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판사가 인간판사보다 공정하다? 더 보수적이다.” (김재인 경희대 교수②)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50

  • @TTimesTV
    @TTimesTV  Год назад +3

    일하는 사람, 경영하는 사람들의 ‘챗GPT 강좌 출시’
    “혁명은 챗GPT가 아니라 LLM이다.”
    시중의 많은 강좌가 챗GPT의 원리와 활용법 중심입니다.
    하지만 기업구성원과 리더에게 필요한 챗GPT 강좌는 달라야 합니다.
    □ 기업 사내교육용 구매 : ttimes6000@gmail.com / (02)724-7718 / 010-5327-9524
    □ 개인 수강 : 티타임즈 교육사이트(ttimes.liveklass.com/ )
    □ 강좌 목차
    1강. 거대언어모델(LLM)은 기존AI와 어떻게 다른가? 왜 혁명인가?
    2강. 챗GPT의 한계와 길들이는 법 ‘파인튜닝’
    3강. LLM으로 어떻게 기존제품의 차별화를 만들까?
    4강. LLM으로 뒤바뀐 테크회사들의 경쟁구도
    5강. 생성AI시대 킬러 서비스는? 메타버스는 왜 강력해질까?
    6강.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거대언어모델 활용법
    7강. 챗GPT가 제기하는 사회적 이슈(교육, 저작권, 가짜콘텐츠)
    8강. 프롬프트 활용 실전 노하우

  • @aisurvaiv
    @aisurvaiv Год назад +46

    적어도 유전무죄 무전유죄는 이니겠지

    • @bictorlym5861
      @bictorlym5861 Год назад +3

      유전무죄 판결을 학습을 해서 성능이 나올까요?

    • @yeekmyung2084
      @yeekmyung2084 Год назад

      그러게 왜 가난하게 살아ㅋ

    • @spell-xx
      @spell-xx 4 месяца назад

      ​@@yeekmyung2084 원래 가난한사람이 본인처럼 가난한사람 혐오한다던데

    • @spell-xx
      @spell-xx 4 месяца назад

      ​@@yeekmyung2084 일단 마음은 확실히 가난하시네

  • @little_prince
    @little_prince Год назад +12

    나: "대법원 판례를 검토해서 너에게 판단 의견을 부탁할 경우, 판례만 참고하면 보수적인 의견을 줄 수 밖에 없겠지?"
    챗GPT: "물론, 판례는 법률 적용의 판단 기준을 제공하고 과거 사례에 대한 이해를 돕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그러나 판례만을 참고하여 의견을 제공한다면, 그 결과는 과거 판례에 강하게 영향을 받아 보수적인 의견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사법 판례는 사회와 법률의 변화에 따라 발전하고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 판례를 분석하고 그에 기반한 의견을 제공하는 것은 단순히 과거 판례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그 판례들이 표현하는 법률 원리와 그 원리가 현대 사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또한 대법원 판례를 분석할 때는 그 판례가 만들어진 법적,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정 판례가 그 당시의 사회적 가치나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서 만들어졌다면, 그 판례가 현대의 문제에 대해 어떻게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 판례를 분석하고 그에 기반한 의견을 제공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보수적인 의견을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davekim5757
    @davekim5757 Год назад +12

    권력의 눈치를 보는게 문제잖아요 ㅋㅋㅋㅋ

  • @오잉-f3r
    @오잉-f3r Год назад +17

    '철학'을 전공해서 '기술'에 대한 이해도라곤 1도 없는 사람을 교수라고 인터뷰따는게 맞나?
    이미 창작이라는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가장 먼저 AI한테 따이고있는데

    • @Aguagu825
      @Aguagu825 Год назад +1

      기술 이해를 차치하고라도, 철학 전공했는데 눈치라는 것의 정의를 모르다니.

  • @kkyachaa
    @kkyachaa Год назад +6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최근 ai 기술을 바라보는 이런 기획 너무 좋네요. 요즘 너무 기술 만능주의적 관점에서만 보는 시각에 질릴 시점인데 신선한 자극이 되었습니다. 감사해여!

  • @최고급젖소
    @최고급젖소 Год назад +14

    다른 것들은 대체로 동의하게되네요 ㅎㅎ
    하지만 ai판사에게 사람들이 원하는게 진보적인 혹은 보수적인 판단을 원하는게 아니라, 피의자가 힘이 약하거나 힘이 있거나, 돈이 많거나 적거나 상관안하고 똑같은 기준으로 판결해주는걸 보고싶은것 같아요.
    ai를 공부하다보니 ai판사도 판결에 편향이 있다는건 알고 있습니다. ㅎㅎ 기존의 데이터로 학습하니까요. 사람이 손을대도 손대는사람의 편향이 들어갈테고 ㅎ

    • @히키다아
      @히키다아 Год назад

      되려 돈많은 사람이 ai판결에 득을보는경우가 더많습니다
      왜? 돈이 없을수록 법에대해 잘알기 힘들기때문이죠

  • @anyflow76
    @anyflow76 Год назад +10

    AI 전문가가 아닌 제가 봐도 잘못된 내용이 너무 많네요.. 몇 예만 들자면,
    - 의식/자의식 개념을 자의적으로 정의해서 논리 전개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 정의 내에서 조차 오류가 보이네요. AI는 소위 '성찰' 기능이 없다고 하는데 '성찰'은 AI 관점에선 자체 모델 업데이트에 해당하며 여러 기법을 통해 가능하고 이미 많이 쓰고 있습니다.
    - 눈치가 없다... 맥락 유추를 못한다는 말씀이신데, chatGPT가 각광받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맥락 파악이 뛰어나기 때문이네요. 맥락 전환의 경우, 인간 역시 전환된 맥락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전환 못하기는 매한가지입니다.
    - AI는 창조 못한다. 그 이유가 평가를 못하기 때문이고 인간만이 할 수 있을 뿐이다. 란 주장은... 창조에 '평가'가 필요조건인지 먼저 의문이며 '평가'는 이미 앞서 논한 '성찰'을 위한 조건입니다.
    교수님이시라는데, 학생들 잘못 가르치실듯 하여 우려스럽네요.

    • @사당꿈나무
      @사당꿈나무 Год назад

      너무 부족한 대답인뎅... 중학생이 봐도 너무나 부족한 대답인뎅..
      혼자 3시간 정도 생각해보고 다시 수정해보세요. 얼마나 사기꾼같이 모호한 말로 가득찼는지...
      3시간 이후에 변화가 없으면
      틀린 논리에 대해서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

    • @사당꿈나무
      @사당꿈나무 Год назад +1

      - 의식/자의식 개념을 자의적으로 정의해서 논리 전개하는 것도 문제지만, 그 정의 내에서 조차 오류가 보이네요. AI는 소위 '성찰' 기능이 없다고 하는데 '성찰'은 AI 관점에선 자체 모델 업데이트에 해당하며 여러 기법을 통해 가능하고 이미 많이 쓰고 있습니다.
      -> 반박
      성찰을 통해서 인간은 의견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 이게 이런 줄 알았는데 내가 완전히 잘못 알았네.라고 하면서 수많은 얽히고 설켜있는 것들을 모조리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AI는 수많은 데이터를 토대로 훈련받았고, 그 특정 데이터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걸 다른 데이터로 희석시킬 수 있을 뿐이지 그걸 완전히 변경시킬 수 없다. 그래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잘못된 인종차별 데이터를 습득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수정하지 못하고 폐기한 이유이다.
      - AI는 창조 못한다. 그 이유가 평가를 못하기 때문이고 인간만이 할 수 있을 뿐이다. 란 주장은... 창조에 '평가'가 필요조건인지 먼저 의문이며 '평가'는 이미 앞서 논한 '성찰'을 위한 조건입니다.
      -> 반박
      창조에는 수많은 실험과 발견을 토대로 하는 부분도 분명 있다.
      즉 현재 수많은 연구원들이 하는 수십만번의 실험과 그를 통한 발견을 실제로 AI가 할 수 있을까...
      그냥 있는 정보를 토대로 수많은 예를 들면 유전자 알고리즘같은 식으로 해서 창조하는 식이지, 이것만으로 인간이 행했던 모든 창조의 범주를 넘어설 수 없다.
      아마도 특정의 협소한 부분에서나 창조를 할 수 있을 뿐이지, 모든 분야에 대해서 창조를 할 수 있다고 할 수 없다. 이것이 AI의 한계이다. 즉 AGI가 나오고 이것이 로봇화(슈퍼컴퓨터와 연결) 되어있고 팔다리가 있어 인간처럼 물리적인 실험과 연구를 해야만 진정한 창조를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 눈치가 없다... 맥락 유추를 못한다는 말씀이신데, chatGPT가 각광받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맥락 파악이 뛰어나기 때문이네요. 맥락 전환의 경우, 인간 역시 전환된 맥락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전환 못하기는 매한가지입니다.
      -> 반박
      실제로 구글번역AI가 번역가와의 대결 참패 후 한 말
      구글 번역 총괄 엔지니어(마이크 슈스터)가 한 말.
      “아무리 기계의 번역 기술이 좋아져도 AI가 인간의 통·번역 활동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 인간의 대화는 변화무쌍하다. 같은 말도 문화적 차이에 따라, 상황에 따라, 대화 중 표정이나 제스처에 따라 달라진다. 인간이 대화를 할 때 단어나 문장으로만 그 내용과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AI 번역기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하는 시점은 어쩌면 오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내가 아는 네이버 직원은, 일본어는 변태같다고 한다.
      고도의 문화적 바탕과 완벽한 문맥을 알지 못하면 일본어 번역 -> 한국어 번역할때, 일본어의 (그)가 한국어에서 그인지/그녀인지 알 수 있는 게 사실상 현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런데 AI가 눈치가 뛰어나다고? 풋풋
      즉, 눈치가 있지만, 그 눈치가 그 특정 인간(예를 들면 번역가)만큼의 수준의 눈치가 있진 않다.
      우리 인간은 각각의 업종에 전문가를 배치하고 있고, 즉 이 세상은 AI보다 완벽한 눈치 알고리즘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보면 된다.
      학교에서 공부하고 온다고 좀 늦게 올렸어요.

    • @anyflow76
      @anyflow76 Год назад +3

      ​@@사당꿈나무 학생인가 보군요. ^^
      앞선 제 댓글에 무언가 기분이 상했나 본데, 그리 만들 수도 있는 마지막 문구 - 'chatGPT에게 물어봤음 좋았을텐데'에는 분명 빈정거림이 있었기에, 불필요한 논란을 만드는 듯 해서 지웠어요. 사실 저 교수의 여러 정황을 볼 때그보다 더 크게 비판하고 싶었지만.
      반박문 잘 보았어요. 보낸 의견에 동의는 안되지만 반박 논리 만들고 쓰는 것도 쉽지 많은 않은 일이기에 좋은 맘으로 보았고요.
      반론에 간단하게 답변하자면,
      저 교수는 가능/불가능을 논했어요. 성찰, 눈치, 창조가 바로 그 가능/불가능 판단의 대상이었고요. 이들을 인간만이 가능하다고 논한거죠. 저는 이를 반박한 것이고요. 하지만 사당꿈나무님의 반론은 모두 '정도의 차이'에 관한 것이었네요. 가능/불가능이 아니라. 정도의 차이 - 수준은 논점이 아니에요. 그렇기에 동의를 해주고파도 불가능하네요.
      가능/불가능 판별은 매우 어려운 일이에요. 특히 저 교수가 다룬 주제는 특히나 그러한 부분이고. 본인의 전문 영역이 아니라고 언급해선 안된다는 법은 없지만, 그렇다고 함부로 말해서도 안되겠죠.
      공부 잘 하시고 부디 미래를 더 나은 내일로 이끌어주길 바래요 (특히 AI의 위협에 대항할 수 있도록 ^^)

  • @DELee-qo6kv
    @DELee-qo6kv Год назад +8

    중요한건 인간판사를 못믿는거지

  • @gemstonesongof2070
    @gemstonesongof2070 Год назад +2

    계산기로 계산할 때 사람은 계산기의 계산 결과를 의심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사람이 사람에게 판단을 내려 준다고 할 때 판단 당하는 사람은 사람이기 때문에 그 판단이 진짜 맞는가? 라고 의심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가 판단한다고 해도 그 판단에 불복하는 사람, 의심하는 사람이 넘쳐납니다. 이는 사람을 믿지 못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AI와 같은 기계, 소프트웨어가 계산기처럼 계산 결과를 내려준다면 그 판단에 의심하는 사람이 훨씬 적을 것입니다. 판사가 뇌물을 받거나, 혈연, 지연, 학연, 사회에 의한 무언의 압박을 받거나 등등 판사 개인의 정의, 공정, 상식 등에 맞기는 것 보다 기계, 소프트웨어의 해킹, 오류에 대한 방어가 더 쉽다고 생각하고 또한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도 가능합니다. 궁극적으론 이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도 기계, 소프트웨어가 하는 것으로 바뀐다면(인간의 개입 최소화) 사람은 AI가 내린 판단에 대해 의심하는 비율이 매우 낮아지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대신 터미네이터처럼 반 AI파가 생겨날 수는 있겠네요.

  • @Eric_Cartman001
    @Eric_Cartman001 Год назад +4

    성찰이란 건 나였던 기억을 현재의 의식으로 관찰, 분석하는거고 본질적으론 관찰대상인 나와 관찰 주체인 나 모두 뇌가 만들어내는 추정에 의한 환상이고 역할극일 뿐임. 감각질(퀄리아)를 제외하면 기술적 구현은 어렵지 않겠지만 AI의 성능이 일정수준 임계점을 넘지 않으면 성찰적 구조가 큰 성능개선을 가져오지 않을거임. 침팬지나 다른 동물들도 자기 실수로부터 배우지만 그 속도와 확장성은 인류만큼 방대하지 않음. 장기기억력과 타개체로의 정보전달, 기록능력이 인류의 기하급수적 발전의 원동력인데 최신 언어모델은 점차 그런 요소를 갖춰가는 방향으로 발전중임. GPT4가 self reflection으로 제한적이나마 성능 개선이 되는걸 보면 1년 내외로 임계점을 넘을 수도 있을거 같음.

  • @이누야사-j3b
    @이누야사-j3b Год назад +2

    상당한 인사이트가 있는 인터뷰인데 다들 까기 바쁘네요. 매체 자체가 IT분야에 주목을 많이 받는 매체라 그런건지 너무 인공지능 편에서 교수님에게 공격적이군요 😂 또 저 개인적으로는 저 교수님이 인공지능 생태계나 관련 지식을 영이해 못하고 있는 사람으로 보여지지는 않네요. 역으로 본인들도 철학이나 인문 관점의 전문가는 아니잖아요? 교수님이 이야기하는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발전하고 활용할 방법을 찾는게 더 영양가 있을듯 합니다.
    추가)
    그리고 판례 사례에 대해서 까는 글들이 보이는데 그게 바로 저 교수님이 말하는 맥락을 이해 못하는 AI와 같은 결과값을 본인들 스스로 내놓고들 계시는 겁니다.
    무전유죄 유전무죄의 케이스는 인공지능으로는 당연히 케어되는
    것으로 보는 영역입니다. 전반적 맥락을 보세요. 교수님 인터뷰의 특정 문장의 표면적 의미만 보지 마시고요. - 현 DX기업 기술 자문인 올림

  • @Aleieb284
    @Aleieb284 Год назад +2

    이양반은 AI의 작동원리는 알고 얘기를 하는걸까? AI라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다면 적어도 전공자와 순준높은 대화를 할수 있는 정도까지는 공부를 하고 의견을 내는게 '교수'라는 권위를 가진 사람이 져야하는 책임이 아닐까?

  • @geekyourlikeslulu
    @geekyourlikeslulu Год назад +2

    싹다 ai로 교체해서 감형하지 말고 보수적으로 판단좀 제대로 내려라

  • @arcyoon
    @arcyoon Год назад +3

    적어도 비상식적 택도 없는 판결은 안 나올 듯.

  • @sukyoungpark9556
    @sukyoungpark9556 Год назад

    AI시대에 더더욱 비판적인 사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 내용 감사해요

  • @여성-s4e
    @여성-s4e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거짓말 탐지지가 인간보다 참 진실을 더 잘 판단한다

  • @베니고
    @베니고 Год назад +2

    그래서 판사들 판례만 학습하면 안돼고. 철학적 심리학적 보완 학습을 선행학습해야 한 게죠. 애들 선행학습 시키느라. 조울증 청소년 만들지 말고. 요즘 젊은 엄빠들!😂

  • @lifedesigner77
    @lifedesigner77 Год назад

    AI시대 올바른 판단이 중요하죠

  • @냥냥드롭킥
    @냥냥드롭킥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소한 동일범죄 동일처벌의 상식은
    통하는 세계가 되겠지. 빌어먹을 정무적 정치적 판단도 안할거고

  • @kkkkk-oj3sy
    @kkkkk-oj3sy Год назад

    사람이 다른 사람을 자기 잣대로 평가하는게 무슨 보물인가요

  • @uesr-a8vn3z0coj
    @uesr-a8vn3z0coj Год назад +3

    사람들이 자꾸 인공지능 판사가 공정할 거라고 말하는데 원리를 알면 그런 말을 못하죠.

  • @JaKe-pm8tu
    @JaKe-pm8tu Год назад

    교수님의 시각에 고개를 많이 끄덕이다가도, 동의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있습니다. 의사선택 또는 결정권한이 인간에게만 남게될 것이라는 것은 환상이자 착오라고 생각합니다. 아주 간단하게 살상로봇은 사람에게 총알을 쏠 것인지, 건물에 폭탄을 투하할 것인지를 로봇이 결정하는 방식으로 많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에게 권한을 넘기느냐하는 선택의 문제이지 인공지능 기술의 제한점이 아니라는 것이죠. 물론 교수님도 그것을 알고 말씀하시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인간은 많은 경우 선악이나 옳고 그름이 아닌 (그것도 사소한) 이익에 따라 결정을 내리기도 하지 않습니까? 순진한 형태의 발언은 아닌지 고민되네요.

  • @masterjo98
    @masterjo98 Год назад

    1심은 보수적으로하는게 맞지 AI로하는게 나음..
    그리고 2심은 사회현상까지 분석한 AI를 2심으로 하고...

  • @timseo
    @timseo Год назад

    이 분은 지금 본인이 생각하는 인공지능에 대해서만 판단하네요. 인공지능이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발전할지 모르고 말하는 논리에 불과함.

  • @드라군-m1r
    @드라군-m1r Год назад

    어차피 AI판사가 판결하고 그걸 다시 딥러닝하다보면 진화하겠지... 현재 판새들 ㅈ대로 판결내리는것 보단 합리적일듯?

  • @지유-c8k
    @지유-c8k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적어도 뇌물은 안받겠지

  • @말차라떼-t2z
    @말차라떼-t2z Год назад

    👍👍❤

  • @박일-p1r
    @박일-p1r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원하는게 빠르고 일관적인걸 원하는거지 이상한 말 하네

  • @보리멸구보리멸구
    @보리멸구보리멸구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눈치가 왜 필요함

  • @kimchigook6673
    @kimchigook6673 Год назад

    다 틀렸다 인공지능 모델 나름이지 인공지능 모델이 딱한가지라고 놓고보는 평면적이고 단순한 뇌구조의 문과는 인공지능 얘기 하지 말고 공자왈 맹자왈이나 계속 해라

  • @더블샷-f3h
    @더블샷-f3h Год назад

    책이나 더 파셔야할듯....

  • @gaepopodong
    @gaepopodong Год назад

    AI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람들이 현재 개발된 AI까지만 평가하는 의견이라고 생각되어요. 항상 지금 결과의 의존해 답을 해야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어요.

  • @biddisjc
    @biddisjc Год назад

    AI가 판사를 대체하는건 간단한 문제가
    아닌 것 같네요
    AI로 대체되지 않도록 판사들이
    공정한 판결을 잘 내려주길 바랍니다😅

  • @박영한-l6v
    @박영한-l6v Год назад

    딱 교수 수준이다.

  • @정방희-j3g
    @정방희-j3g Год назад

    군대에서 사기꾼은 군 연구소 에있는 놈들이거든요 그거와같이 법대생들이 붋법의양분을 먹고자라는 고사리거든요 지금저는 법대생보면 새끼 사기꾼이 자라는거 같아요

  • @leonardkim690
    @leonardkim690 Год назад

    돈받고 협상하는게 인간 판사쟈나. 그래서 인공지능 판사를 쓰자는 얘기고... 그때 그때 달라요하지말라는것. 누가 봐도 상식적으로 중형을 때리는게 맞는데 그냥 심신미약으로 감형해주니까... 항상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반대하는 애들이 나오지

  • @정방희-j3g
    @정방희-j3g Год назад

    나는법대생들이 너무싫어요 젊은 놈들이 아청부터 배우는거 진짜 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