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포함 모델은 DTT가 기본으로 켜져있고(!) 프리도스 모델도 파티션 안에 있는 삼성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DTT가 켜집니다. 윈도우 클린 설치 후, 윈도우 업데이트를 먼저 한 다음에 MS 스토어에서 Samsung Update를 따로 설치해야 DTT가 없는 상태로 세팅이 됩니다. 다만, DTT가 적용이 되어도 이렇게까지 개입은 안하는데.. 비정상으로 보입니다. 전원 연결 + 고성능으로 선택하면 최고 성능을 보여줘야하는데 이걸 DTT가 막고있네요. *▪ Chapter* 00:01 오프닝 00:19 인텔 DTT가 문제 01:43 DDT 비활성화 전력 테스트 03:11 최고 성능을 막고있다는게 비정상입니다 04:19 대박? DTT 없는 게임 성능은 06:35 발열은 좀 있어요 07:04 배터리 상태에서 아쉬운 퍼포먼스 08:23 일해라 인텔
조금 메롱한 게임 성능을 빼고 본다면, 영상 작업 면에서는 원래부터 인텔 지원이 빵빵했던 어도비 계열 프로그램들 쓰기에 꽤 괜찮은 선택지가 되겠네요. 특히 (영상에선 디코딩만 나왔지만) AV1 하드웨어 인코딩은 인텔을 제외한 메이저 그래픽카드 제조사에서는 아직 지원하지 않고 있는데 (RTX30/RX6000 시리즈는 디코딩만 지원) 이 역시 나름의 매력 포인트가 될 수 있겠고요. 갤럭시북 프로가 쿨링 성능이 다소 아쉬워 보이지만 굳이 Nvidia가 아닌 Arc를 넣은 점에서 (추측이지만) 전성비 챙기면서 어도비 쓰기에 쾌적한, 즉 맥북에 대항하는 영상 쪽의 프로페셔널한 이미지를 가져가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게임 부분에서 DTT가 과도하게 개입하는 건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폼팩터가 엄청나게 슬림한 만큼 게임 쪽 최적화를 완전히 버리고 작업 시 배터리 라이프를 길게 제공하려 했던 느낌이 들기도 하고요. 하지만... 결국 인텔 Arc 시리즈에서 강조한 3D 성능 및 영상 프로듀스 면에선 이런 애매한 장점을 취하기보단 차라리 M1 시리즈의 ProRes 하드웨어 가속 지원이 더욱 큰 매력포인트가 된단 점... 힘내라 인텔!
스터터링 해결 쉽게 안된다에 한 표 겁니다. 왜냐면...전작인 Xe 외장이 똑같은 문제가 있었는데, 그게 아크까지 이어진다는 얘기가 되거든요. 당시 에이서 노트북에 탑재 되었는데, 제가 그 노트북을 사서 사용해 봤습니다. 당시도 지적 많이 받았는데....여전하다는 얘기는....해결하기 힘들다는 말이 되죠.
문의 드립니다. 제가 북2 사용중인데요 이 영상을 우연히 보고 따라했는데요. 문제가 생겼습니다. 일단 DTT 사용중지 > 게임은 스팀 코난오브엑자일 옵션은 중옵 실행 > 약 평균 3시간가량 게임가능 3시간 이상 지속할수 없는 이유는 배터리부족 입니다. 충전 속도가 배터리 소모를 따라잡지 못하는데요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더 강한 충전기를 사용하면 괜찮을까요? DTT를 사용하면 게임이 버벅거려 할수가 없고.. DTT를 사용중지 하면 게임 플레이는 가능하나 전력이 부족합니다.
제가 이제품을 3주전에 샀는데 사자마자 하루에도 몇번이나 시스템이 멈춰서 a/s받았는데 섬성 os 업뎃만 해주고 이상없다고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후에도 계속 하루에도 몇번씩 시스템이 멈추는데. 게임, 영상, 포토샵 작업이 아니라 유튜브, 카카오톡 이런 프로그램만 실행시켜도 그러는데 혹시 왜그러는지 아시나요? ?? 200만원이나 되는 노트북이 답이 없어서 답답하네요..ㅠㅠ
해당 노트북 사용한지 3일정도 됐는데요. 롤만하면 화면이 멈춰서 먹통이되는 현상이 있네요.. 혹시 저만 겪고 있는 걸까요? 그리고 4K 모니터 hdmi 포트에 직결했을 경우 화면 새로고침이 발생되는 시점부터 화면이 잡혔다 떨어졌다 반복하며 해당 4K 모니터에 화면이 돌아오지 않는 현상이 있네요. 뽑기 실패로 저만 불량인지 다들 겪는 현상인지 궁금합니다.
인텔이 삼성했네요 ㅋㅋ..... 에고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하던 애초부터 gos의 존재를 밝혔다면 좋았을텐데.... 노트 6때 망하고 이번 22시리즈까지.... 노트시리즈는 이대로 사라지겠네요..... 폴드4나 플립4는 구조적으로 더 복잡해서 이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걱정입니다 이번 기회도 망친다면 글세요 ...
지금 메모리32기가 ssd1테라 외장그래픽 옵션으로 사서 1달가량 썼는데 충전기발열심하고 주식할때 가독성이떨어져서 개짜증납니다ㅋ 여러가지 창을 한번에봐야하는데 크기를 조금줄이면 바로 글자랑 숫자가 깨져서 볼수가없어요 ㅋㅋ 그렇다고 차트창 크기를 늘리면 몇개 보지도못해요 가독성 진짜 개쓰레기입니다 그리고 노트북 흰색 부분 살짝 옮기다가 톡하고 부딪였는데 기스가아니라 그냥 페인트같은거처럼 떨어짐ㅋ 옆에서 보던사람도 어이없어함ㅋ
내가 낼린결론.... 램,cpu,그래픽 칩셋...이걸 한 회사가 독점제작하면 100% 성능장난질 드감. 애플도 그랬고, 삼성도 그랬고, 이젠 인텔이 그렇게 함. 각각 개별회사의 연합군 제품이라야 성능제하가 없는거 같음. 단지, 개별회사 연합군은 부품간 최적화에서 성능저하가 오긴 하지만...
윈도우 포함 모델은 DTT가 기본으로 켜져있고(!)
프리도스 모델도 파티션 안에 있는 삼성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DTT가 켜집니다.
윈도우 클린 설치 후, 윈도우 업데이트를 먼저 한 다음에
MS 스토어에서 Samsung Update를
따로 설치해야 DTT가 없는 상태로 세팅이 됩니다.
다만,
DTT가 적용이 되어도 이렇게까지 개입은 안하는데..
비정상으로 보입니다.
전원 연결 + 고성능으로 선택하면 최고 성능을 보여줘야하는데
이걸 DTT가 막고있네요.
*▪ Chapter*
00:01 오프닝
00:19 인텔 DTT가 문제
01:43 DDT 비활성화 전력 테스트
03:11 최고 성능을 막고있다는게 비정상입니다
04:19 대박? DTT 없는 게임 성능은
06:35 발열은 좀 있어요
07:04 배터리 상태에서 아쉬운 퍼포먼스
08:23 일해라 인텔
노트북에도 GOS들어갔네
@@초강28 이건 이전 세대 삼성 노트북에도 ...
@@초강28 그래서 GOS 이슈 막 났을때, 삼성 커뮤 노트북 게시판에 노트북판 GOS도 있다고 말한적도 있어요
발열 제어를 위한 최대 성능하...락? Go...s....?d...DT???? 크읏...머리가!
저도 충전기발열이 너무심해서 불량인가? 했습니다... 그래픽문제인지 롤은 두판정도하면 무조건 한번씩 팅기는 현상도 있고.. ㅜㅜ 놋북 잘 산건가 후회도 되네요
볼 때마다 재미도 커지고 사람도 커지고 있음
ㅠㅠ
@@BullsLab 형 진짜 눈코입 왤캐 작아져....??
ㅋㅋㅋㅋㅋ나쁜놈
고도의 중의적 표현 ㄷㄷ
GaN 충전기의 경우 최대 출력으로 충전할 경우 열이 엄청나게 발생합니다
그래서 PD충전기의 경우 어지간하면 100W급 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발열 제어에 나름 도움이 될 겁니다
업로드 하셨네요 ㅎㅎ 일 두번씩 하시고 고생많으셨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와 이젠 글로벌 유튜버 될까님 ㄷㄷ
와! 사도될까 님이당ㅎㅎ
@@최구버 ㅎㅎ 이렇게라도 아크가 구리진 않다라는걸 알리는데 일조할 수 있어 기쁩니다 ㅎㅎ
와 사도님 여기서도 뵙다니 ㅋㅋㅋㅋ
지난 영상에서 보듯이 쿨링성능이 CPU+GPU 60W를 처리하기에는 매우 부실해서 일부러 저렇게 세팅한 것 같네요.
cpu gpu 독립도 아니고 1히트파이프에 팬만 2개 단다고 감당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닌거 같아요...
와 인텔과 삼성의 조합 ㅋㅋㅋㅋ 발열 줄여야
한다구!!
DTT가 뭔가 했더니 인텔판 GOS군요ㅋㅋㅋ
인텔과 삼성의 환장의 콜라보네요ㅋㅋ
조금 메롱한 게임 성능을 빼고 본다면, 영상 작업 면에서는 원래부터 인텔 지원이 빵빵했던 어도비 계열 프로그램들 쓰기에 꽤 괜찮은 선택지가 되겠네요. 특히 (영상에선 디코딩만 나왔지만) AV1 하드웨어 인코딩은 인텔을 제외한 메이저 그래픽카드 제조사에서는 아직 지원하지 않고 있는데 (RTX30/RX6000 시리즈는 디코딩만 지원) 이 역시 나름의 매력 포인트가 될 수 있겠고요. 갤럭시북 프로가 쿨링 성능이 다소 아쉬워 보이지만 굳이 Nvidia가 아닌 Arc를 넣은 점에서 (추측이지만) 전성비 챙기면서 어도비 쓰기에 쾌적한, 즉 맥북에 대항하는 영상 쪽의 프로페셔널한 이미지를 가져가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게임 부분에서 DTT가 과도하게 개입하는 건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폼팩터가 엄청나게 슬림한 만큼 게임 쪽 최적화를 완전히 버리고 작업 시 배터리 라이프를 길게 제공하려 했던 느낌이 들기도 하고요. 하지만... 결국 인텔 Arc 시리즈에서 강조한 3D 성능 및 영상 프로듀스 면에선 이런 애매한 장점을 취하기보단 차라리 M1 시리즈의 ProRes 하드웨어 가속 지원이 더욱 큰 매력포인트가 된단 점...
힘내라 인텔!
ARC그래픽은 물리적 성능만 보면 나름 쓸만한거같음 소프트웨어 최적화만 잘 해주면 그냥 적절히 쓸만 할듯... 저돈내고 쓰진 않겟지만 100민원 초반에 저전력노트북에 넣으면 괜찮을듯
저 스터터링 해결이 어렵다는게 문제죠 뭐..
그게 말처럼 쉬웠으면 라데온이 20년 넘게 욕먹지도 않았겠쥬....
이게 최선의 문제해결뱅법 이라는점
13인치 내장그래픽 모델 사용자입니다.
인텔 DTT 끄니 유튜브 초반 멈춤현상이 사라졌어요....
어?
갤럭시북 플렉스2 에서도 DTT 참.. 문제 많았죠 ㅋㅋㅋ 이게 신제품이 나와도 변함이 ㅇㅓㅄ네요.
아 오타는 실수가 아니라 삼성한테 표현하는 제 마음입니다
GOS의 삼성과 인텔의 DTT 환장의 컬래버레이션!
DTT가 놋북용 GOS같은 존재군요 ㅎㅎ
전력을 줄여서 성능을 100%못내게 함으로인해
배터리를 더 오래 쓰게 하는;;;
그런 매커니즘은 모든 노트북에 있는데,
보통 자체 설정 프로그램에서 전원 연결 + 고성능으로 선택해두면 최고 성능을 내게 해주죠.
이걸 DTT가 막고있다는게 지금 비정상이죠.
충전기썼을땐 제성능내게해줘야되는데,,
지금까지 후기 보면 기존 mx 라인에 비해 눈에 띄게 큰 변화는 거의 없는듯. 아크7 정도나 되야 쓸만해질거 같은데 가격도 산넘어가겠지 뭐.
드디어 이거 관련 영상이 올라오는군요 ㅠㅠ 진짜 8세대부터 악명높은 DTPF 하..
스터터링 해결 쉽게 안된다에 한 표 겁니다. 왜냐면...전작인 Xe 외장이 똑같은 문제가 있었는데, 그게 아크까지 이어진다는 얘기가 되거든요. 당시 에이서 노트북에 탑재 되었는데, 제가 그 노트북을 사서 사용해 봤습니다. 당시도 지적 많이 받았는데....여전하다는 얘기는....해결하기 힘들다는 말이 되죠.
문의 드립니다.
제가 북2 사용중인데요 이 영상을 우연히 보고 따라했는데요. 문제가 생겼습니다.
일단 DTT 사용중지 > 게임은 스팀 코난오브엑자일 옵션은 중옵 실행 > 약 평균 3시간가량 게임가능
3시간 이상 지속할수 없는 이유는 배터리부족 입니다. 충전 속도가 배터리 소모를 따라잡지 못하는데요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더 강한 충전기를 사용하면 괜찮을까요?
DTT를 사용하면 게임이 버벅거려 할수가 없고..
DTT를 사용중지 하면 게임 플레이는 가능하나 전력이 부족합니다.
와 뭐야 이형 왜이리.살쪘어 간만에 보는데 완전 다른 사람이 되었네
Gos마냥 이전 갤럭시북도 dtt가 있는걸까요...? 갤북이온2인데 포르자 호라이즌4 돌리면 그래픽을 90%이상 안쓰네요 ㅠ 60%선에서 놀고 프레임은 잘 안나오네요
hp노트북 쓰는데 원래 전력이나 발열때문에 그런건지cpu, 내장 같이쓰면 100%는 안쓰더라구요
DTT가 문제되는 경우가 그리 많지가 않아요.
제 생각은 아닐 것 같긴한데... 비활성화/활성화는 쉬우니
한번 체크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BullsLab 장치관리자 들어가서 보니 얜 dtt가 없네요. Dtt 때문은 아닌거 같네요 휴
@@느타리-n5c 네 이게 모든 노트북에 문제가 됐으면 이미 한참전에 퍼졌죠 ㅎㅎ
이건 인텔판 GOS인가요?ㅋㅋㅋㅋㅋㅋ
레이저 블레이드15 4060 버전도 웹서핑은 내장 그래픽으로 구동 하는거같네요
구매한지 3일만에 배터리 사용할땐 렉땜에 마우스도 움직이기 힘들었는데 DTT 끄고 잘 굴러갑니다 너무좋아욤
문득 GOS가 생각이 나는데, 그래도 이건 설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단 점에서 차이가 있겠네요 ㅎㅎㅎ
첫시작 치고는 상당히 괜찮아보이네요. cpu와 gpu가 둘다 인텔사인것을 고려해보면 성장 가능성도 높아 보여요. 소비자 입장에서 인텔이 힘내줘서 새로운 경쟁자로 떠오르길 기원합니다! 영상 잘봤어요~
ㅇㅇ 한 몇년만 지나면 드라이버도 다듬어지겟죠?
@@부정요 그건 좀 봐야알꺼같아요. 이전에 gpu나 파운드리 등 다른 분야에 시도했다가 말아먹은 전적이 있는거로 앟아요... 이번엔 좀 잘 되길..!
8:40 아직 인텔 아크가 한국에 북2 프로 한 모델에만 있다보니...
DTT 보면서 다른 영어 3글자 계속 떠오르는거 기분탓 아니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인텔이 일을 안 하는군요 ㅋㅋㅋ 그래도 발전가능성은 높아보여서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오늘도 어떻게 잘되는 수염자국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다른 노트북이 되었네요. 저도 이 모델 사용중인데, 모든 게임이 너무 끊겨서 제대로 플레이 하기 힘들었습니다. DTT드라이버를 끄고 했더니 이제 괜찮아졌습니다만... 뜨겁네요 ㅎ...
ㅠㅠ
저 dtt드라이버 끄고 싶은데 어디서 끄면 되는건가요?
제가 이제품을 3주전에 샀는데 사자마자 하루에도 몇번이나 시스템이 멈춰서 a/s받았는데 섬성 os 업뎃만 해주고 이상없다고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후에도 계속 하루에도 몇번씩 시스템이 멈추는데. 게임, 영상, 포토샵 작업이 아니라 유튜브, 카카오톡 이런 프로그램만 실행시켜도 그러는데 혹시 왜그러는지 아시나요? ?? 200만원이나 되는 노트북이 답이 없어서 답답하네요..ㅠㅠ
점점 아크에 대해 기대가 되네용!
아크가 노트북 벤더사에 2월쯤 납품되었다고 어디서 본거 같네요, 출시일은 이미 정해 졌으니 그냥 끼워넣고 동작만 되는 수준으로 만들었을듯하네요. 노트북 개발자의 고충이 느껴집니다. 점점 패치되고 다음 세대에서는 쓸만하게 나올듯하네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배터리 모드라면 몰라도 어댑터 연결하고 쓸 때는 굳이 성능제한을 걸 필요가 없을 듯 한데 뭔가 인텔이 그래픽 카드 잘 만들고 기초적인 실수를 한 것 같네요.
네 이런걸 안건들면 최고 성능을 볼 수 없다는게 이상하네요.
어렵네요 어려워ㅎㅎ;;; 역시 당장 구매하기보다 시일을 두고 지켜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계속 진행할 업데이트를 통해 어디까지 성능을 끌어낼 수 있을지.
m1은 혁신이네
DTT = GOS?? 왠지 DTT에서 GOS의 느낌이 나네요.. 오늘도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아직 갈길이 멀군요.
하지만 점차 개선되서 또하나의 좋은 선택지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아크에 대해서 문의 좀 드리겠습니다!
혹시 젠북프로 15플립
(I7-12700h+intel 아크 A370m)
에 스케치업+브이레이가 돌아갈까요?
너무 복잡한 작업은 아니고 그냥 카페 정도 모델링과 랜더링입니다 ㅠ
형 하이
이정도면 아크 그래픽 개발팀에서 감사인사 해줘야하는거 아닌가요 ㅋㅋ
인텔 내장이랑 아크 외장을 같이 갈구는 기능같은거 생가면 되게 좋을 거 같네요
6:31 로스트 "아크"라서 최적화를 해줘야 하는게 아니고 "로스트" 아크라서 못해주는거임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ost 아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윈도우판 GOS인가....
인텔 외장 그래픽을 기다립니다…
삼성노트북에 인텔DTT를 넣은 환상의 콜라보…
해당 노트북 사용한지 3일정도 됐는데요. 롤만하면 화면이 멈춰서 먹통이되는 현상이 있네요.. 혹시 저만 겪고 있는 걸까요?
그리고 4K 모니터 hdmi 포트에 직결했을 경우 화면 새로고침이 발생되는 시점부터 화면이 잡혔다 떨어졌다 반복하며 해당 4K 모니터에 화면이 돌아오지 않는 현상이 있네요.
뽑기 실패로 저만 불량인지 다들 겪는 현상인지 궁금합니다.
롤 및 hdmi 버그는 현재 있는 버그입니다.
사람마다 다른지, 전 롤도 잘 되는 편이고, HDMI는 FHD까지 테스트해봤는데 잘 되더군요.
@@BullsLab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추후 픽스되길 기다려봐야겠군요
머야 노트북용 GOS네요 ㅋㅋㅋㅋㅋㅋ 미쳤다 미쳤어
아직 아쉬운점이 많이 보이긴 하지만 그래도 첫 시작임을 감안해보면 저는 인텔의 외장그래픽 첫 출발이 썩 나쁘지 않은 시작이라고 보이네요 ㅋㅋㅋㅋ
DTT 끈채로 씨네벤치 돌린화면 보면 전력소모량이 74W정도로 나오던데 갤북2프로 충전기가 65W지원되는 충전기 아닌가요? 이 점은 어떻게 될지 확인 가능할까요......? 그나저나 이번 2022그램 외장그래픽 버전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ㅎㅎ
74W는 아니고 28W 써요. CPU가 28W + GPU가 30W 이니 이론적으론 충전이 조금씩 되야 맞지만
실제 충전 효율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력손실) 조금씩 퍼센트가 내려갑니다
ON OFF 상태에 온도차가 너무 커서... 게이밍 용도 아니면 끄고 쓸듯.....
맞는 말씀인거 같아요. 게임을 하면 전력 소비가 많으니까 DTT를 하니까 끈것 같아요.
게임도 하고 전력소비도 M1 과 같을거라 생각하면 한창 잘못된 생각입니다. M1에서는 게임을 아예 할수 없어요
와 아크 믿고 있었다고~~!
인텔이 삼성했네요 ㅋㅋ.....
에고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하던 애초부터 gos의 존재를 밝혔다면 좋았을텐데....
노트 6때 망하고 이번 22시리즈까지.... 노트시리즈는 이대로 사라지겠네요.....
폴드4나 플립4는 구조적으로 더 복잡해서 이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걱정입니다
이번 기회도 망친다면 글세요 ...
옵티머스랑 비슷하면서도 다른듯, 근데 인텔은 내장 GPU랑 외장 GPU 하이브리드 기능도 나온다고 하는데, 진짜 외장 나와봐야 알듯
딥링크라고 지원 예정인데, 나오면 한번 다뤄보겠습니다~
@@BullsLab 네 감사합니다
옵티머스가 아무리 욕먹어도 저정도 완성도밖에 안되는 드라이버보다는 더 낫죠.
갑자기 쓸만해보이는 성능이네요 ㅋㅋㅋㅋ
GOS의 갤럭시 DTT의 갤럭시북...
인텔이 드라이버로 사고치면 마소가 해결하는게 루틴이긴 했는데 이번엔 과연... 설정에서 바꿀 수 있게 해줘야지 그걸 장치관리자에서 켜고 끄게 해버리면...
nt950xev-g51a a350m 제품 구매했습니다
롤 고성능으로 잡아줬는데도 불구하고
칼바람에서 조차도 끊기는데..
설정이 잘못된것일까요?
아니면 롤 옵션을 매우낮음으로 해야하나요..?
근데 dtt on off의 온도차이가 확실히 많이 나네요..
다른 노트북처럼 성능조절하는 옵션으로 줬다면 좋았을텐데, 임의로 막아버리는...;
이건 그래도 소비자가 선택할 수는 있네요 ㅋ
i5 iris 모델 5g 통신사거 샀는데 dtt 똑같이 제어걸려서 덕분에 해결했슴다 감사요
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심각하네...... 어떻게 이런 그래픽 카드를 플래그쉽 모델에다가 장착해서 팔 생각을 한거지 ㅋㅋㅋㅋ
인텔맛 GOS
ㅋㅋㅋㅋㅋㅋㅋ
지금 메모리32기가 ssd1테라 외장그래픽 옵션으로 사서 1달가량 썼는데
충전기발열심하고 주식할때 가독성이떨어져서 개짜증납니다ㅋ
여러가지 창을 한번에봐야하는데 크기를 조금줄이면 바로 글자랑 숫자가 깨져서 볼수가없어요 ㅋㅋ 그렇다고 차트창 크기를 늘리면 몇개 보지도못해요 가독성 진짜 개쓰레기입니다 그리고 노트북 흰색 부분 살짝 옮기다가 톡하고 부딪였는데 기스가아니라 그냥 페인트같은거처럼 떨어짐ㅋ 옆에서 보던사람도 어이없어함ㅋ
DTT와 GOS 환장의 콜라보
DTT가 뭔지 배워갑니다.^^
갤럭시북2프로 구매 유저인데
삼성셋팅에 왼쪽 항목에 "소리"라는 항목이 없어서 상담원한테 물어보니 realtek console로 이전됐다는데
맞는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돌비애트모스기능 켤려고 하는데 없어서 물어봐요
스토어 드가서 추가적으로 업데이트하니 뜨네 ㄷ
요즘 한창 삼성 GOS에 데이다보니 삼성에서 또 성능제한? 하는 의구심이 들정도.. 하지만 프로그램은 인텔에서 개발했으니 얼른 개선해서 최적화를 좀...
@6:30 아크를 잃어버려서 최적화가 안됐죠.낄낄
혹시 노트북 밧데리 과열로 폭발할까봐 DTT라는걸 적용한거 아닐런지요. 스트리머들을 위한 AV1 실시간 인코딩 성능이 이 노트북의 성패를 가를듯 싶네요.
현재 갤북2프로 사용중인데 피파는 접속 화면에서 팅기고 롤은 7분대에 팅김형상이 있네요 두 게임 모드 고성능으로 맞춰놨고 DTT도 비활성화 해놨습니다.. 해결책이 있을까요??ㅠ
고성능으로 하니까 안되더라구요... 외장그래픽을 포기하면 노트북치곤 굉장히 잘 돌아가네요
어짜피 사용자는 최상의 성능으로 사용하는게 목적이지만 , CPU 입장에서는 저전력로 오래 사용하는게 목적이면 DTT 를 켜라는 부분?
인텔 아크는 3 세대때 정상화가 될 듯 인텔 코어 4-5세대까지 그래픽 드라이버에 문제가 심각했었는데...
노트북에서 할수있는 일이라는게 옛날부터 한정적이었죠
암만 게이밍이고 해도 전력이라는게 한정되있다보니 그만큼 할수있는게 제한이 걸릴수밖에요....그리고 인텔은 뉴비에요.....
뉴비에게 너무 큰걸 바라면 안돼요
이게 최적화....?!
내가 생각하는건 남들도 비슷하네요 :)
노트북으로 옮긴 GOS...
DTT는 z13도 그렇고 경량화 노트북에 들어가는건 온도를 70도 이상 안가게하려고 악착같이 전력 안주더라구요.
70도 넘어가자마자 쓰로틀링 오지게 걸려요 진짜 ㅋㅋ
우연히 3년전 라데온7 영상보고 와서 보니까 .. 3년전엔 엄청 핸섬하고 똘똘해보인다(?).... 지금은....(?)......
지금 갤럭시 북 프로 2 사서 약 2주정도 사용하는 중입니다. 다 좋은데 롤 돌릴때 정확히 7분마다 게임이 튕깁니다. 또 롤 들어갈때마다 계정이 계속 비활성화 되는데 왜 이럴까요..?
넵 그게 지금 드라이버 버그입니다.
업데이트 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할 것 같아요.
11th gen 부터 dtt가 성능 제어를 했었죠 근데 써보니 맨날 렉 걸리고... 드라이버를 지우니 잘 되던데 계속 자동 설치 되는게 짜증나긴 하네요 ㅋㅋ
지금은 쓸 만 한가요?? 사려고 하는데 너무 걱정이네요 ㅠ. ㅠ
롤을 할 때 dtt를 끄든 안 끄든 겜 도중 멈추고 클라가 오랫동안 안 꺼지다 꺼지게 되면 재접속이 뜨게 되는 현상이 계속 나타나고 겜이 끝날 때도 클라가 꺼지고 명예창으로 넘어가야 할 상황에 클라가 오랫동안 꺼지지 않던데 어떻게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저도 이러네요
@@박세윤-t9g 장치관리자에서 외장그래픽(아크그래픽)비활성화 해보니 전 해결됐네요 한 번 해보십쇼
@@정문길-d4f 한번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레이저 블레이드 새로나온다던데 리뷰해주실수 있나요?
저기 나오는 dtt 프레임 확인 프로그램이 무엇인가요?
DTT 설명을 들으면 AMD 스마트시프트와 비슷한 기능인듯한데 비교가... 가능할까요?
인텔판 GOS?
장치관리자-소프트웨어 구성요서-intel dynamic turning technology 찾아서 디바이스 사용안함 설정 후 재설정
파이어스트라이크 7000점 치고는 롤, 옵치조차 성능도 스터터링도 문제가 심하다 싶었는데 이런 문제가 있었네요
기본 충전기는 저렇게 열 오를 거면 그냥 어댑터로 주지...
DTT가 GOS군요. 차이점은 처음부터 on/off 가능하게 했다는 거죠 ㅋ
dtt 꺼도 arc 외장으로 롤돌리면 6-7분마다 팅기는건 arc 문제겠죠? 아 진짜 그램살껄 ............
인텔식 gosㅋㅋㅋㅋ
저 포함해서 해당 모델 사용하시는 분들이 롤을 플레이하다 7분정도되면 멈추는 현상이 있습니다.. 혹시 해당 현상 관련된 해결법이 있을까요
다른 분들도 다 그렇더군요. 패치 기다려봐야 할 것 같아요.
13인치 내장그래픽도, 비충전 상태일때 훨씬 더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약 1GHz정도 인 것 같음)
갤럭시북 기본증정 충전기로 충전하면서 만져보면 발열이 심해서 1~2년 쓰면 고장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DTT를 끄면 팬이 안돌아가서 글카 온도가 안떨어지고 키면 느려져버리니..답이 없네
거기다 롤은 그래픽카드 초기화 문제까지 발생
요즘 종합 반도체 기업들은 성능제한하는게 유행인가봐요...
12900ks 리뷰하시나요?
그건 좀 어려울 것 같아요ㅠ 크게 다른게 없어서...
내가 낼린결론....
램,cpu,그래픽 칩셋...이걸 한 회사가 독점제작하면
100% 성능장난질 드감.
애플도 그랬고, 삼성도 그랬고, 이젠 인텔이 그렇게 함.
각각 개별회사의 연합군 제품이라야 성능제하가 없는거 같음.
단지, 개별회사 연합군은 부품간 최적화에서 성능저하가 오긴 하지만...
뭐든 발열땜문에 성능 개입을 하는거에 따라 애매하군요. 배터리냐 성능이냐.. 그 갈림길....
배터리 때문이라면 전원 연결하면 풀어져야죠.
이건 비정상이 맞는 것 같아요.
어젠가 인텔에서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떴더라구요
업뎃하고 게임성능에 개선이 있을지 궁금하네요
그거 적용한겁니당
@@BullsLab ㅇㅎ 영상을 끝까지 못봤네요 ㅎㅎ
퀄리티 좋은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데스크탑용 외장그래픽도 초반 드라이버 문제가 심할꺼라는 전조인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