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은 식물이 아니다? 식물이 아닌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3 июл 2023
  • 바다의 식물, 해초라 생각했던 미역! 미역은 해초가 아닌 해조이기 때문에, 미생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럼, 미역 줄기 볶음의 주재료, 미역 줄기는 무엇일까요? 미역의 줄기는 '줄기부'라고 하며, 일반적인 식물 줄기와 다르게 지지 작용을 못합니다. 이렇게 미역이 속한 해조류는 '조류'라는 미생물 무리의 일원인데요, 전통적으로 원시 식물, 또는 하등식물로 간주되는 해조류는 뿌리, 줄기, 잎이 구별되지 않으며, 꽃이 없고 포자를 통해 번식한다고 합니다. 미역 외에도 김, 다시마, 파래, 매생이도 해조류로 분류가 되는데, 과연 어떤 특징이 있는지 영상을 통해 알아볼까요?
    #미역 #식물 #다시마 #해조류
    Thanks to
    촬영: 백승협, 김상우
    편집: 김동환
    kimyesbio@gmail.com
  • НаукаНаука

Комментарии • 25

  • @nabinara9419
    @nabinara9419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교수님 강의 들으면서 정말 많이 배우고 너무 유익하고 감사합니다.

  • @Rosencraft
    @Rosencraft Месяц назад

    해조류 배양, 생리생태 전공입니다.
    너무 잘 듣고 갑니다.😀

  • @user-vh8qo7tz2o
    @user-vh8qo7tz2o 5 дней назад

    오늘도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lastsailor
    @lastsailor Год назад +7

    예전 화장지쪽 회사에 있을 때... 저렴한 펄프(대부분 펄프는 해외에서 수입) 때문에 해조류 펄프연구를 꽤 찾아본 적이 있어요.
    연구나 시헝생산을 몇번 봤는데... 아직 목질/초질 섬유 펄프를 대신할 정도로 대량양산이나 상업용 양산은 못봤습니다.
    특히나.. 해조류에서 추출한 섬유로 만든 화장지, 종이 등이 괜찮은게..
    일단 육상의 우림같은 자원을 낭비할 필요가 없고... 또 증식속도가 어마어마하거든요... 말씀하신 녹조나 홍조처럼.
    그래서 만약 해조섬유 펄프로 화장지/종이를 양산할 수 있게 되면
    일단 시장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가격 경쟁력도 생기고, 우림도 보호하고(회사로서는 ESG에서 점수!!), 탄소포집(정확히는 회사의 탄소배출권 절감이나 판매)에 도움을 줄 수도 있어서,
    꽤 자료 찾아봤는데... 아직 본격적인 해조섬유 펄프 얘기는 없는 거 보니 쉽지가 않은가 봐요...

  • @ddemmkkimm
    @ddemmkkimm Месяц назад

    생물 시간에, 산소를 만들어내는 식물이 많아지는데 왜 산소가 결핍이지 생각했습니다. 수십년이 지나서야 알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

  • @phochumong
    @phochumong 2 месяца назад

    구독이후 꾸준히 시청하고 있습니다. 너무 재미있는 영상 감사합니다. ❤

  • @goldenbuglab
    @goldenbuglab Год назад +2

    오늘 강의도 엄청 어렵네요.
    식물 : 광합성을 하는 녀석들+그로부터 진화한 녀석들
    동물 : 다른 것을 잡아먹는 녀석들
    균류 : 죽은 걸 먹는 녀석들....
    저는 그냥 이렇게 간단히 생각해야겠습니다. ^^
    좋은 강의 고맙습니다.

  • @mjyoon5903
    @mjyoon590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수님, 재밌습니다 ~ 풀영상 보러 갑니다 !

  • @user-kd1hy8wb9w
    @user-kd1hy8wb9w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 뮤익합니다. 강의 감사드려요

  • @ottoman7148
    @ottoman7148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오늘아침도 미역국 먹었는데 미역이야기가 딱!!! 미역이 식물인 즐 알았지 미생물일 줄은 생각도 못해봤네요. 알고 대하는 것과 모르고 대하는 것의 느낌이 이렇게나 다를 수 있네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cl4tj7tg4c
    @user-cl4tj7tg4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수님 재미있어요

  • @hunterjoe6062
    @hunterjoe6062 Месяц назад

    과거에는 한자를 보면 뭔가 심오한 뜻부터 있나 생각했는데, 시대가 변하면서 지금 보는 한자는 볼수록 너무 원시적으로 보임. 지금보면 그냥 그림. 21세기에 상형문자ㅎㅎ

  • @myself6996
    @myself6996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수님 슈카를 아심미까?

  • @drmphy
    @drmphy 3 месяца назад

    해초 많이 길러봐야 해초를 지하 깊은 곳에 묻는 게 아니라 먹어서 소화를 시키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서 공기중으로 날아감

  • @sunnysonny4914
    @sunnysonny4914 Год назад +2

    에휴..... 자연 상태에 있는 해조류를 많이 먹으면 이산화탄소 감축에 일조하는 거지만, 양식으로 인위적으로 생산량을 늘린 다음 소비하는건데 뭔....

    • @traditional_airconditioner
      @traditional_airconditioner Год назад +5

      양식하는 해조류는 광합성 안하나보다?

    • @user-gk9dd1cw9m
      @user-gk9dd1cw9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 @sunnysonny4914
      @sunnysonny491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traditional_airconditioner 양식할 때 디젤 엔진 배 타고 나가서 수거해서 찌고, 가공하고 유통하는 과정에서 탄소가 또 배출되고, 소비하고, 인위적인 소비 수요가 진작되고 그 과정에서 양식의 경지가 늘어나고, 이런 부분이 안 보이니 광합성 안 하나보다??? 요 gr. 온도에 따라 식물이 배출하는 산소/이산화탄소 밸런스 변화도 모르니.... 넌 그냥 배달이나 해라.

    • @traditional_airconditioner
      @traditional_aircondition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sunnysonny4914 그렇게 치면 자연산은 수영해서 따러가냐? 자연산은 뭐 안찌고 안가공해서 처먹어? 오히려 채집하기 어려운 자연산이 더 디젤 엔진
      많이 쓸 것 같은데?
      그리고 온도에 따른 광합성량 호흡량 변화 당연히 아는데 그게 논지에 맞냐? 자연산이랑 양식 비교하는데 온도에 따른 이지럴.
      니 논리면 옥상에 정원 만드는 것도 차타고 씨앗 사와서 뿌리고 플라스틱 물조리개로 물주니까 환경에 해롭겠다?

    • @user-zu8yk2si9c
      @user-zu8yk2si9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에휴 말하는 꼬라지 보니.. 주위에 사람 없을 듯 하다 ㄷㄷ

  • @sunnysonny4914
    @sunnysonny4914 Год назад +1

    해조류 수거, 가공, 포장, 유통, 소비까지 소모되는 자원 &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아따 자네가 묵어부렸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