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 "고층 빌딩"이 없는 "진짜"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유럽여행 #유럽 #고층빌딩 #건물 #런던 #파리
    비즈니스메일 : jisikcell@gmail.com
    욕설, 혐오, 가짜뉴스, 억측, 공격성 발언, 무허가 링크 등이 포함된 댓글은 삭제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572

  • @새의날개
    @새의날개 Год назад +199

    진짜 이유는 팔당댐 같은 대규모 댐이 없고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임. 유럽은 70%이상 지하수가 취수원인데 이 취수원이 소규모로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으니 도시가 저밀도로 분산됨. 쉽게 말해 고층빌딩에 줄 물이 없음. 물 공급 형태가 도시 모양을 결정함. 우리나라에 팔당댐이 없었다면 수도권에 인구 1,000만 수용도 어려움.

    • @angelcake2804
      @angelcake2804 Год назад +11

      그렇겠어요. 도시는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형성되는군요.

    • @macclee2354
      @macclee2354 Год назад +8

      좋은정보감사해요

    • @도윤김-w5u
      @도윤김-w5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배우신분

    • @SherlockLee
      @SherlockL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오... 여기 횡설수설하는 댓글도 많은데 이건 훌륭한 고찰이네요!

    • @jungsangyoon8793
      @jungsangyoon879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사막도 덮어 도시가 되는 시댄데
      하려면 합니다 지하수 한대 모아 상수도 관리하고 분배식으로요.
      그냥 옛날 도시계획으로 지어진 걸 계속해 유지하려 하니 고층이 못 들어 서는 거고 유럽은 지대가 흐물해서 건물을 다 붙어지어 한 블록씩 통째로 붙어있는 건물 하나하나가 서로를 지지하며 버티는 구조죠 그중 하나라도 없으면 무너집니다 철거하려면 한 블록 통째로 걷어내야 하는데 그게 다 1800년 ~1900년대 건물인데 다 부수긴 아깝죠.

  • @myrmoi
    @myrmoi Год назад +94

    한가지 빠진게 있는데 유럽에는 조망권이 있고 이 조망권은 한국에 비해 매우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심지어 농담으로 화장실 창문으로 바다가 보여도 그 집 가치가 뛴다라는 말을 농담처럼 할 정도이죠. 근데 고층 건물이 들어온다 그러면 어마어마한 소송 사건에 휘말리게 될 겁니다. 그러니 상업지구를 지정해 놓아 그곳에만 지을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인구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고층 건물이 들어올 필요가 없다고 이야기 하는데 이건 원인과 결과를 잘 못 해석한 것입니다. 유럽은 지방의 균형적 발달을 추구했고 더군다나 고층 건물을 짓지 못하게 하면서 몇몇 국가 예를 들어 독일 같은 곳에서는 부동산 규제가 상당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지방에서도 수도와 같은 편의시설들이 다 갖춰져 있고 굳이 티도 안난만큼의 편의시설을 느끼기 위해 수도로 갈 필요가 없는 것이죠. 즉, 인구밀도가 높지 않아서 고층 건물이 못들어오는 게 아니라 고층 건물이 안 들어왔기 때문에 도시 인구 집중이 이뤄 지지 않았을 수도 있는 겁니다. 더 쉽게 예를 들어 서울에 인구 집중이 되다 부산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지기 시작하면서 모든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하자 해운대를 비롯한 곳곳에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섰지 초고층 아파트가 들어서서 사람들이 많이 모인게 아닌거죠.

    • @dejosun
      @dejosun Год назад +6

      뭔 쌉소리셈 서울 용적률이 100~150임 파리가 용적률이 250임 뭔말인지암? 서울보다 파리 인구밀도가 높다는 말임

    • @user-it4my7gs9y
      @user-it4my7gs9y Год назад +3

      쫌 궁금해지는게 조망권이 중요해서 고층건물이 들어서기 힘든 곳이면 조망권이 확보되 있다는 얘기가 되는데 화장실 창문에서나 조망권을 찾으면 열악한 상황이란 얘긴데 모순 아닌가?

    • @murky-ty4su
      @murky-ty4su Год назад +5

      저층에 용적률 건폐율 이빠이인 유럽에서 조망권이요???? 앞집 뷰 보는게 조망권인가

    • @kwijongyang6109
      @kwijongyang610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정확한 답입니다

    • @파산왕국
      @파산왕국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murky-ty4su앞에 아파트가 있는 것보단 낮겠죠

  • @jimlim5367
    @jimlim5367 Год назад +664

    유럽에 고층건물이 없는게 아니고, 옛것은 보존하고 고층건물은 신시가지에 있는거...

    • @마조-j1t
      @마조-j1t Год назад +39

      없어요 63빌딩급 건물은 어디에서도 볼수없습니다.

    • @jimlim5367
      @jimlim5367 Год назад +46

      @@뭘보니-t8b 이태리를 예를 들자면 고건물 들이 스톤 베이스 라서 오래감, 게다가 시간이 지나면 보강공사도 함.

    • @jimlim5367
      @jimlim5367 Год назад +124

      @@마조-j1t 유럽도시 신시가지에 63층 까지는 아니더라도 40 - 50층대 고층건물은 쉽게보임. 그 이유는, 60층이 넘어가면 건축비용이 60층 이상부터는 한층 올릴때 마다 두배로 건축비가 들어감.
      허세쩌는 사우디등 중동국가들과 중국 한국등에 70층이상 건물이 많은이유.

    • @감마-b8s
      @감마-b8s Год назад

      @@jimlim5367말도 안되는 소리 지껄인다. 빌딩 많은 지역 이름 대봐라

    • @감마-b8s
      @감마-b8s Год назад +8

      @@jimlim5367뭐 런던 빅벤이 고층타워냐?

  • @viewer54
    @viewer5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유럽도시 전체가 모두 유적이라 보존해야 하는데 개축이나 재건축을 해서 손상시킬 수 없겠죠.

  • @shinjk2527
    @shinjk2527 Год назад +23

    고층빌딩이 단점도 매우 많아서 안 짓는 것도 있어요. 물론 조망권도 있지만 교통체층야기라던지... 사실 미국도 뉴욕빼곤 대부분 도시의 시중심지역은 상업용빌딩이 대부분이고 주거지역은 차로 30분거리 반경에 있습니다.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Год назад +147

    저층이라도 상당히 빽빽하게 지어놨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상당한 편이죠.
    그래서 고층으로 다시 올리려면 건물사이 간격을 좀 둬야되니 이득이 크지않은점도 있다네요.
    건축가 유튜버가 그렇게 말하더라구요.

    • @jimlim5367
      @jimlim5367 Год назад +17

      건물 때려부수면 그자리에 유물이 많이 나와서, 다시 그자리에 건물을 올릴수도없죠.... ㅋㅋㅋ

    • @블베-z5i
      @블베-z5i Год назад +6

      외국인 관광 유치를 위해 고층 안짓는 이유도 있을듯

    • @murky-ty4su
      @murky-ty4su Год назад +4

      우리나라도 저정도 용적률이면 재건축 재개발 못 함 수익성이 안 나는데 어캐함?

    • @JeongCheol1024
      @JeongCheol1024 Год назад +6

      건축가 유튜버 : 셜록현준

    • @BK9267philly
      @BK9267philly Год назад +4

      설록현준 ㅋㅋㅋ 잘 모르고 아님말고 식 얘기 많이 하던데 ㅎㅎ. 실제로 가끔 짖기도 하고. 하고싶어 하기는 하는데. 잘 안되는겁니다. 못해서 안하는건 아니고. 가령 주차나 건물 사이 도로가 협소하다는 문제도 없진 않지만. 지역마다 달라서... 그게 주요이유일순 없죠. 이러면 이해가 빠를라나 모르겠는데. 런던은 비교적 고층을 가끔 짖는 편인데. 그 이유로는 거대한 면적의 토지를 런던내에 소유하고 있는 개인 또는 법인들이 좀 있다는게 다른점이죠.

  • @Tongchal
    @Tongchal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유럽은 상공에서 보면 도시들이 정말 이쁨. 비행기타고 도시들 보면 감탄이 절로나옴 특히 독일.

  • @alala4290
    @alala4290 Год назад +9

    영상 하나하나 주제도 색다르고 내용도 충실하네요.
    앞으로도 계속 찾게 될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해요.

  • @LEEkyouho
    @LEEkyouho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유럽방식이 좋은거 같아요 도심지에 신축하기가 어려우니 부자들이 시외로 빠져나가 대저택을 짓고 도심지엔 중산층 내지는 하층민들이 방단위로 집을 쪼개서 세들어살죠. 얼핏 좁은 공간에 불쌍해 보일지 모르지만 도심지내 인프라를 가난한 사람들이 우선이용하게 되는 자연스런 구조가 만들어져 복지로 연결되죠

  • @gg51767
    @gg51767 Год назад +148

    유럽은 아시아처럼 인구밀도가 엄청나게 높은 도시가 파리나 런던을 제외하면 거의 없기도 합니다. 인구밀도가 높아봐야 대전, 광주 정도의 밀도인데 대전, 광주가 고층빌딩이 많진않죠. 당장 미국만 봐도 뉴욕과 시카고를 제외하면 스카이라인은 아시아보다 밀립니다. 생각보다 고층빌딩이 보편화되지 않았단 소리죠.

    •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Год назад +18

      파리의 경우 인구밀도가 서울 이상이예요. 대도시권인 일 드 프랑스만 해도 경기도 정도의 인구밀도를 가지죠, 인구 매우 많고 집중도도 높아요. 대신 구시가 중심지의 경우 19세기 부터 도시계획이 이루어져 고만고만한 아파트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죠. 가로수 하나 없이 돌 깔린 도로에 일층에 가게 이층부터 사람이 사는 5-6층 건물 그 안에 작은 중정이 있는.. 그런 구조.., 그런 아파트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녹지는 오히려 서울이 더 많은 듯 해요,.,, 근데... 교외 신개발지역가면 50년대 - 70년대에 지어진 20층 이상 콘크리트 아파트 건물 널리고 널렸어요. 처음 만들어질 땐 이것저것 디자인 설계에 신경을 많이 쓴 것 같은데...지금은 보수가 안 돼 축축하고 을씨년스럽지요,.

    • @QWER-wv5kn
      @QWER-wv5kn Год назад +30

      ​@@icylakepaxphile 한국의 대다수 도시들 서울포함은 산림때문에 실질인구밀도는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파리보다도 당연히 서울이 실질인구밀도가 높고요

    • @llillllii
      @llillllii Год назад +4

      ​@@QWER-wv5kn맞음 특정구역에 밀집되어있다기보다는 넓은 평원에 구역간 인구밀도의 차이가 엄청 크지는 않음

    • @jimlim5367
      @jimlim5367 Год назад +15

      ㅋㅋㅋ.. 이래서 사람은 여행도 많이 다녀보고 견문을 넓혀야함...
      뉴욕.시카고 뿐이 못가본 사람은 이런말을 할 지언정, 미국 10대 대도시 다 다녀본 사람은 이란말 못함....ㅋㅋㅋ

    • @yummy77777
      @yummy77777 Год назад +2

      @@jimlim5367 요즘 한번도 안가보고 진짜 지가 가봐서 경험담 얘기하는것마냥 거짓정보를 당당하게 싸지르는애들 왤케 많은거지...

  • @stivejin9281
    @stivejin9281 Год назад +136

    유럽은 과거부터 건축스타일이나 지붕의색깔 외벽의색까지 조화를 이루도록 규제를 했고 나름 잘나가던시절에 지어졌던 건축물들이 현재까지 보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과거 가난했던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국가들은 가난한 백성들이 살기위해 어거지로 지은 볼품없는 건축물들이 많았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건축물들은 앞에 유럽의 건축물들과 달리 보존가치가 거의없었고 따라서 경제가 발전하면서 싹 밀고 "이제 우리 이렇게 잘산다" 라는 느낌으로 초고층 빌딩들이 들어서는거죠.. 반면 유럽은 "우리 예전에도 이렇게 잘살았다" 느낌으로 과거 찬란했던 시절의 건축물들을 보존하는거구요.
    이런영상보면 꼭 달리는 댓글들중 오래된 건물은 무조건 보존해야하는걸로 이해하시는분들이 계셔서 써봅니다. 한국의 70-80년대에 지어진 편의성만 강조된 볼품없는 성냥갑 건축물들이나 지금은 없어진 피맛골같은 누추한건축물들은 없애고 재개발하는게 맞습니다. 북촌한옥마을이나 전주한옥마을 구서울시청 구서울역 같은(과거에도 괜찮게 평가되었던 건축물들)곳은 보존하는게 맞구요

    • @coke5409
      @coke5409 Год назад +6

      중국의 평요고성은 유럽 도시들하고 견줄만 한듯.

    • @me-jd5cp
      @me-jd5cp Год назад +16

      생활지옥이죠 보기는 좋은데 사는 사람이 불편하면 그것을 지옥이라고 하죠

    • @atrry4604
      @atrry4604 Год назад +23

      우리한국은 예전에 이슈화된게 장릉 경관에 무지성 아파트때려박아서 문제가됬는데 유럽과 너무비교된다 한국도시미관은 진짜 처참한수준

    • @atrry4604
      @atrry4604 Год назад +9

      한국도시미관은 중국은물론 동남아보다못한건 팩트 아파트는 한국의 상징 심볼이니까 이해가능한데 건물마다 사각형판때기 전등간판이 도배안된곳이없음
      전화번호 음식메뉴 사장이름 이거 진짜 꼴보기싫음 그리고 현수막 녹색방수옥상 보면 한숨만나옴 도시미관 전혀 신경안쓰고있다는게 보임

    •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Год назад +11

      너무 편협한 시각으로 단정내리듯이 판단하시네. 유럽은 지반이 단단한 평지에다 집을 지을 주변 자재들이 돌이 많아 돌로 건축물을 지어 오래 보존된 것입니다. 파괴하기도 힘들구요. 동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은 대부분의 건축자재가 목재였고 지반이 약하고 산지가 많아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가벼운 목조건축물을 지은 것입니다. 고대의 석조건축물때문에 개발이 제한되고 좁은 도로, 상습적 정체를 겪는 유럽보다 대표적 건축물만 남겨두고 현대적 건축물과 넓은 도로로 시원하게 단장한 한국의 거리풍경도 아름답게 느껴지고 좋습니다.

  • @hgcjs
    @hgcjs Год назад +39

    우리나라는 외세 침략에 전쟁까지..보존이 힘든 상황들이였음..프랑스, 잉글랜드 등 서유럽 국가들은 침략을하면 했지 침략을 받아본 경험이 많이 없으니 보존이 잘 되었겠지..

    • @gg51767
      @gg51767 Год назад +14

      영국이야 그렇다쳐도 프랑스는.. 나폴레옹 전쟁, 보불전쟁, 2차대전까지 100여년간 파리가 적군에 함락당한적만 3차례나 있습니다. 그외에 프랑스혁명과 파리코뮌으로 파리가 뒤집어지기도 했구요. 서울 이상으로 굴곡진 곳입니다

    • @bisangdsdww
      @bisangdsdww Год назад +8

      침략을 당한게 아니라 전쟁으로 많이 부셔진거죠 항상 전쟁은 서유럽에서 터졌으니

    •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Год назад +7

      침략을 당했어도 지반이 단단한 평지에 석조건축물을 지어 왠만한 전쟁에도 잘 버티었던 거죠. 동양은 산지가 많고 지반이 무르고 자연과의 조화로 가벼운 목재건축물을 주로 지었던 것이구요.

    • @LauriFan
      @LauriFan Год назад +2

      외세 + 일제시대 + 6.25 = 펑

    • @hyungjunkim7564
      @hyungjunkim756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목조건축은 애시당초 보존도 쉽지 않고 유럽의 옛 건축도 현대 기술의 집보단 불편하긴 하지만 그래도 현재도 유지하며 살 수 있는 수준인데 한옥은 단점이 상당히 많은 건축형태임

  • @mkj8722
    @mkj8722 Год назад +44

    결론은 못짓는게 아니라 안짓는거... 그러니까 고층빌딩 있다고 착각하지말자

  • @Jaro-89
    @Jaro-8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경복궁 주변 건물이랑 같이나온 사진보면서 멋있다고생각했었는데 유럽인들 입장에서 알고보면 브뤼셀화한거였었네
    유럽사람들이 경복궁보면서 고대와현대가 같이있다고했던게 돌려까기였었구나… ㅋㅋ

  • @노노-i3j
    @노노-i3j Год назад +46

    우리나란 아파트뷰를 만들어버렸지ㅋㅋ

    • @박Sh-w5l
      @박Sh-w5l Год назад +15

      아파트가 아니고 닭장입니다

    • @insunghan7120
      @insunghan712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아파트가 익숙해서 좋다

    • @퍼리당
      @퍼리당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박Sh-w5l구조도 똑같은데 진짜 닭장같네 ㅋㅋ

    • @깬요
      @깬요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그래도 낮은거 ㅈㄴ많은것보단
      아파트나 빌딩들 많은게 더 나으니까ㅋㅋ

    • @rg8456
      @rg8456 3 месяца назад

      ​@@깬요그냥 도시계획을 실패한거임. 옆나라 일본만봐도 도시계획 철저하게해서 난잡하지않아.

  • @아르마딜로-w8z
    @아르마딜로-w8z Год назад +14

    우리나라는 주변에 나가서 산책하면 공원밖에 볼께 없다..

    • @파산왕국
      @파산왕국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아파트만 보임 ....

    • @초딩-q8i
      @초딩-q8i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해운대도 가보니까 고층 건물만 짓고 삭막 낭만 거리도 다 뿌시고 없어지고 옛날 그 집이나 거리나 동네나 가게는 일시적인 장소 아파트도 재건축 기억 속에나 정든 곳을 간직 해야 될듯

  • @swwoo1955
    @swwoo1955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유럽에 고층이 없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문화유적이니 도시미관 어쩌구 하는 건 현대에 와서 관광 때문에 하는 말이고.... 실제로 고대, 중세 런던이나 파리의 모습은 대성당이나 왕궁 빼고는 없음.... 영국, 프랑스가 근대에 잘 나가기 시작하면서 중세건물들을 부시고 건물 건축을 한게 지금의 모습... 한마디로 유럽판 근대 분당, 일산 신도시같은 거임.... 초기 산업혁명으로 마차와 차량이 다니기 시작할 때 지은 건축물 도시라 현대에 와서도 굳이 부시고 다시 지을 필요없이 내부수리만으로 사용가능함.... 게다가 유럽은 로마의 건축양식을 배웠기 때문에 건물과 건물을 붙여서 지음... 한 건물만 부수고 건물을 지을 수가 없음... 그리고 유럽이 낮은 건물이 대다수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건 건물 높이가 비슷해서 그렇지 가까이서 보면 5~6층 정도되는 비교적 낮지 않은 건물이 그야말로 빽빽하게 도시전체에 붙어 서있어서 건물이 숨막히게 들어서 있음... 생각보다 밀도가 상당히 높아서 굳이 구역에 돈많이 들여서 그 붙어있는 건물들을 허물고 큰 빌딩을 짓지 않아도 별 문제 없음 오히려 이렇게 빽빽하게 지은 덕분에 가로수나 녹지 공간이 별로 없고 집 구하기가 너무 어려움... 집도 너무 낡아서 문제가 많음... 유럽 대도시는 주변에 산이 없어서 굳이 공원을 안만들면 도시에 녹지가 없음 우리나라가 공원이나 녹지가 부족하다는 전문가들 개소리 들을 때마다 웃김.. 우리나라는 산으로 도시가 둘러쌓여 있고 도시 내부에도 산이 있어서 녹지는 유럽보다 훨씬 많음.. 가로수도 길마다 있고 공원도 마을마다 있음... 그런데 녹지가 부족하다고 공원을 만들겠다는 전문가들은 지들 밥그릇 챙기려는 것... 유럽이 물론 문화재를 위해서 개발제한 하는 것도 있는데 관광 목적이 더 큼

  • @watchvideo4640
    @watchvideo464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고층건물 제한 법은 어느나라나 존재해요. Building code 및 zoning에 따라서 도시 및 구역의 형태가 영향을 받습니다.

  • @NADOYAGANDA
    @NADOYAGANDA Год назад +5

    이방인인 내가 보기에도 파리의 투르 몽파르나스는 생뚱맞기 짝이 없네요. 처음부터 마천루의 도시로 지어진 것도 아니고 지 혼자 시커먼 게 우뚝 솟은 모습은 주변과 어울리지도 않고 부조화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그렇다고 철거할 수도 없고 파리의 큰 고민이겠네요.

  • @gogoki112
    @gogoki11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이런거 볼 때마다 본질을 중요시 하는 유럽인들,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는 모습과 허례허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한국 사람들의 차이가 느껴집니다.

  • @haeyeonglee
    @haeyeonglee Год назад +11

    유럽은 기본적으로 위도가 높기때문에 안그래도 태양빛이 도달하는 양이 다른대륙보다 적은데 그런 상황에서 고층빌딩을 짓게 된다면 다른 건물의 일조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walkingtraveller670
    @walkingtraveller67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오르세 박물관뿐만아니라 유럽 대부분의 나라가 오래된 건물을 허물고 지을때는 겉외관은 그대로 살려야하가때문에 속만 허물고 외관은 그대로 놔뒀다가 같이 합체하지요, 저도 영국에 처음 왔을때 참 신기했는데요, 살다보니 참 잘된규정같아요.한국은 뭐,,전쟁도 있었겠지만 그나마 남아있던 건물도 죄다 때려부수고 새건물만 잣고 그것도 날림이 많아서 몇십년후에 또 때려부수고 다사짖기를 반복하는걸보면 본받아야해요

    • @보르그랜드-Bolgland
      @보르그랜드-Bolgland Месяц назад

      워낙 성당과 같은 종교건물들이 웅장하고 화려하기 때문에 별다른 고층건물을 지을 필요성을 못 느끼는듯 합니다
      고층건물이 아니더라도 충분히 사람사는 데에는 풍요로운 건물이 유럽에는 많으니까요

  • @신중용
    @신중용 4 месяца назад

    구도심 외부의 신도시 쪽에 가면 조금 세워져 있지요. 런던이나 파리는 외곽 쪽에 좀 보임. 예외적으로 런던이나 프랑크푸르트는 구도심에 세워짐.

  • @taiminkim8913
    @taiminkim8913 Год назад +5

    굳이 법까지 만들어야 싶냐니.. 저런거에 대한 충분한 사회적 의논이나 법이 없는게 이상한거죠, 그러니 도시가 중구난방이 되지

  • @carrot0204
    @carrot0204 Год назад +58

    서울이 제일 심함 ㅋㅋ 아파트 공화국... 진짜 지랄맞은 도시임

    • @댕댕오너
      @댕댕오너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4

      하 진짜 새장같은 칙칙한 아파트단지로 가득찬거 보면 마음까지 우울해지는 느낌

    • @wkssazevdh3784
      @wkssazevdh378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7

      ㄹㅇ사람이 은근 환경에 영향 많이받는 개복치같은 동물인데 우리나라 도시미관보면 한숨만 나옴..

    • @내면평화
      @내면평화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처음서울갔을때는 멋있어서 감탄했는데

    • @user-zn7zo4jc1k
      @user-zn7zo4jc1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국에 볼게 ㅈ도없으니 그럴수밖에

    • @파산왕국
      @파산왕국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아파트 규제 법좀 제발

  • @leechanghyun
    @leechanghyun Год назад +14

    영상 너무 재밌네여 ㅎㅎㅎ 앞으로 무조건 잘되실 채널이고 이미 꽤 유명하신거 같은데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부탁드릴게여 ㅎㅎㅎ

    • @atrry4604
      @atrry4604 Год назад +2

      우리한국은 예전에 이슈화된게 장릉 경관에 무지성 아파트때려박아서 문제가됬는데 유럽과 너무비교된다 한국도시미관은 진짜 처참한수준

  • @James_burn
    @James_burn Год назад +41

    아주 유용했어요..우리나라 보면 특히 서울..아무런 정체성이 느껴지지 않아요.

    • @홍영택-u1i
      @홍영택-u1i Год назад +2

      한국의 정체성
      ->> 천민자본주의?!

    • @shinwoori84
      @shinwoori8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그거대로의 정체성이 되어버린거죠. 도시는 그 곳 사람들의 욕망이 반영되는거니까요.

    • @songsong2072
      @songsong2072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성냥갑마냥 찍어만든 아파트 단지. 돈에 눈 먼 건설사와 공무원의 콜라보로 도시 경관은 그냥 쓰레기죠

  • @blackdragonangrycat
    @blackdragonangryca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여담이지만 현대 건축의 아버지이자 아파트란 개념을 처음으로 시도했던 '르 코르뷔지에'의 파리 도심 구상안은 기존에 있던 오래되고 낡은 건물들은 싹 밀어버리고 대형 아파트와 넓은 도로 그리고 공원들로 채워버리는 것이였는데 당연히 파리의 본 모습을 너무 사랑했던 높으신 분들은 이 구상안을 철저히 무시했다고... 대신 그 구상안은 대한민국에선 엄청난 대박을 일으켰다는거.

  • @rayesong4248
    @rayesong4248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유럽내 탄산수 제공하는 석회암 암반과 뉴욕 맨하탄일대 및 대한민국의 화강암 암반이라는 지질학적 차이도 고층과 저층빌딩 건축에 차이를 두지 않을까요?

  • @나소영-q3w
    @나소영-q3w Год назад +28

    우리 나라도 경주에는 고층 건물 없어요. 법으로 못하게 되어 없어요.여기 저기 높은 무덤 천지안데,건물이 막아 버리면 안되니까요.

    • @파산왕국
      @파산왕국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유럽은 이해하는데 경주는 별볼거없는데 그냥 풀어주지

    • @하하-f7k
      @하하-f7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경주는 시골인데 고층지을 이유가없죠ㅎ

    • @퍼리당
      @퍼리당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하하-f7k그래도 예전에는 수도였던곳인데 도시로 발전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 @오동규-f5o
    @오동규-f5o Год назад +29

    유럽의 오래된 건물들이 아직도 튼튼하고 사람들이 잘 적응하는 이유 중 하나는 수도배관 입니다. 아주 오래된 배관이 모두 동파이프 입니다.
    그리고 노출형 입니다. 녹슬지 않고 수리도 쉽고 인체에 무해하고 건물의 내적 약화를 일으키지도 않고 ... 이는 미래에도 적용되어야 할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 @자가주도영어학습
      @자가주도영어학습 Год назад +27

      날씨가 안추워서 동파가 잘 안되니까 외부에 배관을 배치하죠. 한국에선 겨울에 영하 10도, 20도라 툭하면 바깥에 배관을 두면 수도관 파열되요.

  • @한시민
    @한시민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전쟁이후 너무 열심히 달리다고 달리다 뒤돌아보니 잃은 것이 너무도 많습니다.

  • @아를레키노-p9t
    @아를레키노-p9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청주 사람인데 제발 고층빌딩 많이 지어줬으면 좋겠음....
    고층빌딩 없어서 시골동네라고 조롱 당함;;

  • @김관석-m5v
    @김관석-m5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문화유산을 지키는 것은 좋은데
    한편으로는 불편하겠다 일상생활때문에 ㅎ

  • @미이하-v6y
    @미이하-v6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럽에도 고층빌딩 있어요.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에 다 있습니다. 다만 구시가지는 굉장히 역사가 오래되고 보존가치가 높아 관광객들이 잘 안다니는 신도심에 만들 뿐이죠. 고층빌딩이 많아 보이는 도시들은 개발 역사가 짧거나 기존 구도심이 보존되지 않은 도시들입니다

  • @philsman3694
    @philsman3694 Год назад +3

    유럽처럼 고대 중세 근현대로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찬란한 건축 문화가 없는 넘들이 초고층 빌딩 높이로 경쟁하는 것임.

  • @giokyun
    @gioky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유럽에서 가장 놀랐던 도시가 바르셀로나였음..무슨 레고랑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처럼 도시가 계획되어 있었고 건물 하나 하나가 더 유적수준에 그렇다고 피렌체처럼 작은 동네도 아니고 아무튼 인생에서 꼭 한번 가봐야 하는 유럽도시 두개 꼽자면 로마랑 바르셀로나임..

  • @illililillli
    @illililillli Год назад +12

    유럽은 1900s 초반 영상 찾아보시면 그때부터 푸들같은 강아지랑 같이 고급레스토랑에서 럭셔리하게 입은 주인이랑 나란히 같이 밥먹고 있더라구요😅😊

  • @521Qom-gv8ke
    @521Qom-gv8ke Год назад +9

    보통 고층빌딩은 아시아국가나 개발도상국등이 고층빌딩에 집착하죠..열등감 자격지심?

    • @한국집-z8t
      @한국집-z8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미국은?

    • @헿스펀지밥
      @헿스펀지밥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뉴욕 도쿄 홍콩 싱가폴이 개발도상국인가 ㅋㅋㅋㅋㅋㅋㅋ

  • @yhjang2804
    @yhjang2804 Год назад +4

    유럽도시들은 강력한 건축규제를 하고있어 새건축물을 마음대로 지을수가없어
    사전에 관활기관에 가서 건축물심사를 받아야돼
    저층건물도 시정책에 어긋나면 바로 퇴짜여

  • @Hanguoalu
    @Hanguoalu Год назад +3

    제국주의 시절 향수에 젖어있는것.
    자신들이 천하다 여기던 아시아, 자기들이 씨 뿌린 땅인 아메리카 등
    현재 유럽은 세계시장에서 옛날에 비해 많이 초라해진상태인데!
    옛날의 영광이라도 남기고 싶었겠지!

  • @조승환-v4z
    @조승환-v4z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현업에 종사하는 사람들한테는 골머리 썪힐 일이지만 정말 좋은 규제라고 봄!
    트루 빌딩은 딱 봤을때도 이질감 너무 늦겨지고 브뤼쉘 건물도 너무 터무니 없어서 저런 규제 좋은듯
    한국은 땅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아서 너도 나도 고층 아파트 짓기 바빠서 그렇지 저런 규제 있으면 서울 외에 다른 도시들에 아파트가 많아지지 않을까 싶다..발전도 될거 같고.. 대신 수도로서의 역할이 읎어지려나

  • @groove.groove1
    @groove.groove1 Год назад

    근데 저래서 유럽이 부러운것도 있긴하네요. 한국은 목조건물이 많아서 다 무너졌는데 유럽은 보존이 잘 되어있으니 어딜가나 문화유산이고 엄격한 규제 덕분에 간판같은 것도 예쁘더라구요. 우리나라는 멀리서 보면 예쁜데 가까이서 보면 간판부터 건물 디자인까지 다 별로던데..

  • @q2750
    @q275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래됐지만 튼튼합니다 층간소음 없구요 굳이 돈들여서 무너뜨리고 새롭게 지을 이유가 없어요

  • @krystal1304
    @krystal130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프랑스 라데팡스 네덜란드 덴하그 쪽에 초고층은 아니더라도 고층 빌딩 많은데..

  • @TeRrY-z3v
    @TeRrY-z3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유럽이 엣스러운 멋이 있지말 살기엔 불편할듯하네요

  • @mardaekku
    @mardaekku Год назад +2

    투르 몽파르나스 타워..뭐라고 포장하든 반대하는 입장 이해가 된다

  • @김주호
    @김주호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파리 예전에는 300만명이였는데 이제 곧 200만 됨. 고층은 거녕 유지도 빠듯. 서울은 지금 까지 엄청 성장했지만 곧 폐허가 될지도...

  •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한국처럼 옛날 건 다 빻아버리고 새롭고 거대한 건물을 짓고 채광을 확보하고 첨단시설을 넣어 현대적인 삶을 추구하는 게 훨씬 낫다. 좁고 칙칙하고 어둡고 냄새나는 건물은 싫다.

  • @장기태-q6c
    @장기태-q6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유럽의 건물들은 2차대전때 부서진걸 복원한게 많습니다.
    파리만 폭격을 당하지않았지요.
    실제로 유럽인들은 불편해 한다는겁니다.
    서구의 건물은 돌이라서 언젠가는 무너진다는 겁니다.
    실제로 일부 성당들은 너무 오래 되어서 골치고 신자가 줄어서
    유지가 힘들고 성당을
    무슬림에게 판답니다.
    대한민국은 6.25때 다 부서졌구요.
    목재라 남아 있는게 거의 없지요.

  • @성희-e2o
    @성희-e2o Год назад +25

    한국은 부의 상징으로 강남만가도 70프로는 외제차에 대형세단인데 일본은 왜 한국보다잘사는데도 대부분 경차를타는지 한번 영상올려주세요ㅎㅎ

    • @yummy77777
      @yummy77777 Год назад +7

      미국도... 잘사는애들 초호화저택단지 가봐도 토요타 구형타고다님ㅋㅋㅋㅋ

    • @eesle.gooook
      @eesle.gooook Год назад +21

      일본이 이상한게 아니라 한국이 비정상적으로 명품과 외제차에 집착하는것임. 일본은 왜가 아니라 한국은 왜가 맞습니다.

    • @phs6026
      @phs6026 Год назад +2

      일본도 잘사는애들은 외제차 타고 댕김

    • @강현우-h3n
      @강현우-h3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차고지증명제+ 차량유지비가 비싸요

    • @파산왕국
      @파산왕국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과소비를 하지않고 돈을 아끼는거죠

  • @독구-t6h
    @독구-t6h Год назад +3

    뭐라냐 그것보다 홍콩같이 작은 섬은 인구밀집도도 높기때문에 건물을 높게지어서
    더 많이 수용하기위함이고 외국같이 넓은 땅떵어리는 면적도 넓은데 굳이 건물을 높게 지을 필요가없다

  • @yuntorisisatsu
    @yuntorisisats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경복궁 근처에 고층건물이 많아도 멋있는데 유럽도 고층건물과 전통건물이 섞여있으면 더ㅠ멋있을지 어떻게 알아

  • @MookyeongKim
    @MookyeongKi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참고로 예시로 영상에 나온 모스크바의 고층빌딩은 더 이상 러시아에서 높은 마천루가 아니랍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제1 라흐타 센터라는 마천루가 현재 러시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자 유럽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라네요. 462m로, 현재 세계 15위입니다.

  • @cultures_bites
    @cultures_bites Год назад +3

    투르 몽파르나스 타워가 아닙니다.. 투르가 타워임

  • @woonhoshin1690
    @woonhoshin1690 Год назад +4

    기존 건축물과 고층건물이 조화를 이루기는 힘들듯 싶은데요.

  • @SikiB-yg1lm
    @SikiB-yg1lm Год назад

    그래도 유럽 처럼 규제를 강화해서 높은 건물을 한곳에 박은것도 나름 스카이 라인이 규모가 작지만 괜찮게 보이는데 뭐 서울은 분산되어 있어서 스카이라인이 별로이고 성냥갑 아파트가 즐비해서 더욱더 별로임;;;

  • @천1재
    @천1재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어쩐지 유럽은 30년전 이나 지금이나 비슷하더라

  • @지피지기-o8b
    @지피지기-o8b Год назад +15

    우리나라 고층 아파트보면
    삭막함이 느껴집니다.
    어차피 50년후 재건축 될텐데
    유럽의 건축을 따라 갈수가 없죠
    보호전망 우리 나라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 @퍼리당
      @퍼리당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파트는 쫌 규제좀 있었으면....

  • @케이50셋
    @케이50셋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도쿄타워 옆에 지어진 아자부다이힐즈 붕괴마려움

  • @piltongman
    @piltongman Год назад

    몽페르나스 타워는...외국인인 내가 봐도 좀 뜬끔없음... 파리를 재개발 해서 고층빌딩 상업단지를 만들었으면 모를까 혼자 서 있는게 볼품없어요. 차라리 저 멀리 교외 일드프랑스 현대적인 빌딩단지 보이는게 더 멋져보임

  • @junkim1100
    @junkim110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리나라는 닭장같은 아파트만 즐비하지.

  • @백은광
    @백은광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유럽은 그냥 농촌입니다

  • @두대발
    @두대발 Год назад +3

    오르셰 가봤는데 그게 진짜 기차역이었군요

  • @soonsoo9184
    @soonsoo918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구밀도는 집중되는것보다 퍼지는게 두루두루 인간한테 좋아요

  • @mr.k2010
    @mr.k2010 Год назад

    그 당시의 최고의 재료를 사용하여 지었기에 아직까지 튼튼하게 사용이 가능해서 그런거임.

  • @강석봉-c5x
    @강석봉-c5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사람이 사람과 살아야 사람다워진다. 설계도

  • @황현석-b4i
    @황현석-b4i Год назад +1

    문화유산 앞에다 똥싸도 오줌싸는 노숙인들이 한둘이 아님. 근처에 가보면 악취가 진동을 함.

  • @jaekwon869
    @jaekwon869 Год назад +2

    유럽은 수정자본주의가 대세가 되면서 개발하고 이런걸 못해요. 주택 공급이 안되니 가격은 비싸고 도시는 오래되서 살기는 불편하죠. 중요한건 예전꺼 보면서 자위하는거죠. 한국인들 유럽 살면 우울증 걸립니다

  • @Kim-cn5bl
    @Kim-cn5b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층빌딩은 “주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고(피난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상업용 시설인데. 유럽에 그런 대규모 상업용 시설의 수요가 크지않죠 대규모 기업이 별로 없으니까요 그나마 파리, 런던에는 고층빌딩이있죠

  • @김진현-s5m
    @김진현-s5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나라는 제도가있어도 그냥 지어놓고 보자는식이잔아 그리고나서 안된다면 일딴 기다렸다가 고도를 다시살짝낮춰서 통과하잔아

  • @최병택-k9i
    @최병택-k9i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통을 지키려고 고층건물을 규제한다는게 부러운 마인드 이네요.
    부산 해운대는 해안가에 고층 건물을 지어서 태풍이 그곳만 더세게 지난다는 뉴스도 보았는데 그건 정말 아닌것 같네요.

  • @파파파-h2p
    @파파파-h2p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층인 대신에 도로가 왕복 2차선 4차선 수준으로 좁고 빽빽해서 인구밀도는 고층건물만 짓는거랑 다를게 없고... 고층건물들은 전부 외곽으로 쫓아냄

  • @oin6885
    @oin6885 Год назад

    고층건물도 있습니다😊😊

  • @SPG37
    @SPG37 Год назад

    법적으로 규제해놓아서 그렇군요...

  • @강민철-s2p
    @강민철-s2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우리나라 고층 1위 2위 롯데타워와 엘시티는 모두 비리로 지어짐

    • @lion9278
      @lion927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쯔쯧

    • @LEOmess1realGOAT
      @LEOmess1realGOA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세상에 비리가 없는 건물이 있겠음? 히다하다 조선시대 초가집도 비리가 있겠다

    • @강민철-s2p
      @강민철-s2p 8 месяцев назад

      @@LEOmess1realGOAT 엘시티 시행사 회장 구속되고 이명박 대기업 회장들에 삥뜯어서 징역 17년 받은게 비리가 아니면 이세상 비리는 종말이구나 무식꾼들

  • @레전드리-s5v
    @레전드리-s5v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내가 스페인 가봤는데 주변애 가우디성당이 제일 높드라 우리집 주변 빌딩 보다 작음 근데 그게 제일큼..

  • @joliekim9318
    @joliekim9318 Год назад +1

    La Défense 라데팡스 입니다

  • @하남홍
    @하남홍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거 전세계를 파괴한 국가들이 자국의 수도는 멋지게 지키는 모습 ㅜㅜ

  • @jungmiyoon7087
    @jungmiyoon7087 Год назад +8

    영국과 파리는 전통적인 선진국들이라 나라의 부심이 이미 있잖아요.
    GDP 뻠푸질해서 선진국 대열에 억지로 끼려고 애쓰는 나라들이나 부동산 고층빌딩 짓는 방법으로 발전되었다고 보이는 정책에 연연하죠.

    • @분뇨의질주-t2f
      @분뇨의질주-t2f Год назад

      Gdp 펌프질을 한 나라가 얼마나 있갈래ㅋㅋㅋ

    • @SldodkxkxkSchcashshssjxxjazjzi
      @SldodkxkxkSchcashshssjxxjazjzi Год назад +1

      @@분뇨의질주-t2f한국, 일본, 중동의 일부국가 등등

    • @분뇨의질주-t2f
      @분뇨의질주-t2f Год назад

      @@SldodkxkxkSchcashshssjxxjazjzi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gdp를 펌프질을 해는데?ㅋㅋㅋㅋㅋ

    • @Jakala837
      @Jakala83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분뇨의질주-t2f유일하게 gdp 측정 때 해외 까지 포함 + 부동산

  • @arslongavitabre
    @arslongavitabre Год назад

    고층에 살면 고급 인간이 아니고 고급 고생 인간이 되지... 어느 정도 높이가 넘으면 유지하기 살기가 다 어려워 짐

  • @strusinskakasia2831
    @strusinskakasia2831 Год назад

    프랑스 파리는 건축하는데... 이미 천문학적인 금액이 들어서. 만약 파괴되면 다시 복구가 불가능한 곳..

    • @opppgi406
      @opppgi40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차 세계대전 거치고도 잘만 복구함

  • @yummy77777
    @yummy77777 Год назад +12

    난 솔직히 초고층빌딩 많은게 더 좋은듯.
    아직도 뉴욕갔을때 맨허튼의 빼곡히 들어선 평균층수 80~90층 이상되는 초고층빌딩들의 압도감은 잊을수없음...

    • @sss-kh3cs
      @sss-kh3cs Год назад

      그 압도감 속에서 평생 살라하면 좀...

    • @yummy77777
      @yummy77777 Год назад +2

      @@sss-kh3cs 뉴욕빌딩이나 아파트도 대부분 별장같은 세컨하우스나 금융상품으로 쓰여요.
      생활주거용으론 많이 살진 않는다고 들음.
      뭐 뉴욕같은도시면 돈이 남아돌아서 평생을 온갖 사치생활하더라도 불어나는 은행이자도 다 못쓰는 사람들이 널려있을테니.....

  • @짱구는목말러-z4x
    @짱구는목말러-z4x Год назад +1

    한국은 필지디자인을 정말 못하는 나라라서 서울에 온통 카페 뿐이고 시민을 위한 공간이 전무하지. 유현준 특강을 듣고와서 서울이 얼마나 시대에 뒤쳐지는 도시인지 깨달았다.

  • @eyedee8966
    @eyedee8966 Год назад +3

    유럽의 오래된 건물은 석조 건물입니다. 당연히 오래 가죠. 그러니 보존해야 할 건물도 많습니다.
    전통을 위해 효율성을 포기하고 사는 겁니다. 라데팡스는 도심에서 비교적 멀어 현대식 건물을 지은 거고 런던은 2차대전 때 폭격을 많아 당해 고층건물을 지을 수 있었습니다.

  • @jaeminhwang1886
    @jaeminhwang188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광화문 인근 고층빌딩이 없는 이유 덕수궁 경복궁 경관을 해친다 층 20층이상 지을수 없음 그래서 강남 여의도로 다 이사간것임

  • @oseopsim2497
    @oseopsim249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가장큰 이유로 문화유산도 있지만
    유럽은 이른산업혁명으로 환경에대해 지식수준이 높습니다
    후진국처럼 인구밀도를 높히지 않죠

  • @hyunjinryu2831
    @hyunjinryu2831 Год назад +1

    파리와 런던의 월세가 비싼 이유네. 우리나라처럼 아파트 만들어버리면 되는데

  • @ruttatata2023
    @ruttatata2023 Год назад +33

    건물이 너무 낡아 에어컨 히터 조차 없어서 매년 수십명 수백명이 죽는거라면 저쪽 동네도 그렇게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는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 @wisdom1109
      @wisdom1109 Год назад

      애초에 에어컨없어서 죽을만큼의 날씨를 만드는 지구전체인간의 문제라고 생각하지않음?

    • @아이스뱅-k4g
      @아이스뱅-k4g Год назад +12

      @@wisdom1109 이건 뭔개소리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cschaplin10
      @cschaplin10 Год назад

      ​@@wisdom1109 시발 그걸 죽은사람들이 만들었어??

    • @sunnyday3656
      @sunnyday3656 Год назад

      @@아이스뱅-k4g 개소리라는 말 말고 제대로 반박해봐 ㅋㅋㅋ

    • @성게-b9k
      @성게-b9k Год назад

      ​@@wisdom1109그래서 너는 에어컨 안틀고 살고싶니

  • @김심초
    @김심초 Год назад +1

    베일속의 유럽 에펠탑 독일라인강 교희 성당 유럽은 정말 귀하다

  • @소닉-p9r
    @소닉-p9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옛 강대국에 무시 받지 않기 위해 고층빌딩을 세움 허세 떨기도 좋고 바로 눈에 보이니깐 허나 부자는 아파트 따윈 개나 주지

  • @김석봉-l4q
    @김석봉-l4q Год назад +1

    역시 유럽 위대함

  • @heispark
    @heispar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얼마나 잘 보존하셨길래 21세기에 노트르담 성당이 불타 무너졌을까요? ㅋㅋㅋㅋ

  • @명군이산
    @명군이산 Год назад +1

    대한민국 도시 건축물은 효율성 외에 다른 가치를 갖고 있을까? 중심가의 초고층 빌딩 만이 문제가 아니라, 그 보다 훨씬 많은 아파트로 뒤덮힌 회색 도시가 서울 이다. 요즘 지어지는 아파트는 45층이 넘는다. 이게 거대한 닭장 이지 사람 사는 곳인가? 건축미와 지역성, 역사성 같은 것은 내팽개친 우리나라 빌딩숲은 인간성 마저 고려 하지 않고 있다. 사각형의 거대한 사물함 같은 곳에서 한국인은 몇동 몇호 사는 사람으로 불리운다. 우리나라는 낮은 구릉이 이어진 산악국가 이다. 만일 아파트로 가려지지 않았다면 정말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갖고 있다. 그런데 산정상에 올라야 그 흔적을 볼수 있다. 밑에서 보이는 것이라고 아파트 베란다 창문 밖에 없다. 이걸 발전상이라고 떠들어 대는 것을 보면 한심하기 그지 없다.

  • @오영학-y1s
    @오영학-y1s Год назад +1

    어떻게보면 유럽이 좋다고 볼수도~!!!

  • @vivabusan
    @vivabusan Год назад +1

    부산 해운대 달맞이고개에 신축아파트 보면 기가 찹니다. 흉물임

  • @상철김-v5y
    @상철김-v5y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땅이 여유롭고 인구밀도가 낮은데 고층으로 지을필요는없쥐

  • @last_warrior_999
    @last_warrior_99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럽은 대부분 기독교문화가 건축양식에 영향이 미쳐 크고 예술적으로 건축되어 왔고, 제국주의 정복국가들이기에 건축물들이 온전히 보전되어 왔지만...울나라를 비롯한 약소국들은 건축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였고, 제국주의 국가들에 침략을 받으면서 오래된 건축유물들도 파손되고, 서민들은 전부 초가집에서 생계를 연명했으니....지킬 건축 유산이 극희 드물 수 밖에.

  • @behappy_ddukddak
    @behappy_ddukdda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런 영상 댓글창 보면 꼭 외국과 우리나라를 비교해서 우리나라가 미개하다 어쩐다 하는 댓글들 있음ㅋㅋㅋㅋㅋㅋ나라마다 사정 다른건데ㅋㅋㅋㅋ

    • @gogoki112
      @gogoki112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개한걸 미개하다고 하는게 잘못된 건가요?

    • @behappy_ddukddak
      @behappy_ddukdda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gogoki112 뭐가 미개할까요?ㅋㅋㅋㅋㅋㅋㅋ나라마다 사정 다른건데

    • @Kchris0318
      @Kchris031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gogoki112ㄹㅇ 유럽 살지도 않으면서 ㅈㄹ은

  • @수인-r5z
    @수인-r5z Год назад +1

    그냥 유럽 자체가 지반이 약하지 석회석지역이라 큰건물 자체를 못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