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들축 기울어짐이라고 말씀하신건 킹핀경사각이라고 부릅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거중에 제가 알고 있는 내용과 좀 다른게 있는거 같아서 몇가지 덧붙입니다. 직진성(추진성)은 캠버와 킹핀경사각이랑은 무관합니다. 직진성은 캐스터(정의캐스터)와 토인으로 인해 좋아집니다. 킹핀경사각은 핸들을 회전하였을때 자기위치로 돌아오는 복원력을 향상시켜 주고 캐스터,토인 역시 같은 역할을 합니다. 캠버(정의캠버)는 핸들 회전시 조향을 가볍게하는 역할을 하고 핸들 복원성과는 무관합니다 그리고 보통 토값은 토인을 주지 토아웃을 주지 않습니다.
+Motorgraph 모터그래프 국산 중형차량이나 외제 고급차량의 헤드라이트가 해외 연구소 조사결과 미흡하다는 판정을 받았다는 뉴스도 접할 수 있었는데 국산차량들은 그렇다 하더라도 고급사양의 외제차량들도 최고점을 받지 못했다는 사실에 명확한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야간운전이나 어두운 지하주차장에서 소위 일부 스텔스 운전자들의 아찔한 운행들을 볼 때 본인 차량에 미등, 전조등, 상향등 같은 등화장치가 on,off 되어있는지 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운전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까워 드린 말씀입니다. 기본적인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김한용 기자님 시승기 영상 평소에 잘 보고 있는데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정말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네요 ^^ 다음에는 전륜과 후륜 자동차의 차이와 운전시의 유의점에 대해 설명해주시면 좋겠네요 최근에 수입차 많이 늘어나면서 후륜자동차 많이 운전하는데, 초보들이 전륜 습관대로 운전해서 사고 나는것을 종종 봅니다. 안전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강의라고 생각하네요^^
+임영욱 아 역시 이해하기 힘들게 설명했나보네요. 죄송합니다. 이것만 상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후륜구동은 앞바퀴를 밀고간다(=앞바퀴가 뒤로 밀린다) 2) 전륜구동은 앞바퀴가 끌고간다 (=앞바퀴가 차체보다 먼저 간다) 앞바퀴는 핸들조향축(Steering Axis)에 고정돼 있거든요. 아무리 유격이 없는 차에서 직진을 하더라도 이 축을 기준으로 바퀴가 뒤로 밀리면서 꺾이거나 앞으로 밀리면서 꺾이는게 토인/토아웃을 주는 가장 근원적인 이유입니다. 아무래도 이해가 어려우실 것 같은데, 나중에 그래픽이나 교구를 이용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Motorgraph 모터그래프 설명이 어렵거나 이해하기 힘든거 없습니다. 다만 토우의 경우 영상에서 '아웃인 상태에서 끌고가면 인이 된다'라는 설명이 잘못된 걸 말씀드리는 겁니다. 답변에 '유격이 없는 차에서 직진을 하더라도 이 축을 기준으로 바퀴가 뒤로 밀리면서 꺾이거나 앞으로 밀리면서 꺾이는게'라고 하셨는데, 영상과 댓글을 봤을 때 김기자님은 차가 진행하면서 차륜은 안쪽으로 향하게 꺽이게 된다고 말씀을 하시는거잖아요. 그로 인해 토아웃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는 말이구요. 처음 의문을 제기한 댓글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차가 진행하게 되면 차륜은 바깥쪽으로 꺽이게 되고 그로 인해 토우인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는 얘기를 드리고 있는겁니다. 길게 설명할 필요없이 가까운 타이어집에 가셔서 각 차종별 토우값 한 번 확인해보시면 어떨까요?
김한용 기자님 평소에 영상 잘보고 있고 또 재밌는 위트와 해박한 지식으로 늘 유저 여러분에게 도움주시는 점 감사드립니다~물론 김기자님이나~ 전승용기자님이나 중간에 여러가지 구조나 타입, 용어, 제원을 설명할 때 가끔 실수를 좀 하시더군요ㅎㅎ제조사홈페이지 가면 다 있는 내용과 쉬운 용어와 제원임에도 불구하고 좀 떨려서 그러시는 건지 ㅎㅎ아 서론이 길었네요~ LF쏘나타와 싼타페 더프라임의 하부를 보니 둘다 멀티링크 서스펜션인줄 알았는데 구조의 생김새가 확 다르더라구요? 싼타페 더프라임의 멀티링크가 제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멀티링크방식으로 알고 있는데(벤츠도 이구조인듯 한데..)LF쏘나타는 서브프레임 타입?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이라고 보배드림에 올라와져 있는 글을 보았습니다.제가 언뜻 보기에 움직이는 위시본?이 싼타페는 로우암(아래), 어퍼암(위) 이렇게 위아래로 두개가 연결되어 있는데LF쏘나타는 로우암(아래)만 싼타페의 위시본?과는 조금 다르게 생긴 위시본으로 연결, 어퍼암(위)는 무슨 그냥 토션빔처럼 달려있는거 같애요..www.bobaedream.co.kr/view?code=national&No=841958 사진출처는 여기이고요~서스펜션의 기본적인 맥퍼슨, 멀티링크, 토션빔은 아주 기본적인거라 유저들이 잘 알텐데 이런부분은 어떤차이가 있는지 상세 비교설명 부탁드립니다.~ 메일로도 좋구요ㅎㅎ
물리학 전공자인데 쇼크업소버의 원리인 감쇄진동을 저렇게 일반인들을 위해 알기쉽게 설명할 수 있다니! 하며 기분좋게 보았습니다.현업에 종사하시고 직접 조율을 하는 분들에게는 전문적으로 아는게 중요하겠지만 소비자에게는 이런 전문적인 내용을 낮은 진입장벽으로 알기 쉽게 정보를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평소에 생각해왔습니다. 모터그래프/오토뷰/모트라인 등 다양한 매체 리뷰를 각자의 컨셉에 집중하여 즐겁게 감상하고 있는데 김한용기자님과 모터그래프의 소비자들에게 알기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소개해주시는 리뷰는 소비자들에게 차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주고 알 권리를 스스로 챙길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요. 모터그래프의 이런 리뷰 항상 응원하며 앞으로도 좋은 리뷰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자동차계에서 큰 패러다임으로 다가올 것으로 예상되는 테슬라의 전기자동차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나요? 왜 테슬라의 전기자동차가 다른 타사(현대, 기아, 르노, gm, bmw 등등)에서 만든 전기자동차들보다도 주목을 받는 것인지 많이 궁금하더라고요. 무엇이 다른지 어떤점에서 주목을 받는 것인지 그래서 정말 자동차계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인지 등을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 있었으면 어떨까 하는 점에서 요청해봅니다.
이유는 간단함. 우선 주행가능 거리가 연비 안좋은 lpg차량과 비슷할 정도로 전기차 치고는 꾀나 달릴수가 있음 실용적이란 얘김. 글구 순수 전기차로서 성능이 가장 우수함. 그냥 우수한걸 넘어 동급의 내연기관 차보다도 거 뛰어남. 게다가 고급져보이고 전체적으로 품질이 좋음. 하이브리드 말고 순수전기차 로서는 테슬라차 빼고는 대부분이 다 경차수준의 성능밖에 안되고 주향거리도 100km 가면 많이가는거임.
핸들축 기울어짐이라고 말씀하신건 킹핀경사각이라고 부릅니다.
영상에서 말씀하신거중에 제가 알고 있는 내용과 좀 다른게 있는거 같아서 몇가지 덧붙입니다.
직진성(추진성)은 캠버와 킹핀경사각이랑은 무관합니다.
직진성은 캐스터(정의캐스터)와 토인으로 인해 좋아집니다.
킹핀경사각은 핸들을 회전하였을때 자기위치로 돌아오는 복원력을 향상시켜 주고 캐스터,토인 역시 같은 역할을 합니다.
캠버(정의캠버)는 핸들 회전시 조향을 가볍게하는 역할을 하고 핸들 복원성과는 무관합니다
그리고 보통 토값은 토인을 주지 토아웃을 주지 않습니다.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좋은 지식을 알게 되어 기쁩니다.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등화장치도 한번 해주셨으면 좋겠네요^^
+Double B천화애 등화장치에 어떤 궁금한 점이 있으신지요?
+Motorgraph 모터그래프 국산 중형차량이나 외제 고급차량의 헤드라이트가 해외 연구소 조사결과 미흡하다는 판정을 받았다는 뉴스도 접할 수 있었는데 국산차량들은 그렇다 하더라도 고급사양의 외제차량들도 최고점을 받지 못했다는 사실에 명확한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야간운전이나 어두운 지하주차장에서 소위 일부 스텔스 운전자들의 아찔한 운행들을 볼 때 본인 차량에 미등, 전조등, 상향등 같은 등화장치가 on,off 되어있는지 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운전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까워 드린 말씀입니다. 기본적인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빨리 다음편 올려주세요 현기증 난단 말이에요
모든 차들 리뷰도 좋지만 이런 강의 너무 도움되고 좋습니다...감사합니다..
알고 있는 정보에
더 유익한 정보를 얻내요! 김알자는 정말 좋은 프로그램같습니다!
와...새로 봤음.
설명 알기쉽게 엄청 잘하네요.
재능이 있음.
김한용기자님 강의 감사히 잘봤습니다^^ 그냥타고만다니던 차인데 하나하나 알아가니 정말좋네요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재밋게 잘 봤습니다. ^^
에어백의 종류나 각 국의 연비 측정법에 관해서 강의해주시면 유익할 것 같습니다.
+김동용 각국의 연비 측정법에 대해서 이미 찍었습니다. 그런데 너무 어려워서 PD가 편집을 못하고 있습니다. ㅠㅠ
환경부 산하 연구기관에 찾아가 측정 과정을 실제로 찍어와서 이해가 쉽도록 편집 하겠습니다.
기자님의 특허죠ㅎㅎㅎ 잘 보고 잘 정리하고 있습니다. 늘 수고하십니다.
감사합니다 ㅠㅠㅠㅠ 요청에 답해주시니 감동
김한용 기자님 시승기 영상 평소에 잘 보고 있는데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정말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네요 ^^
다음에는 전륜과 후륜 자동차의 차이와 운전시의 유의점에 대해 설명해주시면 좋겠네요
최근에 수입차 많이 늘어나면서 후륜자동차 많이 운전하는데, 초보들이 전륜 습관대로 운전해서 사고 나는것을 종종 봅니다. 안전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강의라고 생각하네요^^
프로그램좋아요 계속해주세요!!
저한텐 정말 궁금한 것들에 대한 설명인데요~^^
오홍 이해가 잘되요 쌤
magnetic ride control을 언급하시던데
ER유체도 언급해주시면 좋을것같네요ㅎㅎ
+김정우 MR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를 말씀하시는거죠? 가변 댐퍼에 대해선 다음번에 좀 더 깊이 해보겠습니다.
+Motorgraph 모터그래프 Mr유체에서 한번 더 진보된 기술이 ER유체라고 하더라구요. 기계과 교수님께서 MR유체는 이제 한물간 기술력이 될것이다 라고 말씀하시더라구요. 넵 다음영상도 잘 보겠습니다!!
유익한 김알자!!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알씨카 귀엽네요ㅎ얼라인먼트나 서스구조 설명하기엔 버기카가 좋은 교보재가 될것같은 생각이 듭니다
+김혜성 알겠습니다. 좀 더 나은 교보재도 구해보겠습니다.
요즘 이런거 맨날 보고 있는데 차잘알 될듯 ㅋ 잘보고 있어요~ 화이팅
덕분에 자동차에 대한 이해력이 쑥쑥늘어요!! 고맙습니다.
트랜스미션에 대해서도 좀 해주시면 안될가요,, 메뉴얼은 구조가 단순해서 알기가 쉬운데 오토메틱은 계속봐도 이해가 안대요.ㅠㅠ 김알자님의 쉬운설명이 피료합니다.ㅎㅎ
이론편 잘보고있어요. 자동차 소모품 엔진오일, 타이어, 부동액, 브레이크패드 등 선택법 교체시기 등 기본상식도 부탁해요, 아 그리고 타이밍 벨트 교체때가 되가는데 아는게 없어서 필요성과 중요성 알려주세요
ㅎㅎ 옛날 학교 다닐때 진동론 수업이 생각나네요.
수학없는 진동론이라 재밌네요.
잘봤습니다.^^
참 좋은 내용인데 이해를 돕기 위해 2차원만 쓰는 건 좀 아쉽네요. 단촐한 모형이라도 있으면 좋을 것 같은데... 폐차장이나 그런 곳에서 주제에 해당하는 시스템을 구할 수 없을까요?
+Daebong Choi (Bongs) 네.. 사실 장난감을 이용해서 설명을 좀 했는데 PD가 빼버린 것 같아요. 쩌업. 앞으로는 좀 더 많은 교구를 이용해보겠어요. ^^
마지막 부분에 뉴트럴??이모조
+이강현 아.. 죄송합니다. 갑자기 이상한 말이 튀어 나왔네요. 언더스티어-오버스티어가 아닌 가운데, 인-아웃이 아닌 가운데를 모두 뉴트럴이라고 합니다.
+Motorgraph 모터그래프 감사합니다
테슬라 리뷰 언젠가 하시겠지만 목빠지게 기다리고 있겠습니다ㅎㅎㅎ
+june-suk lee 올해 안에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Motorgraph 모터그래프 넵 감사합니다
발빠른 김귀좌아~~
토우인이든 아웃이든 진행하면 뉴트럴로 정렬이 되겠네요.
토우는 설명이 반대로 된거 같습니다.
차가 진행을 하게되면 차륜은 진행방향의 바깥쪽을 향하려는 성질이 있고 그때문에 토우의 기본값은 토인이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
확인해보시고 답변 부탁드릴게요 :D
+임영욱 아 역시 이해하기 힘들게 설명했나보네요. 죄송합니다. 이것만 상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후륜구동은 앞바퀴를 밀고간다(=앞바퀴가 뒤로 밀린다) 2) 전륜구동은 앞바퀴가 끌고간다 (=앞바퀴가 차체보다 먼저 간다)
앞바퀴는 핸들조향축(Steering Axis)에 고정돼 있거든요. 아무리 유격이 없는 차에서 직진을 하더라도 이 축을 기준으로 바퀴가 뒤로 밀리면서 꺾이거나 앞으로 밀리면서 꺾이는게 토인/토아웃을 주는 가장 근원적인 이유입니다. 아무래도 이해가 어려우실 것 같은데, 나중에 그래픽이나 교구를 이용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Motorgraph 모터그래프 설명이 어렵거나 이해하기 힘든거 없습니다. 다만 토우의 경우 영상에서 '아웃인 상태에서 끌고가면 인이 된다'라는 설명이 잘못된 걸 말씀드리는 겁니다. 답변에 '유격이 없는 차에서 직진을 하더라도 이 축을 기준으로 바퀴가 뒤로 밀리면서 꺾이거나 앞으로 밀리면서 꺾이는게'라고 하셨는데, 영상과 댓글을 봤을 때 김기자님은 차가 진행하면서 차륜은 안쪽으로 향하게 꺽이게 된다고 말씀을 하시는거잖아요. 그로 인해 토아웃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는 말이구요.
처음 의문을 제기한 댓글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차가 진행하게 되면 차륜은 바깥쪽으로 꺽이게 되고 그로 인해 토우인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는 얘기를 드리고 있는겁니다.
길게 설명할 필요없이 가까운 타이어집에 가셔서 각 차종별 토우값 한 번 확인해보시면 어떨까요?
너무귀여우세요
우아..똑똑캐
그래서 휠이 원통형으로만 될 수 밖에 없었던거였군요. 어릴 때 휠이 원형 구로 되면 더 편하지 않을까 궁금했었는데... 글쿤요
뭔가 배운거 같으면서 동시에 아직 아무것도 안배운거 같은 느낌이 드는데요ㅋㅋㅋㅋㅋㅋ
아무튼 잘 봤습니다~ 2부 기다리겠습니다
김기자님 팬입니다ㅋㅋㅋ
화이팅....휠얼라인먼트 개념을 설명 하는게 많이 어려워요...^^;;;....자동차 전공도 아닌데 설명 하려면 어렵죠..ㅋ...열심히 하려는 모습이 보기 좋아요...앞으로도 계속 쭉...화이팅!!
+허윤 네 제가 잘 설명 못한것 같은데, 다음에는 좀 더 공부해서 쉽게 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김한용 기자님 평소에 영상 잘보고 있고 또 재밌는 위트와 해박한 지식으로 늘 유저 여러분에게 도움주시는 점 감사드립니다~물론 김기자님이나~ 전승용기자님이나 중간에 여러가지 구조나 타입, 용어, 제원을 설명할 때 가끔 실수를 좀 하시더군요ㅎㅎ제조사홈페이지 가면 다 있는 내용과 쉬운 용어와 제원임에도 불구하고 좀 떨려서 그러시는 건지 ㅎㅎ아 서론이 길었네요~ LF쏘나타와 싼타페 더프라임의 하부를 보니 둘다 멀티링크 서스펜션인줄 알았는데 구조의 생김새가 확 다르더라구요? 싼타페 더프라임의 멀티링크가 제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멀티링크방식으로 알고 있는데(벤츠도 이구조인듯 한데..)LF쏘나타는 서브프레임 타입?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이라고 보배드림에 올라와져 있는 글을 보았습니다.제가 언뜻 보기에 움직이는 위시본?이 싼타페는 로우암(아래), 어퍼암(위) 이렇게 위아래로 두개가 연결되어 있는데LF쏘나타는 로우암(아래)만 싼타페의 위시본?과는 조금 다르게 생긴 위시본으로 연결, 어퍼암(위)는 무슨 그냥 토션빔처럼 달려있는거 같애요..www.bobaedream.co.kr/view?code=national&No=841958 사진출처는 여기이고요~서스펜션의 기본적인 맥퍼슨, 멀티링크, 토션빔은 아주 기본적인거라 유저들이 잘 알텐데 이런부분은 어떤차이가 있는지 상세 비교설명 부탁드립니다.~ 메일로도 좋구요ㅎㅎ
멋있다!
근데 입고계신 가죽재킷은 유니폼인가요?
+ᄒ그랑빌오빠 네 ㅋㅋㅋ 그런데, 그랑빌사세요?
+Motorgraph 모터그래프 네ㅎㅎ
물리학 전공자인데 쇼크업소버의 원리인 감쇄진동을 저렇게 일반인들을 위해 알기쉽게 설명할 수 있다니! 하며 기분좋게 보았습니다.현업에 종사하시고 직접 조율을 하는 분들에게는 전문적으로 아는게 중요하겠지만 소비자에게는 이런 전문적인 내용을 낮은 진입장벽으로 알기 쉽게 정보를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평소에 생각해왔습니다.
모터그래프/오토뷰/모트라인 등 다양한 매체 리뷰를 각자의 컨셉에 집중하여 즐겁게 감상하고 있는데 김한용기자님과 모터그래프의 소비자들에게 알기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소개해주시는 리뷰는 소비자들에게 차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주고 알 권리를 스스로 챙길 수 있게 해주는 것 같아요. 모터그래프의 이런 리뷰 항상 응원하며 앞으로도 좋은 리뷰 부탁드립니다~
+SeongOk Rheu 제 하찮은 설명을 좋게 봐주시다니 고맙습니다.
다음 강좌 언제나오죠~
+양제현 내일 업로드예정입니다 ^^
조향장치도 해주세요~~(steer)
자세한 설명 잘 보았습니다. 근데 예전부터 궁금했었는데 혹시 광산 김씨이신가요?
흑흑.. 김한용 기자님 되게 쉽게 설명해주시는것 같은데 제 머리로는 이해가 안가요 ㅠㅠ 특히 토 인 토 아웃이랑 캠버가 이해가 안가요 ㅠㅠ절대 딴지는 아니구요 순수하게 모르겠어서 ..... 늘 친절한 설명과 영상 감사드립니다
댐퍼는 일반차량의 경우 들어갈땐 저항이 없고 나올때만 저항이 생기지 않습니까.
디젤 1.6 크루즈 시승기 해주세요
ㅋ 내가 몰랐던 쇼바이야기
교보재(실물)가 있으면 더 좋을 거 같아요.. ㅋ
모형 자동차 바퀴를 줌인 해서 보여주셔도 좋을뻔.. ㅋ
후반부가서 머리 아파짐
+Jj K 앞으로 더 짧게, 간단히,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편집해 보겠습니다.
김알자 최고
좋은데 오늘은 그림이너무 이해하기어려워요 ㅠ 캠버나오는순간부터 이게뭐지?하는 무튼 감사합니다
+김민석 죄송합니다. 머리와 손이 따로 노네요. ㅠㅠ
올뉴k7 하이브리드 시승기 해주세욤♡
신형 캡티바 언재해여?????
울룩불룩~~!!...울룩불룩~~!!...ㅋㅋ...어감이 무척 귀엽게 들리는군요,,,,ㅋㅋㅋ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차가 왼쪽으로 기울어있는 도로를 달릴때 점점 왼쪽으로 쏠리는데 토아웃이 심하게 되어있어서 그런건가요?
이번에 자동차계에서 큰 패러다임으로 다가올 것으로 예상되는 테슬라의 전기자동차에 대해서 알려주실 수 있나요?
왜 테슬라의 전기자동차가 다른 타사(현대, 기아, 르노, gm, bmw 등등)에서 만든 전기자동차들보다도 주목을 받는 것인지 많이 궁금하더라고요. 무엇이 다른지 어떤점에서 주목을 받는 것인지 그래서 정말 자동차계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인지 등을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 있었으면 어떨까 하는 점에서 요청해봅니다.
+앙정싱 알겠습니다. 다음주는 전기차에 대해서 해보겠습니다.
이유는 간단함. 우선 주행가능 거리가 연비 안좋은 lpg차량과 비슷할 정도로 전기차 치고는 꾀나 달릴수가 있음 실용적이란 얘김. 글구 순수 전기차로서 성능이 가장 우수함. 그냥 우수한걸 넘어 동급의 내연기관 차보다도 거 뛰어남. 게다가 고급져보이고 전체적으로 품질이 좋음. 하이브리드 말고 순수전기차 로서는 테슬라차 빼고는 대부분이 다 경차수준의 성능밖에 안되고 주향거리도 100km 가면 많이가는거임.
요즘은 자전거 쇼바(일본말의 한국화?) 도 100만원씩 하는것도 많은 세상에 살고 있네요 기술의 발전이 ㅎㅎㅎ
쇽 업소버? .... 쇽업쇼바....쇽캄쇼바......쇼바... 이렇케 효율적으로 팍줄여서 ............쑈바...........
여기 모터그래프나 구독자들은 노사장이랑 사이 안좋아요? 그런 댓글들이 보이는군요
ebs강좌개설 하나 하시죠.
말투가 뭔가 아기자기 하셔ㅋㅋ
처음에, 위에서 내려다본 그림인지, 앞에서 바라본 그림인지, 설명이 없네요. 그래서 대체 먼소린가 이해가 한참 안가네요. ㅋ
잘 보고 있습니다만... 그림 이해가 안되요;; 무슨 말씀 하시는지 ㅜ
토,캠버등을 알려주실때 x.y.z축이나 어디가 위에서 본것인지 알려주셨으면 이해가 더 쉬울거같습니다 ㅎㅎ 인터넷에 자료 사진이라도 ㅠㅠ
+이정욱 원래 장난감을 위에 놓고 했는데, 커트 됐어요. ^^;;
김한용기자님 강사로 전향하셔도 될듯합니다 ㅎㅎ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려요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영상이 조금 길고 지루해 지더라도 최대한 편집 없이 올려주셨으면 좋겠어요!
이분 근데 리뷰보면 현기 조나게 까는거같은데 이유가 머죠?
이해가 안가네
0
초등학생그림이다 ㅎㅎ
최윤호 그게 멋이 중요한데 ?
1
아 설명 너무 못한다. 듣는 사람이 쉽게 알아듣게 설명을 해야지
호오...대부분 이해하는데 본인만 이해 못하면 뭐가 문제인지 바로 알 수 있지않나?
아... 님..;; 그렇게 팩트로 조지시면 어떻합니까;;
ㅋㅋㅋㅋㅋhy Seok님 뼈때리는 직언이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동ㅇ감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