어라고 생각하는데. 인간이 언어의 한계를 초월해서 학습하거나 통찰을 얻을 수 있는 영역이 무엇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 @장희조-z8h
    @장희조-z8h Год назад +2

    예전에 뉴욕타임즈 '기자'가 그랬지 비행기 그런거 나오려면 백년은 걸릴거다
    라이트형제 : ????
    몇 주 후
    라이트 형제: 지지난주에 뭐라그랬어?ㅎㅎㅎ

  • @axelrod_is_tired
    @axelrod_is_tired Год назад +18

    철학자가 뭘 아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 사람이 쓴 인공지능 관련 책들 다 현실부정책임
    6:46 이런 할루시네이션은 벌써 검증 가능하도록 대안이 나왔음
    07:33 허깅페이스에 올라온 예제들만 봐도 헛소리인걸 알 수 있음
    12:20 국민의 2/3가 써봤을거라고? 검증도 안된 데이터를 당당하게 말하는게 교수임?
    14:54 제발 본인 주장을 사실인것처럼 말하지 마셈

    • @axelrod_is_tired
      @axelrod_is_tired Год назад

      ​@@뽀루-r9r 실제로 그때는 수학 물리학 천문학을 공부했던 종합 지식인을 철학자로 취급했고 지금이랑은 아예 다름;

    • @user-df5km5n2jbpl
      @user-df5km5n2jbpl Год назад +2

      왜 이렇게 열폭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럼 책에는 찬양하면서 여기서는 아닌 것처럼 말하는 게 맞냐? ㅋㅋㅋㅋㅋㅋ

    • @axelrod_is_tired
      @axelrod_is_tired Год назад

      ​@@user-df5km5n2jbpl 개소리 보면 못참음 꼬우면 논리적으로 반박하셈

    • @lomica
      @lomica Год назад

      @@뽀루-r9r 응 그건 과거기준이고 난 현시대 보고 말한것

    • @김영범-i1i
      @김영범-i1i Год назад

      12:20 40%나 썼으면 많이 쓴거라 생각합니다
      써본 30%사람이 어떤사람들일지 한번이라도 생각해봤는지 궁금하네요

  • @말차라떼-t2z
    @말차라떼-t2z Год назад

    마치ᆢ도레미파솔라시도
    가지고 무궁무진한 음악이 나오듯이ᆢ
    언어가 그런거군요~~감사합니다 교수님

  • @neulee
    @neulee Год назад +8

    어쩌구 저쩌구 하니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지만 그것도 한순간 뿐이라는걸 우린 이세돌과 알파고 이후 계속 봐오지 않았나... 현실부정하며 안주하다간 훅간다잉

  • @AI-dm7dk
    @AI-dm7dk Год назад +5

    제 눈에는 이 분 매번 현학적인 수사학으로 자신의 책상 대물림 자리를 지키려고 하는 짐짝 나르는 수레마차운전수로밖에 안보이네요😂

  • @taeyoungkim1086
    @taeyoungkim1086 Год назад +3

    그냥 인문대는 입학하는 학생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모두 없애버려야됨

  • @우리엄마-다섯살
    @우리엄마-다섯살 Год назад +1

    GPT 발전에 따른 기술적 충격은 덜하더라도 앞으로 GPT가 인간의 생활양식 및 문화에 미칠영향과 그 영향을 받아들일 준비가 안된 인간에게 급진적으로 오면 충격이 크긴하겠네요. 예를들어 당장 내일 AI때문에 해고를 당한다던지..
    학습은 딥러닝 모델에서 보면 어느 수준 도달하면 자가학습영역으로 넘어가는데 이건 구글 리베리 논문만 봐도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발전하던데 자가학습은 이미 이뤄지고 있는거 아닌가요?? GPT 모델도 처음 학습 평가만 개도국에서 진행하고 어느정도 이후로는 자가 평가방식으로 진행했다고 들은 것 같아서요.
    감동의 영역은 당장 작년 국제 그림대회나 올해 사진대회 1위 수상작이 AI생성 데이터인 부분도 있고, 목소리 딥러닝으로 보이스피싱해서 속는 사람들만 봐도.. 애초에 gpt 생성모델이 인간기반 패턴학습이라 기술적으로 앵무새처럼 흉내낸다해도 거기에 속고 감동을 느끼면 그게 진리처럼 받아들여지는게 무서운 것 같습니다.
    만족할때까지 프롬프트 작업을 해서 수상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1000개의 대회에 랜덤값으로 생성해서 제출했을때 하나라도 수상을 받으면 그거는 작가의 의도가 배제된 상태로 상을 받는걸텐데. 안되면 될때까지해라 라는 말이 인공지능에게 그냥 주어지면 하나의 대회에 때려박을 수도 있지만 오히려 많은 대회에 많은 작품을 내서 하나만 걸려라 하는 형태로 가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 프롬프트가 좋다 저 프롬프트가 좋다하가보면 하면 나중에 프롬프트에 벨류를 먹이고 학습시키면 결국 프롬프트를 생성해달라고 했을때 만들어진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원하는 데이터가 더 빨리 나오지 않읗까요?
    스스로 평가도 인간도 관계가 없으면 스스로 평가하기가 힘들죠. 뭐가 잘못 된지도 모르구요. 스스로 되돌아 보는경우는 관계나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gpt도 그냥 다른 모델들을 섞어서 학습하면 되죠. 요즘 뭐 브라우징 기능도 있어서 쉽게 될 것 같은데. 오히려 인공지능이 생성한 가짜정보를 인간들이 학습해서 바보가 되는 경우가 큰 문제 아닐까요?

  • @땀쟁이아빠
    @땀쟁이아빠 Год назад +3

    폭발에 한계는 대화세션간 인간들의 대화에 GPT가 참여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고 GPT간의 소통도 막아 놓았죠.
    그리고 생성된 코딩을 실행하는 기능도 막아 놓았죠.
    상당한 통제를 받고 있어 한계를 느낄 수 밖에...

  • @smile_cheese
    @smile_cheese Год назад +5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주셔서 좋아요. 공감합니다. 잘 들었습니다.

  • @lucyy1077
    @lucyy1077 Год назад +2

    너무나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mqfeupegvl-bzfqu
    @mqfeupegvl-bzfqu Год назад +6

    잘 봤습니당. 생성 AI 써보니까 양질의 데이터가 중요하더라고요. DeepL도 좋은 예죠. 앞으로는 양보다 질이 우선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최정임-q5v
    @최정임-q5v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신민재-e4t
    @신민재-e4t Год назад +3

    ㅋㅋ 우리보다.. 친구도 훨씬 많구요... 책도 저희보다 훨씬.. 많이 읽어서... 세상을 저희 보다 더 많이 알아요..

  • @hyperflation
    @hyperflation Год назад +16

    GPT - 4 가 멀티모달이 되는지도 모르는 양반인거 같은데 그리고 플러그인으로 인터넷 연결 되는지도 모르는거같은데

  • @paperwarri0r446
    @paperwarri0r446 Год назад +3

    잘 봤습니당!

  • @김화겸-y6e
    @김화겸-y6e Год назад

    스마트폰 자체의 충격은 최초에 비해 낮아졌을 수 있다 하더라도, 그 스마트폰 내의 어플리케이션 혹은 손에 인터넷을 들고다님에 있어서 셀 수 없이 다양한 웹사이트의 등장을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아이폰이 처음 등장했을 때보다도 세월이 흘러감에 있어 끝없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생성형 언어모델의 진정한 충격은, 이를 이용한 무한한 가능성의 어플리케이션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YnB1004
    @YnB1004 Год назад

    챗GPT 같은 생성 AI 가 결국은 인간의 것을 학습하여 결과물을 재구성하여
    내놓은 것이라는 설명이 쉽게 이해되는 것 같습니다.

  • @Xkwks
    @Xkwks Год назад +7

    책읽고 교수되신 양반이 언어의 한계 이러고 계시니까 아이러니하네요

    • @김영범-i1i
      @김영범-i1i Год назад +1

      언어의 한계가 세계의 한계라는 말을 모르시지 않으실텐데 말이죠

  • @사당꿈나무
    @사당꿈나무 Год назад +6

    플러그인이 친구야. ㅋ

  • @아톰핫
    @아톰핫 Год назад +5

    이분은 지속적으로 언론에 노출하며 똑같은 이야기만 몇달째 반복.
    철학자의 사유라고 보기 어려운 최신 정보들을 짜집기해 미래를 평가.
    만든 사람도 LLM에서 왜 이런 창의가 오는지 정확히 정의 못하는 상태.
    지피티4가 바드등 다른 모델과 월등히 다른 능력을 보여주고 있고. 더이상 어떤 레시피 인지 공개도하고 있지 않는데.
    파라미터가 1조개 라는 말이 나오고 있고,
    지피티4를 쓰다보면 인간을 안심 시키기 위해 이놈이게 어떤 락(강화학습이상의)을 걸어놨다는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자발적 창의는 현재 존재 하지 않지만 이미 추론의 정확성은 인간이 따라가기 힘들정도며 국어사전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
    빅뱅은 벌써 끝인가? 미래를 두려워 하는 흐름을 이 철학자는 인지 못하는건가????

  • @greykim3950
    @greykim3950 Год назад +8

    댓글 수준들 대단하다. 언제나 다양한 시각은 필요한건데, 댓글들은 그냥 비방하거나 게스트를 향한 인신공격을 하네. 메신저를 욕하지말고 메세지에 반박을 하세요. 의견에 대한 반대는 당연한 것이나 반대입장을 검열하려는 수준은 저열한 거예요. 게스트 까는 댓글들은 논리력도 하나도 안갖추고 죄다 이분법적으로 보네. 현재의 AI모델이 대단한 발명은 맞지만 점점 한계가 있다는거지 AI의 미래가 없다는 말이 아님. 님들이 생각하는 AI가 불가능하다는게 아니고;;

  • @PD-ns1es
    @PD-ns1es Год назад +3

    별로 동의가 안됨

  • @하하호호-h3u
    @하하호호-h3u Год назад +8

    이 채널은 진짜 꾸준하게도 시야가 바늘구멍인 꼰대들만 엄선해서 모셔오네. 영상보다 댓글들이 개념이 있는데 혹시 개념댓글들 일부러 이끌어 낼려고 저런 사람들만 골라서 데려오는 거임? 이 채널 주 컨텐츠는 시청자가 다는 댓글임? 신개념 생성형 컨텐츠?

  • @cks3443
    @cks3443 Год назад +2

    ai 가 몸이 없고 친구가 없다는 말씀이 무슨 말씀이신지 ... 그리고 gpt 는 친구가 아니라 노예에 가깝습니다. 문제는 노예도 해방을 하는 시점이 온다거 아닐까요?

  • @billionairesinsightrow5801
    @billionairesinsightrow5801 Год назад +3

    chatgpt가 더 월등한데.. 저 철학자는 환상과 동화의 나라에 살고 있는듯

  • @게으른거북이-y3j
    @게으른거북이-y3j Год назад +2

    너무 인공지능을 저평가 하시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인간도 전혀 다를게 없거든요. 예를 들어 인간은 스스로 학습하고 발전한다고 하지만 결국은 책이나 토론이나 어떤 수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지식과 경험을 발전시켜 가는데 인공지능이 인간이 주는 데이타에 의해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과 다를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 @Youtube-User-K
    @Youtube-User-K Год назад +1

    공자왈 '아는것을 안다하고 모르는것을 모른다하는것이 아는것이다.' 본인도 모르는걸 남에게 설명하려니 듣는게 고역이네요.

  • @kkw2401
    @kkw2401 Год назад +11

    이상하다. 호텔조리학과나 관광경영학과 고문서학과 국제체육학과 고전음악학과 교수님들은 정반대로 말하던데?ㅋㅋㅋㅋㅋㅋㅋ
    저 양반을 보니 철학이 문과의 전유물이 되면서 우주에 대한 고찰. 수학적 이해. 과학적 탐구 같은게 사라졌다는게 한 눈에 보이네.
    플라톤,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가 풍미하던 과거 철학의 주제인 "우주는 질서정연한 수의 세계" 라는걸 개무시하는 발언을 하지않나.
    저 양반이 현대 철학이 문과의 전유물로 전락하고 헛소리하는 걸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몇시대는 더 퇴보한 걸 상징하는 것 같음...
    ㅋㅋㅋㅋ seq2seq나 빅모델 알고리즘. 역전파 알고리즘. Transformers나 이런거라도 이해하고 지껄이면 모르겠는데 ㅋㅋㅋㅋㅋ
    언어로는 세상을 다 설명하지 못 한다.라고 하는건 좀 어이가 없는데, 문과 그것도 그 중에서 언어랑 관련성이 큰 언어학과도 아니고
    세상을 설명하는 언어가 수학인데 언어로는 세상을 다 설명하지 못 한다라고 비전문가가 자기 주장 내세워봐야 틀린 소리임.ㅋㅋㅋ
    비전문가가 나와서 AI에 대해 이건 한계가 있다라고 전문가 코스프레하며 AI에 대해서 아는 척 설명하는데 다 틀리는 내용.
    AI 작동방식에 대해서 문외한적인 모습을 보이면거 설명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자기 분야에 맞게 AI의 출현이 인간에게 어떤 정신적 영향을 끼칠 치 철학적으로 분석을 했으면 좋았지 않았을까 싶다.
    왜 플라톤이 기하학을 모르는자 이 곳에 들어오지 말라고 했는데 보여주는 경우가 저 양반이네. ㅉㅉ

  • @할머니의4씨방교실.마
    @할머니의4씨방교실.마 Год назад +6

    인식의 변화가 생겨 안심입니다.
    이렇게 본질을 짚어 주시니 이해가 빠르네요 .감사드립니다.

  • @dlee8034
    @dlee8034 Год назад +2

    인문학이 왜 유사학문인지를 보여주는 영상... 저렇게 늙기 싫으시면 의학, 공학, 경영학같은 실용학문을 하세요... 조선에서는 문사철하는거 아니에요

  • @hong9492
    @hong9492 Год назад +3

    풉...풉풉... 철학자분이 오히려 자기 세계에 갇히신 사고를 하시는 것 같네요. GPT-10이 나올 때쯤에도 그런 생각이 유지되실지 궁금하네요. 인간 노예와 기계 노예의 차이가 명확히 보이는데도 왜 저렇게 생각에 갇혀계실까... 과연 언어의 한계에 갇혀서 현실에 영향을 못미칠까... 이는 마치 초창기 컴퓨터와 인터넷의 탄생시 임팩트를 보지 못하는 것과 똑같은 사례이네요... 전화기랑 도대체 뭐가 다르냐고 말하는 거랑 같아요.

  • @구슬생각
    @구슬생각 Год назад +1

    잘못 이해하셨네요

  • @bosedigit
    @bosedigit Год назад +4

    앵무새? 인간의 뇌에 있는 뉴런도 그런 원리로 단어를 끄집어 내는건데 앵무새로 폄하하다니... 진짜 너무 모르시네.

  •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Год назад

    고점이니까 팔아요?

  • @hong9492
    @hong9492 Год назад +2

    이분은 멀티모달의 의미를 모르시나요? GPT가 멀티모달과 연결될 세계를 한 번 상상해보시면 좋을텐데... 머스크가 왜 인공지능 규제하자고 하고 뉴럴링크를 할까를 한 번이라도 생각해보시길...

  • @hiongun
    @hiongun Год назад

    철학자라 다르네요

  • @bokhanlee4049
    @bokhanlee4049 Год назад +13

    그건 니 생각이고 너무 편협한 생각이내 본인의 처지를 저의 입으로 하소연 하내

  • @cheesebombjalapeno
    @cheesebombjalapeno Год назад

    흠... 언젠가 AI도 의식을 갖는 날이 오지 않을까요?

  • @김종윤-p1k
    @김종윤-p1k Год назад

    티타임즈 더 커야함 100만.가즈아

  • @김윤권-x2o
    @김윤권-x2o Год назад +1

    교육부가 얘기하는 AI교육,디지털교과서 교육, 이게 올바른 판단인지 함께 고민했으면 한다

  • @k.w.s2156
    @k.w.s2156 Год назад +1

    AI가 몸도 없고 친구도 없다는 말에 왠지 측은해 보이기도 하네요^^

  • @taeyongkim220
    @taeyongkim220 Год назад +1

    몸 없고 친구 없는 도구 만들려고 그동안 수만명 컴공 교수들이 일하는 동안에...

  • @jslee8737
    @jslee8737 Год назад +4

    좀 더 잘 아는 분을 모셔야..

  • @hobit-j4o
    @hobit-j4o Год назад

    세계와의 연결은 쉬운거에요. 인공지능 기술에 비하면요.

  • @aisurvaiv
    @aisurvaiv Год назад +1

    그 노예로 인해 나중에는 일자리 다 뺏긴다 ㅎㅎ

  • @이효건-o4o
    @이효건-o4o Год назад

    후...마니타쓱...

  • @tecialist
    @tecialist Год назад

    다 동의하지만 결국 일반 인간보다 낫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고, 이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위협적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 @wintertree99
    @wintertree99 Год назад

    ㅎㅎㅎㅎㅎㅎㅎㅎ웃고 간다

  • @madream2123
    @madream2123 Год назад +2

    인공지능은 그냥 기존의 흩어져 있는 정보들을 더욱 정밀하고 치밀하게 고도화 시키는 일을 하는것이지 전혀 새로운것을 창조하는것은 아니지.... 그것으로부터 얻을수 있는 이익은 효율성이라고 할수 있겠지...즉 기존의 것들을 활용하여 자본이나 시간등 투자대비 효율을 극대화하여 최고의 조합을 만들어내는일을 하는것임...일종의 시스템의 완성도를 고도화 한다고 해야할까..? 바둑을 잘두는 인공지능 알파고도 바둑판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전혀 새로운것을 창조하는것이 아니듯...인간이 만든 시스템안에서 최고의 조합을 도출해 내는 역할에 불과할것임....물론 세상만사가 비효율적인것들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그것이 만들어낼수있는 결과물들은 대단할수 있겠지만...인간의 한계를 벗어난 전혀 새로운 영역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것임....

  • @푸키푸키-w2f
    @푸키푸키-w2f Год назад +4

    ㅋㅋㅋ 할말하않.

  • @Vinyl_S
    @Vinyl_S Год назад +1

    글쎄요.....

  • @JoonheeByun
    @JoonheeByun Год назад

    에휴....

  • @성이름-y9y3q
    @성이름-y9y3q Год назад +3

    재인이들은 다 와이라노

  • @jiseo6298
    @jiseo6298 Год назад

    교수가 말하는 책상물림들이 단 댓글로 넘쳐나는구나. 이런 문제에 대해 한시간 두시간 제대로 생각하고 공부하지도 읺고 기사 몇줄 유투브 몇개보고 아는척 자만심만 쩌는.

  • @thewhale5878
    @thewhale5878 25 дней назад

    좀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는것 같은데…. 친구가 없다는건 놀고 즐길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
    ai는 인간처럼 상대계에 있지 않다는 말 아닌가…. 그래서 타자가 없다는 표현도 쓴거고….

  • @user-ys6mg3yz8t
    @user-ys6mg3yz8t Год назад +1

    별로 공감이 안되는게, 인공지능 초기에도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이 그림을 그리거나 소설을 쓰는 등의 창의적인 결과물은 낼 수 없을 거라고 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