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학인터뷰] AI 대체 어디까지 가능할까? | 2020 가을 카오스강연 'Ai X'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 AI 최고 전문가들에게 묻다,
“AI는 대체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2020 가을 카오스 강연 'Ai X'가 10월 7일부터 매주 수요일 저녁 8시,
유튜브에서 생중계됩니다! (*현장참여 없이 생중계로만 진행됩니다.)
|| 강연 소개 페이지 ─ ikaos.org/kaos...
[강연 일정]
1강(10/7) 뇌공학 + 의공학
브레인 3.0 AI와 뇌공학이 바꿀 인류의 미래 ㅣ 임창환(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
2강(10/14) 수학
수학을 통하여 세상을 3차원으로 보는 법 ㅣ 현동훈(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
3강(10/21) 유전체학 + 암
게놈데이터를 이용한 정밀의료 ㅣ 이세민(UNIST 생명과학부 교수)
4강(10/28) 기후
딥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하기 ㅣ 함유근(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5강(11/4) Computer Vision
컴퓨터 비전과 딥러닝의 현재와 미래ㅣ 한보형(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6강(11/11) 설명가능한 AI
AI의 사고과정을 설명할 수 있을까? ㅣ 최재식(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
7강(11/18) 뇌공학 + 로봇
인간지능을 능가하는 인공지능이 출현할 것인가? ㅣ 장병탁(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8강(11/25) 의료데이터
바이오메디컬 인공지능 ㅣ 신현정(아주대 산업공학과 교수)
9강(12/2) 딥러닝
헬로 딥러닝 : 직관적이고 명확하게 딥러닝을 이해하기 ㅣ 남세동(보이저엑스 대표)
10강(12/9) 음악
음악에 적용된 머신뮤지션 AI ㅣ 이교구(서울대 지능정보융합학과 교수)
#Ai #카오스강연 #과학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
-
과학의 신세계♥카오스재단
~ 홈 ikaos.org (가입시 강연 행사 안내)
페 북 kaosfoundation
유튜브 / kaosscience
인스타 kaosfoundation
가을 카오스 강연 의 총 10강에 모두 출석해주시는 분께 수료증을 보내드립니다!
출석체크를 위해서는 ※카오스재단 홈페이지 회원가입이 필수※이오니, 미리 가입하시면 원활한 출석체크가 가능합니다!
카오스재단 홈페이지 주소>> ikaos.org
회원 가입 했습니다! 출석체크는 어디에서 할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enoch2626 안녕하세요:) 출석체크 링크는 저녁 8시 강연 생중계 때에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기대됩니다!!
현교수님 구체적 년도 제시 재미있네요ㅋㅋㅋㅋ
두번째 2074년은 백세되는 해
ㅋㅋㅋㅋㅋㅋㅋㅋㅋ 60세 100세 ㅋㅋㅋㅋㅋ
ㅋㅋㅋㅋ맞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수리과학부!!
12월 9일까지의 모든 강연이 전부 기대되네요
기대됩니다.
기대되어요 :)
챙겨 봐야겠네요. 그런데 저는 일단 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다는 것이 재미있고 위로를 받습니다.. ^^
AI + 뇌공학 = 인공인간.
세상모든지식과 정보를 깨우친 인간으로써,
세상을 다르게보는 시야로 무슨 생각이 떠오를지.
최초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졌고, 신은 존재하는지 알고싶다 ..!!!
답을 알게된다면, 인류가 태어난 목적이 존재하는지 알수 있을것이다 !
AI는 인간과 다른 초지능으로 이 인류를 재배하고 새로운 문명을 창조 한다고 단언한다!!
AI 가 train되지 않는다면..
인간이 다양한 환경을 변수로 grown up 되는 것처럼, AI 가 환경에서 grown up되고 학습하고 자기의 가치관을 만들어간다면, 그걸 의지가 없다고 할까요?
AI가 의지가 없다고 증명할 수 있을까요?
증명할 수 없을 것 같아서..
인간의 정신도 뉴런이라는 작은 세포라는 기계들의 신경망으로 이루어진 결과여서...
같은 질문에 박사님들의 답변이 갈리네요.
2:44 이부분 정말 공감가네요.
저도 항상 궁금했던게.. 인간과 구분할수 없을 정도로 인간답고 자연스러운 ai가 설사 만들어진다 해도..
과연 그안에 정말로 자의식이 있을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떨칠수가 없네요.
그저 압도적인 성능으로 흉내를 낼뿐인건 아닐까... 진짜로 자의식이 싹텄다면 증명할 방법이 있긴 한가...
전문가들도 견해가 달라서 그때가 되어 봐야 알 수 있다는거네.
문제는 AI에게 제공할 수 있는 광범위한 대량의 데이터라고 볼 수 있는데 인권이 없는 중국이 여기서는 가장 큰 발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이미 국민감시프로그램을 시작했고 AI가 활용되고 있는데 거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양과 질이 그 어느 국가와 기업보다 많을테니깐.
터미네이터에서 초지능의 스카이넷같은 AI가 인류를 지배하려고 시작한다면 그건 아마도 중국에서 발생하게 될 가능성도 높을 것 같다.
AI를 평가하기 전에 AI가 공부하거나
간단하게라도 만들어본사람만 평가하길
전문가들이 AI평가하는거 보면 그냥 서울역 노숙자들하고 다른게 전혀 없음. 적어도 텐서플로나 코랩정도는 써보고 얘기하는지? 아니면 그냥 뉴스보고 본인들 감으로 얘기하는건지
생중계 끝나고 유튜브에 올라오나요?
네 올라갑니다
@@카오스술술과학 답변 감사합니다!!!
해석가능한 AI(XAI)는 언제쯤......
00:50 크..수학적인 사고 방식😁👍
지나가는 일반인으로 써보자면
알파고는 인간의 기보로 학습해서 인간을 이겼지만 최종 버전 알파 제로는 바둑의 규칙만 입력된 상태로 독학해서 36시간 뒤 알파고 수준을 능가.3일 뒤에는 알파고를 상대로 백전백승하게 됩니다.😲바둑의 역사가 최소 2500년인데 그걸 36시간만에 뛰어넘은 겁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그래서 구글이 AI를 만드는 AI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한거죠.
AI의 초지능에 관해서 부정적인 의견들은 과연 지금 현재의 인간과의 차이를 메꾸는 AI를 "인간"이 만들 수 있느냐인데 구글은 그 사고방식을 바꾼거죠.인간이 못하면 AI가 하면 되는 것 아닌가??소름..🤯🤯
양자컴퓨터의 발전도 가속이 붙고 있어 저는 충분히 초지능까지 간다고 봅니다😁특이점은 결국에 오는 것이고, 언제 오느냐의 차이라 봅니다. 2035-45년을 예상하고 있는 전문가들도 많구요😁저는 개인적으로 궁금하고, 살아서 그 변화기를 걷는다 생각하니 설레입니다💗
6분전에 올라온영상에 1등으로댓글달기 v
난 당신의 1등 v
No.2 두번째,第二个,第二個
예스 2027년
흥미진진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