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칭 효과 얼마나 있을까? (ft. 워밍업, 동적 스트레칭, 정적 스트레칭)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4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76

  • @nadol4635
    @nadol4635 4 года назад +47

    결론
    1. 체조나 발레선수 아니면 운동 전에 어떠한 스트레칭도 하지 마라.
    2. 그보다 본 운동과 비슷한 낮은 강도의 워밍업을 해서 혈류량과 체온을 증가시켜라.
    3. 스트레칭할꺼면 운동 후에 해라.

    • @나베-k8q
      @나베-k8q 4 года назад

      이미 아는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죠 굳이 한다면 원심성 운동으로 하시는걸 추천합니다ㅎㅎ

    • @나베-k8q
      @나베-k8q 4 года назад

      @김시훈 넵 근막이완하고 원심성운동 하시면 가동범위가 눈에 보일정도로 늘어납니다.

  • @Ulaulaman-n2q
    @Ulaulaman-n2q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정적 스트레칭, 근육 운동 따로 따로 시간내서 합니다. 예를 들어 근육 운동은 오후나 오전에 하고 정적 스트레칭은 저녁에 자기 전에 하는 식으로. 확실히 그렇게 해야 효과가 생기더라고요.

  • @khpark481
    @khpark481 4 года назад +9

    결국 스트레칭 말고 워밍업 하라는 얘깁니다.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워밍업이 곧 동적 스트레칭과 비슷하죠. 하지만 조금 달라요.
    대표적으로 데드리프트 할 때, 빈봉부터 시작하는 게 워밍업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이걸 보통 스트레칭한다고 하지는 않잖아요.

  • @김동율-s9k
    @김동율-s9k 3 года назад +1

    유연성 안좋아서 가동성이 떨어지는 초중급자들은 운동전 30-60초 정적 스트레칭 해야됨 스트레칭으로 근육이 늘어나 운동 퍼포먼스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정적 스트레칭을 120초이상 했을경우라고 하네요

  • @이름-f3o6q
    @이름-f3o6q 4 года назад +40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님들아 부상당해봐서아는데 1시간운동이면30분이상 동적스트레칭,폼롤러, 웜업에 투자해야합니다 이거하고 운동하는게 의미없이1시간운동하는거보다 2배 3배10배 나아요

    • @미온수-c9d
      @미온수-c9d 4 года назад +2

      쌉팩트

    • @김승연-g8t7u
      @김승연-g8t7u 4 года назад +1

      사실상 웜업이 1시간할때도흔함

    • @김지완-t6h
      @김지완-t6h 4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워밍업하다가 렉 뺏기면 우짬 ㅠ

    • @이름근육
      @이름근육 3 года назад

      @@김지완-t6h 부상당하면 또 우짭니까

    • @부산남자-j4r
      @부산남자-j4r 3 года назад

      @@약쟁이 정적스트레칭을
      근육을 늘리는 스트레칭인데 우리가 부상을 당할때는 근육이 늘어나있는상태이기때문이 대부분이라 운동전에 정적스트레칭을 하여 근육을 늘리면 부상위험이 더커집니다

  • @차차뇽
    @차차뇽 2 года назад

    발레는 선수라고 하지 않습니다…

  • @로암-e8n
    @로암-e8n 4 года назад +49

    이 채널 몇개 봤지만 너무 흑백논리가 강합니다. 신체에 관한것은 여러논문이 굉장히 많은데 어떻게 된게 이런 영상처럼 한 쪽 논문만 가져다놓고 이겁니다! 하고 해놓는데...이 채널 주인분은 운동 하시는분이 맞는지 의심이 갑니다;; 운동 초보자분들 하나의 영상만 보고 이거구나 하지마시고 다른 영상들도 많이 찾아보고 몸에 다양하게 적용시켜보세요. 이것도 해보고 저것도 해보고 여러가지를 해보세요. 거기서 몸에 가장 알맞다고 생각되는 영상이 본인의 몸에 맞는 영상입니다.

    • @user-kw6lv6gt3k
      @user-kw6lv6gt3k 4 года назад +2

      지도 논문못가져오면서 개소리는ㅋㅋㅋ

    • @ssybisqui3946
      @ssybisqui3946 4 года назад +6

      요약 : 운동에 정답은 없으니 여러가지 운동방법을 찾아 적용시켜보고 본인한테 제일 잘 맞는거 하면 됨
      제 의견 : 운동에 정답은 없지만 기본이 되는 틀은 존재함. 그러니 기본적인 사항들은 어느정도 숙지가 되어야 여러 운동법을 적용 해보고 응용까지 할 수가 있음.

    • @krusty7982
      @krusty7982 4 года назад +2

      @@user-kw6lv6gt3k지는

  • @건강샘
    @건강샘 2 года назад +3

    안녕하세요?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운동 전 스트레칭이 부상 예방에 별 효과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건 근육에만 국한해서 설명하셔서 그런 것 같습니다. 스트레칭은 관절의 가동 범위를 넓혀주고 활성화 시켜서 운동 중 발생하는 상당 부분의 관절 부상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넓어진 관절의 가동 범위는 관절로 연결된 뼈와 거기에 붙어있는 근육에 운동 중 가해지는 충격을 감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스트레칭 자체만으로 윔업(warm up)의 효과가 있어서 운동 중 관절뿐만 아니라 근육 및 뼈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 @antimaz1
    @antimaz1 4 года назад +1

    사무실에 있을때 40분정도에 한번씩 스트레칭 해주는건 정말 좋은것같습니다.

  • @김선우-k6n1z
    @김선우-k6n1z 4 года назад +8

    전 운동전 스트레칭 해주는게 원하는 부위에 자극 더 잘먹고 불균형이좀 펴지던데,,,

  • @지구인-f5b
    @지구인-f5b 4 года назад +9

    웨이트 전 : 동적 스트레칭
    웨이트 후 : 정적 스트레칭

  • @Faenyle
    @Faenyle 4 года назад +2

    영상의 해당 논문과 정보 은근히 모르는 사람 많아요 전 예전에 접해서 알고있는 부분인데 대부분 여전히 운동전 스트레칭 해야된다라는 강박관념과 생각의 틀이 고정되어 있어요 우유먹으면 뼈가 튼튼해진다는 당연시여기고 고착화된 오류처럼요 적어도 웨이트,파워리프트 운동하시는분들은 영상내용처럼 점진적 유산소 운동을 통해 몸전체를 따듯하게 만들어 근육에 에너지공급을 원활하게끔 만들어주는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sjy6343
    @sjy6343 3 года назад +1

    운동 전에는
    가벼운 유산소(10분) / 동적 스트레칭으로 워밍업
    본 운동마다 워밍업 세트 실시 (무게 없이 본 운동 동작 15~20회)
    운동 직후에는
    정적 스트레칭

  • @요정_a
    @요정_a 3 года назад

    운동 초보자 님들 스트레칭하세요 고관절 스트레칭하고 스쿼트 하면 가동 범위 더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요

  • @FishOfTheSeason
    @FishOfTheSeason 4 года назад +3

    운동 후에 (정적)스트레칭도 운동의 종류와 강도에 따라 도움이 안되고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컨데 강한 강도의 운동 후 정적 스트레칭은 근육과 관절을 이어주는 건과 인대등에 데미지를 주는데 이게 평상시에는 상관이 없지만 강한 강도로 운동 후에는 근육들이 수축이 되있고 관절도 이미 데미지를 받은 상태라 여기에 정적 스트레칭을 하는건 독이 될 수 있다는 거죠. 따라서 스트레칭보단 마사지가 더 큰 도움이 되고 대부분 프로선수들도 경기 직후 스트레칭은 아주 가볍게하거나 생략하고 찬물샤워와 마사지등으로 근육과 관절에 입은 데미지를 회복시키는데 주력한다고 알려져있죠.

  • @김안녕-l3n
    @김안녕-l3n 4 года назад +19

    이게 팩트인건 맞는데 전세계 모든 선수들은 왜 운동전 운동후 스트레칭을 하는건가요?? 구단이나 팀에는 고지식한 트레이너나 의학팀이 있을텐데..

    • @꽃지성
      @꽃지성 4 года назад +4

      솔직히 하지말라해도 할꺼같네요. 심리적으로 안하면 찝찝하지 않을까요?

    • @중한-h2z
      @중한-h2z 4 года назад +13

      스포츠 선수들은 스트레칭을 하진않고 웜업을 하죠. 가벼운 런닝이나 체조식으로 몸을 풀어요. 정적스트레칭은 따로하지않습니다.

    • @dtduagksTkakrnl3768
      @dtduagksTkakrnl3768 4 года назад +5

      운동전에는 전체적인 웜업과 특정 근육(그날운동할 타겟머슬) 액티베이션, PNF나 정적 스트레칭은 운동중/후에 추천되고있어요. 저 세가지 스트레칭들은 운동 프로그램디자인할때 목적에 따라 조합하는것이 좋구요, 즉 mobility가 필요한 상황이거나 근육가동범위를 늘여야 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스트레칭을 하지않아도 된다는 의미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선수들이 운동전 스트레칭을 한다는 것은 아마 운동전 웜업이 스트레칭과 개념상 혼동이 되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 @권도령의취미생활
    @권도령의취미생활 4 года назад

    요즘 건강챙기는데에 있어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성훈-t4o
    @박성훈-t4o 4 года назад

    양질의 분석적영상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정용호-c7v
    @정용호-c7v 4 года назад +8

    이쪽으로 전공은 아니라 해당 논문은 아직 안봤습니다. 허나 알고있는 선에서 말씀드리자면,
    1. 부상을 줄이는데는 1)근육의 온도 2)근육의 밀도가 중요함
    근육의 밀도를 낮추는 가장 좋은 방법이 폼롤러, 스트레칭 등(feat. 마이클보일, new funtional training for sports)
    2. 많은 전문가에게 피티를 받으며 유용성을 물어봤지만 전공자들도 스트레칭으로 인한 운동수행능력 저하는 미미하다고, 일반인 수준에선 신경 안쓰고 스트레칭을 해도 된다고 들었습니다.
    3. 오히려 일반인들이 햄스트링 가동범위가 안나오는 상태로 데드를 쳐서 허리가 다치는 등 유연성 부족으로 인한 부상이 많습니다.
    아직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고 논란이 되는 부분은 직관대로 행동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주의입니다. 아마추어 운동선수지만 제가 배운 경험적 사실과는 조금 반대되는 내용이네요.

  • @cadenzachoi
    @cadenzachoi 4 года назад

    초,중급 운동자들에게는 해당
    없어요 본운동만큼 신경써서
    하시구요 평상시 시간날때
    수시로 하셔요 건강해집니다
    단 기록경기와 직업운동선수 컨디션조절시는 본인방식..

  • @랑호-f2i
    @랑호-f2i 4 года назад +1

    근데 축구선수나 태권도 격투기류 호신술류 같은 애들 단거리달리기나 야구 농구같은 운동 종목도 유연성이 안좋으면 힘을 못내지않나요? 유연성이 증가되면 근력이 낮아진다고 하시는데 오히려 육상성수가 가슴까지 다리를 못올린다거나 축구 야구선수가 관절활동 범위가 작으면 제대로 힘이 날까요 과도한 유연성이란게 체조 발레처럼 아에 180도이상으로 꺽이는걸 말하는걸까요?

  • @한조니-q9p
    @한조니-q9p 4 года назад

    무조건 영상이 잘못됐다며 까지 말고 본인에 맞춰서 수행합시다.. 자기가 직접 해보고 운동 전 스트레칭이 도움이 되는 거 같으면 해주면 되고 별로 효과가 없다면 안하면 됩니다. 이론은 말그대로 이론일뿐 하나의 참고할 사항이니까요

  • @JH-oq6lq
    @JH-oq6lq 3 года назад

    상식적으로나 경험적으로도 믿을 수 없는 내용입니다...
    영상에 인용된 논문은 연구 방식에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 @user-mover
    @user-mover 4 года назад

    제가 비슷하게 알고 있는 것도 있고 잘못 알고 있던 것도 있네요 웜업 up 그러니까 몸을 따뜻하게 해줘야 하는 것은 맞지만 저는 그걸 스트레칭을 통해서 했었거든요

  • @TVHyoSangTV
    @TVHyoSangTV 4 года назад +3

    다치고 나서 후회한들 늦습니다...그래서 전 늦었습니다ㅠㅠ

  • @sadanjang
    @sadanjang 4 года назад +1

    초반에 스트레칭의 종류에 대해 알아봤으면서 운동 전, 후, 부상 예방 등에서 스트레칭의 다양한 종류에 대한 얘기는 없고 모든 스트레칭이 불필요하다고 얘기하는 건 너무 논리적으로 맞지 않네요. 실제 연구에서 운동 전 위밍업과 근육 긴장도를 높이기 위해 동적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제시한 논문에선 아니라고 하였지만 그 스트레칭의 종류와 시간 등을 여기서 언급하지 않아 모든 스트레칭이 불필요한 것으로 보일 수 있겠네요.

  • @최현-v5t
    @최현-v5t 4 года назад


    분 꼭 뜬다 장담한다.

    • @완전영해
      @완전영해 4 года назад

      별걸다 장담하시네요

  • @zvml123
    @zvml123 4 года назад +1

    알고있던개념이라 요즘은 운동전에 동적만함ㅇ.ㅇ

  • @양도윤-e6v
    @양도윤-e6v 4 года назад +6

    이게 체감으로는 맞음. 7년 넘게 거의 매일 웨이트하는 헬린이지만, 부상땜에 운동전 스트레칭에 시간을 쏟은 시기도 있지만, 무게 드는게 확실히 힘들어지고, 딱히 부상 방지되는 느낌도 없었음. 그냥 자기 수준에 맞는 웨이트 웜업이나. 끽해야 동적 스트레칭정도 잠깐 해주면 충분하다 생각함. 걍 몸한테 이제 운동 시작한다고 알리는 정도?

  • @yeeun1994
    @yeeun1994 3 года назад

    애들 보여주려고 했는데... 운동 전 스트레칭 하지 말라고 하시네 ㅠㅠ 정적 스트레칭 말씀하시는거죠? 동적 스트레칭으로 웜업시켜줘야되는데 ㅡㅡ

    • @workoutkorea
      @workoutkorea  3 года назад +1

      근력운동을 하기전에 정적 스트레칭이 별로 의미가 없다는 내용이며 말씀하신대로 동적 스트레칭은 도움이 됩니다
      또한 근력운동이 아니라 가동성과 운동성 증가가 목적인 운동인 경우에는 정적 스트레칭은 괜찮습니다 감사합니다

  • @zvml123
    @zvml123 4 года назад +1

    아니 목소리가.. 당신 짤툰작가죠??

  • @AVGVSTVS-63
    @AVGVSTVS-63 4 года назад +3

    고딩 때 스트레칭 안 하고 풀업 하다가 목 존나 심하게 담와서 지옥 같던데
    스트레칭하고 운동하니까 안 걸림

  • @하이하이-e6s
    @하이하이-e6s 4 года назад

    어쩐지 스트레칭 하고 웨이트하는거보다 안하고 하는게 자극이 더 잘먹더라

  • @yonghee.
    @yonghee. 4 года назад +1

    프리웨이트 하기전 불균형 스트레칭이나 가동범위 확보 스트레칭은 운동전에 해서 효과가 저는 확실하게잇는데 이건 또 다른 개념인가요?

  • @오산해-g9v
    @오산해-g9v 4 года назад +1

    스티프 데드리프트는 스트레칭해야 자세가 완벽한디ㅠ

  • @오동석-z7g
    @오동석-z7g 4 года назад

    운동 전 폼롤러는 괜찮나요?

  • @KD-ek7ln
    @KD-ek7ln 4 года назад +4

    뭔소리야 워밍업하고 몸 뜨거워 지면 스트레칭하고 그다음에 본운동 하는건데 ㅋㅋㅋㅋㅋㅋ 스트레칭 안하면 동작이 안나오는데

  • @김민석-h5m
    @김민석-h5m 4 года назад

    저는 유연성이 너무 안좋은데 스트레칭을 해줘야 될까요 하면 안될까요?

    • @랑호-f2i
      @랑호-f2i 4 года назад

      하세요 저기도 일정이상의 유연성이 필요없단거지 아예 각목이면 하는게 좋음

  • @cab8996
    @cab8996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tv-uw1bp
    @tv-uw1bp 4 года назад +1

    27년 고강도 유산소운동중입니다
    운동마다 다르다 봅니다,
    수영은 2km하는데 수영은 상체를 충분히 풀어줘야 합니다, 하는 것과 안하는 것 큰 차이 납니다
    자전거와 마라톤은 5km정도 몸을 푼다는 마음으로 서서히 진행하면 스트레칭효과 충분하다 봅니다
    운동전 스트레칭이 가장 요구되는 운동은 저의 경우 근력운동입니다
    특히 어깨를 사용하는 근력운동의 경우 스트레칭을 소홀하면 부상으로 가더군요
    다들 부상없이 운동합시다!

  • @Myeong_k
    @Myeong_k 4 года назад +6

    이거 팩트 맞나요?;; 너무 당황스러운데...

  • @곽축산
    @곽축산 4 года назад +5

    그래서 난 둘 다 안한다

  • @김용욱-q4k
    @김용욱-q4k 4 года назад +3

    이건좀 아닌거 같은데요? 수많은 다른 전문가들이 하라고 하는데 요번편은 안 따르는것이 맞다고 봅니다.

    • @geniuspianist
      @geniuspianist 4 года назад

      보통 워밍업 정도를 스트레칭이라고 말하긴하죠...
      제대로된 스트레칭을 운동전에 하지도 못할걸요...힘들어서

    • @ysnam6376
      @ysnam6376 4 года назад

      정적보다는 동적 스트레칭이 좋다고 알고있는데 흠

    • @김용욱-q4k
      @김용욱-q4k 4 года назад

      @개굴프로 네 개굴 프로님 구글 이나 포털사이트에 운동전 스트레칭 이라고 쳐 보시기 바랍니다. 블로그 유투버 등 대충 봐도 운동전 스트레칭이 부상 줄인다는 의견이 20~30 개 나오네요

    • @김용욱-q4k
      @김용욱-q4k 4 года назад

      @개굴프로 그리고 그글들 또한 나름 연구결과 나름 트레이너 나름 의사들이네요 제가 찾아봤을때 대표로 뜨는 글은 포시즌 필라테스 타임즈라는 곳이구요, 그외 더 베네핏? 트레이너짐 등 많이 있네요 근데 스트레칭 필요 없다는 이야기도 나오긴 나오네요 암튼 전 이때까지 이야기 너무 달라서 한건데 음 내말이 틀릴수도 있겠습니다 .

  • @헬린이-t2p
    @헬린이-t2p 4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스트레칭안하면 어깨, 무릎에 통증있던데

  • @라라K
    @라라K 4 года назад

    운동 전 스트레칭 되게 중요한데.. 이건 경험상으로도 많이 느꼈는데. 영상 내용이 맞는지 잘 모르겠어요

  • @안녕하세요-x8r3d
    @안녕하세요-x8r3d 4 года назад

    엥 대부분 근렫운동 전에 스트레칭 하는데 그건 왜그런건가요? 나도 남들 하길래 했는데

  • @자자-n6b
    @자자-n6b 4 года назад

    흠흠 2:46 누나 영상 출처가..?

  • @병수박-j5n
    @병수박-j5n 4 года назад

  • @이인규-v2e
    @이인규-v2e 4 года назад

    4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