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더] '50세' 김창옥 "알츠하이머 의심"...'젊은치매' 발병 원인은? / YTN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 진행 : 안보라 앵커
    ■ 출연 : 임현국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센터장
    ■ 구성 : 최혜정 작가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소통전문가 김창옥 교수.50세면 한창의 나이인데"알츠하이머 의심 진단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졌습니다. 저도 김 교수님 강의 참 좋아했는데너무나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그래서인지 어제 하루, '알츠하이머'에 대해 많은 분들이관심을 보였는데요. 전문가와 함께 궁금증을 풀어보는 자리 마련했습니다.
    여의도성모병원 뇌건강 센터장,정신건강의학전문의이신 임현국 교수님 모셨습니다. 교수님 어서 오세요. 방금 영상 같이 보셨는데 김창옥 교수님의 경우는 이제 50세, 사실 한창의 나이예요. 그런데 일반인들의 생각으로는 알츠하이머, 치매라는 게 고령기에 걸릴 거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중년층에도 걸리는구나 싶으실 것 같아요.
    [임현국]
    맞습니다. 요즘에는 물론 인구의 고령화 때문에 알츠하이머 병이 65세 이상의 어르신들에서 많이 생긴다고 하지만 이게 특수한 경우에 있어서는 60세, 65세 미만에 있는 분들한테도 종종 많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래서 지금 현재로 봤을 때 이런 걸 뭐라고 하냐면 초로기 치매, 조기발병치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데요. 이게 통상적으로는 전체 치매의 10~15% 정도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초로기 치매, 조기 치매가요?
    [임현국]
    맞습니다. 그래서 지금 현재 치매가 80만 명 정도 있다고 보면 우리나라에도 한 8~9만 명 정도 환자들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겠죠.
    [앵커]
    그러니까 초로기 치매의 기준이라는 게 있나요? 앞서 김창옥 교수님 영상을 보니까 원래는 그 또래에는 70점이 나와야 되는데 본인께서는 0.5점이 나왔다라는 게 있었거든요. 그 테스트지에서 몇 점이 기준이 되는 겁니까?
    [임현국]
    그러니까 테스트지에서 진단을 통상적으로 하지 않고 저희들이 참고로 보고 있는데 제가 70점이 나오는 검사가 뭔지는 잘 모르겠고 하여튼 신경심리검사들을 많이 진행을 하고 거기에 따라서 여러 가지 뇌영상 검사라든지 혈액검사라든지 이런 걸 통해서 종합적으로 원인도 감별하고 그렇게 하게 됩니다.
    [앵커]
    초로기 치매,그러니까 10~15% 정도라고 하셨는데 요즘에 혹시 치매 연령이 앞당겨지고 있나요? 왜냐하면 언론에서 젊은 치매 환자도 많이 늘고 있다, 이런 기사들이 있어서요.
    [임현국]
    맞습니다. 진단이 많이 되고 인식 개선을 통해서 진단이 많이 되고 있기 때문에 영향으로 지금 보고 있습니다. 특별히 지금 봤을 때 젊은 세대가 어떤 것을 해서 그런 게 아니라 저희가 치매안심센터라든지 이런 진단을 할 수 있는 곳들이 많이 생기고 또 국민들의 인식 개선이 있기 때문에 과거에는 그냥 진단 안 하고 넘어가던 것들이 이제 많이 진단되고 있는 영향도 한몫을 하고 있죠.
    [앵커]
    그럼 과거에 비해서 급격하게 늘었다고분석할 수는 없는 거네요?
    [임현국]
    많이 늘고 있습니다. 진단이 많이 돼서 한 2~4배 정도 발견율이 늘고 있습니다.
    [앵커]
    교수님 보시는 환자분들 중에서 그러면 젊은 환자의 비율은 어느 정도나 됩니까?
    [임현국]
    한 그 정도 되고 있고요. 한 65세 미만의 환자가 10% 정도 되고 있고 제가 개인적으로 봤을 때 가장 젊은 연령의 알츠하이머 병 환자분은 38세였습니다.
    [앵커]
    38세면 너무 젊은데요. 당시에 그러면 38세면 내가 한창 일할 나이인데 치매에 걸렸다, 알츠하... (중략)
    ▶ 기사 원문 : www.ytn.co.kr/...
    ▶ 제보 하기 : mj.ytn.co.kr/m...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Комментарии • 406

  • @송금호-m5p
    @송금호-m5p Год назад +419

    너무 억울하다 김창옥 교수가 국민들을 많이 행복하게 하는데 청청벽력같은 소식을 들으니 가슴이 너무 아프다 !

  • @무버지사랑
    @무버지사랑 Год назад +724

    진짜 비극이다. 나도 다른 분들보다 빨리 치매걸린 아버지 돌보느라 힘들다… 부모님 큰 탈 없는 사람들이 얼마나 행복한지 알았으면 좋겠다..

    • @dh7432
      @dh7432 Год назад +62

      맞습니다 힘드시겠어요 ~위로합니다

    • @firepower5134
      @firepower5134 Год назад +46

      힘내세요 ㅠ

    • @김창우-t2v
      @김창우-t2v Год назад +38

      울어머니도 치매 ㅠ

    • @뽀모-t5t
      @뽀모-t5t Год назад +24

      힘내세요♡ 좋은날이 올꺼에요

    • @시월애2-u4m
      @시월애2-u4m Год назад +23

      동감합니다. 갑지기 치매로 혼자 지내시지도 못하고 ...너무 슬픈데 힘들어요.건강하실때 잘 히드리세요

  • @왕대박쓰
    @왕대박쓰 Год назад +501

    사람이 감당할 만큼의 스트레스를 견뎌야하는데 김창옥강사님은 늘 가족의 이야기를 미화해서 줄겁게 이야기 주시지만 어린시절 얼마나 힘들었을까 !! 싶다

    • @truethfree7710
      @truethfree7710 Год назад +22

      백신부작용입니다

    • @jesustrust4190
      @jesustrust4190 Год назад +2

      그러네요

    • @anxes83
      @anxes83 Год назад +11

      ​@@truethfree7710백신 맞았는지 의료기록 확인함? 그리고 백신과 인과관계를 어떻게 확신함?... ㅉㅉ 심지어 본인이 스트레스 때문인 것 같다고 밝히셨구만

    • @이꼉-y8z
      @이꼉-y8z Год назад

      약먹고하면~더이상진행안하도록~해야겟지요~

    • @anxes83
      @anxes83 Год назад

      @@Whatawonderful_world_ 알츠하이머 의심단계이고 아직 100퍼센트 진단된게 아니다. 팩트지? ? 근데 무슨 백신 부작용이라고 확정을 벌써??

  • @골드-f5g
    @골드-f5g Год назад +363

    치매약 비용 비싸지
    않았으면좋겠어요
    김창옥 교수님
    쾌유 기도합니다

    • @alexp2019
      @alexp2019 Год назад +2

      약이 없는거 아닌가요…

    • @zirhful
      @zirhful Год назад +7

      건강보험으로 비싸지 않아요. 지연시키는 약으로 치료제는 없어요

    • @kjs3133
      @kjs3133 Год назад +6

      약이 비싸도 치료만 되면 좋은데
      늦춰지는 약만 있다고 해요 ㅠ

    • @valentinea7818
      @valentinea7818 Год назад +4

      치료약은 없어요 지연시키는 약을 복용하는 거죠 비싸지는 않습니다

  • @별이TV
    @별이TV Год назад +546

    믿기지가 않습니다 ㅜㅜ 김창옥 교수님 꼭 나으시길 기도합니다

    • @쿄쿄-p4x
      @쿄쿄-p4x Год назад +5

      기도한다고 되는 줄 아냐? 헛된 것...

    • @별이TV
      @별이TV Год назад +2

      @@쿄쿄-p4x 못된색히다 진짜

    • @kimmy5
      @kimmy5 Год назад +1

      ​@@쿄쿄-p4x이봐, 해봤어?

    • @김한나-f5j
      @김한나-f5j Год назад +38

      @@쿄쿄-p4x 김창옥 교수님이 기독교인 이십니다 ... 좋은뜻으로 기도 한다고 하시는데 왜 그러시는지 ...

    • @user-ib5235
      @user-ib5235 Год назад +8

      괜한 시비에 비뚤어진 관점으로 부정적인댓글 다는인간이 아직도 있네!

  • @angela-ni3cy
    @angela-ni3cy Год назад +307

    김창옥 교수님 힘내세요!!!

  • @soorich7373
    @soorich7373 Год назад +276

    김교수님 빠른 회복을 기원 드립니다

  • @김미선-w4c
    @김미선-w4c Год назад +209

    슬프다. 김창옥 교수님 항상 응원할게요. 꼭 회복되길 바랍니다

  • @user-genfq2djixfs
    @user-genfq2djixfs Год назад +291

    치매 발병률 높은 사람들은
    대부분 깊은 정서적 상처나 오랜 세월동안
    정신적 스트레스가 상당히 누적된 과거를
    지닌 분들에게서 제일 많이 발생하며
    이런 증상들이 나타난다고 봅니다
    주변을 살펴보면 주로 어린시절 힘든
    가정사나 결혼 생활 내내 겪은 배우자를
    통한 상처가 평생을 통해 본인의 삶을
    갉아먹는 정도에 고통을 주는 숱한
    데미지가 뇌 과부하로 이어지고
    결국 이른 노화를 통한 급속 혹은 가속
    뇌 노화로 진행 되는듯 보여집니다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란 사실이
    또다시 입증 되는 순간입니다

    • @최정화-i1s
      @최정화-i1s Год назад +29

      하신말씀이 너무 마음에 와닿습니다 저도 70인데 어릴때부터 가정의 불안정 결혼후의 배우자와의갈등 등 ㅠ 늘 걱정입니다

    • @cocoivory
      @cocoivory Год назад +18

      옛날 여인네(지금의 할머니분들)삶이 거의대부분 그런경우가 많았는데
      그렇게따지면 지금 할머님들 다 치매왔게요?? 젊은층이 많아지는거가 포인트라 공감이 좀 안되네요

    • @Jay-zn5wj
      @Jay-zn5wj Год назад +21

      ​@@cocoivory요새 젊은 사람들 스트레스 많은거 모르시나봄....출생율 저하, 고독사 증가 등등 보면 안보이시나요

    • @cocoivory
      @cocoivory Год назад +17

      @@Jay-zn5wj 젊은사람들도 스트레스는 많죠
      그런데 이분 댓글은 읽으셨나요?
      이분이 오랜시간,배우자를 통한 상처..
      이런내용에 포커스를 맞춰서 그거에 대해 답글단겁니다
      그래서 제가 하고픈말은 스트레스뿐아니라
      환경오염이나 나쁜식습관같은것도 영향이 있단얘기에요

    • @dadakmy3415
      @dadakmy3415 Год назад +9

      내가 저런 환경속에서 자라와서...애둘 낳고...멀티가 안되더라구요...내얘기구나...싶었어요.

  • @지금행복-d4k
    @지금행복-d4k Год назад +576

    치매검진 정신건강검진을 매년받을수있도록 국가검진에 넣어주세요

    • @loodyjung6077
      @loodyjung6077 Год назад +21

      동의 합니다.

    • @kjs3133
      @kjs3133 Год назад

      보건보 가시면 치매검사 할수 있는걸로 알아요

    • @토토로-toto
      @토토로-toto Год назад +5

      저도 동의합니다.

    • @정-v7w
      @정-v7w Год назад +4

      저도 동의합니다.

    • @이경희-e2v9u
      @이경희-e2v9u Год назад +4

      꼭 정신건강검진에 넣으면
      좋겠습니다

  • @TV-gg7kq
    @TV-gg7kq Год назад +177

    김창옥 교수님 건강 회복 하시기를 중보 기도로 섬기겠습니다.
    차에스더목사

  • @클레어김-p8w
    @클레어김-p8w Год назад +187

    김창옥교수님
    꼭 회복될실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도합니다

  • @positivemind2574
    @positivemind2574 Год назад +63

    김창옥 교수님!! 강연 너무 재밌게 잘 들었는데 마음이 안좋습니다. 이겨내실 수 있길 기도하겠습니다 !!

  • @shepherd-girl
    @shepherd-girl Год назад +76

    김창옥교수님의
    빠른회복을
    기도합니다

  • @윤정숙-k5k
    @윤정숙-k5k Год назад +128

    김창옥교수님 건강하셨으면 합니다 별일업기을 빌께요

    • @sptt8197
      @sptt8197 Год назад

      별일 없기를ㆍ
      빌게요ㆍ

  • @태양-i7q
    @태양-i7q Год назад +36

    얼마나 놀라셨을지..
    놀라고 마음이 아픕니다.
    마음 편하게 잘 다스리고 좋은약으로 치료받으시고 꼭 건강 관리하시면 잘 회복되실거라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이 응원하시니 꼭! 힘을 내주세요.아픈사람을 치유해 주셨으니 꼭!!! 나으실겁니다.!!!

  • @mins0296
    @mins0296 Год назад +14

    김창욱교수님ㅜㅜ
    기적이 일어나길 소원합니다

  • @Cocochachacha
    @Cocochachacha Год назад +40

    김교수님
    치유되기를 기도합니다.

  • @미소-k1w8l
    @미소-k1w8l Год назад +52

    하느님 김창옥 선생님에 기적을 내려주세요 슬프네요

  • @oliviajo1789
    @oliviajo1789 Год назад +181

    김창옥교수님 응원합니다.기도하겠습니다🙏

  • @lilu6232
    @lilu6232 Год назад +153

    많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신 분께서 이렇게 알츠하이머에 걸리시다니 너무 속상하고 눈물이 나네요~꼭 회복 되시길 기도합니다~♡

  • @내맡김
    @내맡김 Год назад +41

    존경하는 김창옥 강사님 늘 응원하겠습니다

  • @bookstudying
    @bookstudying Год назад +21

    진짜 너무 슬픔 ㅠㅠㅠㅠㅠㅠ 김창옥씨가 어떻게 치매냐구요 마음이 너무 아프네요 너무 속상함 먹먹하고 화남 인간의 한계가 인간의 나약함이 절망이다 정말 ㅠㅠㅠㅠ 제발 제발 치료약 나와주세요 빨리 김창옥씨 고쳐주세요.

  • @Kittens42888
    @Kittens42888 Год назад +118

    치료제가 나왔군요
    교수님 꼭 치료되시길 바랍니다 ~~

  • @진혜숙-s1n
    @진혜숙-s1n Год назад +116

    김창옥 교수님
    힘내세요🍀🍀🍀🍀🍀

  • @김현수-i8h-q8y
    @김현수-i8h-q8y Год назад +69

    김교수님 힘내세요 꼭 치료될겁니다 얼마나힘드실지 ..

  • @Kjonghi
    @Kjonghi Год назад +8

    어머나 세상에 김창옥 교수님 꼭 이겨내시리라 믿습니다. 유쾌한강의 많은 감동받았는데 ….ㅜㅜ

  • @봄봄-l4d
    @봄봄-l4d Год назад +29

    김교수님 완쾌되시길 기원합니다.

  • @유자달고나
    @유자달고나 Год назад +70

    김창옥 교수님. 힘내세요. 다 ~~ 잘 될 겁니다.

  • @한인화-i5e
    @한인화-i5e Год назад +32

    교수님 힘내세요

  • @토토로-toto
    @토토로-toto Год назад +9

    교수님 말씀에 힘을 많이 내었는데, 너무 안타깝고 마음이 아파요🥺

  • @hellodanbi
    @hellodanb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혈관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두통과 건망증때문에 젊지만 치매검사와 뇌ct와 뇌mri를 찍은 후 뇌동맥류가 3개 발견되고 1개만 수술하고 나머지 2개는 추적관찰중인데 수술전 없던 간과 신장기능저하와 갑상선기능저하증 또다른 혈관문제까지 생겨서 매일 아스피린과 씬지로이드를 먹보있습니다. 혈관조심. 혈액을 맑게하세요.
    세상을 부모님중심으로 살았습니다.
    저는 간호사로 시작해서 집 안 사정상
    부모님 케어 때문에 이렇다할 커리어를 쌓지 못하고 간호조무사로 일 하다가
    부모님 간병하고 요양보호사까지 섭렵했습니다.
    긴 글, 하소연도 아니고 소설이나 관종도 아닙니다. 저는 부모님 중심으로 살았고 남은건 병든 몸 뿐입니다. 미리 건강이라도 챙겼더라면 좀 달라졌을것같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렇게까지 희생하지 말라고요.
    제일 중요한건 "나" 라고 말입니다.
    한 분이라도 공감해주시고 위로를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사연팔이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부모님과 나이차이가 많이 납니다.
    폭력가정에서 생존한 생존자이고
    아버지는 물리적 언어적 폭력을 휘두르셨고 어머니와 저는 생존했습니다.
    아버지는 끝까지 당당하셨습니다.
    너무 사소한 일에 무지막지한 폭력이 이어졌습니다.
    하루하루 불안했고 무서웠습니다.
    이제 어머니가 제 뒤로 숨으실수밖에 없었던 상황도 이해합니다.
    아버지가 워낙 무서우셨으니까요.
    자살시도도 하고 자해도 했었습니다.
    미래가 무서웠고 내일이 무서웠습니다.
    부모님께서 15년전 알츠하이머와 신경성치매에 걸리셔서 요양등급 3등급이셨습니다. 두 분을 혼자 모시기엔 저를 제 삶을 잃는것이었습니다.
    나중엔 직장도 그만두고 부모님을
    동시에 식사챙기고 씻기고 재활까지 두 분 모두 대,소변운 받아가며 간병하고
    이젠 홀로 남아 1인가구로 살고있는 무남독녀입니다.
    노환이 심해지면 귀도 안들리고 눈도 잘 안보여서 소통이 안되고 서로 답답합니다. 아버지는 성별이 달라 좀 거북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건병 잘 하고 잘 보내드렸습니다.
    두통과 건망증으로 검사를 했다가
    뇌동맥류를 발견하고
    응급으로 수술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계속 혈관문제가 생기며
    몸이 도미노처럼 무너졌습니다.
    아직 머리속엔 뇌동맥류2개가 남아있고
    갑상선저하증, 우울증, 공황장애, 불안장애, 강박증, 불면증을 치료중입니다.
    저는 이제서야 저를 돌아보고 있습니다.
    삶이 전쟁터 였고 지옥었던 제가
    이제는 살고싶습니다.
    제가 한발 내딧을수 있었던건 유튜브였습니다.
    늘 보고 웃고 울고 부러워하고 답글도 저대로 못달던 제가 고민끝에 용기를 냈습니다. 이런 저라도 도움이 될까해서
    유튜브를 시작하고 되려 위로와 힘을
    얻고있습니다. 저도 누군가에겐 위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같이 울고 웃고 공감하면서 소통했으면 좋겠습니다.
    그게 제 첫 바램이며 한발 나서게 된 계기입니다. 비방하지마세요.
    이제 미래를 생각하며 오늘을 삽니다.
    건강과 마음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하소연이 아닌 누군가에겐
    위로나 힘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박소균
    @박소균 Год назад +17

    김창옥교수님~
    정말 넘 안타깝고 눈물이 나요ㅜㅜ
    거짓말이었음 좋겠어요ㅜ
    늘 강의듣고 위로를 많이 받았었는데......

  • @가미-s6i
    @가미-s6i Год назад +43

    교수님 꼭 나으셔서 국민의 희망이 되어주세요.

  • @suejung1814
    @suejung1814 Год назад +16

    우리 엄마도 진단 받고.. 얼마나 먹먹하던지.. 그래도 매일매일 행복하게 살려고 노력중입니다

  • @카시오페아-e3c
    @카시오페아-e3c Год назад +38

    제발 기적이 일어났으면 좋겠습니다~

  • @박수영-w3c2j
    @박수영-w3c2j Год назад +40

    아이들도 어린데
    가족걱정이 더 앞섰을텐데..😢😢 공개하기전까지 얼마나 힘드셨을까요..
    어디서든 교수님과 가족들을 만나면 위로해주고 웃음을 되돌려주겠습니다. 교수님 걱정마세요!!
    좋은사람들이 훨씬 더 많아요!!❤❤

  • @남희정-k9g
    @남희정-k9g Год назад +4

    김창옥교수님를 통해 많은 분들이 상처를 치유 받았어요. 저도 힘든시기 교수님 강의에 위로를 많이 받았어요. 교수님 꼭 치유되시길 기도합니다 🙏 ❤

  • @burro2986
    @burro2986 Год назад +37

    빨리 치매 치료제가 나왔으면 좋겠다

  • @창-t5e
    @창-t5e Год назад +23

    치료제가 빨리 나와서 인류의 적인 알츠하이머 병으로부터
    자유로워져서 장수를 두려워 하지 않고 살았으면 좋겠어요
    김교수님도 좋은 치료제가 나왔다니 꼭 완치되어 전처럼 생활하시길 기도 하겠습니다.~

  • @장경화-j3m
    @장경화-j3m Год назад +25

    아~~~교수님 정말 강의 잘듣고 힘을얻었는데~~힘내세요 응원합니다 기도할께요

  • @김한나-f5j
    @김한나-f5j Год назад +123

    김창옥 교수님이 알츠하이머라니 교수님은 이겨내실꺼 같아요 ...

  • @김수정-p4t
    @김수정-p4t Год назад +12

    좋은일있을거라 생각해요 김창옥교수님 힘내세요 파이팅

  • @seodevan
    @seodevan Год назад +69

    회복을 기도합니다..
    많은 기쁨과 행복을 전해주시는데...
    많은 기도하는 마음들이 모여 응원 드립니다
    하실 일이 많습니다..
    더 큰 영향력으로 더 많은 기쁨, 소통 나누실겁니다!!!

    • @김영남-m9t
      @김영남-m9t Год назад +4

      강의로 많은이들의
      위로와 희망을 주셨던
      김창옥 교수님! 힘내세요
      쾌유를 기원합니다 ~❤️❤️❤️

  • @김현수-v4o6z
    @김현수-v4o6z Год назад +29

    교수님 좋은 결과있기를 기도합니다
    힘내세요 교수님🎉

  • @수현-g9x
    @수현-g9x Год назад +28

    꼭. 완쾌되실거예요~~
    힘내세요 교수님~~
    기도할게요~

  • @mhkim3029
    @mhkim3029 Год назад +6

    너무 속상하고 우울해지네요~
    힘내세요
    기도합니다~~^^

  • @carlosj8637
    @carlosj8637 Год назад +6

    김선생님. 응원합니다. 꼭 건강해지실겁니다.

  • @이영숙-v8p1g
    @이영숙-v8p1g Год назад +3

    김창옥 교수님
    당신은. 절대 알츠하이머'와는' 상관없습니다
    늘. 강연을 들으면서
    느낀 심적인. 예감으로
    확신합니다

  • @youn3783
    @youn3783 Год назад +68

    교수님. 너무 무리한것같아요...
    쉬엄 쉬엄 하시면 좋겠읍니다...
    힘내세요 🎉🎉🎉

  • @평온-b2y
    @평온-b2y Год назад +27

    김창옥교수님 꼭회복하세여
    글쓰기하구 자꾸암기해여 너무선한영향력을주신분이신데
    꼭 나을꺼에여~~~!!!

  • @ameralds.2147
    @ameralds.2147 Год назад +14

    꼭 나아야 합니다 기도드리겠어요 🙏

  • @景主
    @景主 Год назад +15

    예쁜사람 김창옥씨, 정말 걱정입니다
    꼭 좋은치료 받으시고 건강 지키시길 빌고 빕니다()()()

  • @sam-go2lo
    @sam-go2lo Год назад +9

    왜이런 현상이 증가하는지 알만한 사람은 다안다 사람들이 얼른 깨어나야 할텐데ㅠ

  • @나누리-y9t
    @나누리-y9t Год назад +8

    김창욱님 그많은 얘기를 머리에 담으셨는데 안타깝습니다 좋은 결과를 낳길 바랍니다

  • @오들휘
    @오들휘 Год назад +4

    김창옥님 백신맞고 엄청 고생하심

  • @sunshinepgh
    @sunshinepgh Год назад +9

    김창옥선생님, 치료제를 통해서 낫기를 바랍니다! 강건하시고 일상의 소소한 것들에 감사하며 좋은 것들에 집중해봅시다! 우울증환자들이 치매에 잘 걸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던데 이 모든 것이 뇌의 질환이니 너무 의기소침하시거나 걱정하지 마시고 적극적으로 치료받으시길 응원합니다!!!!!!!!!!!!!!!!!!!!!!!!!!!!! 😌🙏🩷

  • @goodbooy2040
    @goodbooy2040 Год назад +4

    앵커분 질문 잘하시네요 !!
    창옥교수님~
    힘내세요!!

  • @임써-z2p
    @임써-z2p Год назад +7

    힘내세요!!! 이겨내실꺼예요~!!

  • @호박꽃-r2m
    @호박꽃-r2m Год назад +30

    아니 그런데 왜 꼭짚어 김창옥 알츠하이머 의심이란 글을 대문짝하게…ㅠㅜ
    당사자 생각은 일도 안하는…
    그리고 12월에 재검사 한다고 하셨는데 아직 확실한 결과물도 없다.. 언론은 왜 이러는건지…

  • @남미애-p5r
    @남미애-p5r Год назад +7

    기도할께요 ~~힘내세요 괜찮아요 좋아질겁니다

  • @In-im8sl
    @In-im8sl Год назад +45

    스트레스로 인해 잠시 착란일수도 있지않을까?

  • @겨울-u4l
    @겨울-u4l Год назад +40

    좀전에 김교수님이 ..아직결과도안나왔는데
    하시던데
    방송에서 겁나떠든다는생각이듭니다....

  • @남남고양이
    @남남고양이 Год назад +22

    치매든 아니든 언제나 응원합니다

  • @CICIddoddo
    @CICIddoddo Год назад +8

    헐. 교수님ㅜ 기도합니다. 힘내세요

  • @짱아-b5f
    @짱아-b5f Год назад +2

    에궁~~ 김교수님꼭완쾌하시길기원합니다세상에이런일이네요

  • @안상미-d5c
    @안상미-d5c Год назад +13

    아직은..담달에 정확한 결과가 나온다죠 누구에게나 닥칠수 있는일 이라서 맘이 무겁습니다

  • @대한민순
    @대한민순 Год назад +21

    김창옥 이분부터 실험약이라도 먹게해서 의사선생님vvip 으로 진찰 봐 주세요

    • @이효선-g4i
      @이효선-g4i Год назад

      재실험약초록이치매치료약맛없재

  • @HoneyOh-Honey
    @HoneyOh-Honey Год назад

    김창옥 교수님. 의심이 확진이 아니길!! 건강하셔야합니다

  • @kim-ym9fm
    @kim-ym9fm Год назад +18

    저희엄마도 2011년도
    치매판정
    그때60살😢

  • @sandrapak1981
    @sandrapak1981 Год назад +3

    와..놀랍네요..평생 엄마가아빠한테 가스라이팅 당하고사셨는데 아빠죽은지
    몇년안되서 엄마가 치매증상보여서 뇌사진 찍어보니 뒤쪽이 하얗게 변했더라구요.현재 엄마와 최대한 행복한 추억만들며 살고있어요.정말 스트레스와 연관있는것같아요.

  • @League_Bbbb
    @League_Bbbb Год назад +7

    저도 요즘 가스에 올려놓고 잊어버리고 오래전부터 아침 뭐먹었냐 하면 기억못할때도 많고요 그나마 요즘 나아졌는데 가스불 잊은적은 없었거든요
    냄비태우고...그나마 타이머가 있어서 알아서 꺼지긴 하거든요ㅠ이게있어서 안심하게 돼서 습관 된건지...다이소나 마트 가면 뭐사려고 했는지 잊어버리고요..그래도 잘적어놔서 사긴삽니다

  • @조미자-j1q
    @조미자-j1q Год назад +3

    교수님 반드시 완치하셔서 다시 대중앞에 서실거라 믿습니다

  • @장기화-n1z
    @장기화-n1z Год назад +3

    안따까운 소식이네요 ㅜ
    오진으로 나오길 간절한 마음으로 기다려봅니다

  • @_revival
    @_revival Год назад +10

    슬픈 눈망울.위로 받는 강연.
    아 슬프다. 꼭 건강 회복하시길 기도합니다.
    기적이 일어나길.🎉❤

  • @cdpa_2019
    @cdpa_2019 Год назад

    김창옥 교수님 ! 항상 응원합니다.

  • @여이명희-h8w
    @여이명희-h8w Год назад +11

    김창옥교수님 응원합니다. 힘내십시요.

  • @jesustrust4190
    @jesustrust4190 Год назад +3

    스트레스 관리도 잘하고 뭔가 기억하려는 습관을 들여야 할거 같아요~

  • @유미선-s9m
    @유미선-s9m Год назад +3

    교수님 힘내세요!!!!!! 좋은약 있을껍니다.

  • @지금여기-b9y
    @지금여기-b9y Год назад +4

    김교수님 꼭 회복하세요!

  • @정외숙-m9m
    @정외숙-m9m Год назад

    청천벽력같은소식이네요 제~발완쾌되게해주세요 기도하겟읍니다!!

  • @swan2813
    @swan2813 Год назад

    김창옥 교수님
    전심전력으로
    치유하시기를

  • @표물음-q5o
    @표물음-q5o Год назад +17

    코로나백신(mrna)접종 아니면 의심할것이 없죠~

  • @yjin6718
    @yjin6718 Год назад +5

    같은 라인에 사는 이웃 아줌마가 치매진단 몇년전에 정장과 무거운 명품백을 갖춰 입고 무겁게 식품을 사갖고 오는게 반복돼서 이상하다 생각 됐었네요. 고학력에 상당히 교양 있었는데, 정점 악화 돼서 지금은 이웃도 못 알아보고 간병인이 꼭 데리고 다닙니다.

  • @아파토
    @아파토 Год назад +2

    내가좋아하는교수님

  • @손경훈-q6p
    @손경훈-q6p Год назад

    경쟁이 심하지니 스트레스도 받고 그래서 ㅜ 안타까운 마음이 드네요.ㅜ

  • @gidtns1
    @gidtns1 Год назад +7

    병주고 약주고
    백신 장사
    제약회사만 돈 벌고
    병원 돈 벌고
    이래저래 돈 털리는 이시대
    스트레스가 치매 원인이면 다 걸렸겠네

  • @kadyn777
    @kadyn777 Год назад +1

    우울증약이 신약이라
    너무 오래 드시면
    좋지않은 합병증같은게 오지않나요? ㅠ
    치료 효과도 있지만 분명히 안좋은 부분도 생길듯..
    제가 좋아하는 분인데
    힘내시고ㅠ
    분명히 답이 있을겁니다

  • @azukiryo
    @azukiryo Год назад +18

    소통의 부작용중 하나죠.
    알게 모르게 감정소모를 하거든요.

  • @이영옥-t2o
    @이영옥-t2o Год назад +20

    어머나진짜인가요 믿어지지않아요

  • @and-love177
    @and-love177 Год назад +13

    부모가 자식을 보호하는거지 어린 자식이 부모를 보호하지 않아요. 그죄책감 빨리 벗어나셔요. 그모습 보면 어머니 또 우셔요. 김창욱 선생님이 지키셔야하는 존재는 와이프와 자녀들이에요. 슬퍼하지 마셔요

    • @레이튼-p9u
      @레이튼-p9u Год назад +2

      지인도 아버지가 주사에 폭럭적인 집안에서 자라서 그런지 소심하고 내성적이고 항상엄마 걱정에 불쌍하게 생각하고 집안생각 마니하고 물론성격 탓이겠지만 결혼도하고 했는데 일찍 암으로 세상떠난거보면 너무신경쓰고 걱정 이많아서 마음의 병이생긴거 같애요 물론형제중에 본민만그렇지만

  • @modesteee
    @modesteee Год назад +18

    코로나 백신 후유증이라고 하면 개거품 무는 반응 보이는 전문가들이 매우 매우 수상함. 절대 가능성 없는 일은 없음.

  • @정임선-z4x
    @정임선-z4x Год назад +4

    항상 응원합니다
    꼭 완치되리라 믿어요
    교수님!화이팅~~

  • @장기화-n1z
    @장기화-n1z Год назад

    기도드리겠습니다

  • @akseniazaharova57
    @akseniazaharova57 Год назад

    Выздоравливайте ⚜️👼🕊️🤍🤝🏻✨👥👣🌟🧬💙🤍🪐🐲✨🦋🌻

  • @star-hw9ed
    @star-hw9ed Год назад +4

    그러고보니 저도 코로나 이후 백신 3차까지 맞고 코로나 걸리고 갱년기장애 폐경기 수면장애.. 요즘 숫자를 깜박깜박하네요 시냅스 연결줄이 뚝 끊겼다가 한참후에 이어지는 느낌 백신 부작용일까요?

  • @시온-x7l
    @시온-x7l Год назад

    나와있는 질문에
    나와있는 답으로만 답한 것으로 해석해서 진단한 결과를 믿기에는
    다소 무리가 아닌가 참고만 하는 것이 좋지 싶습니다
    좋아했던 분이시기 때문에 안타깝다 보다는 좋아하는 분의 소식여서 마음이 더욱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가 나은 표현이 아닐는지요
    표현의 차이... 😊
    그 의사선생님의 미리예측 하셨다는 한마디는 성급하다는 생각입니다
    병원이고 책임 의료진이시기 때문에 권해야만 하는 사항이셨겠죠
    극한의 스트레스와 너무너무 어마어마한 일의 양으로 사람이 한동안이나 한때에 그런 상태를 지날 수 있습니다
    약은 악몽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고 여러모로 덜컥 얼른 복용에 의존하는 것은 저는 반대입장인 편이예요
    더 좋은 방법이 많기 때문이고
    꼭 뇌에나 사람 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은 아닌 부분이 더 많은 것 같아서요
    강의를 못하시는 편은 전혀 아닌것 같아요😄 좋아하는 일도 잘 찾아 하시는 영상 보면 건강하시고요
    극심하게 에너지가 드는 어떤 심리 정서적 부분이 크신 부분이 최근 내내 있는 경우이신지도 모르죠..
    저는 비슷한 경우를 겪어보아 드는 생각이고 견해입니다
    주변의 걱정도 살펴 참고하지만 안정적인 나자신의 중심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3.3.3 멋지네요😊 고맙습니다
    여의도 병원도 고맙습니다

  • @osr0926
    @osr0926 Год назад +1

    치매치료제 좀 빨리 만들어지길

  • @임지영-v1u
    @임지영-v1u Год назад +4

    김창옥교수님 힘내세요 ~건강 회복하실겁니다 ~~

  • @toj
    @toj Год назад +56

    백신 부작용 입니다.
    왜 말씀을 안하시는지!

    • @myrtletreechae6498
      @myrtletreechae6498 Год назад +7

      그래요?😲

    • @세금은누구꺼
      @세금은누구꺼 Год назад

      원인은 70가지 …

    • @chunsigsim7864
      @chunsigsim7864 Год назад +1

      저희남편도 굉장히 건강하게 직장생활하는중 코로나 백신접종후 말이 어눌해지면서 자주넘어져서 검사를 했더니 파킨슨이란 병명을 진단 받았습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백신때문인것같습니다
      김창옥 교수님
      오진이길 기도합니다
      교수님의 강의 듣고 큰 힘을얻고있습니다
      기적을 기다리며 기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