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테타 테슬라 모델S] - 배터리 열화?? 팩트체크 해봤습니다. (Tesla Model S)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전기차에 대해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부분이 배터리 수명에 관한 내용입니다. 반영구적이라고 아무리 설명드려도 믿지 않는 분들이 많아서 팩트체크를 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테슬라 모델S 수퍼차저 무료이용권을 얻으시려면 ts.la/inrock8565 를 이용하세요.
*블로그 : blog.naver.com/... (댓글이나 안부글을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커뮤니티 : teslakorea.net (테슬라 유저와 관심있는 분들이 모인 커뮤니티입니다.)
노후화로 폐차장에 들어오는 일반 승용차들의 주행거리를 보면 20만km 전후가 대부분이라고 하죠.
25만km까지도 10%미만의 성능저하라면 오히려 경제성이 더 뛰어난게 아닌가 싶네요.
영상요약 (스크롤주의)
1. 테슬라는 유럽형 북미형 연비기준이 있음
우리나라는 유럽기준
표기방법은
epa(환경청)기준 546KM
일반기준 438KM
그니까 저epa는 유럽환경청기준임
일반은 200wh기준으로했을때 1km주행가능거리
내꺼는 240wh/km
전기차라서
연비 X-> 전비
계기판보면 10/30/50 km 기준으로 예상주행가능거리를 볼수 있음
계기판은 연비운전한다고 바뀌진않음
2. 얼마나 줄어들었냐?
출고날짜 17.6.20
당시에 찍힌주행가능거리 17.8.21
출고당시주행가능거리 - 현재주행가능거리 = 현재열화정도
17.8.21 - 18.5.19 = 8개월 23일
559km - 546km = 13km 2.3%효율저하
90KW 배터리용량 9만와트를 200으로 나누면 450KM 437km ?????????(해석불가)
정확하진않음
사실은 100%풀로채우고 소모한전력량을 보고 하는게 더정확함
9:03 참고 장거리 리뷰영상
(17.7.30)2박3일동안 147% 배터리 사용시 115.6KW 사용 -> 100%환산시 74.6KW
(18.5.19) 66% 배터리 사용시 50KW사용 -> 100%환산시75.7KW정도
(17.8.22) 출고당시78.64KW -> 3.6%열화
3. 테슬라유저들 배터리열화정도 그래프수집한거있음 11:28
a. 최대25만까지있음
b. 강원도 유저분 한분이 제일많이사용
c. 현재평균 4%열화정도추세
d. 초반엔열화가 심하나 5%이후로는 천천히열화
13:02 한국유저데이터
아직까지 정확하진않지만 외국유저들과 별반다르지않음 2년 3년 더보자
요약 : 20만km 타도 92% 성능을 유지함
p.s 한테타 : 못믿으면 사지마 걍
정성들인 요약정리. 감사합니다!
고맙게 잘 봤습니다
올바른 정보 감사 합니다
전기차 밧데리 잘 모르는 일반인들을
오도하기 위한 나쁜 유튜버 일침 멋집니다! ^^b
테슬라의 경우 배터리의 열화를 액티브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충전속도에 대한 능동적 조정(조정이라기 보단 하향조정) 등으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최대한 막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열화를 막는 완벽한 시스템은 어쨌든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여러 실제 사용자 분들의 실제 데이터를 보면 블러처리된 사람이 말하는 것과 같은 가짜 전문가(주변에 어디든 이런분들 많죠...입전문가들...)가 예기하는 것과 같은 우려는 걱정 할 팔요가 없다고 봅니가. 다른 분들도 지적해 주셨는대 내연기관도 어차피 엔진등의 노후로 효율은 결국 떨어지기 마련이죠.
이 시간에 올리시면 어떡합니까! 자려고 누웠는데!!
한테타님
매번 감사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잘 볼게요
토요일이니까 좀 늦게 주무셔도 괜찮지 않을까요? 매번 애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배터리는 실제 최대 용량에서 위 아래로 5%씩만 여유를 두면 싸이클이 500에서 1000으로 올라갑니다.
테슬라의 완충시의 셀당 전압값은 4.1볼트라고 하는데 스마트폰에 비하면 거의 15%는 깎고 들어가는 값이니 1500싸이클 정도는 먹고 들어간다고 보면 됩니다.
완방 표시될 때의 전압값은 모르겠는데 평소에 배터리 충전 경고가 나올 때 충전하는 선이면 완방될 일은 없을 겁니다.
또 평소에 완충 완방을 안하면서 자주 충전하면 그 수명은 또 그 두배로 올라가죠.
한국이 1년 내내 더운 곳은 아니니 한여름에 차를 땡볕에 놔두는 게 아니라면 외부 열기에 의한 배터리 수명의 하락 수준은 저 위의 싸이클 향상으로 버텨줄만 하기도 하고...
슈퍼차지는 배터리 수명을 좀 깎아먹으나(거기에 테슬라 슈퍼차지는 한 70%까지는 최대 속도를 유지하는 걸로 아는데 이럴 경우 수명이 20% 정도는 날아간다고 봐야)
뭐 이런 걸 감안하면 출퇴근+가끔 여행 정도에서는 지장은 없고 택시급에서는 좀 고민해볼 수 있을 것 같네요.
공학적 접근으로 데이터와 수치로 팩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모델3를 기다리고 있지만, 이와 같은 사실이 항간의 낭설을 없애는 순기능을 많이 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할께요.. ^^
감사합니다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랫만에 올리신듯 ㅎ 자기들이 테슬라 5년타본듯이 얘기하는게 참 웃기네요 ㅋ
그러게요. ㅎㅎㅎ
가솔린차 효율이 연단위로 후두둑 떨어지는건 얘기도 안하는게 웃기져 참ㅋㅋ
25만키로에 10%열화. 다른부분은 반영구적이라 계속 운행 가능. 50만 이상도 가능 할 듯.
내연엔진이면 10% 이상의 연비저하. 것보다도 엔진 수명이 다해 폐차해야 함.
전기차가 남는 장사군요. 오래탈수록 더욱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한테타님의 영상 속의 정보와 개인적인 추측으로 계산해 봤습니다.
===================================================
1년 : 40,000 km
40,000 / 365 = 109.589
1일 : 109 km
출고 당시 : 100% 주행가능거리 561km
1년 40,000km : 100% 주행가능거리 543km
1년 동안 완충 시 : 대략 중간값으로 주행가능거리 552km
100%~20%까지만 사용하고 20%일때 충전한다고 가정.
20%일때 주행가능 거리114km
552 - 114 km = 438 km
438 / 109 km = 4 일
약 4일에 한번 충전.
365 / 4 일 = 91.25 회
1년의 충전횟수는 약 91회
* 최근 2년 넘은 휴대폰(갤럭시S7)의 배터리(3,000mAh의 배터리)효율이 약 50% 수준으로 떨어져 배터리 교체.
2년 동안 충전횟수가 800사이클이 넘음.
* 18650 배터리 1개의 용량이 보통 2,500mAh ~ 3,500mAh 사이.
테슬라에 들어간 18650 1개의 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모르기 때문에 중간값인 3,000mAh라고 가정.
=> 핸드폰의 배터리와 특성이 같다라고 가정했을 때 약 900~1,000 사이클에 배터리효율 50%로 저하 (핸드폰의 배터리가 더 가혹한 조건(완전방전 및 완충 후 지속충전 등이 잦음)에서 사용됐다고 가정).
1년에 91회 충전
900 / 91 = 9.89
1,000/ 91 = 10.99
9.89 ~ 10.99 년
3,609 ~ 4,011 일
===================================================
1년에 40,000 km를 타고 자동차를 매일 운행한다는 가정으로 했을 때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네요.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위 영상에서 외국의 테슬라 주행거리별 배터리 효율그래프(11:48)에서 150,000km이상에 대한 부분은 아직 신뢰할만한 수준은 아닌것 같습니다.
샘플의 수가 좀 적어보이네요.
150,000km이상 부분의 그래프가 신뢰할만한 수준이 되려면 100,000km이하의 샘플 수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네요.
정성어린 분석 감사합니다. 테슬라 배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라는 점은 동일하겠지만 배터리팩을 관리하는 방법은 스마트폰과는 많이 다른것같습니다. 그리고 외국유저들의 통계 데이터는 분석주체가 아주 많습니다. 제가 인용한 그래프는 그 중의 하나인데 평균적인 추세는 모두 비슷하더라구요.
스마트폰과 테슬라 배터리 관리 방법이 다른 부분은 '충전'부분만 있다고 생각됩니다.
보통 스마트폰은 발열로 뜨거워져도 50도 넘는 경우가 많지 않고, 테슬라의 경우 더 높은 전압과 전류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발열이 더 심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를 테슬라가 배터리 보호기술로서 온도를 적정선을 유지시키는 것일테니...
스마트폰의 배터리 사용 온도와 테슬라의 배터리팩 온도유지 범위는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이네요.
다른 부분은 스마트폰은 완전방전 및 완충 후 지속 충전 등이 더 가혹조건일 것이고, 테슬라의 80%까지만 충전하는 옵션은 배터리보호에 더 좋은 환경일 것이겠죠.
하지만 이 부분이 배터리 효율 유지에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가 부족하기 떄문에 논외로 두고 계산한 것입니다.
위에 제 계산 방식대로라면 약 10~11년, 400,000~440,000km일 때의 효율을 현재 1년된 한테타님 테슬라 기준으로 계산해 본 것이구요. 이 계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하된 배터리효율의 부분이 빠져있으므로 이부분의 마이너스요인을 테슬라의 배터리 보호기술로 인한 효율과 상충 시킨다면 어느정도 합당한 계산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제 생각이 틀렸을 확률이 훨씬 높을 테지만... 아직까지 그정도 수준으로 차를 운행한 정보가 거의 없을테니... 한번 추정해 봤습니다.
앞으로도 양질의 영상 늘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00%완충은 제 경우에 장거리 여행 전에만 하는데 한달에 한 번 정도인것 같고 0%까지 써본 적은 지금까지 한번 있었네요. 표기상 0% 되고도 30km정도 더 간다고 하니 그것도 실제로는 0%는 아닐것 같구요. 말씀하신대로 대부분의 유저들이 80~20% 패턴으로 사용하다 보니 여기서 차이가 생기는게 아닌가 싶네요. 감사합니다.
5년있다가 6천만원주고 배터리 바꿔야된다는 유튜버 어디갔나요? 에휴...
슈퍼차져가 아무래도 베터리에게 좀 부담이 아닐지...
그렇게 생각하면 타사 급속 충전이라해도 슈퍼차저에 비하면 반토막이니 얼마나 보수적으로 해놓은건지..
차알못도 알아듣기 쉽고 재밌게 설명하십니다.
감사합니다~
아주 잘 봤습니다. 대단한 열정이십니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모델3 양산이 언제쯤 제대로 되려나..ㅜㅜ..그날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역시 한테타님!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전기차는 아니고 좀 다른충전지를 달고다니는 토요타 프리우스도 비슷한 통계를 보여줬습니다. 미국에서 20만마일 (32만키로) 주행한 10년가까이된 프리우스의 배터리 열화가 10% 정도라고 합니다. 이에따른 실제 연비저하는 약 3% 정도입니다. 미미한 수준이죠.
이정도면 내연기관차량 이랑 비슷해보이네요. 엔진도 때끼고 내구성떨어지면 연비하락및 엔진수리비 생각하면 비슷할듯
저도 그 영상 봤었는데...^^!
잘봤습니다...!!
어라? 한테타님 모델 S90D 아니었나요? 그런데 출고 했을때 충전량이 78kWh 였다구요? 적어도 90kWh는 됐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75kWh배터리가 잘못 들어간건 어닐거구 혹시 그 부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 해 주실 수 있나요?
바터리팩은 90kwh가 맞구요. 배터리 잔량이 0%로 표기되더라도 수십키로미터를 더 주행할수 있는걸로 봐서 일정 부분 버퍼를 둔걸로 보입니다.
애초에 프리우스조차 배터리 수명 얘기가 안 나오고 있는데 말이죠 ㅎㅎ
2013년에 구입해서 4년동안 100,000 mile 탔습니다. 처음에 200 mile 이던 배터리가 4년후에는 193 mile로 되었습니다. 많이 썼는데 그렇게 많이 닳지는 안는듯 했습니다.
반갑습니다. 4년씩이나 운행하신 한국분은 처음 뵙네요~
한테타 작년부터 2017년형으로 바꿔서 쓰고 있습니다. 100% 만족하고 있어요.
영상 감사합니다.
이 부분이 정말 궁금했었습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에 정주행 했네요 또 ㅠ 순식간에 사라진 내 시간... 너무 좋은 자료, 정성스런 영상 감사합니다~ 근데 우리나라 자료에서 100% 위에 있는 동그라미는 뭔가요? ㅎㅎ 새로 개발된 신소재 베터린가요? ㅎㅎ
감사합니다. 그 동그라미는 넘버스에서 차트를 그리면 제목 부분에 꼭 그렇게 뜨네요. 안보이게 하는 방법을 몰라서요. ㅎㅎ
즐겨보고 있습니다 한테타님 ^^
궁금한게 있는데 100프로에서 33퍼까지 사용하실때 한번에 사용하신건가요 아니면 출근때 33 퇴근때 33이런식으로 사용하신건가요?
저도 영상보고 테스트 해보려고 했는데
출근시 10.9kw사용하고 61프로 었는데 퇴근할때보니 10.9 kw 그대로 59프로로 낮아졌드라고요 주차중에 소모된 전력은 사용전력에 포함이 되지 않아서 단순계산시 실제보다 열화가 더 된것처럼 나올것 같습니다 비교하신 초반조건도 같은조건이셨으면 상관없겠지만요 ^^
그 부분은 감안을 못했네요. 이번 테스트 때는 완충 후에 주차는 하지 않고 쭉 운행을 했습니다.
전압이 높을수록 많은 용량을 수명을 단축 시킴... 대부분 이공계 생들은 이미 노트북이나 휴대 기기에 충전 전압을 40.2~3.92v로 설정하고 댕김.. 대신 용량은 줄어들지만.. 수명(충방전 사이클) 늘어남..
전비가 잘못된 표기이고 연비가 맞습니다.
사전적으로 연비는 연료당 주행거리 비율이라고 나와있습니다.전기차에서 전기는 연료라고 볼수 있습니다.
전비라? 전비는 전쟁비용이죠. ㅎㅎ
그럼 경유는 경비 lpg 는 엘비. 수소차는 수비일까요?
공식홈을가도 모두 연비로 표기 됩니다.연비가 올바른 표기입니다.
한테타 항상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연료는 뭔가 태우는 에너지원을 말하더라구요.
태우는데 너무 집착을 하시는데요. 좁은 의미의 연료, 아주 오래전에는 태우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핵연료,, 수소차의 수소가 이온으로 분해되며 전자가 생성되고 이 전자가 전기를 발생시켜 모터가 움직이는것처럼 연료의 개념이 포괄적으로 넓어졌죠(수소차는 수소를 태우는게 아니죠). 해서 이런 에너지들이 모두 연료에 범주 안에 들어갑니다. 해서 전기 에너지도 당연히 연료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저는 언제 모델s 같이 좋은차 한번 타볼까요? ㅜ.ㅜ
연료 자체의 정의가 태우는것이 기본이죠
백과사전을 참고해도 "열과 빛을 얻을 목적으로 연소되는 물질"
이죠. 수소차도 연료로 수소를 태우는수소내연기관 방식과,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하는 수소전기자동차가 있습니다.
핵연료.... 열과 빛을 발산하지요... 수소도...
LPG도 연료의 일종이지요... 맨 마지막에 말씀하신 문장은 조금은 억지라 생각되구요..
물론 연비가 올바른 표현이라는대는 한치의 의견차이가 없습니다..만
연료의 정의가 바뀌었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한테타 전기를 만드는데에도 연료가 필요합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맞는 표현이겠네요 전비라는 말은 없습니다^^
한테타 핵연료
질문하나 있습니다.. 첫차로 테슬라구입을 많이 고민중인데요, 제가 걱정하는 두가지가 사실 차 마감(간극등이 좋지 않다)라는 동영상을 본것과, 터치패널?로 모든 인터페이스가 조작되는데,
이게 먹통이되는 경우가 있다는 동영상을 본 후에 많이 고민됩니다 ㅠ.. 따로 이런일을 겪으신적이 있는지 궁굼하네요..
우선 단차 부분은 매장에서 직접 차를 한번 보고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매장이라고 특별히 단차를 줄인 차를 가져다 놓지는 않았더라구요. 터치패널로 모든 인터페이스가 조작되는 것은 아닙니다. 먹통이 되더라도 운전하는데는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센터 디스플레이가 워낙 커서 존재감이 크다보니 걱정을 하시는데 일반 차량의 오디오 내비 화면과 다를게 없습니다. 혹시 먹통이 되더라도 재부팅을 하시면 30초 이내에 복구 됩니다. 저는 먹통이 된 적은 없고 LTE 신호를 못잡아서 재부팅한 적은 한번 있습니다. 제 채널에 보시면 그 엉터리 리뷰를 반박한 팟캐스트 영상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 많은 참고가 되었네요.
20만킬로에 10% 미만 열화라면 평생 무교환이라 볼 수 있겠네요..저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운행 하면서 초반에는 밧데리 열화에 관심이 있었는데.. ..4년이 넘어도 체감상 차이를 느낄 수 없더군요..
잘봤습니다..
초반에 열화가 심한걸 기준으로 하면 나중에 받데리 성능이 형편없는걸로 나오겠요.. 점점 열화가 완만해지는걸 감안 안한다면.. 역시 데이타는 많은 유저의 데이타를 오랬동안 관찰해야되는거네요..
저는 보통 10년 20만키로를 운행하는데요.. 그래도 92% 받데리 요율을 유지하는거네요...10년후에는 받데리 재활용 업체가 생겨야 할듯...하네요
아깝잖아요.. 테슬라에서 하겠죠~
정부보조금을 받은 전기차의 경우에는 폐차할 때 배터리를 정부에 반납해야하는걸로 법에 규정되어 있더라구요. 폐 배터리 활용방안은 폐차하는 전기차가 등장할 때가 되면 논의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외국 유저의 경우 테슬라의 폐 배터리를 가정용 ESS로 재활용하는 분도 있더라구요.
100d 를 운영하면 25만 뒤에는 90D 정도가 된다는 이야기가 될까요 ^^
그렇겠네요. 90D는 75D가 되구요. ㅎㅎㅎ
휴대폰 노트북과 다른 규격은 충방전 사이클 가진 베터리임.. 전기 자동차는.. 방전량도 다름.. 휴대폰 4.2 v 사용.. 자동자 3.92v
스마트폰은 왜그리 수명이 짧음? 전동바이크도 수명이 짧은데.. 자동차만 특별한 배터리 들어가나?
만약 5년있다가 밧데리 바꿔야 한다면 누가 전기차를 살까?
바꿀 필요 없는데요.
아맞아 궁금한게 있어요.
속도에 따라서 얼마나 전기를 먹는지 궁금하네요
한테타 채널에 보시면 준법운전시와 약간 밟아서 운행할 경우를 비교한 영상이 있습니다.
질문있는대요. 그럼 테슬라배터리는 교환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가요?
네. 반영구적입니다. 물론 10%내외의 열화정도를 감수하는 경우입니다. 기름차의 엔진이 열화되는 정도를 생각하면 더 이로울수도 있습니다.
테슬라 로너카??그게 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차를 불가피하게 서비스센터에 입고할 경우 테슬라에서 빌려주는 차입니다.
배터리 열화가 있긴 하다만... 완충완방을 항상 하지 않는이상.. 배터리 수명이 최소한 10년은 써도 될텐데요...?
이redford 완충완방이 주는 영향이 큰건 예전에 주로 사용하던 방식의 배터리가 가지고 있던 단점이었습니다. 배터리의 기억(메모리)현상 때문인데 그래서 완전방전은 피하라고 했었죠. 요즈음 사용하는 배터리는 예전과는 다른 소재를 사용하고 있어서 해당 단점은 극복이 되었고 이미 상당히 시간이 많이 지났네요...
???????????????? 정 반대로 알고 계십니다.;;;; 그렇게 하시면 배터리 수명 깍여요....
예전에 쓰던 배터리가 매모리 효과 때문에 완충완방을 하라고 한겁니다.이런 단점이 극복(?)됬다기 보단 리튬이온 소재 특성상 막써도 되는거지, 예전 배터리들 같이 완충완방 하면 안됩니다!. 사이클을 깍아 먹어요;;;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 같은애들 오래 쓰고 싶으면 충전기 보일때마다 무조건 전원 꼽아줘야 오래 씁니다.;;;
심지어 테슬라는 완충이 안되게 하는 설정이 있고, 장거리 갈때만 100%로 충전하죠..... 휴대폰들도 배터리 매니지 어플 같은거 보면 충전을 85% 정도에서 끊고, 배터리도 잔량 20 이하로 떨어지면 휴대폰 꺼지게 하죠.
하하.. 제가 잘못적었네요... 긁적긁적 ㅎㅎ; 피곤하군요 ㅠㅠ 니켈전지는 완방하는게 맞다고 알려져있죠. 하지만 리튬이온전지의 완방은 각 셀의 최저제한선만 넘지않으면 괜찮고 넘더라도 일반적인 충전이 안될뿐이지 다시 특수한 방법으로 충전시켜주면 일반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주아주아주 약간의 소자 손실이 있겠지만 의도적으로 계속 하지않는이상 상관없는정도이죠. 완충도 마찬가지 입니다. 정전압상태만 잘 만들어놓고 방전회로 돌아가면 과충전이 될 수가 없죠. 사이클도 1%충전은 0.01사이클이 라 보면 되기때문에 사이클 잡아먹을 일은 없습니다. 사실 배터리를 고객이 고민한다는거 자체가 넌센스가 아닌가 싶네요... 돈주고…물건 사는데 걱정하며 사야한다니 ㅠㅠ 그냥 안사는게 답이죠
SangH LEE 제3의 전극을 이용해서 손상된셀을 복원시키는 기술 계발됬다고 2달전에 봤는데 이 기술이 벌서 상용화 됬나요??????? 그 배터리 어디서 구매 할수 있나요?
이만 일하러 ㅠㅠ 가기전에 리튬이온전지의 sleep상태에 대해 말씀드리는건데.. 원초적인 방법으로 복구가 가능합니다. 슬립상태의 전지에 컨디션 좋은 전지를 이어붙이면 됩니다. 그리고 이부분에서는 완전방전이 가지는 매력도 있습니다. 본래 방전전압보다 낮은전압으로 방전시켜버려서 음극의 리튬 탈리량을 높이고 양극으로의 리튬 이동량을 늘려 본래의 용량을 오히려 되찾아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물론 그냥 방전 뿅 한다고 되는건 아니지만요...
테슬라 넘 이쁜것
junho um 크흠....
모델3 예약 넣으러 갑니다...
s살돈은 없고 보급형 나오면 사는데 안나오네요..........................................ㅠㅠ
차량이 부서질때까지 쓰는데 지장 없다가 정설인데
EPA는 유럽이 아니라 미국아닌가요~?
EU EPA, Japan EPA 이런식으로 각 국의 환경청을 흔히 EPA라고 칭하더라구요. 한국에 출시한 차량의 EPA 주행거리는 EU EPA가 인증한 거리가 맞습니다.
그렇군요~ 근데 미국차인 테슬라인데 수출형은 EU EPA기준으로 셋팅해서 내보내는건가요?
영상에서도 설명드렸지만 북미형과 유럽형으로 출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유럽형으로 들어왔구요.
15:29 25만탔을때보다 2만키로(x축방향으로 0다음이 2만키로 맞나요?) 에서 25만보다 낮은 효율 보아는건 뽑기실패일까요 2만미만에서 효율 편차가 심하긴 하네요
정선욱 저 그래프는 어떤 장비를 동원해 정확한 배터리 양을 측정한 자료가 아니고 유저들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모은 통계자료라 오류도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비정상적인 데이터 보다는 추세 정도만 참고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겨울에는 주행가능 거리는 4~500km절대 못감
할아버지 주행으로 다녀야 함
왜 다들 장점만 보는지 모르겠네 단점을 단점을 많이 봐주셔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아가며 운전을 해야 한다는 건 아니라고 봐요
skpark1522 겨울엔 테슬라 문제가 아니라 리튬이온 배터리 문제이긴 한데
단점이긴 하네요
겨울에도(1월) 주행거리 400 충분히 나옵니다. 제 경우 110~130정도로 달렸을때 주행가능거리 450정도는 찍어줬습니다.
1년 중 25퍼센트가 겨울. 겨울철 400km 주행거리를 다 쓰고 완충할일이 몇번이나 있을까요??? 단점인건 분명합니다만 그것만 보고 의사결정이 바뀔 만큼 중요하지는 않은 듯 합니다
기본적으로, 리튬 이온 방식이기 때문에 폴리머 대비 다소 열화 가능성이 높다(내환경성이 낮음)고 볼 수 있는거 아닐까요?
아... 전문적인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ㅎㅎㅎ
전기차가 배터리 사용 특성상 열화가 엄청 심한데, 다행히 테슬라는 15만키로 이상 타도 열화가 크지 않네요!
딸기케이크님이 튀어나왔네 ㅋㅋㅋ
근데 악플이나 비난성 댓글 달면 저도 저렇게 영상에 이름 띄울 수 있는 건가요?
그렇담 저도 에잇!
하하하... 그렇다고 악플을 다시면 안됩니다.
영상이 반복되는 오류가 있네요
편집오류네요.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10개월밖에 안된차 배터리를 판단하기엔 ....
영상이 2번 반복되네요. 16분쯤 부터 영상이 한번 더 시작됩니다.
편집하면서 마지막에 붙여넣기를 두 번 해버렸네요. 수정했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