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뭐하지?] 하늘을 나는 철새 무리에서 보이는 비평형계 속 특이한 질서_백용주 교수 | 서울대학교 “비평형 통계물리학 연구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5 янв 2024
  • 세상의 다양한 과학을 탐방하는🔍👀
    연구뭐하지? 시즌3가 돌아왔습니다.
    [연구뭐하지?]와 함께 연구실 탐방을 떠나요! 🎵
    이번에 찾아간 곳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물리학)
    백용주 교수님의 “비평형 통계물리학 연구실”입니다.
    👉 canoneqal.snu.ac.kr/
    비평형 통계물리학 연구의 재미에 함께 빠져 보아요 🤗
    #백용주 #비평형통계물리학연구실
    #응집물질물리 #통계물리 #생물물리
    #연구뭐하지#연구실탐방#과학#서울대학교#카오스재단#카오스사이언스
    #Lab#laboratorytour
    -
    과학의 신세계♥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 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7

  • @shinchanggo
    @shinchangg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오 좋은데요?

  • @hyunseungyoon3568
    @hyunseungyoon3568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교수님이 젊은 교수님이라,,학생들 형같네..

  • @qawsedrftg125
    @qawsedrftg12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8:22 듬직한그녀석

  • @user-uj5lf7zu2c
    @user-uj5lf7zu2c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공지능이 딥러닝을 어떨때에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할까?라는 질문에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말하는 노동 분업이 생산성을 극대화한다는 것입니다.
    하버드 대학교 학생들도 스터디 그룹을 결성해서 수업을 따라가는데 이러한 것도 노동분업에 의해서 각자가 맡은 챕터를 읽고서 지식의 분업화로 그 많은 분량들을 따라간다는 점입니다.딥러닝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또한 철새들이 개별적으로 날아가지 않고 군집을 이루어서 집단으로 비행하는 것도 철새 A는 방향을 철새 B는 먹이를 철새 C는 천적을 등등으로 노동분업처럼 자신들의 역할을 분업화하고 전문화해서 비행하기에 그 작은 용량의 뇌에도 불구하고 그 먼길에서 정확히 자신의 경로를 찾아서 간다고 생각합니다.
    김도헌 올림.

    • @harrykang00
      @harrykang00 4 месяца назад +2

      딥러닝은 다양한 매개변수들이 매우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결과값을 산출하는 모델임. 단순히 "분업"이라는 단순한 아이디어로 설명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음. 이 분들이 그렇게 심혈을 기울여 연구하는 것도 아이디어 수준이 아니라 꽤 엄밀한 수준에서 설명하려고 하기 때문임

  • @sunglee500
    @sunglee500 3 месяца назад

    마케팅 문제인가 썸네일 문제인가 기획문제인가..
    이 좋은 채널 조회수와 구독자가 너무 지지부진 하고 영상 구성도 오히려 퇴보 느낌. 안타까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