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차림이 뭐길래?!🧐 / 알아차림 해야하는 이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알아차림 #감정수용 #마음공부
    알아차림이 없는 감정수용, 내면아이 치유, 무의식 정화, 명상은 없습니다.
    그만큼 마음을 들여다본다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것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알아차림은 무엇인지, 알아차림을 왜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담아보았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마음챙김 #무의식정화

Комментарии • 31

  • @riize_mz
    @riize_mz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제 내면 습관을 바꿔나가야겠네요~ 알아차림과 감정수용의 자세로 바꿔나가겠습니다!

  • @조찬상
    @조찬상 3 месяца назад +2

    막연히 짐작한 부분이 많았던 "알아차림"을 정확하게 이해하게 해주셨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 () ()

    • @mind-echo.
      @mind-echo.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찬상님 안녕하세요 :) 도움이 된 부분 남겨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 @user-yh2kc6tz9l
    @user-yh2kc6tz9l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쉽게 이해되었습니다~
    소중한 내용의 영상 제작+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yh2kc6tz9l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김승영-w7e
    @김승영-w7e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이영상을 하루에 몆번씩 보면서 알아차림 연습을하고 있어요..신기하게도 알아차리니 화가조금 없어지는 경험을 합니다
    열심히 연습할께요^^
    항상 감사합니나

    • @mind-echo.
      @mind-echo.  4 месяца назад

      @@김승영-w7e 승영님 안녕하세요🙂 이렇게 후기 남겨주시니 힘이 됩니다 저도 감사합니다🌻

  • @oo-xg9hw
    @oo-xg9h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감사합니다 😀
    감정은 손님이고
    저는 집주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손님은 잠시 왔다가 가는거지요~ㅎㅎ
    저는 그냥 그걸 지켜보고 보내드립니다^^
    감정과 나를 분리하세요^^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oo-xg9hw 안녕하세요🌿 같이 생각해 볼 수 있게 나눔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나나-i7j7i
    @나나-i7j7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다음영상 너무 기대되요 ㅎㅎ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저도 감사합니다 :)

  • @jl1166
    @jl1166 3 месяца назад +2

    오늘 우연히 알게되어서 영상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mind-echo.
      @mind-echo.  3 месяца назад

      @@jl1166 안녕하세요🥰 저도 감사합니다

  • @상상-g5n
    @상상-g5n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자세한 설명 최고!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늘 감사합니다☺️

  • @안영태-g6p
    @안영태-g6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알아차림을 어려운데 다음에도 이야기햐주신다니 기대되네요
    알아차림도 명상할시간도
    사는데찌들어 하고자하는 마음이 안올라오는데...
    오늘영상으로 다시 맘이 일어나네요
    감사합니다^^\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태님 안념하세요~ 늘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영태-g6p
      @안영태-g6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mind-echo. 감사합니다^^\

  • @ledap4823
    @ledap482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정말 중요한 알아차림! 들으면서 10분 동안은 또 알아차림 했네요;.. 감사합니다!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저도 댓글 보며 알아차림 했어요 😊 감사합니다

  • @심플-k1j
    @심플-k1j 3 месяц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mind-echo.
      @mind-echo.  2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 감사합니다

  • @안영태-g6p
    @안영태-g6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4

    계란을 삶다...
    에너지는 사랑이다???
    무거운에너지는 가벼운에너지의
    도구가된다
    계란이 삶기듯
    생각감정덩어리는 뜨거운 에너지 안에서
    익어가듯
    현실에 생각감정들의 재료들이 있어야
    밝은 에너지가 쓸모있게된다
    그래서 둘이하나가 되어 이치롭게된다
    무의식정화 알아차림...
    이모든것이 생각감정이라는 재료로
    맛있는음식을 만드는 인생요리
    재료가없으면 음식도 없다
    밝음 무 공만 있으면
    현실에선의미잃은허공일뿐
    생각감정이 있기에 밝음무공이 있어진다
    그사이에 알아차림 무의식정화가
    삶을 요리하는 도구가된다
    제생각입니다^^/
    한글더올려봅니다^^
    많이알려주세요 선생님^^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영태-g6p 🥰🌿

  • @Yoooo-d9q
    @Yoooo-d9q 4 месяца назад +3

    선생님 감사합니다!!
    나중에 외모집착이나 돈집착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면 좋을것같아요+!!!

    • @mind-echo.
      @mind-echo.  4 месяца назад +1

      @@Yoooo-d9q 기억하고 있을게요 저도 감사합니다☺️🌻

  • @홍인택-s7p
    @홍인택-s7p 19 дней назад

    알아차림은 우주계의 8가지 기본바탕인 신성과 물질계의 8가지의 기본바탕인 영(령)성을 우리의 심성인 감성과이성으로 우주계 물질계와의 정보를 우리의 심성과 송수신하며 살아가는것이 알아차림이 아닐까 합니다

  • @ganghyunekwon8712
    @ganghyunekwon8712 4 месяца назад +2

    알아차림은 일상생활을 하는동안 계속적으로 적용하나요? 확실히 살면서 무의식적으로 생활할때가 너무 많은데 어떠한 행위를 할때 감정을 제3자관점으로 보면 도움되는거 같긴 하네요.

    • @mind-echo.
      @mind-echo.  4 месяца назад

      @@ganghyunekwon8712 안녕하세요🌻 계속적으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고, 집중을 크게 요하지 않는 일(대중교통 안에서, 설거지할 때 등등)을 할 때 시간을 딱 정해놓고 하시면 좋습니다. 그렇게 몇 개월, 혹은 일년 정도 연습을 하다보면 알아차림이 점점 더 명확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일상생활 도중(감정수용할 때) 알아차림이 스며들게 됩니다. 그 다음 영상인 '알아차림 연습하는 방법'도 보시면 도움 되실 듯 해요.

  • @gigk5645
    @gigk564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알아차림은 에고가 하는게 맞는건가요? 무의식 정화와 참나를 만나기 위해 의식의 자리를 내어주는 과정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 @mind-echo.
      @mind-ec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gigk5645 에고의 입장에서 에고가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영성의 부분에서 에고가 하는 것이 아닐지라도.. 그래도 우리는 열심히 살아가고자 하는 노력을 (에고가) 할 것이기에 저희 채널에서는 그 부분에 대해서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