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첫발을 내디딘 조선 유생들이 받은 문화 충격|조선사, 근현대사, 보빙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조선사 #근현대사 #보빙사 #갑신정변
    1882년,
    조선은 미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맺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인 1883년,
    미국에 사절단을 파견했는데,
    사절단의 이름은 '보빙사'였습니다.
    민영익, 홍영식, 서광범, 유길준 등
    엘리트 개화파를 중심으로 구성된 보빙사는
    처음으로 미국에서 서구 문물을 접했고,
    이후 민영익, 서광범, 변수 세 사람은
    유럽 등 세계 각지를 여행하는 기회도 얻게 되었습니다.
    보빙사 중 유길준은 일정이 끝난 후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남아 유학했으며,
    그는 '서유견문'이라는 서구 문물 소개집을 집필했습니다.
    '서유견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조선'의 유생들이 본 '서양'은 어땠는지,
    오늘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참고자료]
    개항 시기 미국 파견 조선 사절단이 경험한 태평양 항로와 세계 일주 - 보빙사 일행과 주미공사 박정양을 중심으로|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조세현
    알기 쉽게 번역한 서유견문|(주)박이정출판사|유길준 지음|이한섭 옮김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
    contents.histo...
    www.chosun.com...
    ko.wikipedia.o...
    www.ohmynews.c...
    www.monews.co....
    [BGM]
    1. King's Men - Biz Baz Studio (유튜브 오디오)
    2. A Fool's Theme - Brian Bolger (유튜브 오디오)
    3. Prisoner of Darkness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Prisoner of Darkness

Комментарии •

  • @강구속
    @강구속 10 дней назад +21

    미국 갔을 때 저들은 얼마나 큰 문화 충격을 느꼈고 썩어빠진 조선을 얼마나 개혁하고 싶었을까.

    • @user-zr1wc4gi5i
      @user-zr1wc4gi5i 6 дней назад

      그래서 친일파가 되어 갑신정변을 일으켰지만 실패했고 그 후폭풍으로 조선은 더더욱 강력하게 문을 걸어잠금

  • @MrDerek0518
    @MrDerek0518 10 дней назад +7

    무료에다가 군함까지 제공해서 세계일주를 시켰주겠다고 한 건 대단하네요. 그러나 보빙사 단장인 민역익은 일본 이와쿠라와 달리 나라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큰 프로젝트를 수행할 능력도 없는 수구적인 인물이었죠. 단지 부모를 잘 만나서 단장을 했고, 관광만 하고 왔죠........ 그리고 이들의 미국 방문과 세계일주를 보고 받고 제대로 된 개화정책을 실시하느냐 마느냐 등 왕의 능력차이가 일본과 조선의 차이였죠. 그 차이가 아시아의 유일한 열강이 되느냐 아니면 식민지의 하나가 되느냐를 결정했고요.

    • @성공-z4k
      @성공-z4k 8 дней назад

      이와쿠라 고메이 천황 독살의혹있는 무서운사람이죠

  • @honaldoo7
    @honaldoo7 9 дней назад +2

    지금도 미국에 갔다오면 한국이 작아보이는데 저당시는 어땠을까..

  • @jwc4684
    @jwc4684 10 дней назад +1

    드디어 세계 속에 던져진 조선의 이야기군요.
    앞으로의 내용도 기대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내용 정말 감사합니다😊

  • @dong-t2h
    @dong-t2h 5 дней назад

    민비 덕에 조선의 2인자가 된 민영익
    그가 서구를 보고 서광범 등과 같은 생각을 했다면 ?

  • @moon-jh-r4x
    @moon-jh-r4x 2 дня назад

    사실 일본은 이전부터 서양 문물이 어느 정도 들어와 있었고 사스마,죠슈 같은 강한 번들이 개혁 후 덴노와 같이 개혁을 할 준비가 된 나라이고 조선은 왕실이 이권을 버릴 생각이 없어 미국에 갔어도 뭐 아 그렇구나 하고 끝났지 뭐

  • @bedajon2338
    @bedajon2338 10 дней назад +6

    미국의 너그러움

    • @이태연-t7j
      @이태연-t7j 10 дней назад +1

      🇺🇸🇺🇸🇺🇸🇺🇸

  • @panicbirds
    @panicbirds 9 дней назад +5

    옜날이나 지금이나 미국응디가 따시다...미국성님들 아니였으면 아직도 일본애들 밑에서 3등 식민으로 살아갔겠지...거기다 한글도 못쓰고 히라가나, 카타가나 사용했을것이다.

  • @최경혜-q4r
    @최경혜-q4r 9 дней назад

    개인이나 국가나 때가있는법 일본은 20세기 한국은 21세기 일본이 힘들차례다 지켜보자

    • @youto8160
      @youto8160 9 дней назад +2

      응 이미 공산화98프로 완료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9 дней назад +1

      이미 한국은 피크 찍었어요 ㅋㅋㅋ 이제 내리막길. 인구 소멸과 능력자 해외유출로 가난에 허덕이고 세금 50% 낼 준비 하세요.

    • @honaldoo7
      @honaldoo7 9 дней назад +1

      한일 둘다 현상유지하면 다행이지 일본도 안정적이다 안정적이다 이러지만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않고 한국도 마찬가지

    •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9 дней назад +2

      @@honaldoo7 다들 자국우선주의로 탈세계화가 진행되는와중에 일본은 내수 시장이라도 있지만 한국은 수출주도 경제에 내수도 안되고, 인구도 더 급격하게 고령화되죠.

  • @이그워클
    @이그워클 10 дней назад +2

    해외 나가서 쿠데타라는 못된 것만 배우고 와서 깽판을 친게 문제지

    • @stivejin9281
      @stivejin9281 10 дней назад +7

      정말 조선스러운 답글이네요. 일본의 개화파는 세계를 돌아본뒤 자국에와서 막부에 반란을 일으켰고 막부를 끝낸후 메이지유신을 통해 일본을 열강의 반열로 올랐습니다. 그 내전은 비록 처참했지만 결과는 부국강병이였죠. 반면 조선은 개혁이 실패하고 일본 식민지로 전락합니다.,

    • @김성현-q4h5v
      @김성현-q4h5v 10 дней назад +3

      바보같은 댓글이네요

    • @byunpks
      @byunpks 10 дней назад

      내란견 ㅋㅋㅋ

    • @이그워클
      @이그워클 9 дней назад

      @@김성현-q4h5v 갑신정변이 그럼 성공한 정변인가? 지금도 개혁을 주장하는 정당원들이 외국 군대 끌고와서 자기랑 사상 다른 국회의원들을 총으로 죽이면 얼마나 난리가 날까? 갑신정변은 19세기고 고종이 보는 앞에서 대신들 6명 이상을 칼로 찔러죽였음, 이 사건은 고종한테 충격으로 다가왔고 개혁에 미지근한 태도를 주는데. 영향을 주게됨, 이때부터 개화에 대한 반감이 심해져서 위정척사 사상도 더 강해졌는데 깽판이 아닌가?

    • @이그워클
      @이그워클 9 дней назад

      ​@@stivejin9281그래서 갑신정변이 성공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