끓이지 않고 쉽게 삭혀서 달지 않고 시지 않은 옛날 무 장아찌(무짠지) 담그는 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끓이지 않고 삭혀서 시지않고
    달지 않은 옛날 무 장아찌(짠지)를
    쉽게 담아 드실 수 있게 만들어봤습니다
    마지막에는 숙성이 끝난 무 짠지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그럼 옛 방식
    무 짠지를 담으실 때 저희 영상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무가 가장 맛있을 때 옛날 방식으로
    짭짤하게 천일염으로 삭혀서 수분을
    빼고 짠맛은 설탕과 미강가루(쌀겨)로
    다시 삭혀서 옛날식 무 장아찌를
    만들어봤습니다 무는 큰 무가 아닌
    다발무로 장아찌를 담았습니다
    ⑴ 쌀겨로 삭혀 만든 옛날 무 장아찌(짠지) 담그는 법
    ① 긴 다발 무 손질
    다발무 18개(2단 9kg)
    우선 긴 다발무를 반절로 잘라
    주세요 땅 속에 들어있었다보니
    지저분해서 아랫 부분은 좀 깎아
    주세요 무 윗부분은 햇빛을 많이
    봐서 영양가도 많아서 윗부분은
    안 깎지말고 씻기만 해서 준비
    해줍니다 깨끗이 씻은 다말무는
    통으로 담으면 숙성이 잘 안되니
    긴 다발무를 반으로 잘라주세요
    그런 다음 깨끗이 씻고 자른 무는
    절여서 이틀 숙성 해야합니다
    ② 천일염으로 간하고 수분빼기
    무장아찌 첫번째 (1차)숙성 재료
    무장아찌 컵 계량 기준 한 컵 250ml/g
    천일염 4 컵(1kg)
    일반 소주 3 컵(750ml)
    (14.5%~19% 정도의 술)
    14%이하의 와인과 20%이상의
    담금주는 방부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알콜도 분해가 안되니
    일반 소주나 정종(사케)같은
    술을 사용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우선 잘라 놓은 무를 길이가 긴 것
    부터 통에 담고 사이사이 간수
    잘 빠진 천일염 4 컵(1kg) 과
    일반 소주 3 컵(750ml) 을 뿌려줍니다
    뚜껑이 안 닫히면 수분이 내려갈 때
    페트병에 물을 담고 꾹 눌러서 이틀
    실내에서 숙성 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소주가 알콜인지라 하루
    지나면 알콜 성분이 잘 분해되고
    냄새가 날라가고 수분이 잘 빠지
    도록 뒤집어줍니다 사실 무에
    소금을 뿌려두면 그냥 둬도 무에서
    물이 많이 빠져나옵니다 하지만
    번거로워도무를 담은지 12시간이
    지나면 일일이 뒤집어 준 다음
    다시 실내에서 하루 더 숙성해줍니다
    ③ 수분이 빠진 다발무 다시 2차 숙성
    다발무를 신내에서 숙성하고
    이틀이지나면 뚜껑을 열어 수분이
    잘 빠졌는지 확인해주세요 원래
    다발무에서 수분만 빼기 위해 숙
    성했으니 절대 무는 씻지말고
    따로 통에 담아주세요 소주와
    천일염으로 숙성하고 남은 물은
    알콜 성분도 적고 소금도 적으니
    쓰지말고 버려줍니다
    ④ 수분 빠진 다발무 쌀겨로 8일 숙성
    무장아찌 두번째 (2차)
    숙성 재료
    컵 계량 기준

    맥주 컵 한 컵 250ml/g

    쌀겨 1kg

    설탕 1kg

    일반 소주 2 컵(500ml)
    (14.5%~19%의 술)

    이제 다발무를 통에 따로 담아
    두셨으면 쌀겨 1kg(미강가루)와
    설탕 1kg 으로 그리고 소주 2 컵
    (500ml)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쌀겨를 시중에서 구하기가 조금
    힘드실 수 있습니다 식자재상이나
    대형마트에서도 구하기 힘들고
    쌀집이나 정미소 같은 곳에서
    미리 말해서 구하시는 방법도
    있지만 인터넷에서 "미강 가루"를
    구하시는 게 빠릅니다
    설탕하고 쌀겨는 수분을 빼 주는
    역할을 해주지만 설탕이 무에
    흡수는 되긴합니다 하지만
    무에서 물이 빠질 때 단 맛이
    거의 빠져버려 단맛이 거의
    없습니다 짠맛도 빠져버리지만
    워낙에 천일염으로 수분을 뺄 때
    짠맛이 배여버렸기에 짠 맛은
    숙성을 해도 많이 남습니다
    그래서 오래 숙성해서 짠맛과
    수분을 빼고 무를 익혀서 색감도
    잡고 맛도 좋아지게 해주세요
    그럼 쌀겨를 다 섞고나면 숙성이
    잘되게 긴 것 먼저 놓아주세요
    잘 스며들게 섞어 놓은 쌀겨를 먼저
    바닥에 뿌려줍니다무를 담을 때
    쌀겨가루를 잘 발라 주셔야
    숙성도 수분도 색감도 잘나옵니다
    이렇게 8일정도 숙성해 주시면
    무의 짠맛이 잘 빠져서 옛날
    무 장아찌처럼 단맛은 적고 짠맛은
    어느정도 있는 맛 좋은 옛날
    무짠지(무장아찌)가 됩니다
    뚜껑이 안 닫힐 때는 두꺼운
    그릇을 넣고 닫으셨다가 수분이
    빠지고 무가 내려가면 물을 담은
    페트병으로 바꿔서 꾹 눌러주세요
    냉장고에서 숙성하면 숙성도
    잘 안되고 며칠이 걸릴지 모르니
    꼭 실내에서숙성해주세요
    ⑤ 3일에 한번 무를 섞어주기
    무를 그냥 두면 빨리 숙성이
    안됩니다 그렇게 두면 며칠이
    걸릴지 모르니 중간에 3일마다
    한번 무를 다 꺼내줍니다 먼저
    삼투압으로 무에서 수분이
    나와 물이 많습니다 필요없으니
    버려주세요 그런 다음 처음과
    반대로 뒤집어서 담아준 다음
    다시 페트병으로 눌러서
    실내에서 숙성을 해줍니다
    ⑥ 무장아찌 8일 후 완성과 냉장보관
    8일째가 돼서 무장아찌가
    완성됩니다열어보면 무장아찌가
    색감이 변해 있는 걸 눈으로 확인
    해주세요 그리고 수분을 두번 뺀
    무라 쌀겨랑 소금물과 같이 두면
    너무 짜집니다 그러니 쌀겨는 잘
    훑어내고 따로 통에 담아서
    냉장 보관 해줍니다 숙성한 2차
    숙성물은 쓰기도 힘드니 버려주세요
    드실 때는 한 2~3분 담아 두시고
    드시거나 짠 걸 싫어하시는 분은
    찬물에 한 5분 담아서 드시면 좋습니다
    무침으로 드셔도 좋고 단무지처럼
    고추장에 찍어드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⑦ 무장아찌 무침 재료
    물에 담아 놓은
    무 장아찌 반 개
    마늘 반 큰술
    쪽파 한 큰술
    깨소금 한 큰술
    참기름 반 큰술
    고춧가루 한 큰술로
    무치시면 됩니다
    고춧가루는 취향껏
    넣거나 빼주시면 됩니다
    그럼 감사합니다
    그럼 옛날 방법으로 만들어 시지않고
    달지 않은 옛날 무 장아찌를 시청해
    주셔서감사합니다 더 좋은 요리를
    쉽게 하실 수 있게 노력하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 알람 꼭 부탁드리겠습니다
    BGM 정보
    Ai no Hana [Love Blossoms] by Alcaknightt
    Soundcloud: / alcaknight
    #무장아찌쉽게담그는법#무우장아찌레시피#무우장아찌요리

Комментарии • 25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3

    (요리법과 자막을 수정했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이번에는
    간장을넣지 않고 옛방식으로
    옛맛이 나는무장아찌(무짠지)를
    만들어 봤습니다
    그리고 "쌀겨"는 시중에 잘 팔지
    않으니 "미강가루"를 온라인
    쇼핑몰에서 볶은 것이나 안 볶은 것
    상관없이 구하시면 편합니다
    우선 보시기 편하게 요리법을
    적어놨습니다 휴대폰이시면
    영상 제목 옆에 ∨ 를 눌러 주세요
    요리법과 재료가 나옵니다
    그리고 ⁝ 를 눌러 주시면
    저희 말이 잘 안 들리거나
    소리를 줄이고 보시는 분들을
    위해 한국어 자막을 선택해서
    보실 수 있게 했습니다 ⁝ 를
    누르시고 "자막" 누르시고
    "한국어"자막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리고 자막을 끄시려면 ⁝ 를
    누르시고 자막을 누르신 후
    "자막 사용 중지"를 다시
    눌러서자막을 끄실 수도
    있습니다
    그럼 옛맛나는 무장아찌(무짠)를
    만들어 드실 때 저희 요리 영상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황금산-w8h
      @황금산-w8h 4 года назад +2

      초등학교 다닐때 엄마가 해주신 기억이 나네요,
      옛것을 잊지않고 재현해주시어 감사합니다,
      온고지신 ,,,,이란 사자성어가 문득 생각이 나네요 ,,
      그리 어렵지 않으니 도전 해 보겠습니다 ,
      오늘은 짠지를 담그고 알타리 김치를 담았습니다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감사합니다,,(^&^)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2

      @@황금산-w8h 안녕하세요 맞어요 저의
      어머니도 어릴 때 많이드셨다고 하네요
      볼때마다 돌아가신 외할머니가 생각
      난다고 하시네요 엄마는 나이가 먹어도
      돌아가셔도 생각난다고 하시는 것보니
      황금산님 맘을 알 것 같기도 하네요
      그럼 편안한 밤 되세요 감기 조심하시구요

  • @임진숙-g8p
    @임진숙-g8p 4 года назад +2

    맛있겠어요.담그어서.먹어야지요
    그렇게.똑.같이.~~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임진숙님 반가워요
      옛날 방식으로 만들어 보니 맛이
      좋네요 여유 되실 때 만들어보세요
      그럼 좋은날 되세요 임진숙님

  • @조영숙-n9t
    @조영숙-n9t 4 года назад +1

    잘 보고 갑니다
    그대로 한번 해보려고 해요
    감사합니다 ~~~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조영숙님
      반갑습니다 ^^ 저희 무장아찌를
      좋게 봐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그럼 남은 주말 잘 보내세요 영숙님

  • @김정애-l1j5r
    @김정애-l1j5r 4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정애님 반갑습니다
      좋게 봐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환절기 감기
      조심하시구요

  • @서미숙-c1o
    @서미숙-c1o 4 года назад +3

    정연네집밥님~오늘도 아주 새로운 무짱아찌 담는방법 잘배웠습니다^^ 귀한 요리법 잘배워 만들어 보고있습니다^^늘건강하시고 귀한 요리법 늘 감사합니다^^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1

      어서오세요 미숙님 반가워요 ^^
      이번 무장아찌도 좋게 봐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미숙님도 늘 건강
      하세요 그리고 주말도 잘 마무리
      하시구요

  • @해피-c7i
    @해피-c7i 4 года назад +1

    꼭 해보고 싶은 건강 장아찌네요.
    먹는 방법까지 알려주셔서
    감사했구요
    꼭 해봐야겠어요^^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해피님
      저희 어머니(정연)가 예전에
      시어머니가 만들던 게 아련히
      기억에 남아서 기억을 더듬어서
      만들어 보셨다네요 여유되실때
      만들어 보셔요 조금 짜지만 달지는
      않은 옛날 맛이라고 합니다
      그럼 좋은 밤되세요 해피님

  • @백향숙-z7d
    @백향숙-z7d 4 года назад +1

    참 부지런하십니다 어려서 외할머니께서 해주신기억이 납니다 그때는 항아리에 하셨던거 같아요 옛날방식으로 무침까지 잘배우고 갑니다 감사드려요 고생하셨습니다~^^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백향숙님 어서오세요
      그러게요 그러고 보니 돌아가신 우리
      외 할머니 즉 제 어머니(정연)의 어머니가
      가끔 단무지 같이 하얀 무를 해주신 던
      기억이 나네요 갑자기 보고싶네요 항아리로
      하던 기억 저도 나네요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백향숙님

  • @Sookvely_TV
    @Sookvely_TV 4 года назад +2

    가을무는 넘 맛있어서. 무 김치 종류가 넘. 많은데.저는 무 동치미+총각김치+깍뚝기 요렇게 담구엇어요^^우리 가족이 좋아 하는거라ㅎㅎ~여유 공간만 있다면. 무짱아찌도 담귀 보고 싶은데 아쉽네요^^👍👍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1

      어서오세요 쑥하이 반가워요
      김장 많이 하셨군요 저희도 해야하는데
      여유 되시면 한 번 담아드셔보세요
      그럼 좋은 하루되시고 늘 건강하세요

  • @다다-d4k
    @다다-d4k 3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
    술찌개미로 만들 때도 같이 설탕을 넣나요?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3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다다님 저희 방식은
      소주와 천일염으로 1차로 수분을
      빼서 수분 뺀 무가 혹여나 삼투압을
      해도 짠 맛이 날까 싶어 2차로
      쌀겨와 설탕으로 수분을 다시 빼가며
      숙성을 한 것입니다 그러니 2차 숙성을
      할 때 발효가 된 상태의 술지개미와
      설탕을 넣어 삼투 현상으로 무와
      술 지개미 안에 있는 수분을
      삼투 현상으로 빼서 담아도 됩니다
      술 지개미 분말도 가능합니다
      그럼 좋은 하루되세요 다다님
      도움이 되셨다면 자주들려주세요

  • @elim6621
    @elim6621 4 года назад +1

    외가에 가서 먹어봤을텐데 맛이 어렴풋이 기억나네요. 어렸을때에는 좋아하지 않았거든요. 선생님의 영상을 보니 만들어서 아이들에게도 맛보이고 싶어요. 잊을뻔한 옛 요리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미강은 볶은 것을 사용하면 될까요?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2

      어서오세요 E Lim 님 반가워요
      미강은 볶은 것도 상관없습니다
      그러게요 생각외로 하야니 보기
      좋은 짭짤한 단무지같은 장아찌가
      됩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E lim님 환절기 감기조심하시구요

  • @황지영-s9l
    @황지영-s9l 3 года назад +1

    살겨가 문제네요 어디서 구해요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3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황지영님 반가워요
      미강가루(쌀겨)는 대형 마트나
      식자재마트나 쌀집같은 오프라인은
      구하기 힘들지만 구글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미강가루(쌀겨)는 구하기가
      아주 쉽습니다 미강가루 볶은 것도
      상관없으니 구입해서 쓰시면 됩니다
      그럼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지영님

  • @bori4606
    @bori4606 4 года назад +1

    흠...쌀겨..미강 ..지구해야하나

    • @user-jungyeone
      @user-jungyeone  4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Jung Lee님
      미강가루(쌀겨)는 대형 마트나
      식자재상가도 구하기가 힘들고
      쌀집에서도 부탁해야 구할 수가
      있더군요 헌데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미강가루(쌀겨)를 많이 팔고있습니다
      볶은 것도 상관없으니 구하셔서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