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공산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정확한 뜻은?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6 дек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 @songhecui2610
    @songhecui2610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최고

  • @박호둥이
    @박호둥이 Год назад +2

    👍👍👍👍👍👍👍👍👍👍👍👍👍👍👍👍

  • @장영희-i3p
    @장영희-i3p Год назад

    장영희입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오늘도 수고가 많으시죠! 코로나 19 이전보다 더 나은 삶. 일부 사람들은 소위 “뉴 노멀” 즉 새로운 표준이 자리 잡아서, 전보다 더 나은 삶을 살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그들은 먹고살기 위해 진이 빠지게 일해야 하고, 사람들을 차별하고, 정신적인 문제를 겪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는 오늘날의 세상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오늘도 행복한 시간 보내십시오

    성경​은 인류​의 역사​를 그 시작​부터 알려 줄 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진정​한 희망​을 밝혀 주​는 특별​한 책​입니다. 성경​은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한 답​을 알려 줍니다.
    어떻게?
    어떻게 고난​이 시작​되었습니까? 성경​은 이렇게 알려 줍니다. “한 사람​을 통해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를 통해 죽음​이 들어왔으며, 이와 같이 모두​가 죄​를 지었으므로 죽음​이 모든 사람​에게 퍼졌습니다.”-로마서 5:12.
    왜?
    인간 정부​는 왜 사람​들​이 겪는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했습니까? 성경​은 이렇게 알려 줍니다. “발걸음​을 인도​하는 것​은 걷는 사람​에게 있지 않습니다.” (예레미야 10:23) 오늘날​의 세상 상태​는 이 말​이 사실​임​을 분명​히 보여 줍니다.
    무슨 일​을?
    이 세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느님​께서는 무슨 일​을 하실 것​입니까? 성경​은 이렇게 알려 줍니다. “그분​은 그​들​의 눈​에서 모든 눈물​을 닦아 주실 것​이다. 더 이상 죽음​이 없고, 슬픔​과 부르짖음​과 고통​도 더는 없을 것​이다.”-요한 계시록 21:4.

  • @singaeL774singapore
    @singaeL774singapore 4 месяца назад

    제가 싱가포르유학파인데 싱가포르도 작은 도시국가이자 독재국가입니다. 리콴유와 리센륭 가문은 38~40년동안이나 해처먹었습니다. 민주주의 다수결이 없는 그저 독재정치한 독재국가가 싱가포르에여 언론과 노조도 제한된 도시국가가 싱가포르고 공공주택제도도 사회주의식으로 되있습니다. 싱가포르는 경제만 자본주의 무한경쟁 시스템만되있을뿐입니다. 겉으로는 자본주의의 시장경제지만 현실은 무한경쟁하고 죽은 독재국가일뿐이에여
    싱가포르가 별명이 잘사는 북한붙을 정도니까여 대한민국은 극심한 자본주의 국가지만 법치주의는 항상 무너져있습니다. 반면에 싱가포르는 법치주의가강한편이에여 벌금,사형제도,형벌태형 등등 강력한 법치주의로 질서치안을 유지해온 게 싱가포르에여 법과 규칙은 질서와 치안을 좋게만들고 우리에게 마땅히 지켜야할 도리라고 저는생각해여
    서양과 미국같은 자본주의 국가는 개인주의가 강한편입니다. 다만 싱가포르와 사회주의 공산주의 국가 라오스,베트남,쿠바,벨라루스,알바니아,루마니아는 가족중심주의가 휠씬 강한편이에여
    복지강국 스웨덴과 교육강국 핀란드도 사회주의로 정책 실시한 북유럽국가들입니다. 버니샌더스와 칼마르크스와 트로츠키도 유대인이고 유대인들도 사회주의자와 공산주의자에 더 가까워요. 그럼 이스라엘 유대국가도 공산주의 사회주의 국가일수도있겠네여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는 나쁜거아닙니다. 공산주의느 빈부격차를 해소하고, 부정부패를 완전 척결하는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시스템 구조를 가지고있어여
    반면에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는 빈부격차가생기고 무한경쟁인데가 부정부패를 생기고있는 개인주의 사회시스템 불평등한 구조에여
    유럽의 북한 : 알바니아,루마니아,벨라루스
    공산주의 모범국가 : 라오스,베트남,쿠바,벨라루스,루마니아,알바니아,캄보디아
    유럽의 싱가포르 : 스위스
    잘사는 북한, 아시아의 스위스 독재국가 싱가포르
    복지천국 스웨덴도 사회주의 국가
    교육천국 핀란드도 사회주의 국가
    법이 공정하고 분배는 평등하고 기회는 공평하는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가 가장 이상적임 칼마르크스와 트로츠키,버니샌더스가 유대인임
    공정하고 평등하게 나눠서 갖는 이상적인 사회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고 공정하고 평등한 이론임

    • @hyunseok1654
      @hyunseok1654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론과 실제는 다릅니다. 스웨덴 같은 국가들은 사회주의 정책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대기업 CEO, 문화 예술가들이 과도한 세금으로 다른 나라로 이민을 많이 가고 복지병을 앓고 있습니다. 한때 프랑스도 그랬지요. 또 개인주의가 나쁜 것이 아닙니다. 개인의 자유와 법치 그리고 무엇보다 개인의 소유권이 보장되는 시스템입니다.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는 개인보다 사회가 우선이기에 개인이 원치 않는 희생을 강요당할 수 있습니다. 큰 정부를 지향하고 계획 경제 시스템으로 독재를 야기합니다. 불평등을 완전히 해소할 수는 없습니다. 역사적으로 선진국들이 자유민주주의, 자유시장경제 체제를 채택한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 @kimnabi88
    @kimnabi88 3 года назад +1

    궁금증 해결완료!

  • @false-prophet-abc
    @false-prophet-abc Год назад

    좀 헷갈려서 그러는데요. 사회주의는 수단을 공유는 것이고 공산주의는 수단+결과까지 공유하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사회주의에서 공유된 수단에 의해서 발생하는 다른 결과를 허용하는 것인데 ... 보통 결과가 다시 수단이 되잖아요? 돈을 많이 벌면, 그 돈이 자본이 되듯이. 그러면, 어떻게 사회주의는 다른 결과가 다른 수단이 되는 것을 방지하나요???

  • @근화오케스트라
    @근화오케스트라 3 года назад +1

    우와 정확한 뜻을 구별하기 어려웠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

  • @동글이98
    @동글이98 Год назад +1

    틀린 설명이라고 봅니다. 민주주의는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and 사회주의)로 나뉘면서 정치체제라고 봐야하고 그 체제 아래서 자본주의, 공산주의로 나뉘면서 경제체제라고 봐야합니다. 사회주의가 자본주의의 반댓말, 혹은 대치 개념이라니 어불성설입니다. 모든 자본주의, 공산주의는 국가라는 공공성을 벗어날 수 없으니 사회주의적 요소를 갖고 있 습니다. 우리나라도 자유민주주의이고 사회보다 개인의 자유를 우선시 하지만, 교육 의료 국방 등에서 국가가 개입하죠. 아니라면 의료보험 같은 걸 개인의 자유를 위한다는 차원이라면 할 이유가 없겠죠... (이런 음성과 자막으로만 처리한 것 보니 일베 같은 곳에서 퍼뜨리는 건가 막 눈치가 갑니다)

  • @한승희-t6d
    @한승희-t6d Год назад +1

    은근히 사회주의 선동질이네? 사회주의가 젤 좋은 체제라고 충분히 오해하고도 남을 내용인데?

    • @Om_mani_padma_hum
      @Om_mani_padma_hum 2 месяца назад

      현대의 무상급식, 무상교육, 의료보험, 각종연금등이
      모두 좌파 사회주의 제도입니다.
      단순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으로는
      가난한 집 아이들 학교 못보내는거 정부가 도와줄 필요없죠.
      또 아파도 돈없어서 치료못받는걸 도와줄 필요가 없죠.
      하지만 백여년전 그렇게 자유방임주의로 가보니
      무상교육같은 기본적인 것들을 실시하는 사회주의 국가에 비해
      국가경쟁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았습니다.
      예를들어 전시에 군인들을 교육시켜야하는데
      글자를 못읽어 기초교육이 안된다든지..
      또는 산업현장에서 기술 숙달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는등..
      그래서 현재는 지구상에 사회주의 전혀 안하는 나라는 없습니다.
      다만 나라마다 조금씩 정도에 차이가 있을뿐입니다.
      유럽은 대충 80%, 미국 50%, 우리나라는 65%쯤이죠.
      각나라 형편에 따라 그 적절한 비율을 찾는게 현대정치의 화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