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구축 아파트가 층간소음이 적을까?ㅣ취재대행소 왱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8 фев 2025
  • 공동주택에 층층이 모여사는 한국인들을 괴롭히는 층간소음. 그런데 아파트 보면 짜증나는건 마찬가지지만 구축에 살 때랑 신축에 살 때랑 소음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기도 한데 유튜브 댓글로 “구축 아파트는 층간소음이 덜하다던데 왜 그런 건지 알아봐달라”는 의뢰가 들어와 취재했다.
    #층간소음 #궁금증 #취재대행소왱
    ▼▼▼ 댓글로 취재를 의뢰하세요! ▼▼▼
    링크 -
    인스타그램 : / wng_project
    페이스북 : / wngproject

Комментарии • 348

  • @jamesj9048
    @jamesj9048 Год назад +228

    층고제한은 있는데, 한층이라도 더 넣어야 돈이 되니까 층간두께가 점점 얇아지는거고,
    팔고나면 배째라니까 답이 없는거죠.
    결국 강력한 법적 테두리와 처벌이 있어야 해결이 가능할겁니다.
    철근도 안넣는 판에, 층간소음따위 건설사들이 생각이나 할까요?

    • @숨겨진시청자
      @숨겨진시청자 Год назад +10

      재료가는 아파트에서 10%도 차지안하고 건축비는 전체의 3할정도만 차지하고 나머지는 다 땅값임 고로 이론상 아무리 재료랑 공법이 좋아져도 현재에서 별차이 없음

    • @kind_piggy
      @kind_piggy Год назад +8

      배째라는 아니고 입주하면 집값떨어져서 아무도 이의제기를 안합니다

    • @인별그램
      @인별그램 Год назад +3

      층간소음 해결법은 몇개 없음. 주택살기, 본인이 관여해서 짓기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6

      ​@@인별그램 건축단가 더들여서 정상적 건축하면 소음없어요

    • @시골야옹이-w9t
      @시골야옹이-w9t Год назад +4

      기둥보로 시공하게끔 강제하면 됩니다.

  • @whitedog119
    @whitedog119 Год назад +77

    호텔에서 층간소음 느껴본사람?
    애초 층간소음은...주민의 잘못이 아니고 건설사와 건축법이 문제다....

    • @황미르-s2o
      @황미르-s2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적극적으로공감해요😢

    • @WhopperKing_
      @WhopperKing_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호텔도 윗층에서 작정하고 뛰면 층간소음 들립니다. 층간소음 뿐만 아니라 벽간소음까지 있습니다. 호텔 특정상 생활소음이 없을 뿐이죠. 하루 이틀 묵는데 층간소음을 느낄 수가 없습니다. 일반 아파트야 하루종일 365일 사는 곳이니까 이웃 잘못 만나면 티가 나는 거고요

    • @한산-s1m
      @한산-s1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1

      ​@@WhopperKing_작정하고 뛰어야만 소음이 들린다는 건 일상적인 생활이라면 아파트보다 층간소음이 훨씬 덜하다는 거네요

    • @팽라이끼
      @팽라이끼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호텔도 애들 위에서 뛰면 나요 ㅋㅋ 사람이 문제 맞아요 이차가 건설사

    • @user-qo7bs9jq4w
      @user-qo7bs9jq4w 4 месяца назад +1

      1차가 건설사 2차가 사람이지

  • @keenoy7042
    @keenoy7042 Год назад +203

    법 만드는 사람들, 돈 많은 사람들 입장에서 집은 "재화"지 "사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층간소음을 신경쓰지 않는 것.

    • @evs-g4q
      @evs-g4q Год назад

      이명박때 층간소음 규제 완화해서 살인나기 시작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건축단가가 싸니깐 당연한거에요;;;

    • @keenoy7042
      @keenoy7042 Год назад +6

      @@grx1988 건축 단가가 싸니까 그런 게 아니라 날림으로 지어도 되니까 건축 단가를 후려칠 수 있는 겁니다. 값이 싸서 어쩔 수 없다는 건 영세한 기업이나 댈 수 있는 핑계에요 돈 잔치하는 건설사들이 아니라.

    • @J-rw1yc
      @J-rw1yc Год назад +4

      @@keenoy7042외국보다 건축단가 저렴합니다. 외국은 한번 지을때 튼튼하게 지어 100년된 건축물도 재건축 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는 건설사가 먹고살아야되서 일부러 싸게 짓는거에요 ~ 40년마다 재건축 해야죠ㅎ

    • @가끔씩은
      @가끔씩은 Год назад

      @@J-rw1yc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렇게 당당하면 원가 공개하던가? 그건 왜 죽어라 공개 못하는거지? 남는게 진짜 없다고 생각하는건가??

  • @jmls897
    @jmls897 Год назад +29

    우리집은 10년 넘었는데 하루종일 너무 조용해서 내 심장소리까지 들릴 정도....
    이웃 복을 받은 듯
    그리고 오래된 아파트는 아이가 없거나 다 커서 안 뛰어다니니까 조용한것도 있음

    • @SSC-pt4oz
      @SSC-pt4oz Год назад

      혹시 탑층 아닌가요?

    • @jmls897
      @jmls897 Год назад +2

      @@SSC-pt4oz 아니에요. 가운데 층이에요.

    • @최5441
      @최5441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느 지역일까요?

    • @지현-i2w3p
      @지현-i2w3p 5 дней назад +1

      부럽네요

  • @ji0000
    @ji0000 Год назад +126

    지금 한국 집은 층간소음 따위 걱정할 때가 아님. 철근 없는 순살 아파트도 있는 마당에...
    부실공사 때문에 내 집이 무너지지만 않으면 다행으로 생각해야 함.
    건축 꼬라지 보면 부실공사로 다리 무너지고, 백화점 무너지던 90년대로 돌아간 것 같음.

    • @서기장동지
      @서기장동지 Год назад +13

      그저 소중국 ㅋㅋ

    • @숨겨진시청자
      @숨겨진시청자 Год назад +4

      철근을 안넣는것은 공사기간을 촉박하게 책정해서 인부들이 철근묶을 시간이 없어서 대충대충 다음공정으로 넘기다가 남으니 뒤로 팔고 그러는건데 이게 해결되려면
      아파트 원가공개하고 공사장에 기자출입을 허용하면 될듯 여러번 얻어터지면 법도 바뀌겠지

    • @mjkim9048
      @mjkim9048 Год назад +4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도 있었고..

    • @ypsong33
      @ypsong33 Год назад +2

      @@숨겨진시청자 뒤로 판다고요? 그 말 책임질수 있나요?

    • @hehlahngsah7
      @hehlahngsah7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가가 국민 죽이는 나라

  • @오예스-s2i
    @오예스-s2i Год назад +15

    지금 새로 지은 아파트와 재건축 들어가서 허물어버리는 옛날 아파트 아래층 위층 베란다쪽 간격만 봐도 진짜 엄청 비교되는데 이게 내 느낌에 2015년정도 이후에 확 좁아진게 느껴졌음 기분탓인가..

  • @j2842-t5w
    @j2842-t5w Год назад +371

    층간소음 안당해보면 절대모름

    • @airplane04
      @airplane04 Год назад +9

      ㄹㅇ.. 전에 살던 집에선 시끄러울때마다 노캔 헤드폰 끼고 삼

    • @시루아
      @시루아 Год назад +26

      이거 진짜 소리만 단순히 나면 모를까 진동으로 울리는 소리라서 마이크로도 잘 안잡힘. 진짜 사람이 타락하는 순간중 하나라고 본다. 예수님이 오든 하나님이 오든 일단 윗사람을 보내줄듯.

    • @너는사랑
      @너는사랑 Год назад +12

      + 복도 담배냄새도 비흡연자에겐 엄청난 스트레스임요

    • @user-RohMoohyun5.23
      @user-RohMoohyun5.23 Год назад +14

      스님도 살인충동 느낀다..

    • @초코음료수
      @초코음료수 Год назад +2

      ​@@user-RohMoohyun5.23전쟁때는 승병이 참전했던것처럼 말이죠

  • @Leeghr
    @Leeghr Год назад +35

    요즘 윗집에서 층간 소음 내고 있는데 자꾸 아닌 척 하는게 너무 열 받는데 기회를 보고 참는 중이다 이래서 칼부림이 나는 듯

    • @MagicSteel1
      @MagicSteel1 Год назад +7

      두번생각해봐. 윗집처럼 들리는데 사실은 옆집일수도 있어. 고체라서 소리 전달되는게 좀 달라. 전화선 어느방향으로 깔려있든 귀 옆에서 들리는듯 하잖아.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11

      윗집이아니라 그 윗집이나 아랫집이나 바로 옆집일수있음
      벽식구조는 아파트 한동이 하나의 덩어리라 니가 느끼는게 바로 윗집인거같아도 윗집이 아닐수도있음

    • @andy_sw9297
      @andy_sw9297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윗집일수도 있고 위에 윗집일수도 있어요~~
      2시간 가까이 피아노 소리 너무 시끄러워서 가봤더니 2층 위에 있는 집이었습니다

    • @전미경-v9y
      @전미경-v9y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윗집놈도 지새끼미친듯이뛰는데 안뛴다고지랄을해요
      난그집앞에가서직접들음 새벽2시에

    • @yjgang8532
      @yjgang8532 14 дней назад

      밤마다 윗층에서발망치 소리나는데 한달 참다가
      올라가보고,관리실에도 확인했는데
      황당한건 신축이라서
      윗집 윗윗집 비어있다네요
      윗옆집인지, 아랫집인지
      정확히 모르니
      따질수도 없음 ㅠㅠ

  • @나는고양이다-l4g
    @나는고양이다-l4g Год назад +24

    층간소음에 시달리다 주택으로 이사옴
    세상 조용하니 불면증도 사라짐

    • @seoyeong2202
      @seoyeong2202 Год назад +5

      주택도 거리가 좀 떨어져있음 몰라도 붙어있는 주택은 아파트보다 소음 더 심하고
      주차문제도 심하죠. 옆집이 꼭두새벽에 도마질소리 절구소리, 주말엔 지인들 몰려와 고기파티하느라 늦은 시간까지 불 환하게 켜놓고 왁자지껄 떠드는 소리에 아기하고 잠못자서 아파트로 이사한 경험이 있어요.
      어디든 서로 배려하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행복한 사회가 되겠죠.

    • @unnamed9065
      @unnamed9065 День назад

      ⁠@@seoyeong2202 오히려 저는 그런 주택에서 아파트로 이사갔는데 층간소음,벽간소음,담배냄새 등등 소음 문제는 나아진게 없지만 그래도 구옥 주택에서 개차반같은 인간들하고 따닥따닥 붙어 살다가 오니 훨씬 나은것 같네요…
      이전에 살던 주택에 축구장 바로 입구에 있는 집인데다 단열도 안되고 아침에 쿵쿵 새벽에 쿵쿵 거리는 전혀 소음이 차단이 안되던 집이라 주택도 주택 나름 인것 같네요

  • @김은정-q8c8b
    @김은정-q8c8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대체로 구축이 층간 소음이 덜했음.

    • @jessicaha504
      @jessicaha50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더 하든데요????????????

  • @Alex-wl9jx
    @Alex-wl9jx Год назад +29

    전캐나다사는데 여기는 목재라서 더 잘들려요 ㅋㅋㅋ 거기다 신축콘도는 그냥 윗집에서 뭐하는지 무슨 티비보는지 무슨걱정있는지 애가 몇인지 다 알정도임..😂😂

  • @HaHa-ng4vk
    @HaHa-ng4vk Год назад +22

    이미 아파트중에 두꺼운집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면 편함.. 울집도 위에 초등학생들이 딸린 집이라 진심 깨어있는 시간 내내 뛰어다니는 울림이나 걸어도 발망치 소리가 지속됨.. 애들이 새벽에도 깨어있던데

  • @이찬동-v2v
    @이찬동-v2v Год назад +132

    구축 아파트에서 조용한건 그냥 이웃 잘만난겁니다..구축아파트 화장실 소음 엄청 잘들리고 아랫집에서 말하는 소리도 아주 잘 들립니다

    • @Ing_bbang
      @Ing_bbang Год назад +26

      이게 맞음 층간소음은 애초에 구축신축 구분없이 이웃의 영향이 가장큼 ㅋㅋㅋㅋ

    • @노니닌
      @노니닌 Год назад +13

      우라집 구축인데 남자들 오줌싸는소리까지들림. 전등 스위치 소리도 들리고…

    • @민환김-j3c
      @민환김-j3c Год назад +6

      이편한세상 프리미어 신축인데 화장실에 옆집윗집 물소리 다들리고 거실소음 진짜 미친다..
      신축인데 이게맞나?

    • @시골야옹이-w9t
      @시골야옹이-w9t Год назад

      @@민환김-j3c 아파트가 프리미엄이다라는 건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의미가 다 달라요. 마케팅적 그냥 브랜드 값이거나 입지적 목이거나 여러가니 무형적인 요소가 있는거고요. 진짜 건물 그 자체를 본다면 프리미엄은 창문과 천장고를 보면 됩니다. 천장고가 2.3m이고, 창문색에 바깥에서 봤을 때 하얀색이면 거저그런 겁니다. 검정색은 특수필름이 들어가기 때문에 대략 30% 더 비싸고 고급창호에 잘 씁니다.
      천장고가 낮을 수록 소음에 매우 불리합니다. 그만큼 귀를 천장에 갖다대고 사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 고급으로 친다면 최소 천장고가 2.5m가 나와야 프리미엄 아파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니라면 그냥 대중적인 아파트입니다.
      그리고 모든 아파트는 협렵업체가 짓는 거지... 실제 직영에서 짓는 건 없어요. 다만 설계 노하우, 디자인 노하우, 인테리어가 저마다 차이에서 오는 강점은 있습니다.

    • @foodlike-moon
      @foodlike-moo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아이파크산다 뻥안치고 위층 샤워소리도 들린다

  • @dojinkwon3179
    @dojinkwon3179 Год назад +4

    70년대 지은 아파트 살고 있는데 방에 있으면 거실 tv 소리가 안들릴 정도로 벽도 두껍고 층간소음도 거의 없음, 취재내용만 봐도 80년대 이전아파트는 조용하다는 건데 90년대 이후 지어진 구축아파트가 시끄럽다고 댓글다는 걸 보니 내용도 안보고 댓글만 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음

  • @jiwookim9275
    @jiwookim9275 Год назад +35

    덜하든 말든 위아래 앞 대각선 사람들을 잘 만나야 함 ㅠ

  • @yskim7827
    @yskim7827 Год назад +71

    온갖 비리, 주가조작, 횡령 배임에도 자신의 달달한 노후를 위해 땅땅 판결내리는 판사님들이 계시는 한 무한 반복되는 구조ㅎㅎ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근본 원인: 부패한 판사 시스템

  • @야너는
    @야너는 Год назад +98

    층간소음 잡는 방법은 사실 간단함.
    지을 때 몇 dB 이상 나오면 거래가 1억 이하로 국가에서 고정시켜 버리면 됨.
    왜냐면 불량품이거든. 불량품인데 팔게 해주는 게 어디야? 고마워 해야지.
    불량품 팔게 해주면 고맙게 생각해야 함.
    이러면 어차피 부동산 거래로 돈 벌고 싶은 사람들이 사질 않으니 건설사가 제대로 지을 수 밖에 없음

    • @Exynos3
      @Exynos3 Год назад +2

      ㅋㅋㅋㅋ 그러면 다 건축비 폭등해서 집값 폭등하니깐 정부부터 개선 안하고 긴 이야기가 필요한데 노태우때 괜히 정부부터 건물 원가절감 괜히 시킨게 아니에요 그리고 일본도 층간소음과 진동 심하다는 증거 있고 타워멘션은 고급 아파트니 예외고 ㅋ

    • @숨겨진시청자
      @숨겨진시청자 Год назад +6

      @@Exynos3 재료가는 아파트에서 10%도 차지안하고 건축비는 전체의 3할정도만 차지하고 나머지는 다 땅값임 고로 이론상 아무리 재료랑 공법을 변경해도 현재에서 별차이 없음

    • @LemonFrult
      @LemonFrult Год назад +6

      아니 집값올라간다고 불량품 파는건 더 정상이 아닌데

    • @croton21
      @croton21 Год назад +2

      그것보다 몇데시벨인지 소비자에게 공개하는 게 의무화되는 게 더 좋을 것 같아요. 가격은 그럼에도 그 공간이 필요한자들로 인해 맞춰지겠죠..

    • @졸려용
      @졸려용 Год назад +1

      ㅅㅂ ㅋㅋㅋ 뭔 공산주의국가임?

  • @MagicSteel1
    @MagicSteel1 Год назад +18

    구축이든 신축이든 저렇게 다다닥 붙여서 모여사는데 소리가 어떻게 안들릴까. 소리 전달은 고체가 짱이시다. 답이 없다. 아파트는 거르는 수 밖에.

    • @grx1988
      @grx1988 Год назад +2

      싼건축이 원인이에요 소리야 돈만 들이면 잡아짐;;;

  • @moonragon8580
    @moonragon8580 Год назад +2

    난 10층 아파트에서 10층에 사는데 여긴 옆집 소음이 다 들림...
    자가전환하기전에 설명회 가보니까 층간소음도 있는것같고...
    진짜 지을때 제대로 감사받으면서 지어여하는 제도를 만들지 않으면 이문제는 절대 해결 불가임

  • @yjgang8532
    @yjgang8532 14 дней назад +1

    신축아파트 이사왔는데
    바닥 콘크리트는 두꺼워졌는지 물소리 문소리등 소리는 잘안들리는데
    밤에 11시나 12시이후
    쿰쿵 발망치 소리가 울려서
    잠들려다 잠이 다 달아남
    윗집이랑 윗윗집 비어있음
    아래층 소리가 울려서
    윗집에서 나는소리로 들림
    구축은 소리는 들리는데
    쿵쿵울림은 없었는데 ㅠㅠ
    1차적으로 아파트가 문제
    2차적으로 위아래 옆집
    이웃을 잘만나야 됨

  • @h.s.k9723
    @h.s.k9723 Год назад +3

    최소한의 사람들이 자기네들(1층제외) 바닥이 남의집 천장이라 생각해야함 그리고 최소한 소음나야하는 작업 바퀴달린 뭘 끈다던가 드릴을 쓴다던가 망치를 쓴다던가 하면 이웃집에 양해 구하기 뭐하면 엘베에라도 붙여놔라 몇날몇일 소음나면 사람 미칠지경이다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Год назад +13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진짜 우리나라 건설 비리 같은 것들을 생각하면..방음 말아먹은 아파트가 널려있어도 이상할 게 없음

  • @nameno8735
    @nameno8735 Год назад +14

    해외 선진국들의 고층아파트들에서 살아봤는데, 층간 소음 전혀 없었고, 층간 소음때문에 싸운다는 말은 더욱 없음. 한국은 대단함, 건축자재 확 줄이고, 싸게, 그냥 넘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아파트 짓는 기술은 세계 제일. 해외는 100년된 건물도 튼튼해서, 아파트 재건축이란 말을 들어보기 힘든데, 자재를 확빼서 돈남기고, 얼마안가 재건축해서, 또 돈남기도. 일석 이조..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3

      애초 ‘고층’아파트는 라멘식구조로는 한계가 있음 보통은 철골도 병행해서 만들기땜에 벽식구조나 라멘식 구조랑도 별도의 구조체임
      철골을 뼈대로 두고 각각 개별로 방들이 만들어지기에 애초 바닥 두께도 두꺼워지고 기둥도 두꺼워질수밖에 없는 구조임
      그래서 층간소음 문제가 덜한거고
      우리나라같은경우는 최종 납품 단가를 맞추고 실질 유효면적을 늘리기위해 벽식구조를 쓰는데
      이게 또 최종 분양가가 높아지는데 기여를 하는개
      이 엄청난 콘크리트 덩어리를 지탱하기위한 지반공사에 총 공사비의 40 프로가 투입이됨
      게다가 외국같은경우는 기계식 주차장을 쓰던가 별도의 주차공간을 써서 땅을 많이 안파고 들어가는데 우리나라는 모든 차량을 단지내에 주차시키기위해 땅도 더 파고 들어감 이것도 결국 공사비가 높아지는 주원인이고

    • @nameno8735
      @nameno8735 Год назад +1

      @@ysuvin 해박한 지식에 놀랐습니다. 결국은 돈적게 들이고, 층간 소음을 참으며 살래, 돈을 더 많이 내더라도, 층간 소음없는 조용한 아파트에서 살래로 문제가 축소가 되네요.

  • @어머-g8g
    @어머-g8g Год назад +4

    일반 물건처럼 7일내 단순변심으로 인한 환불이 가능해져야 한다 본다

  • @Front_of_gate
    @Front_of_gate Год назад +30

    법으로 층간소음 문제 해결에 대해 건설사가 책임지도록 확실히 강하게 밀고 나갔으면
    벌써 어떻게든 건설사가 신소재개발이든 새로운 건설 공법이든 대안을 만들든 찾아내든 배워오든 해서 해결 했을거다
    층간소음, 부실 공사 등 아파트 건설사 문제가 문제로 인식된지도 오래되었는데도 건설사,감리, 전관유착으로
    피해는 결국 입주 시민들만 보고 있는거

    • @Front_of_gate
      @Front_of_gate Год назад +1

      @@ipsw97 분양가 싸게 들어간 집에서 층간소음으로 고통 받느니 분양가 비싸도 층간소음 없는 집에서 사는게 훨씬 좋지

    • @wrongitstea
      @wrongitstea Год назад

      @@ipsw97 이런애들은 싸면 다 좋은줄 알어ㅋㅋ

    • @시골야옹이-w9t
      @시골야옹이-w9t Год назад

      라멘구조로 하면 아무 문제 없어요.
      빌딩 건물을 보면 구둣발로 뛰어다녀도 밑에 층에서 인지조차 못합니다.
      그리고 천장고를 높여야 합니다. 봅적기준 2.3m면 사실상 귀를 천장에 붙이고 산다고 봐도 됩니다. 그만큼 너무 낮아요. 그 키 ㅈ작은 일본도 최소 2.4m가 나옵니다.
      최소 2.5m미만은 못지도록 강제해야 핮니다.
      아파트가 답답한 이유는 평수보다, 천장고가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 @ysshin9807
    @ysshin9807 Год назад +13

    집 둘러볼때 윗집이나 옆집 현관에 애들 킥보드나 자전거가 세워져있으면 절대 이사가면 안됨 살짝 이성의 끈을 놓는 순간 뉴스에 나올수도

  • @warriet29
    @warriet29 Год назад +4

    층간소음 가지고 애들이 뛸 수도 있지.. 이 정도로 생각하는 분들 계시더군요. 직접 당해보세요. 진심.. 삶이 피폐해집니다. 본인도 당하고 있는데 참을만 하다고요? 그건 층간소음이 심하지 않을 뿐이에요. 자영업 하는 윗집 10시에 애들 데리고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아프리카 들소처럼 뛰어다니다가 12시가 넘어서야 잠자리에 듭니다. 더 화가 나는 것은 애들을 타일러야 하는 어른도 발망치는 똑같다는 겁니다. 살인충동 발생합니다.
    구축이든 신축이든, 매트를 깔든 핵심은 "실내화를 신고 뛰지 않는 겁니다." 애들은 당연히 뛰죠. 애들이니까 타일러야 하는거고, 애들이니까 타일러도 또 뛰는거고, 또한 애들이니까 또 뛰어도 또 타일러야 하는 겁니다. TV 앞에서 보면 뒤에서 보라고 타이르지 않나요? 어차피 좀 있다 보면 또다시 앞에서 본다고 내버려 둡니까? 층간소음도 똑같은 거에요. 식당에서 애들이 뛰면 뛰는 애들이 무슨 죄입니까? 보고만 있는 부모가 문제죠. 아파트도 공동생활 구역입니다. 제발 좀 타이르시고 어른들은 실내화 신으세요.

  • @junjunim
    @junjunim Год назад +6

    층간소음 + 창밖배란다에서 담배냄새 진짜 골때림

  • @swain214
    @swain214 Год назад +21

    1998년 신축 빌라 이사 갔는데 위층 소변 소리도 들림 ㅡㅡ

  • @야마타노오로치-d7c
    @야마타노오로치-d7c Год назад +6

    층간소음 당해보면 살인은 순식간이다

  • @떼아모-k8d
    @떼아모-k8d Год назад +3

    지금은 구축을 따지는 의미가 없음. 비교 할 구축들은 대부분 재건축이 되었거나 그나마 남은 것은 노후가 너무 심해서 누더기 수준이다 보니 답이 안나옴. 해당 구축의 대표적인 예로 은마나 주공 정도를 끌어 올 수 있는데 콘크리트가 부식되서 석순이 자라나는 건물들인데 비교는 무슨...
    그 이후에 아파트 광풍에 올라타서 짓기 시작한 건물들은 지금이랑 딱히 큰 차이가 없음.
    순살자이 빼먹지오 통뼈캐슬 아래미안 같은 브랜드 아파트들에 요즘 다들 기겁하지만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를 떠올려보면 이게 얼마나 역사와 전통이 깊은 건축문화인지 대충 감을 잡을 수 있으니까.

  • @백구한접시
    @백구한접시 Месяц назад

    지역 구축 아파트 중에 인테리어 공사하는(정확하게는 바닥 까고 다시 온돌 시공하는) 업체들이 혀를 내두르는 곳들이 있습니다.
    거기가 층간소음 면역지대입니다. 까고 또 까도 바닥까기 힘들다고 우는 소리 나오는 그런 아파트들은 진짜로 층간소음이 없더라구요.

  • @냥이사랑-f8r
    @냥이사랑-f8r Месяц назад

    건축물이 완공된 이후 층간소음 검사를 해서 통과 못하면 보완이 아니라 부수고 재건축을 강제해야 건설사도 처음부터 정신차리고 짓겠죠
    분양자가 수억에서 수십억 내고 건물을 샀는데 하자가 있는데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입주자끼라 박터지게 싸우다가 서로 죽이고 욕하고 이게 정상인가요

  • @captainsergioramos6079
    @captainsergioramos6079 Год назад +73

    취재의뢰드립니다.
    음주운전만큼은 형량이 최고로 높았으면 하는데 지금까지 음주운전에 법이 관대한 이유가 너무나 궁금합니다!
    여러 속설이 있는데 찐 이유가 궁금하고, 법이 바뀔 가능성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 @HCl_drink
      @HCl_drink Год назад +20

      자기네들이 저질렀을때 형량 덜 받으려고요

    • @Vc2Bg8D88MOg
      @Vc2Bg8D88MOg Год назад +17

      정치인들 쿠션용

    • @ye2184
      @ye2184 Год назад +18

      민주당대표도 음주운전전과자가있는데 ㅋㅋ

    • @인터넷_망령
      @인터넷_망령 Год назад +3

      서민들을 위한 법은 없다네 젊은이

    • @ZergHydralisk
      @ZergHydralisk Год назад +6

      음주운전 전과자 대통령후본데 50% 나온거보면..

  • @하늘이시여-n5q
    @하늘이시여-n5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현행법상 요약하면
    걸리면 보수 권고(안해도 그만)
    가해자에게 피해 보상 알아서 받아라 건축사엔 책임 물을수없다. 이다.

  • @goodeie4568
    @goodeie4568 Год назад +10

    생활소음은 조금 이해가능한데 발망치는 진심 살인충동 강하게느낌

  • @ssyfi
    @ssyfi Год назад +1

    2005년도 지은 집. 위에서 걸으면 천장에 달린 전등에서 뿌지직 소리나며 가끔 흔들리는 소리까지 들림. 전등 떨어지나 놀랄정도. 도대체 어떻게 지었으면 전등이 뿌지직 거리는지. ㅠㅠ살수가 없음. 버티다 팔고 떠나는 생각만 함. 매일 잠잘때 귀마게 필수. 그러다보디 외이도염 달고 삼. ㅠㅠ

  • @sjchoi777
    @sjchoi777 8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990년 대 ~2000년 대 초 지은 벽식아파트가 층간 소음이 심각함

  • @sgm117
    @sgm117 Год назад +12

    예전 첫 직장이 층간소음 측정 업체에 입사했는데
    롯데캐슬에서 돈받고 하는 업체였음 거기서 중량충격, 경량충격을 측정해서 보고서를 만들고 그걸 시에 제출해야 준공승인이 나는 구조인데
    사실 기준치의 30%~50%수준밖에 안되었음 fm대로라면 바닥, 벽 다 뜯고 보강해야하는데 건설사가 좋아할 리 없고 fm으로하는 업체에 돈 주기 싫으니까 성능을 조작함
    그리고 보고서 마지막에 꼭 별표 박고 한마디를 쓰는데 '이 보고서는 입주 전 아무런 구조물이 추가되지 않았을 때의 기준이며 입주 후 가정에서 타공, 가구의 배치 등으로 인하여 기준점이 달라질 수 있다' 라는 내용을 쳐넣어서 층간소음이 원래는 기준에 맞았는데 입주민 니들때문에 기준 밑으로 내려가는거야 라는것을 했음 그당시 제일 큰 아파트 측정을 한 적이 있는데 금천구 롯데캐슬, 기흥 롯데캐슬, 부산 롯데캐슬, 제기동 롯데캐슬이었음
    이렇게 하고 건설사 과장한테 몇백씩 바치는걸 몇달 보고 좆소 퇴사함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한국에서 아파트 시공을 할수있는 업체가 정해져있는데 그들 눈치 안보고 제대로 해서 준공기한 늘어지고 보강공사를 해봐라
      그럼 니가 다녔던 회사는 일이 없어지는건데?
      돈주는 주체가 시공회사에서 정부로 바뀌어야 제대로 돌아가는 시스템임
      애초 층간소음 측정업체가 사실 입주민 달래기용 보여주기식으로 만들어진 직종인데
      층간소음을 잡겠다는 의지가 있으면 사설 회사가아니라 별도 공무집행 부서 만들고 거기서 예산편성해서 정부가 직접 해야하는일이야

  • @마카롱맛났어
    @마카롱맛났어 Год назад +2

    돈 줜나 꼬라박은 고급 아파트도 층간소음 해결안해놓은거 보면 대체 어디가 썩어있길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정도 돈이면 무조건 해결하고도 남겠던데

  • @hyunho_07
    @hyunho_07 Год назад +17

    우리 집은 아랫집에 소리만 질러도 다 들리는데 ㅋㅋ 콘크리트,공법, 등등이 복잡하게 들리긴 한데.. 그래도 소음 측정 방법이 있다고 하니 그걸로 다행이네요.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그 테스트 방법이 사실상 통제된환경에서 변수를 생각하지 않고서 진행하는거라 별의미없어요
      층간소음이 심하다 불편하다 국민들이 말을해서 만든 보여주기식이라

  • @조성재성재-e6r
    @조성재성재-e6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요즘 아파트 건축 방식이
    벽식 구조 로 빼요

  • @hippie_-
    @hippie_- Год назад +26

    구축은 위에서 좀 심하게 걸으면 집 전체가 울림
    그놈의 구축은 층간소음 없다는 드립은 도대체 어느놈입에서 나온거냐

  • @Hun-zo7dd
    @Hun-zo7dd Год назад +4

    불량자재 납품업체를 조져야지..

  • @outin3859
    @outin385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 우리집은 아침마다 윗집 휴대폰 진동소리가 엄청 크게 들린다. 근데 워낙 둔한 편이라 걍 그려려니 하고 잠 깨면 다시 잔다.(잠 잘 드는 편) 그리고 쿵쿵 소리 나도 걍 그려려니 견딜만 함. 신경을 안 쓰면 크게 거슬리지 않음. 한번도 윗집에 뭐라한 적도 없음. 그러고 보면 무던한 이웃을 잘 만나는게 중요할듯~~ (다만 유독 앙칼지게 짖는 개 소리는 신경 쓰이긴 함)

    • @9냥이-h3y
      @9냥이-h3y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답입니다.
      그러려니가 최고입니다.
      윗집에서 소리 나면 제 아랫집도 그렇겠구나 싶어 조심합니다.
      한번 신경 쓰다보면 자꾸 예민해지고 그러다 정신병 걸리는겁니다.
      둔해지는게 승자고 편합니다.

  • @lilile1838
    @lilile1838 Год назад +2

    구축 아파트는 오래 산 사람들이 대다수라 젊은 부부나 애를 키우는 사람들이 적다는것도 생각해야함..
    자식도 커서 소음 낼 일이 없거나
    신축은 환경때문에라도 신혼부부나 애키우는 집 젊은 부부들 전세로도 많이 살고

    • @율무-o8n
      @율무-o8n 4 месяца назад

      윗층 안하무인 노인네 만나면 답 없어요

  • @jibinnnnn
    @jibinnnnn 2 месяца назад

    구축은 어린애들이 없어서 그렇다는데 어릴때 88년 준공된 아파트 살았는데 윗집 옆집 다 또래 애들 있었고 층간소음이라는게 뭔지도 모를정도로 조용했었음

  • @wpoijwelifongewqth2775
    @wpoijwelifongewqth2775 Год назад +14

    그것보단
    구축에는 나이든 사람들이 많이삼
    일찍자고 뛸힘도 없은 사람들이 많다는거임
    대신 신축은 젊은신혼부부나 젊은층이 살다보니 나이든사람보단 활동량이많을수밖에없고
    가장큰 원인인 아이들이 신축에 훨신더 많다는거임
    층간소음 답이없음
    개빡치면 인터넷에 층간소음 복수하는 제품들 많이파니까 그걸 사도록 이게제일 효과적인 방법임

    • @사초-n4c
      @사초-n4c Год назад +7

      구축 벽간소음 때문에 못살아요 옆집 티비소리 물내리는 소리 다들림

    • @youdieee
      @youdieee Год назад +1

      층간소음이 안 들리긴하지만, 이웃간 소음은 들림

    • @율무-o8n
      @율무-o8n 4 месяца назад

      안하무인 노인네 만나면 노답입니다.

  • @킴살만
    @킴살만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옛날에 현대아파트살았는데 그때보다 지금이 확실히 층간소음 심함 그땐 그렇게까지 심하진않았던거로 기억

    • @TV-jw8su
      @TV-jw8su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이먹고청력떨어져도 그런다면 캬

  • @위즈덤-z4c
    @위즈덤-z4c Год назад +2

    ✔️ 얼마전 전국 곳곳에서 알수 없는 택배뜯었다가 화학테러당한 사건 어떻게 조사됐는지 궁금합니다 재난문자도 왔었죠..

  • @happyjgl2126
    @happyjgl2126 Год назад +1

    몇억이상하는 건물들을 야매로 허가해준 공무원들과 야매로 건설한 건설사들은 왜 하나같이 책임을 안지냐???
    처벌이없으니까 몇십년동안 이러는거아냐? 층간소음으로 사람맨날 칼로찔러죽이고 싸움나는데 정부와 정치인것들은 뭐하냐? 하루이틀도 아니고 이문제가
    몇십년된문제인데?

  • @JLEEe7
    @JLEEe7 Год назад +3

    정부와 건설사가 원인인데
    주민들끼리 싸우고 있으니 현재진행형

  • @건전한닉네임
    @건전한닉네임 Год назад +17

    다 빼먹으니까 층간 소음 너무 심해요
    불나면 옆집 뚫으라고 일부러 가볍게 만든 곳도 있고요

    • @h.s.k9723
      @h.s.k9723 Год назад +1

      솔직히 그리 뚫느니 걍 이불 뒤집어 쓰고 불길 통과할듯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어디가 가볍게 만들어요?

  • @ConsoleHeadache
    @ConsoleHeadache Год назад +1

    라멘식 아파트 없어진지는...(초고급에만 적용되니 사실상 없어졌다는 표현이 적절하지요) 40년이 넘었고, 벽식구조에서의 층간소음 검증 기준이 강화되었으나 권고사항이고, 공동주택은 점점 고층화되고 용적률 완화에 따라 다시 뺵뺵해지니 내부 소음이 줄 지언정, 이제는 외부 발코니 소음도 들어야 하니 참 아이러니한 같은 상황입니다. 경제규모 10위면 뭐합니까. 대부분의 원재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건설기업의 철학도 눈가리고 아웅식의 수익에 의존하는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간난한 사람들의 나라인데요.

  • @ajae1854
    @ajae1854 Год назад +1

    이미 층간소음 감소에 대한 방법은 각 건설사마다 어느정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다만 시공사에서 돈때문에 안하는겁니다. 모든건 시공사 탓이고요.
    해결할 방법은 법적명시하는 거말고는 없습니다.

  • @heartwarmera3228
    @heartwarmera3228 Год назад

    사후확인제의 문제가 확인을 말랑한 소프트볼로 바닥을 내려쳐서 확인하는 걸로 결국 실효성은 없다는거죠 😢

  • @Don_Hahm
    @Don_Hahm Год назад +7

    평소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내용들인데 더 자세하게 취재해주셨네요. 이해하는데 아주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jinu9942
    @jinu9942 Год назад +1

    닭장속에 사는데 당연히 시끄럽지.. 아무리 좋게 만든다고 한들 닭장이 조용할리가 있나?
    분산시키는게 답이다

  • @마̥̊이̥̊웨̥̊이̥̊-y9r
    @마̥̊이̥̊웨̥̊이̥̊-y9r Год назад +1

    근데 벽식이든 철제 기둥식이던 싸우면 전부 큰소리가 나더라.

  • @yummy8320
    @yummy8320 Год назад +18

    정치인 검사 판사 집은 층간소음이 없으니까

  • @밍쿠-v9m
    @밍쿠-v9m Год назад +1

    아파트 입주시 우리집 기준 상하좌우 얌전한 주거생활 하는 이웃집 주민 만나는게 최고의 복입니다. 아랫집에서 온가족 실내 흡연으로 인한 윗집 피해, 출근해서 원격으로 컴퓨터 제어해서 귀신소음 발생시키는 사람 등 남 일 같아보여도 상식밖에 인간과 우리는 알게모르게 얽혀 지내고 있어요. 벼래별 피해를 받아보지 못한분은 복받으신거에요.

  • @나무-n4x
    @나무-n4x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층간소음도 문제지만..
    지진에서 취약한거 아닐지...

  • @김그레-s2l
    @김그레-s2l Год назад +5

    나라가 참 허술해 겉만 뻔지르르

  • @user-jv6so5mh9k
    @user-jv6so5mh9k Год назад +3

    냉삼이 비싼 이유 ㅋㅋㅋ 사람들이 그 가격에도 사먹으니까..

  • @GLOCK-h2u
    @GLOCK-h2u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층간소음 없는 너무 조용한 아파트로 지어달라!!!

  • @RandolphHYAhn
    @RandolphHYAhn Год назад +2

    안녕하세요? 취재 의뢰드립니다.
    1970년대 지은 아파트보면 (이촌 빌라맨션,한강맨션 등등) 평수가 매우 큰 아파트에 6평,7평짜리 초소형 세대가 한 두개씩은 꼭 끼어있던데 이거 도대체 어떠한 목적으로 만들고 분양한 것일까요?? 다른곳도 여러 곳 있지만 대표적으로 저 두군데가 기억이 나서 취재 의뢰드립니다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3

      그냥 자투리 공간으로 남은곳을 활용하려고 원룸식으로 분양하는거뿐
      그외의 이유는 없음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7

    벽식구조 특성상 층간소음은 안사라진다고...층간소음을 없에려면 그냥 주택들어가 실아...
    주택 들어가 사는게 싫으면 구식라멘식구조로 만들고 지금보다 더 비싼 가격의 집으로 만들라고하던가...
    게다가 벽식구조는 아무리 슬라브 두께를 공구리로 늘리든 단열쟈를 넣든 흡읍재를 넣든간에 진동이 벽을 타고이동해서 두개층 위의 소리가 내집에서 날수도있고 심지어 아랫집에서 나는 소리도 들린다고...
    그리고 마지막 소음테스트도 하도 층간소음심해서 살기 싫다 이지랄하니까 그냥 보여주기식 법안으로 만들어서 준공시 쓸데없는 과정 추가시키는거에 불과한거고...

  • @달에서온호랑이
    @달에서온호랑이 Год назад +6

    층간소음 없이 살고싶다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주택애서 사삼 그럼 층간소음 없음

  • @bookner
    @bookner Год назад

    우리나라 구조상 아파트를 지을수 밖에 없는데,
    대부분 대출받아사거나 가장큰돈들어가는 일인데
    층간소음때문에 괴로워한다는 것 자체가 수치스러운일이다.
    우리나라 세계최고의 건축기술을 자랑하면서
    정작 내수용은 순살이 따로없질않나
    21세기에 일어날수 없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 @hch1004
    @hch1004 Год назад +3

    정말 궁금한게 있습니다. 학교는 왜 거의 모든 학교에 빨간 벽돌로 외벽을 할까요?

    • @얄루-p4c
      @얄루-p4c Год назад +1

      간지

    • @napclub
      @napclub Год назад

      옛날에 지은 학교 건물이랑 주택도 그렇고, 현대자동차나 현대중공업 직원전용 아파트나 숙소를 보면 대부분 빨간 벽돌로 지었더군요. 그 당시 유행이었나 싶네요.

    • @도하29
      @도하29 Год назад

      싸게 하려고?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변색벽돌이 만들기 쉽고 가격이 싸고 회색의 시멘트 벽돌보다 외관이 화려해서
      게다가 공공기관은 한정된 예산에서 돈을 써야하니 선택지는 그거 하나뿐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3

      @@napclub 만들기 쉽고 다른 치장벽돌들에비해 싸고...

  • @하이젠버그-b3b
    @하이젠버그-b3b Год назад

    저런 식으로 지었는데 왜 아파트는 비쌀까?

  • @모찐아
    @모찐아 Год назад

    여러곳 살아봤는데 지금사는 원룸이 역대급으로 가장 조용함
    아파트 최소 5억인데... 그돈주고 스트레스 받고
    역시 아파트는 사는곳이 아니라 투자상품인듯

  • @Grace-hv9cl
    @Grace-hv9cl Год назад +5

    최소한 윗집 화장실 에서 오줌싸는 소리 물 내리는소리는 안들려야지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들릴수밖에 없는게 화장실엔 보통 난방배관이 안들어감 그래서 일반 바닥보다 슬라브 두께가 더 얇음
      그게 거실과 화장실의 높이 차이가 있는 이유임
      또한 배관이 콘크리트 구조체에 둘려쌓여있는데 물이 내려가면서 공기랑 물이랑 만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배관을 타고 콘크리트 구조체를 타고 소리가 전파됨
      그소리를 줄일려면 그냥 화장실 문을 닫고 생활해야함

    • @wrongitstea
      @wrongitstea Год назад +1

      @@ysuvin 당연히 안들려야하는 건데 주저리주저리 애쓴다

  • @user-lm7nl1vz6r
    @user-lm7nl1vz6r Год назад

    돈안되는 빌라에만 살아서 뭔진 잘 모르겠지만.. 영상만봐도 빡이 치는군요...

  • @엘리-m7w
    @엘리-m7w Год назад

    윗집이 누가사는게 중요하지

  • @윤상-k5h
    @윤상-k5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우리집 신축인데화장실가면샤워소리 다들림😉
    😉😑😉

  • @djio111
    @djio111 Месяц назад

    소음은 구축이 더 심함. 구축 뜯어보면 신축보다 벽두깨도 얇음.. 신축이 더 시끄러운건 애들 많아서 시끄러운거지. 구축가면 노인들 많아서 발망치 소리정도 들리지 우다다닥 뛰어다니는 소리는 잘 안들림.

  • @pigorcdarkness6852
    @pigorcdarkness6852 Год назад +2

    취재의뢰드립니다
    전세계 보면 개인차, 버스, 비행기, 배는 봤지만.. 개인기차 가지고 있는 사람 못봤습니다. 혹시 개인기차 소유하고 있는 사람있나요? 아니면 기차를 사서 운행은 아니더라도 집처럼 사용하는사람 있는지 궁금합니다?

  • @로제마리아
    @로제마리아 Год назад

    판사가 보복으로 상대 차량타이어 터트릴 사건이 있을 정도면 얼마나 답 없는지 알만하긴함

  • @rlarjsdn_kgw
    @rlarjsdn_kgw Год назад +2

    취재 의뢰합니다. 왜 아직도 보드마카나 이런것 대신에 여전히 칠판과 분필을 많이 쓰나요? 돈 때문이라기엔 유명 강사분들도 보면 대부분 칠판 쓰던데 왜 그런가요?
    칠판이 왜 초록색인지랑 칠판만의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saikau6333
      @saikau6333 Год назад +2

      싸서, 그리고 시인성이 좋아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보드마카는 판 자체가 유광코팅이 되어있어서 글을 쓰면 빛이 번져서 멀리서 잘 안보이는데 분필은 무광이니 멀리서도 잘 보이고요.
      게다가 많은양의 필기를 해야하는데 보드마카같이 잉크식을 쓰는 경우 필기시 품질이 고르게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많이 사용하면 분필보다 비싸지니 결국 여러가지 생각하면 분필이 좋은 것 같습니다

    • @saikau6333
      @saikau6333 Год назад +6

      초록색 자체도 눈이 편안한데다 흰색 분필이 잘 보이죠!

    • @Theory_of_Relativity
      @Theory_of_Relativity Год назад +3

      관리가 편한 것도 있지 잉크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 굳어버리지만 분필과 칠판은 아무리 오래되어도 단순한 구조라서 관리하기 편함

    • @NuttyV2
      @NuttyV2 Год назад +1

      보드마카는 그냥 쭉쭉 미끄러지기만 하는데
      분필은 실제로 쓰는 느낌이 나서 좋음.

  • @incheol0625
    @incheol0625 Год назад

    취재 의뢰합니다!
    요즘 보안관 유튜버 좀 있는데 진짜 보안관인지 그리고 보안관은 무슨 일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 @rlaaldhr3
    @rlaaldhr3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서로서로 배려하고 살면되는데 이상하게
    괴롭힘 발망치

  • @Lee_Sanha
    @Lee_Sanha Год назад

    근데 그래서 영상의 결론이 뭔가요 ....ㅠ 구축이 적은가요 신축이 적은가요 .... 영상 제목그대로의 질문이 궁금해서 들어왔는데 그에대한 명쾌한 해답은 없고 대한민국 아파트 구조와 관련 법 변천사만 설명해주시고 저 제목에대한 내용이 없어서 궁금증만 더 커졌어 ㅠㅠ

  • @bdhan7916
    @bdhan791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국토교통부에서 층간소음 보상해줘라

  • @타키야겐지-i6i
    @타키야겐지-i6i Год назад

    취재 의뢰합니다
    새 옷을 사면 빨아입어야 되는지 취재 해주세요
    만약 안 빨아입으면 뭐가 안좋은지 부탁드립니다

  • @셩미리
    @셩미리 Год назад +1

    오늘도 아랫집 층간소음에 고통받는하루의 시작

  • @lunchtime5673
    @lunchtime5673 Год назад

    취재대행소는 어떻게 취재를 이렇게 잘 하는지 대략적인 방법을 알아봐주세요:) 44

    • @user-lo6ci4pw7q
      @user-lo6ci4pw7q Год назад +1

      나무위키

    • @Ycmjg37143
      @Ycmjg37143 Год назад

      @@user-lo6ci4pw7q 중앙일보에서 운영하는 채널이에요.
      KBS에서 운영하는 크랩, SBS에서 운영하는 소탐대실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돼요.
      실제 중앙일보에서 신문 등등에는 자극적인 내용을 써야 조회수가 올라가니깐 그런데는 자극적인 뉴스를 쓰면서
      실제로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건 취재대행소 왱을 통해 보도하는 거에요. 둘 다 중앙일보에서 취재하는 건데
      중앙일보에서 실제로 나가서 취재하는 기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는 이 채널로 제공되는 거고
      그렇지 않고 앉아서 그냥 남의 기사 빼겨먹는 기자들이 준 정보는 중앙일보,JTBC 뉴스 등등으로 보도되는 거에요.

  • @user-lo6ci4pw7q
    @user-lo6ci4pw7q Год назад +4

    예민한 아랫집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 안당해 보면 절대 모름. 우리집에 애가 있는 것도 아니고 밑에서 뭐라하니 가족전체 발뒤꿈치 들고 걸어다니는게 습관이 됐는데도 우리집 시끄럽다고 경비실에 전화해대고 경비실에서 연락오고,, 식탁 의자 빼는 것도 조심조심. 방문 닫는 것도 조심조심. 도대체 뭘 더 어떻게 조용하란 말인지.

    • @Seok.Chong.I
      @Seok.Chong.I Год назад +7

      그거 다른 집 소음 타고 오는 거일 수도 있어요

    • @ysuvin
      @ysuvin Год назад +2

      윗집이 아닌 다른 집 대각선이나 옆 아래서 올라오는걸수도있는데 내집에서 소리가 나니까 윗집을 의심하는거임
      그냥 무시하세요 아니면 진짜 소음이 뭔지를 보여주고 우리가 낸 소리가 기존 소리랑 같았냐 라고 반문하세요

  • @user-klj4nnjdsi98ee
    @user-klj4nnjdsi98e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울 집 건설기간동안 건설사 잠시 부도났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진짜 바닥 개얇은게 느껴짐.
    진심 안 당해본 사람은 모름. 이성잃으면 칼부림 쌉가능

  • @user-zt6zw9nq2j
    @user-zt6zw9nq2j Год назад

    취재의뢰합니다~
    사극 보면 조선시대 왕의 침실은 바닥인데 그 전의 역사사극들은 왕의 침실이 침대구조로 나오는데 왜 그런가요?

  • @낳괴자-z7w
    @낳괴자-z7w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벽식구조 층간소음 99프로

  • @Hunting-cheetah
    @Hunting-cheetah Год назад +1

    업무용 시설 층간소음 았음? 구두신고 탭댄스 춰도 아래 괜찮음 결국 구조 문제임.

  • @두부두부-k5i
    @두부두부-k5i Год назад

    도곡동에 20년 넘은 아파트 사는데 층간소음 전혀 없음 옆집에 초등학생만 두명이었는데 벽간 소음도 없고 윗집도 강아지 키운다는데 아무 소리도 안들림 ㅋㅋㅋ아느날 윗집 주인분이 강아지때문에 시끄러워서 좌송하다고 과일 가지고 오셨는데 키우시는지도 몰랐다고 말씀드림

    • @두부두부-k5i
      @두부두부-k5i Год назад

      그 뒤로 학교때문에 신촌 근처 아파트 전세집에서 자취했는데 신축이었고 층간 벽간소음 최악이었음 윗집 현관문 닫는 소리까지 들림 ㅋㅋㅋㅋ값도 비싼 브랜드 아파트였는데 왜 층간소음때문에 칼부림 나는지 알거같았음

  • @chsh851016
    @chsh851016 Год назад

    취재의뢰 드립니다.
    왜 의사 면허는 드디어 취소 가능하게 했는데
    검사,판사,변호사도 함게 취소 되어야하 하지않나 싶지만..그들만의 카르텔이 막강하니 당장은 어렵다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정치인 및 대통령은 왜 1번이라도 법의 심판을 받은 자격이 있는 사람도 멀쩡하게 정치인이 될 수잇는지!! 왜 벌금형 이상이 있다면, 정치에 출전못하도록 법규로 못박는지가 궁금합니다.

  • @심심한구렁이
    @심심한구렁이 Год назад +1

    저건 건설사가 사기치고 공무원이 뒷돈받고 봐줬다는거네.

  • @jinbak-dd4gi
    @jinbak-dd4gi 3 месяца назад

    구축 위에서 전화벨 울리는거 다 들리던데

  • @rodneymullen6186
    @rodneymullen6186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무개념 윗집 걸리면 답이 없지 항의하면 스토킹으로 도리어 잡혀가는 뭣같은 현실ㅋㅋ
    요즘 층간소음 카ㄹ부림 공포감을 보면서 그것이 유일한 답이라고 생각함

  • @허공허공
    @허공허공 Год назад

    그러니깐 건설사문...읍읍...

  • @감나무-n6v
    @감나무-n6v Год назад +1

    구축이 층간소음 덜한이유 : 노인네들만 남아있음
    신축이 층간소음 덜한이유 : 애들이많음
    구축살아봐라 새벽 5시반부터 절구로 뭐 빻는소리 들려서 잠깬다

  • @ic8928
    @ic8928 Год назад +10

    머긴머야 순살아파트가 한몫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