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발음 시대별로 어떻게 다를까?ㅣ신라시대·조선시대 발음 음성 (이극로 선생 육성 라이선스 BnF Client number : WEB-00085342)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3,6 тыс.

  • @today_ssong
    @today_ssong  3 года назад +2451

    영상 속 자막에 표기해둔 것처럼
    *훈민정음 낭독: 김차균 충남대 명예교수(전 한글학회 부회장)가 당시의 음운 체계와 성조 체계를 연구해 낭독한 것입니다.
    *고대국어 발음 유추
    : minerva scientia님이 언어학을 기반으로 추측해서 발음한 낭독입니다. (더보기란에 링크 있습니다.)
    두 음성은 유추해서 읽은 것이니 '이럴 수도 있었겠구나' 하는 재미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닷~!

    • @정팩이
      @정팩이 3 года назад +11

      현대판으로 해석해서 읽은거니 실제 조선시대 초기에도 거이 대화가 불가능할거로 보임

    • @Guilit
      @Guilit 3 года назад +23

      그래도 진실되게 고정댓으로 "재미"라고 써두셨네 진짜 왜곡된 사학컨텐츠 만드는 사람들은 매국노라는걸 알아야 함

    • @kannsyasimasu
      @kannsyasimasu 3 года назад +5

      존경하는 김차균선생님 음성을 이렇게 들으니 감회가 새롭네요. 선생님은 연구뿐 아니라 인품도 너무 훌륭하신 분입니다.

    • @namecastle8203
      @namecastle8203 3 года назад +9

      @해 ㅇㅇ외국분이 녹음해서 그런지 그 특유의 혀 굴리는 억양 있어서 좀 그런 듯

    • @뻐거킹-j8r
      @뻐거킹-j8r 3 года назад +2

      교꽈서 발음 잘 들었고요 ㅋ

  • @야미보이-p8p
    @야미보이-p8p 3 года назад +24251

    한국어가 사라질걸 두려워해 100년 전에 프랑스로 가서 저걸 녹음하는 심정은 얼마나 필사적이고 참담했을까… 감사합니다

    • @NightN6
      @NightN6 3 года назад +2507

      그래도 어떻게든 후세에 전해 졌고 지금 우리가 듣고 있네요.. 역시 뭐라도 하고 시도를 해야함. 그냥 넋놓고 있었다면 우리는 저런걸 듣지 못했을 거임.

    • @좋은말빌런
      @좋은말빌런 3 года назад +211

      @@우병화 2차 대전 발발 전까지는 가르치긴 함. 물론 한국을 점령하기 위한 수단 이었을 뿐이었음. 2차 대전 발발 전인 1938년도 부터 민족말살정책을 시행하고 조선어를 금지시킴. 전체주의로 천황에게 충성해야하는데 조선어는 걸림돌 이었을 것임. 결론적으로 조선어는 조선인을 통치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일 뿐임. 일제도 급하게 조선어를 금지 시키면 조선인의 반발이 심해질걸 알고 있었을거임. 다른 식민지 보유국은 식민지 언어를 아예 금지 시킬 것 같음? 그 식민지를 완전히 자신에게 포함하려면, 당연한거임. 일제는 온전히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 조선어를 가르친 것 뿐이고, 특출나게 잘한 것도 아님. 즉, 일제가 우리 한국어 공부시킴 이라는 건. 남에게서 빼앗은 구두를 자신이 쓰기위해 왁스 칠하는 것과 비슷한 거임

    • @김씨왕비마마마
      @김씨왕비마마마 3 года назад +309

      눈물이......

    • @좋은말빌런
      @좋은말빌런 3 года назад +550

      @@garosero 맞음. 그러니 "일제가 한국어 가르쳤는데?" 라는 반응보단 "한국을 점령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국어를 가르쳤다." 라는 반응이 더 현명한 반응이라는걸 말하는게 본내용의 주장임.

    • @young3228
      @young3228 3 года назад +253

      한국어가 사라질걸 두려워한게 아니라... 조선어가 사라질걸 두려워 녹음한게 맞습니다.

  • @난나야-y8k
    @난나야-y8k 3 года назад +9329

    한국어 사라질까봐, 녹음한거 너무 감동적이다. 이렇게 훌륭한 조상님들이 어떻게든 지켜내려고 한 나라다. 우리는 계속 노력해야한다. 한국을 지키려면.

    • @채채-q2o
      @채채-q2o 3 года назад +38

      정말 대단하신 거 같아요..

    • @JhJwhatbe
      @JhJwhatbe 3 года назад +1

      한글은 잘 보존하고 영어를 제1국어로 바꾸자 다들 영어 할려고 미치잖아요

    • @킴상-c8d
      @킴상-c8d 3 года назад +31

      @@JhJwhatbe 쓰지 않고 처박아두면 보존이 되냐?

    • @user-vs4ki9ec1p
      @user-vs4ki9ec1p 3 года назад +39

      @@JhJwhatbe 한국어 쥰내 편한데 말이 되는 소릴 해

    • @junielmusic
      @junielmusic 3 года назад +21

      ??? : 훠훠 🇨🇳에게 넘길궙늬돠

  • @푸짐이-l2o
    @푸짐이-l2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90

    이런 영상을 보면 국문학을 전공한 내가 너무 자랑스럽다... 비록 현재 국문학과를 나와서 취업할 곳은 별로 없지만 4년간 배운 지식이 선조들이 어떻게든 남기려고 했던 우리말인 것을 생각하면 전혀 아깝지 않은 시간이었다. 항상 재밌고 쉽게 국문학을 알려주신 교수님들 감사합니다.

    • @Eurah.
      @Eurah.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마인드 너무 좋네요 몬 일을
      해도 잘 하실듯!

    • @limecoloredboard
      @limecoloredboar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국문학을 배우셨으니 우리의 언어를 남들보다 더 탄탄하게 배운거죠. 그갈 기반으로 뭐든지 잘할 수 있을 겁니다. 멋지시네요.

    • @sibalhandle18
      @sibalhandle1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본인이 취업못한걸 이딴식으로 정신승리하는건 아니죠....

    • @푸짐이-l2o
      @푸짐이-l2o 8 месяцев назад

      @@sibalhandle18 죄송한데 제 글에 제가 취업을 못했다고 쓴 적이 있나요? 문해력이 부족하고 타인에게 매우 공격적인 성향이신데 유튜브나 sns보단 책과 정신병원에 다녀 보시는 걸 추천 드릴게요^^ 아 참 저는 전공을 살리는 못했지만 사업하면서 잘먹고 잘살고 있으니 걱정마세요~

    • @hrj1881
      @hrj188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sibalhandle18 니 인생이 망한 걸 여기서 화풀이하는 것도 아니란다...

  • @백환승
    @백환승 3 года назад +10465

    이극로 선생님 진짜 멋지다.
    일제강점기라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자신이 나라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뭔지 끊임 없이 생각해서 나온 결론인 것 같다.

    • @유다희-b6w
      @유다희-b6w 3 года назад +1

      선생*

    • @00_1_
      @00_1_ 3 года назад +2

      어쩌라고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

    • @power_99135
      @power_99135 2 года назад +1

      이극로의 국적은 북한이지 대한민국이 아님.

    • @power_99135
      @power_99135 2 года назад +14

      @@용-y8k 월북한 인간들이 대한민국 국민이냐? 그저 한때 조선말 잠깐 같이 쓰고 지금은 아예 남남인 다른 나라인데?

    • @zihozeon410
      @zihozeon410 2 года назад +63

      @@power_99135 우리말을 지키는 데에 일조한 분을 논하면서 그런 요소가 그렇게 배타적으로 나올 일인가?

  • @제철복숭아
    @제철복숭아 3 года назад +3321

    간절하게 간곡하게 그리고 강경하게 마치 잊지말라는듯이 외치는 목소리에 눈물이날것같네..

    • @ez4ence495
      @ez4ence495 3 года назад +8

      뺨을 그냥

    • @rain_coat
      @rain_coat 3 года назад +89

      @@원클-j5o 왜요? 그렇게 느껴질 수 있는 것 아닌가요?

    • @whtrk2707
      @whtrk2707 3 года назад +61

      @@원클-j5o 이게 왜 오바인데ㅋㅋ잘하면 한글이 퇴보해서 우리 일본어 쓸 수도 있었어 이 잼민아

    • @kim-bf3kv
      @kim-bf3kv 3 года назад +9

      본인은 녹음하는거 첨이라 경직돼서 말한걸수도있음 근데 눈물난다는건... 감성적이시네요

    • @miinn4675
      @miinn4675 3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

  • @신왕눈이-c7z
    @신왕눈이-c7z Год назад +702

    이극로 님이 얼마나 절박한 심정으로 녹음을 하셨을까 생각하니
    감동이 밀려옵니다

    • @koreaball7136
      @koreaball7136 Год назад

      리극로 ← 나무위키 검색해봐라 진성 빨갱이 놈임, 대한민국 삭제하는데 온힘을 다한 반역자

    • @이엔지-q4w
      @이엔지-q4w Месяц назад

      정신 좀 차려라, 학자이기 전에 북조선 부역자다. 제발 좀 찾아보고 댓글 싸질러라.

  • @iam8216
    @iam8216 3 года назад +2787

    저 먼 프랑스까지 가셔서 녹음하신 저 목소리에 처절한 간절함이 느껴진다... 감사합니다 조상님들 ㅠㅠ

    • @00_1_
      @00_1_ 3 года назад +1

      어쩌라고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

    • @overhorizonfy3457
      @overhorizonfy3457 2 года назад +14

      @@00_1_ 이런댓글에서 이지랄 하지마라.
      점저 싸가지를 밥말아먹으니 기분만 잡치네

    • @잉-m7k3n
      @잉-m7k3n 2 года назад +52

      @@00_1_ 아니 왜 이런 댓글들에 ㅈㄹ임 혹시 일본인?

    • @Mnj230
      @Mnj230 2 года назад +24

      일본인도 안저러는 저 인성…

    • @namefree4444
      @namefree4444 2 года назад +4

      @@00_1_ 한동훈? 한지윤?

  • @허준환-u7n
    @허준환-u7n 3 года назад +4952

    다음주가 한글날인데 이극로선생의 녹음 소리가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다

  • @martinocoreano
    @martinocoreano Год назад +439

    이극로 선생님, 경남 의령군 출신답게 넘나 구수한 경상도 사투리로 녹음하셨다. 파리까지 날아가서 조선어를 담아내기위해 얼마나 마음이 힘드셨을지…

    • @hyeongjungkim0441
      @hyeongjungkim044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5

      그랬구나 어쩐지 경상도 억양이 들린다 했더니요

    • @오선므흣자료
      @오선므흣자료 4 месяца назад

      ↟😒

    • @관운장KOR
      @관운장KOR 3 месяца назад +6

      표준어 쓰느 사람이 했어야지 라도 쌍도가 왜ㅋ 목적이 한국어 보존인데 방언으로 하고 있네ㅋ

    • @LUCKY-0906
      @LUCKY-0906 2 месяца назад

      ​@@관운장KOR 조선족

    • @edwardjayshin
      @edwardjayshin 2 месяца назад +6

      ​@@관운장KOR그리 말씀하시면 표준어 쓰는 놈들은 이기적이라서?
      근데 조선 이전에는 쌍도라도도 한 국가고 수도가 있었음 ㅋㅋ 갈라치기 ㄴㄴ

  • @밤하늘-m9o
    @밤하늘-m9o 3 года назад +4268

    이극로 말투나 억양이 동네서 들을 법한 친근한 할아버지들 말투다. 나이가 드셔서 그런게 아니라 원래 저렇게 말을 하셔왔던 거구나. 신기하다 오

    • @jsmaom
      @jsmaom 3 года назад +15

      ^오^

    • @허생-w1e
      @허생-w1e 3 года назад +364

      약간 경상도 사투리 느낌나네요

    • @하수용-n5l
      @하수용-n5l 3 года назад +228

      @@허생-w1e 경상남도 의령분이시라

    • @user-jj7zm8fs3l
      @user-jj7zm8fs3l 3 года назад +57

      이극로선생님이 니 친구냐?

    • @user-jj7zm8fs3l
      @user-jj7zm8fs3l 3 года назад +3

      @@맴맴-j2x ㅋㅈ

  • @tigerd8133
    @tigerd8133 3 года назад +2327

    이극로 선생님께 참 감사할 따름입니다.... 정말정말 나라를 사랑하신분 ㅠㅠ

    • @HOON-xp6nb
      @HOON-xp6nb 3 года назад +14

      이극로..

    • @tigerd8133
      @tigerd8133 3 года назад +3

      @@No_MinjuDang 아...그렇군요.. 그런 자세한건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 @라라-l6p
      @라라-l6p 3 года назад

      이극로입니다 수정하세요

    • @キツネ-u9o
      @キツネ-u9o 3 года назад +2

      이극로 선생님이십니다

    • @doyoumeanit
      @doyoumeanit 3 года назад

      근로기준법

  • @Jae_C_on_Air
    @Jae_C_on_Air Год назад +88

    이극로 선생님 경상도 출신이셔서 미묘하게 경상도 톤으로 녹음된게 너무 정겹고 감사하고 그렇네요

  • @guleumvely593
    @guleumvely593 3 года назад +1338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로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
    캬 500년을 내다 보셔서 동북공정에 쐐기 박으신 킹갓제네럴짱짱 세종대왕님

    • @령령이-m9d
      @령령이-m9d 3 года назад +104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알리고자 할 바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펼지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 이를 가엽게여겨 스물 여덟자의 글자를 만드노니
      하여금 쉽게 익혀 나날이 씀에 편하고자 한다.

    • @greatgrea
      @greatgrea 3 года назад +24

      킹갓제너럴세종대왕 ㅠㅠ

    • @InOS-ex6hb
      @InOS-ex6hb 3 года назад +33

      신기한게 저때도 명나라가 있을때인데 명이 아니라 중국으로 불렀네요

    • @mj14059
      @mj14059 3 года назад +7

      @@InOS-ex6hb 오? 그러고 보니 그렇네요!

    • @user-wv7yf6gw6l
      @user-wv7yf6gw6l 3 года назад +32

      @@InOS-ex6hb 여기서 말하는 중국은 국가 이름이 아니라 지역 명칭인데 고대에도 사용됐던거임

  • @달콤한자몽-g5q
    @달콤한자몽-g5q 3 года назад +2261

    와 나 눈물날라그러네.. 녹음을 할 때의 심정이 그 시대의 상황이 너무 참담하고 간절하게 느껴져..

    • @samssoh448
      @samssoh448 3 года назад +13

      오반데?

    • @user-qr1zy5hm3n
      @user-qr1zy5hm3n 3 года назад +39

      @@samssoh448 그럴수있지 뭐가 오바냐

    • @ozoz3955
      @ozoz3955 3 года назад +4

      @@user-qr1zy5hm3n ㄹㅇㅋㅋ

    • @abcccdd1211
      @abcccdd1211 2 года назад +5

      @@samssoh448 나도 눈물 나는데
      사람마다 공감하는 EQ지수가 다르니까

    • @yeah9784
      @yeah9784 Год назад

      살기좋았다는데요

  • @kcha8878
    @kcha8878 Год назад +8

    선입견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1928년과 1935년의 발음의 차이가, 단지 7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본어 발음의 영향력이 짙게 느껴지는군요.
    더해서, 1970~80년대 발음에 대한 기록을 서울사투리(...) 말고도 다른 지역들의 기록도 들어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김체고-p3r
    @김체고-p3r 3 года назад +939

    1:38 애들 따라 읽는거 너무 귀여웤ㅋㅋㅋ

    • @Jirisan.PolarBear
      @Jirisan.PolarBear 2 года назад +115

      현재 대충 100살.

    • @PSGMbappe7
      @PSGMbappe7 2 года назад +2

      @@Jirisan.PolarBear_100_

    • @PSGMbappe7
      @PSGMbappe7 2 года назад +3

      :100:

    • @opera6999
      @opera6999 2 года назад +21

      심쿵포인트ㅋ

    • @zjecj
      @zjecj Год назад +38

      검정고무신에 나오는 애들같음

  • @user-hu1lp5se4l
    @user-hu1lp5se4l 3 года назад +1809

    말이 사라질까봐 프랑스까지가서 녹음을 하는 심정은 얼마나 처절하고 또 필사적이셨을까요... 존경스럽습니다.

    • @고아-t6b
      @고아-t6b 2 года назад

      댓글복사

    • @jemanon73
      @jemanon73 2 года назад +2

      이 인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제1대 무임소상을 지낸 월북인사에 사망 후 평양 애국열사릉에 뭍혔다는 사실을 알고 이렇게 감동하시는지.

    • @user-hu1lp5se4l
      @user-hu1lp5se4l 2 года назад +21

      @@jemanon73 잘한것과 못한것은 구분하셔야죠.
      못한것만 따지기 시작하면 세상에 잘한 사람 그 누구도 없습니다.

    • @jemanon73
      @jemanon73 2 года назад +3

      @@user-hu1lp5se4l 그러니 감동 까지는 하지 말고, 존경 까지는 에바인 겁니다.

    • @user-hu1lp5se4l
      @user-hu1lp5se4l 2 года назад +17

      @@jemanon73 말을 살리기 위한 노력은 존경하고, 북한에 가서 남한에 해가 된 행동을 한건 비판하면 됩니다.

  • @앙데나요
    @앙데나요 Год назад +8

    8, 90년대를 보여주니까 확 와닿네요.
    영상자료가 시대를 완벽하게 대채할 순 없다는 것을...
    80년대생으로 88년부터 기억하는 사람으로서 말하자면 TV에 나와 하는 말과 평소 하는 말은 다릅니다.
    당연히 예전엔 장음 단음도 가르치고, 말의 고저장단도 시험문제로 나왔을 정도인 시대니까, 장음/단음 고저장단이 있었죠.
    근데 점점, 장/단음이 아니라 맞춤법 위주로 국어 문법의 내용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장/단음보다는 문제로 풀 수 있는 맞춤법 쪽으로 간게 아닌가 싶은데여...
    아마도 장/단음이나 고저장단 처럼 지역별로 다른 내용보다는, 서울 말에 맞는 문법을 가르치는 쪽으로 언어가 발전해서 그런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아무튼.
    그때도 장/단음 고저장단 다 맞추긴 했지만, 그렇가도 해서 지금하고 크게 다른 것도 아니었고.
    또. TV에 나온 사람은 평소보다 더 경직되고 그런 것도 있지만, 잘 들어보면 후시 녹음이 더 많습니다.

  • @익명-c3w6f
    @익명-c3w6f 3 года назад +1642

    여러분 1920년대 녹음본은 독립 운동가가 우리 나라 언어가 앞으로 없어질 심정으로 간곡하게 녹음하는 녹음본입니다.

    • @예진성-e2h
      @예진성-e2h 3 года назад +2

      문제는 공산당 채택

    • @brooks9331
      @brooks9331 3 года назад +12

      1:22 ??????

    • @Myo106
      @Myo106 3 года назад +10

      문제는 해방후 북으로 갔다는거지

    • @kiakiakim
      @kiakiakim 3 года назад +2

      ㅜㅜ갬동..

    • @곤주또치공주
      @곤주또치공주 3 года назад +2

      슬퍼 ㅠㅠㅠㅠㅠ

  • @동글땡글-w7x
    @동글땡글-w7x 3 года назад +137

    미스터 선샤인의 그 대사가 생각나네
    꼴은 이래도 500년을 이어져 온 나라요.
    그 동안 왜란 호란 많이도 겪었소
    그 때마다 누군가는 목숨을 걸고 지켜내지 않았겠소?
    헌데 지금 그런 조선이 평화롭게 찢어 발겨지고 있소
    뭔가 뜬금없이 생각난 거지만 우리의 말과 문자를 지켜주어서 감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 @바랑이-q7t
      @바랑이-q7t 3 года назад

      혹시 죄송하지만 500년이 아니라 5000년 아닐까요...?

    • @동글땡글-w7x
      @동글땡글-w7x 3 года назад +5

      @@바랑이-q7t 조선이 5000년이나 된건 처음 알았네요.....?

    • @바랑이-q7t
      @바랑이-q7t 3 года назад

      @@동글땡글-w7x 아 조선이었.. 전 고조선 때부터인 줄 알았어욬ㅋㅋ

    • @동글땡글-w7x
      @동글땡글-w7x 3 года назад +1

      @@바랑이-q7t 그럴수 있어요로롱 !

    • @Mr.G_334
      @Mr.G_334 3 года назад +4

      @@동글땡글-w7x 고조선도 조선 나오기 전까진 조선이였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구분하기 쉽게 옛 고 자 써서 고조선 조선 나눔

  • @hyoungjukim5455
    @hyoungjukim5455 Год назад +29

    이극로선생님 존경합니다 좋은지식 감사드립니다

  • @cycango
    @cycango 2 года назад +1116

    이극로님 녹음소리 듣는데 진짜 감동적이다...우리 국민들의 글자를 지키기 위해 저렇게 노력하시다니 ㅠㅠ

    • @today_ssong
      @today_ssong  2 года назад +16

      청경채님 따뜻한 마음으로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jemanon73
      @jemanon73 2 года назад +4

      이 인간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제1대 무임소상을 지낸 월북인사에 사망 후 평양 애국열사릉에 뭍혔다는 사실을 알고 이렇게 감동하시는지.

    • @lumluk6280
      @lumluk6280 2 года назад

      @@jemanon73 그만 좀 해라 정치병자야. 잘한 건 잘했다고 하는 거지. 세상을 이념 기준으로 이분법적으로 보는 냉전 시대의 유물 사상에서 좀 벗어나라.

    • @jemanon73
      @jemanon73 2 года назад +1

      @@lumluk6280 잘 하다가 못 한 건 그냥 못 한 거라는 거 아나 모르겠다. 이분법적? 냉전 시대 유물? 그럼 넌 민족의 태양 김일성 수령님, 천출의 명장 김정일 장군님, 그러고 다니냐? 얼 빠진 넘.

    • @Koharuism
      @Koharuism Год назад +10

      ​@@jemanon73독립운동 할때 사상이 중요한가? 독립을 위해 일했다는게 중요한거지 사상은 사상이고 독립은 독립이지

  • @yamiyami595
    @yamiyami595 Год назад +31

    대구 사람인데 떡볶이 집에서 초등학생들 대화 들어보면 경상도 억양이 많이 흐려졌더라고요 매체가 발달한 만큼 사투리가 흐려지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 같기도 해요 몇 세대 지나면 사투리가 거의 다 사라지고 음성으로 남아있는 것만 들을 수 있을지도 모를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 @mjp7475
      @mjp7475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요즘 애들 대화자체가 욕뿐이라 걱정임.

    • @Ninjarider_
      @Ninjarider_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충남 사람인데 충남은 0N년생 이후로 이미 사투리 멸종했어요ㅋㅋㅋ 9N들이랑 00~04 라인까지는 대화할때 확실히 충남 말투를 쓰는데 요즘 고딩들 대화하는거 들어보면 완전 서울이더라고요...

    • @93ljm
      @93ljm 5 дней назад

      @@Ninjarider_93년생인데 간혹 가다가 ~겨, ~랴 이 정도만 정말 간혹 들리는 정도지 억양은 12년 전인 스무살 때도 제 기억상 크게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충청도 방언은 말의 끝부분 정도만 있는 거같고 억양은 제가 봤을 때 사라진지 오래된 거 가탕요

  • @uru7301
    @uru7301 3 года назад +928

    신라는 좀 충격적인데.. 지금 언어랑 크게 다르진 않을거라고 생각햇는데 ㄷㄷ하네

    • @GKM2010
      @GKM2010 3 года назад +21

      ㅇㅈ

    • @golden2420
      @golden2420 3 года назад +136

      천년도 더 전이네요. 중국어도 천년전 중국어는 지금 못알아들을듯요..

    • @namecastle8203
      @namecastle8203 3 года назад +227

      외국인이 녹음한 자료라 영어권 국가 특유의 혀 굴리는 소리가 들어가긴 함.
      그래도 그걸 감안하더라도 당연한 거죠 통일 신라가 676년이고 1300년 전인데ㅋㅋㅋ

    • @user-gx8zi9zx1g
      @user-gx8zi9zx1g 3 года назад +1

      @취미생활 잡탕한 채널 아 그런가요? 신기하네용

    • @덤핑스
      @덤핑스 3 года назад +52

      @@golden2420 중국은... 초한지 보면 어질어질해요 ㅋㅋㅋ 완전히 다른 언어 수준이에요

  • @이소영-j7e
    @이소영-j7e 3 года назад +1975

    와… 90년이 넘는 시간동안 한국어의 발음이 그대로 유지가 됐다는 게 정말 너무 신기하다 자막을 안 봐도 다 들리는 게 정말 진짜…

    • @이재린-x2y
      @이재린-x2y 3 года назад +24

      궁금한게 다른 나라 언어는 90년이 넘으면 발음이 바뀌거나 그러나요??

    • @green_socks_
      @green_socks_ 3 года назад +176

      @@이재린-x2y 실제로 바뀌는지는 알수 없습니다만 식민지배를 받고 나서 고유 언어를 잃어버리거나 발음이 바뀌는 경우는 있었던것 같습니다.에약어 같은 언어는 소멸했다고 들었고요.민족 말살 통치 시대를 겪었음에도 형태나 발음이 고스란히 남은게 다행인 일인거죠…슬픈 일입니다.

    • @ashwales
      @ashwales 3 года назад +62

      @@koichoi5071 앞으로 백년후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백년사이 많이 바뀌긴 한 것 같네요.
      불과 40년 전 억양만 따져도 요즘 세대는 안쓰는 억양, 할아버지 할머니들 서울사투리 같은 것들 말이죠.

    • @이재린-x2y
      @이재린-x2y 3 года назад +21

      @@green_socks_ 그러게요…말모이 영화 정말 감명깊게 봤는데ㅠㅠ 이렇게 목숨걸고 지키신 분들이 계셔서 지금까지 잘 쓰고 있는 것 같네요. 새삼 감사함을 느낍니다,,

    • @혁박-f1t
      @혁박-f1t 2 года назад +40

      90년이라고 해봤자 98살 노인 8살때입니다. 다른게 더 이상할듯 1820년도 아니고

  • @개굴-p5v
    @개굴-p5v 2 месяца назад

    나도 모르게 자동으로 "가가가가" 문장이 음성지원이 되네 ㅋㅋㅋ
    실생활에선 몇십년 동안 안써서 까먹을 법도 한데..
    바로 이해하고 음성지원 되는 내가 너무나 신기하다 ㅋㅋㅋ

  • @TV-bt9gb
    @TV-bt9gb 3 года назад +716

    아이들이 따라하는 말소리에 절로 웃음이 나지 않을 사람이 있을까요. 사랑스럽네용

    • @김게장-j8c
      @김게장-j8c 3 года назад +2

      환생하셨어도 나보다 나이 많을듯 ㅋㅋ

    • @dddaaayyy1599
      @dddaaayyy1599 3 года назад +2

      @워윅펜타킬영상 최소 고조부

    • @youngmoon8762
      @youngmoon8762 3 года назад +3

      1930년생

  • @diablo794
    @diablo794 3 года назад +484

    "하늘만 공경할줄만 알고 사람은 공경할줄 모른다"

    • @김연큘
      @김연큘 3 года назад +20

      명언인듯...

    • @신성용-k8b
      @신성용-k8b Год назад +4

      지금은 하늘도 사람도 공격하는 시대인거 같아요.

  • @soohwanoh3483
    @soohwanoh3483 Год назад +1

    옛 발음이라서 달리 들리는 것 보다 발음자의 원래 억양 때문에 다르게 들리는게 더 큰 것 같네요.
    특히 신라시대 발음은 외국인이라...
    하지만 그냥 신라 말이나 발음이 완전히 다르구나~ 하고 이해할 사람이 많을 듯...
    지금 사투리들 생각하면, 그리고 추정된 발음의 부정확도를 생각하면 그리 크게 안 변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 @jesspark7432
    @jesspark7432 3 года назад +1364

    1:03 녹음하신분이 경상도분이셨던듯ㅋㅋㅋ"알지 모답미다"ㅋㅋ우리 외갓집 경남 합천인데ㅋㅋㅋ외삼촌 말투랑 똑같음ㅋㅋㅋ

    • @cqwerty
      @cqwerty 3 года назад +378

      실제로 이극로 선생은 경남 의령 출신입니다. 소르본대 기록에도 영남 방언을 쓴다고 기록해 놓으셨어요.

    • @xmadhkd
      @xmadhkd 3 года назад +50

      일제하 독립운동가며 한글학자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 때 구속 6년 해방후 출옥
      남한의 테러등으로 48년 월북 북에서 장관및 국회부의장역임 (최고인민회의)

    • @mmii-ffii
      @mmii-ffii 3 года назад +46

      경상도 말투 ㅋ 외가가 그쪽이라 많이 비슷하네요

    • @slycat1004
      @slycat1004 3 года назад +5

      너도 참 부산뫌씨를 알지모답니다

    • @미제드론
      @미제드론 3 года назад +13

      어두부터 억양이 이미 경상도

  • @준이-n8k
    @준이-n8k 3 года назад +974

    신라부터 발음 낭독하신 미네르바라는 분 언어에 대해서 여러가지 영상을 올리시긴 하는데 한국어 발음자체는 상당히 나쁜 편입니다. 옛날 말씨를 주로 다루긴 하지만 현대 국어를 읽는 부분에서 우리가 쓰는 한국말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른 발음으로 읽는 분입니다. 저게 신라말, 고대어 라고 곧대로 믿는 것 보단 저럴 수 있겠구나 하고 재미로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terrayi
      @terrayi 3 года назад +143

      실제로 영상에도 나온 훈민정음 서문 발음도 그 당시 발음을 유추해서 따라 읽은 것 뿐이지, 정말 저런식으로 발음했는지는 100% 명확하지는 않죠.

    • @Daegu_physics05
      @Daegu_physics05 3 года назад

      올리자

    • @HIRIT08
      @HIRIT08 3 года назад +8

      외국인인 걸로 아는데

    • @낫띵-p4m
      @낫띵-p4m 3 года назад +7

      아닌데 제가 저시대에 태어나봐서 앎

    • @Kevin-br6wd
      @Kevin-br6wd 3 года назад +38

      일본인이라 발음 별로 못해요. 음성기호로 구체화는 잘 시키는데

  • @김지섭-m1g
    @김지섭-m1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03:02
    사실 훈민정음 해례본도 막 알고보면 막상 발음이 1900년대 초 하고 크게 안다른데
    당시엔 얼리억세스라 저렇게 표기한거 아니었을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orian9582
    @dorian9582 3 года назад +836

    군더더기 없이 바로 본론부터 들어가는 영상이 너무 오랜만이네요. 깔끔하고 내용도 좋고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today_ssong
      @today_ssong  3 года назад +20

      힘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DORIAN님❤

  • @narae__
    @narae__ 2 года назад +222

    처음부터 끝까지 불필요한 내용이 없고 꽉찬 영상이었습니다. 빨리감거나 뛰어넘지 않고 두어번 더 반복해서 재생해서 볼만큼 좋았습니다. 좋은 컨텐츠를 생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oday_ssong
      @today_ssong  2 года назад +8

      우앗 나래narae님 고맙습니다. 재밌게 보셨다니 정말 힘이 나요!! 더 좋은 콘텐츠 만들도록 분발하겠습니당🤗🤗

    • @쌘돌이-n8g
      @쌘돌이-n8g Год назад +3

      저도 두번 봤어요

  • @imiaka
    @imiaka Год назад +1

    생각해보니 초등학교 들어가고 장단음과 고저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ㄷㄷㄷㄷ 심지어 발음 기호까지....
    지금 교과서는 맞춤법 위주긴 하네요.😮 시범학교여서 초등학교로 졸업하긴 했지만 제가 국민학교 마지막 세대라고 들었습니다. 진짜 국어 교과서가 다르긴 하네요.

    • @부계정-w3q2r
      @부계정-w3q2r Год назад +1

      1시간전ㄷㄷ

    • @이동희-c3f9l
      @이동희-c3f9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선생님마다 차이는 있을 수 있어도 국민학교 시절엔 우리말의 장단음과 높낮이, 그리고 ㅔ/ㅐ, 외/왜 발음도 구분하도록 배웠었죠.

  • @암죽일때알벤다졸2400
    @암죽일때알벤다졸2400 3 года назад +724

    처용가는 그 발음이 아니라 한자를 바꾸려 하다 보니 글자가 그렇게 표현된거 ..발음과 다르다고 봄.. 중국어내에서도 광둥어와 북경어의 차이가 극심한 것과 같은거 .서로 같은 글자를 완전,다르게 읽은것과 같은

    • @nooncop947
      @nooncop947 3 года назад +16

      100프로 동의

    • @대륙외노자
      @대륙외노자 3 года назад +1

      나도 여기에 동의

    •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2 года назад +24

      그걸 다 감안해서 읽은거임 훈독 음차같은 표기를 모두 고려해서 발음을 재구한건데 생각하던거랑 다르다고 그걸 부정할려하진 마시길

    • @user-ssess
      @user-ssess 2 года назад +10

      이거 해석한 박사학자들이 바보냐?

    • @bohemcigar
      @bohemcigar 2 года назад +12

      @@user-ssess 처용가 부분은 박사학자들이 해석한게 아님.
      교수나 연구가가 아닌 일반인 일본사람 한명이 취미로 공부하고 추측해서 읽은것임.
      일반 일본인이 취미로 공부한것 => 박사학자들이 해석한것
      이게 바로 진실왜곡

  • @wtd3597
    @wtd3597 2 года назад +619

    한국어 발음이 시대별로 달라지는 것을 들으니 정말 신기하고 흥미로웠습니다. 한국어가 사라질까봐 녹음을 하셨다니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당연하게만 사용했던 한국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신 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x1fp2vc7n
      @user-vx1fp2vc7n Год назад

      글자가 다른거지 발음이 시대별로 지금이랑 다르다는건 추정이에요 거의 가능성 없는

    • @김매력-k9t
      @김매력-k9t Год назад +2

      지금의 발음과 1935년의 사람들의 발음이 이해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음,
      그들은 1800년대 중후반에 태어났던 사람들과도 의사소통에 전혀 문제가 없었을 것이고,
      그들도 1800년대 초반에 태어났던 사람들과 문제없이 의사소통이 이뤄졌을것이다.
      또 그들은 1700년대 후반에 태어난 사람들에게 언어를 배워 소통했을것이고
      지금의 우리와도 충분히 소통 가능했으리라 봄

    • @사과나무-c8v
      @사과나무-c8v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투가 다르지 표현은 변한게 없는데?

  • @user-xy3hh9lk1x
    @user-xy3hh9lk1x Год назад +10

    아니 이 귀한 컨텐츠를 제가 지금 집에서 보고 듣고 있다는게 너무 감사하네요..... 감사합니다!

  • @user-rv5zp7cr3o
    @user-rv5zp7cr3o 3 года назад +356

    80년대 말투... 우리 아버지, 어머니가 아직 살아계시는 어르신들한테 정중하게 말 하실 때 저렇게 나옴... 친한 사람한테는 빠르게 말하고 대충 말하는데 내 말투가 약간 그때 아버지 말투 닮은건가 싶기도함. 그게 평소 듣는 말투여서...

    • @cldn146
      @cldn146 3 года назад +2

      서울 사투리예요

    • @피아노가좋아
      @피아노가좋아 3 года назад +2

      @@hunterkiller3167 80년대 말투를 가진 아버지 어머니를 둔 사람이 틀로 보일 정도면 얼마나 어린친구인걸까

    • @익명-m2k3m
      @익명-m2k3m 3 года назад +4

      틀이라고 하는 애들 볼때마다 속이 답답함...... 뭐만하면 틀틀거리니...

  • @yzxxkiodbgxxjmz
    @yzxxkiodbgxxjmz 3 года назад +267

    1:07 "세상 사람들은 한울님은 공경할 줄은 알되 사람은 공경할 줄은 알지못합니다. 얼마나 까꾸로 된 생각입니까."

    • @Ruby_007
      @Ruby_007 3 года назад +3

      지금은 또 그 반대라서 문제죠...사람만 공경하고 그 이상은 보지 못하니 둘 다 문제네요ㅜㅠ

    • @이승미-e8f
      @이승미-e8f 3 года назад +21

      지금도 똑같음 사람공경 없음 이정도면 종특이라고 봐야함

    • @yzxxkiodbgxxjmz
      @yzxxkiodbgxxjmz 3 года назад +39

      @@Ruby_007 사람을 공경해요..? 하나님예수님만 찾고 사람을 존중하지 않는건 예나지금이나 똑같단 얘긴데.. 문맥 이해못하네..

    • @healkit8129
      @healkit8129 3 года назад

      인간 종특인듯 ㄹㅇ..ㅋㅋ

    • @Ruby_007
      @Ruby_007 3 года назад +4

      @@yzxxkiodbgxxjmz 음..맞죠 서로 공경하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요즘은 사람 위주의(개인주의) 생각을 많이 하는 경향이 보이는거 같아서 적었는데 이해 되시나요?

  • @user-nh4zu1cl1
    @user-nh4zu1cl1 Год назад +2

    신라사신과 고구려사신이 만날때는 통역이 같이 동행했다는 기록을 보면 사실 말이 달랐을거라는게 정설임... 조선시대에도 중앙관리가 지방 오지에가면 말이 안통해 이방이 통역해줬다는
    말이 있다는 걸 보면 다양한 언어가 존재했다고 알수있음..

    • @헤르만헤세-z6u
      @헤르만헤세-z6u Год назад

      난 통역관없이 말했다는 기록은 봤는데 먼말이지?

  • @츄승아-l9y
    @츄승아-l9y 3 года назад +241

    스벌..
    소름돋지..
    더 소름 돋는건..
    한국어가 계속 발전하고 있다는것...

    • @그라샤-w5l
      @그라샤-w5l 3 года назад +1

      ?? 언어가 발전하는거?? 인간이 발전하는게 아니고? 그럼 모든 언어사 발전하고 있는게 아닌가?

    • @강주원-i5h
      @강주원-i5h 3 года назад +15

      "발전"이라기보다는 "변화"라는 어휘가 문맥상 더 적합할듯하네요 사어가 아닌 이상 모든 언어는 물 흐르듯이 변하는 법이니까요

    • @그루트-k9j
      @그루트-k9j 2 месяца назад

      발전하기보다 퇴화되었죠. 사라진 글자도 있고 성조도 사라졌으니요.. 훈민정음 창제당시만해도 세상소리를 다 낼수있다고 적혀있었는데

  • @juicemamderu
    @juicemamderu 3 года назад +225

    마을 이장님이 마을에 확성기로 방송할 때 말투네

    • @초코시럽-t1m
      @초코시럽-t1m 3 года назад +1

      이장님께서 일제강점기가 얼마 지나지 않은 시대에 태어나서 말투가 비슷한거 아닐까요?

    • @Juna_a
      @Juna_a 3 года назад +3

      헐 진짜로요 ㅋㅋㅋ 학생들이랑 같이 말씀하신 분이 진짜 이장님 같네요 ㅋㅋ

    • @user-generated5123
      @user-generated512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시골은 전파가 느리니까

    • @박체리-o5z
      @박체리-o5z 5 дней назад

      저 어릴때 시골이장님
      방송 말투입니다ㆍ^^
      저도 경남이 본가입니다 😊😊

  • @hitoridenihonngo
    @hitoridenihonngo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00년 후의 한국말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거 같네요.
    이미 음성자료, 영상자료 들이 넘쳐나고 서적들도 셀 수 없이 나오고 있고, 인터넷 상에도 댓글부터 시작해서 어마어마한 자료들이 남아 있으니 변하긴 하지만 크게는 안 비뀔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새로 생긴 말들과 그 때는 쓰지않는 말들은 있겠지만 지금의 말들과는 거의 다 통하긴 할 거라 여겨지네요.
    아닐 수도 있지만...

  • @자녀교육최경선-m3p
    @자녀교육최경선-m3p 3 года назад +384

    조선의 언어학자 이극로가 일제치하에 한글이 사라질 것을 염려해 프랑스에 자료를 남기고 육성으로 녹음한 자료를 들으니 놀랍고 이런 노력들이 있어 지금의 우리가 한글을 이어 나갈 수 있음이 감사하네요. 귀한 자료 올려주셔서 감사히 보았습니다.

    • @today_ssong
      @today_ssong  3 года назад +6

      따끗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 @harolune
    @harolune 2 года назад +31

    한글이 생긴 후로는 발음이 신라와 지금처럼 크게는 달라지진 않을거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저땐 우리말을 정확히 기록할 문자가 없으니 시간이 지나오면서 발음이 변하기가 더 쉬웠을거같구요 지금은 우리 말만을 위한 문자가 있고 그 발음이 명확하게 매칭이 되니 아무래도 비슷하게 전달되지 않을까요?

  • @wooridog
    @wooridog Год назад

    곧 사라질것이라는 생각과 그걸 무슨 수를 쓰던지 지키고 남겨야 겠다는 이극로 선생님의 생각이 너무나 절박하게 가슴에 박혀 숨이 쉬어지지 않습니다. 너무나 그 심정을 잘 알기에…

  • @나노개구리
    @나노개구리 3 года назад +234

    한울님은 공경할줄알면서
    사람을 공경할줄모른다..
    19세기 이전 세계 사회문제점

  • @오연균yeon
    @오연균yeon 3 года назад +410

    훈민정음에서ㅣ가 다른 모음과 있다면 이를 따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부톄 [부텨이] 홇배이셔도[홀빠이이셔도] 출처는 교수님께 배움

    • @eyeyeyes-u9x
      @eyeyeyes-u9x 3 года назад +6

      두 예 모두 주격조사가 결합한 형태네요.

    • @호잇쨔-e3n
      @호잇쨔-e3n 3 года назад +8

      헉 이거 중세국어... 시험범위... 눈물난다

    • @Meantime2
      @Meantime2 3 года назад

      아 ㅋㅋ

    • @bw-ee2of
      @bw-ee2of 3 года назад

      중세국어 발음은 중동어 같이 들리네

    • @도하29
      @도하29 2 года назад +1

      재주도에서 쟤를 쟈이라고 부른다던데 ㄷㄷ

  • @user-bsjkdk627sokvjf83h
    @user-bsjkdk627sokvjf83h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제는 넘쳐나는 영상매체로 바뀌기 힘들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듬. 유튜브에 절여져서 일관된걸 듣는 시대인데, 이후에도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까? 모종의 이유로 문화가 많이 파괴 되어야 바뀌지 않을까?

  • @rodsney5661
    @rodsney5661 2 года назад +364

    2:00 고대국어 신라 처용가 발음
    2:43 15세기 훈민정음 발음
    3:30 1970-80년대 발음

    • @너구리-e4m
      @너구리-e4m Год назад

      아시아의 인어 최윤희다😊

    • @mathamour
      @mathamour Год назад

      Minerva Scientia 이 놈은 일본인 유투버라는 팩트를 왜 공개 안 하는데? 한국인 놔두고 왜 혓바닥 제대로 못 굴리는 일본인 유투버 음성을 처 집어넣는데......
      🤣🎯 친일 일뽕이란 ? 친일 일뽕은 일본 주인님이 주시는 뼈다귀를 핥아보려고 한국인만 보면 물어 뜯지요
      일본 큰형님한테 90도 허리 꺾어 큰 절하는 꼬붕 따까리 시다바리 빵셔틀 똘마니. 이것이 팩트 ㅎㅎㅋ
      친일 일뽕은 미친개 따라다니는 똥개! 찌질하고 한심한 새끼들! 팩트 폭격 처 먹고 정신 차려라 ㅋㅋㅋㅋㅋ~ㅋㅋㅓ~~~~~~

    • @자랑스러운고구려
      @자랑스러운고구려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의 언어는 신라 백제 고구려(말이 매우 흡사했다함)
      중국어 돌궐어(터키) 일본어
      고조선어 부여 등등 여러 언어가 섞이고 전해져왔다

    • @captainkim8089
      @captainkim8089 Год назад +1

      고대 신라어는 흡사 중국어 같네요. 신기해요

    • @mathamour
      @mathamour Год назад +9

      @@captainkim8089 captainkim님 고대 신라어가 중국어 같다니? 웃기지 마세요. 이 발음은, 일본인이 개인 유투브에 올린 걸 한국인이 퍼 온 것으로서, 고대 신라어를 일본인이 어떻게 알아요? 한국인도 고대 신라어를 모르는데. 그 시대에 한글이 없었으니, 신라어를 알아낼 수 없습니다. 기껏해야 한자단어 보면서 그 땐 이렇게 저렇게 말하지 않았을까? 하며 추측하는 정도이고. 그 일본인 개인 유투브를 직접 가보니 언어학자도 아니고 만화 애니만 주구장창 올리는 평범한 사람이었습니다. 이런 거에 낚이지 마시고, 국어학자한테 물어보세요

  • @user-yg2zr4jn9u
    @user-yg2zr4jn9u 3 года назад +40

    이런 자료 하나하나가 너무나도 소중하다
    특히 이극로 선냉님의 녹음본은 더욱 더 소중하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일제가 조선어까지 못 쓰게 하니 이극로 선생께서 이러다간 정말 다 빼앗길 것 같아 정말 필사적으로 지키려고 한 것 같아서다.
    우리는 지금 이 시대에 익숙해져 과거 역사를 잊으면 안된다. 우리가 지금 이 대한민국이라는 우리 고유의 나라에서 살 수 있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국민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다 과거 훌륭하신 조상님들 덕분이다.
    훌륭한 조상님들께서 과거에 하루하루 간절하게 필사적으로 물불 가리지 않고 지키려고 한 우리나라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가 지금 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게 만들어야 할 이유다.

  • @ルシェ
    @ルシェ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문화 가르쳐주시는 저희 학교 교수님이 말씀하셨는데 전통이라는건 옛날꺼가 아니라 여부터 만들어진게 전해져오면서 전통이 된거라고, 지금 우리 시대에서도 뭔가 만들면 미래에는 그게 전통이 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언어는 늘 바뀌는거라고도 말씀하셨습니다 지금 제가 쓰고 있는 이 말도 30년 뒤에는 옛날 말투가 되어 있을거고 우리는 현재를 살고 있지만 미래인들에겐 그저 신기한 과거의 모습일겁니다 저는 이런 진리가 너무 신기해요!

  • @YeEunK
    @YeEunK 3 года назад +23

    참 가슴이 먹먹해지는데 1:33 따라읽으십시오 소! 소! 소나무우 소나무우!! 별거아닌 소리지만 너무 귀엽다..

  • @이응-y4x
    @이응-y4x 3 года назад +386

    저 시절에 저걸 녹음할 수 있는 곳을 우연히 알게 되었거나 저런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곳을 물어물어 찾아간 것이 너무 대단하고 경이롭다

  • @서강빈-r3g
    @서강빈-r3g Год назад +22

    대단하네.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 @lilipopo77
    @lilipopo77 3 года назад +83

    애기들 따라 읽는거 왤케 귀엽지❤️❤️❤️

    • @뭘바-m6m
      @뭘바-m6m 2 года назад +2

      저 애기들이 이미 돌아가신분들..

  • @킹9-o6y
    @킹9-o6y 3 года назад +207

    1:38 애기들사투리 너무 귀여운거아님? ㅜ

    • @꿍디꿍디-k4z
      @꿍디꿍디-k4z 3 года назад +15

      사투리가맞나요 당시엔 저게 표준어같은데

    • @user-ggagga0
      @user-ggagga0 3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당시 기준 표준어인걸로 알아요!

    • @acouple12yearsapart
      @acouple12yearsapart 3 года назад +4

      와! 저게 표준어예요? 저 부산사람인데 억양이 정말 친근해요😄

    • @꿍디꿍디-k4z
      @꿍디꿍디-k4z 3 года назад +4

      @@acouple12yearsapart 표준어는 아주 새로이 만드는 말이 아니라, 이미 그 나라에서 쓰이는 말 중 가장 큰 세력을 가지고 있고 또 사람들이 가장 좋은 말로 여기는 말을 바탕으로 하여 약간의 손질을 하여 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저 당시에 저말투가 표준어일수도

    • @꿍디꿍디-k4z
      @꿍디꿍디-k4z 3 года назад +8

      @@acouple12yearsapart 저도 경상도인데 경상도 사투리처럼 들리네요

  • @이슬비-p3h
    @이슬비-p3h Год назад +13

    감동적입니다. 감사합니다.

  • @김호미-x4r
    @김호미-x4r 2 года назад +4

    이극로선생 발음 지금하고 거의 차이가 없다,.경북하고 경남은 지역마다 다 조금씩 다르고 억양이 조금 다른데,경북하고 경남의 중간같은 억양의 느낌을 받았다,,밀양 정도 사투리 아닐까싶었는데,,찾아보니 의령이다,이 분은 월북하셔서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않은 분이신 거 같다,,베를린대학교 철학과를 나오셨다..

  • @소리바람-n4l
    @소리바람-n4l 3 года назад +100

    👍
    흥미로움.
    신기함.
    우리말이 더욱 귀하개 여겨짐.
    💙💙💙🇰🇷🇰🇷🇰🇷🍀🍀🍀💜💜💜

    • @today_ssong
      @today_ssong  3 года назад +1

      소리바람님 반가워용~!

    • @무념무상-i7f
      @무념무상-i7f 3 года назад

      게게게게

    • @심현우-p3b
      @심현우-p3b 3 года назад

      @@무념무상-i7f 우리말을 귀하게 여기면서 맞춤법은 틀리는..

    • @무념무상-i7f
      @무념무상-i7f 3 года назад

      @@심현우-p3b fdzzz

    • @어린쥐-c5w
      @어린쥐-c5w 3 года назад +1

      @@심현우-p3b 우리도 외래어 잔뜩 쓰는데 맞춤법 하나 틀리는 것까지야..

  • @빈스영상
    @빈스영상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말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바뀌는 거 같아요. 진화라고 해야할까요?
    조선말기 일제강점기때 녹음분을 들어보니.. 예전 노인네들의 말투와 비슷하다는 느낌입니다.

  • @Phamphamii
    @Phamphamii 3 года назад +87

    나 대구인인데 첫번째 음성 경상도분이신듯 거의 뭐 우리아빠랑 할아버지 말투임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책 읽거나 녹음하거나 하면 평소 말할때랑 말투 조금은 달라짐 딱 고거인듯ㅋㅋㅋㅋㅋ

    • @dldjdu11
      @dldjdu11 3 года назад +4

      실제로 경상도 출신이라고 합니다

    • @d.-u-.r
      @d.-u-.r 3 года назад +1

      ㄹㅇ 공감 울 할머니 말투랑 완전 똑같애요 전혀 낯설지 않고 오히려 익숙하고 친근함…

  • @이름-d8i5m
    @이름-d8i5m 3 года назад +36

    존경합니다.
    시대에 어려움으로
    기록을 남기시려고
    그 멀리까지 가서

  • @pppmmm1122
    @pppmmm1122 Год назад +324

    신라시대 발음을 들어보니 뭔가 외국어들과도 유사한 발음인듯 신기하네요. 어찌보면 각 지역별로 나뉘어지기 전 태초 인류는 다 같은 말을 사용했었는데 서로 떨어지며 살게되면서 각각 다른식으로 말이 발전한듯하네요

    • @ohmalub
      @ohmalub Год назад +21

      성경보면 한언어를 사용하다 바벨탑 이후 언어가 나뉘었다네요

    • @akaJb86
      @akaJb86 Год назад +7

      내가 나눴어

    • @ohtuck5068
      @ohtuck5068 Год назад

      ​@@ohmalub좀 ㅅ1발 과학적 으로 생각 좀 해봐라 사막잡신 소설책 그만 읽고

    • @BHKim-g9u
      @BHKim-g9u Год назад +5

      중국어같이 성조가 많이 들어간듯한 말이네요. 너무 신기해요

    • @aawasmae7643
      @aawasmae7643 Год назад

      그때는 이동하는게 훨씬 어려워서 훨씬더 많은 언어들이 있었겠져

  • @11.tv.7
    @11.tv.7 3 года назад +6

    제 생각인데
    그전까지는 약간 발음이 틀릴진 몰라도
    조선시대 부터는
    발음은 한국식 발음이
    이어져 오고 있었는데
    그걸 글자로 완성하는 단계가 아니었을까요?
    그니까 훈민정음은 미완성 단계에서
    약간 급하게 반포되었고 세월이 지남에 따라
    함경북도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각지역의 말들이
    수도로 모여 병합되고
    조선말이 만들어진거 같고
    완성되어 지금의 한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저 당시에도 각 지역 사투리가
    존재 했을텐데
    살고싶니⬆️? 살고싶나⬇️? 살고~잡⬆️냐⬇️?
    왜그래유➡️↘️?
    대표적인 사투리만 해도 소리가
    저리 다양한데...;; 저 글자대로의 발음은
    아니었을거라 사료 됩니다.

    • @강다연-v7f
      @강다연-v7f 3 года назад +1

      제 생각과 같네요 저도 한글이 만들어진지 얼마 되지 않아서 발음과는 좀 차이있는 한글로 썼다뿐이지 억양차이는 있을 수 있어도 발음자체는 거의 비슷했을 것 같아요

    • @11.tv.7
      @11.tv.7 3 года назад +2

      @@강다연-v7f
      맞습니다.그러니까 우리가
      한국말을 쓰고 있고 사투리가 이어져
      오겠죠.
      퀋퉌니에룽꼔... 이런 발음까지는;;
      아니었을꺼 같아요.

  • @미숫가루찌개
    @미숫가루찌개 3 года назад +53

    일상적인 대화, 학문적 발음. 계층별 발음이 각 다른게 아니었을까요.
    생각해보면,
    일상에 소리와 선비들의 문자(한자)의 소리가 달라 소통이 안되서 만들어진게 훈민정음이고,
    신라때도 학문이나 서류작업 때 발음이 어려운 한자에는 발음하기 편하게 작게 표시해놓기도 했으니까요.

  • @jeminsun8776
    @jeminsun8776 3 года назад +20

    현재 일본에 살고 있는데 1930년대 말투가
    우연히 알게된 조선학교 교장선생님 말투랑 비슷하네요 한국 북한도 아닌 조선인 그 시대 그대로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

  • @infp4982
    @infp4982 3 года назад +4

    와..신기하다. 특히 신라어는 첨 들어보는데..약간 동남아 어느 나라 언어처럼 되게 낯설게 들리는거 같기도한데..진짜 당시 이런 발음을 썼을까. 여하튼 뭔가 신기하다...

    • @Zorig_2916
      @Zorig_2916 2 года назад

      전 그 어떤 프로그램에서 구두약을 얼굴에 바르신 그분 발음이랑 같네요

  • @nordplue
    @nordplue 4 месяца назад

    상대적으로 강대국의 언어를 지향하기때문에
    지금 우리가 영어를 섞어서 쓰듯이
    조선시대 당시에는 중국어를 많이 섞어쓰고
    중국식 억약을 사용했을거라 생각하네요
    우리 말에 한자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도
    일부는 그런 이유가 아닐까 합니다

  • @윤셔와민셔
    @윤셔와민셔 3 года назад +173

    이극로 선생이 활동하셨던 1920년대 신문을 보면 무슨 말인지 알기 힘든것도 많습니다,하지만 이극로 선생의 녹음을 들으면 지금하고 큰 차이가 없죠,즉 삼국시대~현재까지 구어에 엄청난 변화는 없었다고 보입니다,고려시대 발간된 중국어 회화책 "노걸대"를 보면 현대의 중국어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 @tfwefeaqef
      @tfwefeaqef 3 года назад +9

      왜란.호란 이후의 구어는 대략적으로 통하겠지만 그 전은 힘들것입니다

    • @윤셔와민셔
      @윤셔와민셔 3 года назад +2

      @@tfwefeaqef 근데 고려시대 발간된 중국어 회화책 "노걸대"를 보면 현대중국어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 @nokkiri618
      @nokkiri618 3 года назад +8

      세계적으로 변화가 정말 적은 언어로 손꼽히는 아랍어도 막상 구어체는 완전히 다른데요 옛날 신문이 읽기 어려운 건 띄어쓰기가 정립 안 되고 한자를 많이 써서 그렇지요

    • @tfwefeaqef
      @tfwefeaqef 3 года назад +2

      @@윤셔와민셔 차이 큰데? Sh zh ch r 발음은 아예 없었고 오히려 현대 월어에 가까움

    • @윤셔와민셔
      @윤셔와민셔 3 года назад +4

      @@macsungminson3583 제 와이프가 홍콩사람이라서 제가 중국어를 좀 하는데 노걸대가 쓰여질 당시 중국어 발음은 솔직히 아무도 모르죠,다만 표현방식은 현대 중국어와 거의 유사합니다,모르는 사람을 부를때 저기요~하는 표현마저 같습니다
      100% 구어체인 회화책인데 현대 중국어와
      거의 같습니다
      만일 변했다면 글자의 발음이 변했을텐데
      120년전 중국어 발음도 현대중국어와
      거의 같다는점에서 볼때,구어는 큰 변화가 없었을걸로 보입니다

  • @룰루와랄라
    @룰루와랄라 3 года назад +40

    7~80년대랑 언어도 많이 달라졌는데 세상은 더 빠르게 변하니 부모와의 세대격차가 얼마나 클까. 깊은 배려와 공감 없이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겠다.

  • @정경-g2t
    @정경-g2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극로의 목소리는 평상어가 아닌 연설문인데 약간 사투리가 들리네요. 이건 평상어와는 다르죠.
    두번째 선생님 목소리가 저 어렸을때 국민학교 선생님 목소리와 너무 비슷합니다.
    했거든요, 그랬거든요, 있잖아요. 이런말 국민학교때 아이들이 많이 썼는데 요즘은 그런말 다 사라졌죠.

  • @user-il6bz8vl7u
    @user-il6bz8vl7u 3 года назад +414

    나랑 할아버지랑 지금 의사소통 잘되고 할아버지도 어렸을 땐 할아버지랑 의사소통 했을 것이고 또 그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도 어렸을 땐 할아버지랑 의사소통 됐을 텐데 15세기만 되도 못알아 듣다니 신기하네 ㅎㅎ

    • @Jgdy1
      @Jgdy1 3 года назад +5

      올라가면 할아버지 3명해도 100년안됨ㅋㅋ

    • @파이팅-e5i
      @파이팅-e5i 3 года назад +5

      오 듣고보니 신기하네요

    • @susu-if7kh
      @susu-if7kh 3 года назад +22

      그게 진화의 신기한 점임
      내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의....
      이렇게 쭉쭉쭉 1억 5천만 세대 정도를 거슬러 올라가면 물고기가 나옴
      분명히 중간에 다른 종이 끼어든 적 없이 자식을 낳고 그 자식이 자식을 낳은 것뿐인데
      아주 긴 세 대를 거치면 다른 종이 되어있음

    •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3 года назад +17

      15세기면
      할아버지 10번임 ㄷㄷ
      생각보다 적네

    • @hihi-mz1lo
      @hihi-mz1lo 3 года назад +20

      할아버지 세대랑 의사소통은 잘 되지만 사실 오묘하게 다름. 주로 쓰는 단어나 발음같은게 완전히 같지는 않음. 할아버지도 고조할아버지랑 그랬을테고, 그렇게 10대를 올라가다보면 작은 차이에서 큰 차이로 되겠죠

  • @Jun-x1k
    @Jun-x1k 3 года назад +51

    신라는 약간 중국발음 이면서도 뭔가 신라사람들이 저런발음로 대화하면 뭔가 섬뜩할듯...

    • @황인철-v9j
      @황인철-v9j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랍어같아요.. 완전 다름..

  • @qwer4k4096
    @qwer4k4096 2 года назад +1

    조선 이전에 말을 복원한 학자들이
    놓친게 있다고 그들이 아마 스스로 지적했던거 같은데
    글쓰기와 발음의 차이가 있는데 그걸 무시하고 그냥 읽었다는거죠
    조선 이전에 = 조선이저네 ,바름의, 일거따는거죠 같은
    같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김진웅-r5n
    @김진웅-r5n 2 года назад +17

    평상시 궁금했던 부분을 이렇게 음성으로까지 알려주시다니 감사합니다

  • @백기비각술
    @백기비각술 3 года назад +12

    진짜 너무너무 귀한자료네요 같은 한국사람으로써 너무 자랑스럽고 감사합니다

  • @doyouknow_MTE
    @doyouknow_MTE 2 года назад +6

    그래도 조선시대 발음은 쉽게 알아들을수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했었는데... 생각했던것보다 많이 다르네요.
    뭐 신라때 말은 영상처럼 처용가같은 고전문학만 봐도 답나오죠. 거의 외계어수준

  • @nalk9724
    @nalk9724 2 года назад +20

    1:45 애기들 목소리 너무 귀여워ㅜㅜㅠ

    • @factos9070
      @factos9070 Месяц назад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독본이래잖아 친일파 애기들이 귀엽냐?

    • @sjsn3613
      @sjsn3613 24 дня назад

      지금은 다 돌아가셨을라나..😢

  • @jincyber1626
    @jincyber162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ㅎㅎㅎ 같은민족인데 신라시대는 커녕 가까운 조선시대로만 워프해도 사투리심한 변방에 간것처럼 잘 못알아듣겠누.. 하지만 현재 쓰는언어와 비슷하게 들리는 부분들이
    많아서 좀만 공부해보면 금방 알수 있을것 같아. 하느님을 예전에는 한울님이라고 불렀지 그이전에는 한얼님이라고 부르기도 했고.. 뭐 어디서는 뭐 종교용어가 뭐다 하는데.
    고대부터 쓰여진 언어가 변형되어온거야..

  • @예매
    @예매 3 года назад +209

    정말 흥미로운 영상이네요 ! 한글의 위대함을 다시한번 알게 되었습니다.

    • @today_ssong
      @today_ssong  3 года назад +4

      행운님 흥미롭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유튜브채널-p9s
      @유튜브채널-p9s 3 года назад +5

      한글 말고 한국어요

    • @ZACK0706
      @ZACK0706 3 года назад +4

      @@유튜브채널-p9s 한국어:한국어의 어휘체계는 순수한 고유의 말과 한자어(漢字語) 그리고 차용어(借用語)로 구성되어 있다.
      한글:세종 대왕이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을 20세기 이후 달리 이르는 명칭이다.

    • @0101-l2u
      @0101-l2u 3 года назад +5

      한국어가 맞죠. 한글은 문자체계고 한국어는 언어인데 이 영상에서 말하는 주제는 언어잖습니까. 한글의 위대함 얘기가 나오려면 '소리'가 아니라 '기호'에 대한 이야기였어야 합니다.

    • @유튜브채널-p9s
      @유튜브채널-p9s 3 года назад +1

      @@ZACK0706 아는데요?

  • @victor45815
    @victor45815 3 года назад +90

    좋은 자료 잘봤습니다
    책을 읽는 발음과 구어체의 발음 차이도 간과하면 안되겠습니다

    • @today_ssong
      @today_ssong  3 года назад +4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MrVfmen
    @MrVfmen 2 года назад

    요즈음은 없는 극장서 영화보기 전에 나오던 대한늬우스 에 나오는 말투가 60~70년대 말투죠
    서울말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본토 토박이 서울사람이 30~40%라고 하니 ....... 또 몇십년 지나면 말이 달라지겠죠 ㅎ

  • @IloveyoukimDH
    @IloveyoukimDH 3 года назад +53

    프랑스 소장 자료 들어보니 최대한 또박또박 신중하게 말 하는 것 같음 엄청 간절했나보네

  • @choimiheezzang
    @choimiheezzang 2 года назад +8

    한국학, 한국어 교육 전공입니다.
    이렇게 보니 또 새롭고 다가오네요.
    유익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geraniumm_3757
    @geraniumm_375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성조는 당시 한자를 중국과 같이 사용하다보니 한자의 발음도 중국의 영향을 받은 거지요.
    지금도 같은 한자를 읽을때 중국 발음과 우리말 발음이 비슷한듯 다르죠.

  • @이름성-l7i
    @이름성-l7i 3 года назад +56

    앞으로 100년뒤 우리 한국말은 말을 너무 줄여 해석하는 재미가 있을듯

  • @earcold986
    @earcold986 3 года назад +15

    이 영상에 싫어요는 왜 누를까요?
    왜인지는 모르겠는데, 신라/조선 초기는 좀 두려운 느낌이고,
    20세기 음성들은 한국어 나보다 잘하는 외국인 느낌인데,
    뭉클한 기분이 드네요. 뭐지?
    잘 보고, 잘 듣고 갑니다 ^^

  • @Uy-zv2sb
    @Uy-zv2sb Год назад

    확실한건 바로 조선시대로 거슬러 간다고만 해도 현대인과 자연스럽고 일반적인 대화에는 상당한 지장이 있어 보이는군요.
    현재에 비교해 삶의 방식과 환경도 다르고 언어도 다르고 마치 다른나라 같네요.
    특히 언어는 과거로 갈수록 거의 중국어와 비슷해지고.

  • @윰-e5p
    @윰-e5p Год назад +43

    우리나라는 참 멋지고 큰 나라입니다. 뭉클하네요.

  • @wldnjs_
    @wldnjs_ 3 года назад +37

    진짜 한국인으로 태어나서 한국 말장난 같은 것들을 알아들을 수 있어서 너무 감사하다
    한국어만큼 예쁜 언어도 없는듯

    • @yoon3171
      @yoon3171 Год назад +1

      어떠한 언어라도 표기와 발음이 가능한 세계최고의 과학적언어이죠..

  • @아자아-b6i
    @아자아-b6i Год назад

    일제 강점기 때는 거의 알아들을수있는 근거가 있죠 북한이랑 1945~50년에 갈라섰는데 지금도 북한 말하는거 쉽게 알아들으니 적어도 일제 시대 때는 지금가도 의사소통 할만하겠죠

  • @Jacob-qd6yz
    @Jacob-qd6yz 3 года назад +83

    세계에서 가장 휼륭한 문화 자산이자 귀중한 보물 같은 한글이라고 느꼈네요. 올바른 표현으로 더 열심히 써야 겠다는 생각 많이 하게되는 영상입니다🙏💗

  • @tyler1612
    @tyler1612 3 года назад +138

    처용가 낭독자는 외국인입니다
    발음도 정확하지않고 본인 억양조차 특이해 알아들을수 없는게 당연한겁니다

    • @pro-1020
      @pro-1020 3 года назад +10

      @@daceniuu1135 미네르바라는 외국인이 읽었는데 한국어,일본어를 주로 연구하는 외국인입니다
      근데 저 사람이 말하는 현대 한국어,일본어도 발음이나 다를 언어도 마찬가지고 과연 IPA를 준수해서 읽은 건지 의구심이 들텐데요?

    • @윤셔와민셔
      @윤셔와민셔 3 года назад +18

      @@daceniuu1135 저는 언어의 변화는 생각보다 크지 않다고 보는 입장이라서 처용가도 발음의 과장이 너무 심하다고 생각합니다(고의로 차이강조)
      1920년대 신문을 보면 무슨말인지 알수없는 경우도 많습니다,하지만 1920년대의 구어를
      들으면 현재하고 큰 차이가 없죠

    • @aozo7872
      @aozo7872 3 года назад +3

      @@윤셔와민셔 그냥 낭독자가 원래 발음이 안 좋은 편이라 그렇습니당 ㅋㅋ

    • @ChGb-qr5zx
      @ChGb-qr5zx 3 года назад +3

      그것도 "이렇게 읽었을 것이다"라고 추측했을뿐...

    • @user-ux7oi2zb3b
      @user-ux7oi2zb3b 3 года назад

      Minerva scentia

  • @CapyJuice
    @CapyJuice Год назад

    SBS 세상에 이런 일이 진행하시는 임성훈 선생님의 지금 말투와 1980년대에 그 분이 진행하시던 가요 프로에서의 음성만 비교해 봐도 어투 억양 발음에서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분은 오히려 외모적 차이가 훨씬 덜나시더라고요.

  • @kenani914
    @kenani914 3 года назад +13

    눈물이 나온다.
    멋지다 ㅠㅠ
    이극로님 감사합니다.

  • @Readers_road82
    @Readers_road82 2 года назад +12

    너무 소중한 자료 보존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석춘이-b2n
    @석춘이-b2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글이 위대함을 느낍니다. 우리 조상님들이 아니었음 일본어를 썼을지도요.. 현재 남미국가들이 스페인어,포어를 쓰듯이요.
    참고로 가가 가가 맞나? 아이가? 시다바리 등등 부산사투리가 일본잔재가 많다고합니다. 지리적으로도 일본과 가깝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