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 교통]지하철 좌석도 기차처럼 배치하면 안 될까?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보통 지하철 좌석은 항상 마주보고 앉는 형태지만
    기차나 버스는 진행방향을 보고 앉는 형태죠.
    그렇다면 이러한 좌석 배치 형태들은 어떤 것이고
    왜 지하철은 서로 마주보며 앉는 형태가 된 것인지,
    지하철 운영사들은 왜 전동차내 좌석배치를 서로 마주보는 방식으로 길게 늘어놓았을까요?
    *문의 이메일: transrail@naver.com
    저의 영상을 사용하는 것을 원하실 경우(뉴스, 소셜미디어 등)
    네이버 이메일 transrail@naver.com으로 문의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하는 자료출처입니다.
    한우진의 교통평론 m.blog.naver.c...
    CASSIOPEIA의 철도이야기 jtinside.tisto...
    현대로템 공식 블로그 blog.hyundai-r...
    사진출처
    위키백과
    나무위키
    wikiwand

Комментарии • 531

  • @hjow7
    @hjow7 4 года назад +615

    또하나, 롱시트 좌석배치의 장점은, 열차 칸 내부가 거의 대칭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열차를 회차하지 않고 기관사만 나와서 반대편으로 이동해 운행해도 되죠. 크로스 시트의 경우는 운행이 끝나면 회차 노선을 운행해 빙 돌아오거나 직원 여러명이 투입되어 좌석들을 반대로 돌려야 합니다. KTX같이 자동으로 좌석이 돌아가거나 아예 앞뒤방향으로 좌석을 배치한 경우도 있습니다.

    • @구독하면늘천운이-h2s
      @구독하면늘천운이-h2s 4 года назад +30

      지나가시다 우연히 절 만나신분들
      늘즐거우시고 코로나때 건강 조심하세요
      복만 가득하시길 빕니다🙏🙏

    • @user-qj6cq9wl3m
      @user-qj6cq9wl3m 4 года назад +2

      제채널에 좋은 배경음악ASMR많습니다
      와서 구경하고가세요~~

    • @함대콜렉션-d8l
      @함대콜렉션-d8l 4 года назад +13

      크로스시트는 제어판에서 원격으로 의자방향 다 돌리는걸로 알고있는데 모든 열차가 그런건 아닌가보네요?
      청춘은 다 돌아가던데

    • @함대콜렉션-d8l
      @함대콜렉션-d8l 4 года назад

      @@hjow7 네넵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42

      고정하기 좋은 댓글 고맙습니다.

  • @경감
    @경감 4 года назад +304

    사람들이 엄청많이타는데
    크로스시트이면 자리에서 출입문가다가 문닫히겠음

    • @ljh0897
      @ljh0897 4 года назад +2

      ㅋㅋㅋㅋㅋㅋ

    • @마이야히
      @마이야히 4 года назад +12

      두세정거장 전에 일어서야함ㅋ

    • @NO-zi-Line
      @NO-zi-Line 4 года назад +7

      우리나라처럼 빨리빨리 문화에 익숙하니 ㅋㅋㅋㅋㅋㅋㅋ
      출입문까지 가는게 겁나 빡셀거임 ㅋㅋㅋ

    • @hanabi_flex
      @hanabi_flex 3 года назад

      출근 할때마다 공항철도 임시열차 타는데 사람 많아도 내릴 수는 있더라구요... 내리는 과정이 많이 고통스러울 뿐...

    • @철도동호인접음
      @철도동호인접음 3 года назад

      @@hanabi_flex ㅇㅈ

  • @뇽뇽-n6q
    @뇽뇽-n6q 4 года назад +178

    근데 롱시트 지금 지하철 넘 불편함ㅠㅋㅋㅋㅋㅋㅋ핸드폰 안 보면 눈을 어디에 둬야 할 지 모르겠음ㅋㅋㅋㅋㅋㅋ건너편 창 밖 보고 싶은데 그럼 앞에 사람이 자기 보는 줄 알고 쳐다보고ㅋㅋㅋㅋㅋㅋㅋㅋ

  • @JJ-hc2kv
    @JJ-hc2kv 4 года назад +116

    0:49 하지만 저게 현실,,

  • @오하민-f4l
    @오하민-f4l 4 года назад +52

    0:55 흔한 우리나라 출,퇴근 지하철 모습

  • @yure2
    @yure2 4 года назад +15

    편집, 애니메이션, 사진 깔끔하고 눈에 잘 들어와서 좋고 유익해서 좋은거 같아요.. 흥하시길

  • @elvenisar
    @elvenisar 4 года назад +3

    군더더기 없는 편집, 깔끔한 음성, 약 한사발 거나하게 하신 자막ㄷㄷㄷ 이건 떡상한다!!!

    • @elvenisar
      @elvenisar 4 года назад

      꼬우면 기차타라 보고 눈물흘리며 구독 씨게 박고 갑니다.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앗.. ㅋㅋㅋㅋㅋㅋ 고맙습니다 ㅎㅎ

  • @CHSunnyahn
    @CHSunnyahn 4 года назад +4

    개인적으로는 수인분당선 청량리/왕십리-인천 운행할때, 경의중앙선8량열차 문산-용문/지평 구간 운행할때, 서울1호선 광운대/청량리-천안/신창,인천-동두천/소요산 운행할때는 거의 전구간이니 이때는 크로스시트로 돌리게 재설치하면 좋겠습니다!

  • @청음E
    @청음E 4 года назад +199

    아시아, 북미의 경우 승객 탑승의 효율을 중요시하는 반면 유럽의 경우 승객의 착석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앉아 가는걸 대중교통의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하죠. 따라서 유럽의 대부분 지하철, 광역철도는 롱시트를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로 크로스시트가 많습니다.
    이런 인식의 차이는 도시 구조의 근본적인 차이에서 발생하는데, 아시아와 북미식 도시는 연담화가 심하며 인구밀도가 면적 대비 높습니다. 또한 도로망을 중심으로 도시가 세워진 경우가 많은데, 연담화가 심하고 인구밀도가 높은 특성상 출퇴근시간에는 통근, 통학하는 차량들로 도로가 주차장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죠. 이런 도시에서 철도교통은 사실상 출퇴근시간 도로의 정체를 해소하고, 도심으로의 신속한 이동을 목적으로 운행되게 됩니다. (자가용 운행이 줄어 배기가스 배출이 줄어드는 긍정적인 효과는 덤) 따라서 최대한 많은 승객의 좌석을 보장한다는 쪽 보다는 운송의 효율을 위하여 한 번 운행 시 최대한 많은 승객을 태우는 쪽으로 롱시트가 많이 채용됩니다.
    반대로 유럽식 도시는 연담화도 심하지 않으며 인구밀도 역시 면적 대비 낮은 편입니다. 유럽은 아시아, 북미에서 흔히 보이는 왕복 8차로 이상의 대로가 흔치 않습니다. 작은 도로들로 촘촘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도시에서는 오히려 자가용을 통한 출퇴근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만 못하죠. 따라서 이들의 관심은 자연스레 '앉아서 편하게 갈 수 있느냐'에 쏠리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유럽의 대다수의 지하철, 광역철도는 크로스시트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유럽 중에서도 특히 런던이나 파리 등 초거대광역권의 경우 전형적인 유럽식 도시구조보다는 아시아, 북미식이 혼재된 도시구조를 보여주는데, 이들 도시는 역시 사람이 너무 많은 탓인지 롱시트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유럽 사람들에게는 좌석 보장의 가치가 너무나도 크기 때문에 이를 포기하지 못해 2층열차도 무지막지하게 굴리고 있죠. 사람이 많아서 다 못타고 낑겨가는게 불편하다면 열차를 2층으로 늘려버리자는 마인드일 정도로 착석보장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인식의 차이가 많이 다르죠?
    아, 일본은 그냥 이단아입니다. 극단적으로 철도교통을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했는데, 인구밀도가 너무 높아진 탓에 크로스시트는 다 사장된 지 오래입니다. 유럽에서는 기본적으로 착석이 보장되는데 일본은 오히려 착석을 보장받기 위해 더 높은 금액을 지불하고 크로스시트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죠.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21

      심층적인 보충 의견 매우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저도 더 배우고 갑니다.

    • @user-sb9ch2ln7g
      @user-sb9ch2ln7g 4 года назад +7

      틀린 이야기 와전된 사실 주관적인 의견 하나 없이 객관적이면서도 알기 쉽고 적당히 길고 좋은 댓글 처음 봅니다 ㅎㅎㅎ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 @mostrack5627
      @mostrack5627 4 года назад +14

      독일 사는데요.. 이제 유럽도 한계에 점점 다다른 것 같습니다.학생들 등하교+출퇴근시간이나.. 축구시합있는 날 트램이나, 에스반을 타면 숨막혀죽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도로정체도 프랑크푸르트 같은 대도시는 한국 못지않을때가 있습니다.

    • @청음E
      @청음E 4 года назад +9

      @@mostrack5627 저도 독일 살았었습니다.
      출퇴근시간에 대중교통 미어터지는거 경험하면서 지어진지 이미 반세기가 넘어가는 좁아터진 지하철 규격과 죽어도 크로스시트인 똥고집 차량들이 참 원망스럽더라고요.
      뮌헨이나 슈투트가르트 S-Bahn에 투입되는 BR423이나 430형 차량은 사람들 많다고 좌석을 롱시트화하는게 아니라 출입구쪽 좌석 하나를 줄이는 지들 말로 획기적인 개선을 하고 있죠.
      심지어 1970년대 뮌헨에서는 미어터지는 S-Bahn 대책이랍시고 기관차 견인 Dosto를 들여와 시범운행했었는데 될 리가 있습니까 ㅋㅋ 승하차지연 감당 못하고 바로 묻혀버렸죠.
      암만 기술력이 좋으면 뭐합니까 옛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융통성이 없으면 실생활에 적용되는건 아무것도 없는걸요.. 돈 든다고 시설물에 투자를 안하는게 말이나 됩니까 ㅋㅋ 독일인들 구두쇠라는건 스테레오타입이 아니라 그냥 팩트예요.
      정말 좋은 나라인데 대책없는 난민 수용과 더불어 상기한 단점이 나라를 점점 이상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 @passingrebar
      @passingrebar 4 года назад +3

      오옹 하면서 더 읽을려고 자세히보기 눌렀다가 포기

  • @nazunamoe
    @nazunamoe 4 года назад +43

    JR쪽에선 롱시트 차량과 크로스 시트 차량을 섞어서 크로스 시트 차량에는 운임을 더 내고 타야하는 그린샤라는 것도 있죠 한번도 타본적은 없지만 중장거리를 이동할때는 편해 보였습니다

    • @rlaalswoseoul
      @rlaalswoseoul 4 года назад +7

      평소에 자주탑니다 모터가 달려있지않은 2층열차 이여서그런지 매우 조용하고 승차감도 좋고 특급열차 보다는 저렴해서 가성비가 좋다고볼수 있지만 한번탈때 적어도 700엔 (7천원중반) 이상을 내야하는게 애매합니다...

    • @hochulchang1694
      @hochulchang1694 4 года назад +1

      @@rlaalswoseoul
      없는것 보다는 있는게 좋긴 한데
      요금 체계를 알고나니...
      니시네(JR西日本)신괘속 좌석이 혜자 스럽게 보이더군요
      살고 있는 곳 에서 적응 해야지 어쩌겠습니까...
      그런데 700엔이라 숭악 스럽긴 하네요
      장거리 기준 JR 보통 열차 운임이 KTX보다 비싸니 일본이 숭악 스러운건 맞죠

    • @rlaalswoseoul
      @rlaalswoseoul 4 года назад +2

      @@hochulchang1694 www.jreast.co.jp/railway/train/green/charge/index.html
      이게 요금표 입니다. 평일은 50키로 까지 780엔 그 이상은 1000엔
      주말은 580엔, 800엔 입니다. 주말같은경우는 그래도 탈만 하지만 평일 요금제는 정말 지옥의 가성비 이지요. 타카사키선,우츠노미야선,토카이도선,소부쾌속선, 요코스카선등 JR서일본과 비교하면 많은 노선과 해당하는 노선이라면 무조건 달려있으며, 보통열차 그린샤가 있는 노선을 이용한다면 환승해서 가는 목적지 까지 연달아 이용할수있다는 장점이 있어 이용자체는 편리합니다만, 이거는 장거리에서만 유용할뿐 단거리에서는 너무 비쌉니다. 그렇다고 안타기에는 JR동일본 세미 크로스 시트가 너무 그지같다못해 롱시트가 더 편해서 안탈수가 없습니다. 이럴때는 기본적으로 크로스시트가 있는 칸사이가 부럽습니다.

    • @TheBluepanty
      @TheBluepanty 4 года назад

      JR 장거리 요금 비쌈 그래서 여행 갈때는 외국인 전용 패스를 이용하던지 아니면은 기획형 티켓을 사용해야함 그냥 승차권으로 구매 한다면은 서울에서 인천 거리는 600엔 이상 나옴

    • @nazunamoe
      @nazunamoe 4 года назад

      @@rlaalswoseoul 그런의미에서 크로스시트도 추가운임없이 굴리는 케이큐가 혜자죠...

  • @eungkaka
    @eungkaka 4 года назад +32

    공항철도에 있는 임시열차는 크로스시트로 되었는데 탈때마다 여행 가는 느낌이라 좋음ㅋㅋ

    • @gongseong2350
      @gongseong2350 3 года назад

      직통열차입니다.
      현재까지 계속 운행중입니다.

    • @철도동호인접음
      @철도동호인접음 3 года назад +1

      @@gongseong2350 직통열차에서 임시열차로 바뀐거임

    • @gongseong2350
      @gongseong2350 3 года назад

      @@철도동호인접음그렇군요

  • @transport_holy
    @transport_holy 4 года назад +209

    경춘선같은 장거리 노선은 세미 크로스 시트로 하면 정말 좋겠네요.... 사람도 많이 안타니까용

    • @아새
      @아새 4 года назад +10

      일본처럼 좀,,

    • @구독하면늘천운이-h2s
      @구독하면늘천운이-h2s 4 года назад +14

      지나가시다 우연히 절 만나신분들
      늘즐거우시고 코로나때 건강 조심하세요
      복만 가득하시길 빕니다🙏🙏

    • @hochulchang1694
      @hochulchang1694 4 года назад +10

      @@아새
      요금도 일본 만큼 낸다면 가능할 지도...
      서울>부산 거리 롱 시트 차량에(크로스 시트 쓰는 차량도 있긴함) 8회쯤 환승에 8시간쯤 걸려서 8만원쯤 받습니다

    • @아새
      @아새 4 года назад

      @@hochulchang1694 무궁화 요금 받아도 될텐데요 광역철도는 좀 더 싸서

    • @김찬-l4r
      @김찬-l4r 4 года назад +1

      특히1호선 과 경의중앙선 분당선에 있으면 좋겠음

  • @Hyuchan1002
    @Hyuchan1002 4 года назад +43

    프랑스처럼 2층 전철의 경우에는 크로스 시트를 만드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대량의 운송도 가능하고 앉아서 갈수도 있는 장점을 혼합한 형태라고 봅니다.

  • @Muradin-k1n
    @Muradin-k1n 4 года назад +4

    어렸을 때 부터 좀 궁금한 점이였는데 그런 이유가 있었군요

  • @Hermione_Jean_Granger_0919
    @Hermione_Jean_Granger_0919 4 года назад +22

    중앙 롱시트 등 기댈 수 있어서 너무 편했는데... 앉아서 가는거만큼 좋았음

  • @Minerva908
    @Minerva908 4 года назад +4

    지하철 배치가 한번에 더 많은 사람을 수송하기 적합해서 저렇게 하는거죠. 기차 명절때 입석 가득 태우면 정말 효율 떨어집니다. 그래서 기차에도 가끔씩 RDC같은 출퇴근 열차는 지하철식 배치로
    해놓기도 해요.

  • @한국너드
    @한국너드 4 года назад +3

    편집 실력이 대단하네요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1

      아이고 과찬이십니다. ㅎㅎ

  • @ambbma9094
    @ambbma9094 3 года назад +1

    한번쯤 궁굼했던 내용이었눈데 유익하네요

  • @컴도사-e7o
    @컴도사-e7o 3 года назад +1

    사람 참 불편하게 만드는 지하철. 내가 좌석에 엥간해선 앉지 않는 이유는...
    좌석에 앉아도 옆 사람한테 눈치 보여서 다리 처리하기가 짜증남.
    좌석에 앉아도 시선처리 하기가 불편하고 짜증남.
    좌석에 앉은 내 앞에 서있는 사람도 건너편에 사람도 매우 불편함.
    그래서 나는 자차 아니면 버스를 이용한다!

  • @Kyle-qr5pu
    @Kyle-qr5pu 4 года назад +10

    ㅋㅋㅋㅋ 그냥 다필요없고 아침 8시에서 9시사이에 2호선 사당역부터 강남역까지만 타봐 왜저런지 바로 알게될거야

  • @tenbeuTV
    @tenbeuTV 4 года назад +7

    대구권광역철도는 원래 누리로형태와 비슷한 EMU열차를 굴릴려고 했으나, 일반적인 전동차 형태로 변경되었죠.
    역간 거리가 매우 길며,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신동역과 약목역에 광역철도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급행은 정차하고 완행은 통과하는 이상한 방식이쥬?)

    • @elmo2455
      @elmo2455 4 года назад

      개통 당시에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결국에는 거기도 2량짜리 고상홈이랑 개찰구만 최소한으로 만들어서 급행인 무궁화는 통과시키고 광역전철만 정차할 것 같네요 ㅋㅋㅋㅋㅋ

    • @tenbeuTV
      @tenbeuTV 4 года назад +2

      @@elmo2455 더 초기에는 사월역(2호선환승), 달성공원역(3호선환승) 계획도 있었으나, 다 무산되었습니다. ㅠ

  • @PlayerJail
    @PlayerJail 4 года назад +20

    0:49 여기서 갑자기 사람 꽉 채워진거 하고 아 이건좀 보고 빵 터짐 ㅋㅋㅋㅋㅋ

    • @JJ-hc2kv
      @JJ-hc2kv 4 года назад +3

      하지만 저게 현실

  • @gurorapid
    @gurorapid 4 года назад +3

    롱시트와 크로스시트 좌석배치를 바꿀수 있는 사례 괜찮네요. 이런거 도입해도 괜찮을법도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1

      우리나라 광역전철에도 있으먼 좋을거 같단 생각이 들긴 하지만 운임이 너무 낮아서 아마 운영사에서 안해줄거 같긴해요 ㅠㅠㅠ

    • @거리먹-i6v
      @거리먹-i6v 2 года назад

      한국이돈이없어서..

  • @마이야히
    @마이야히 4 года назад +6

    잘봤습니다. 막연히 효율성으로만 감잡았는데, 수치제시되니 더 와닿네요.
    아쉽게도 철도교통만 다루시는군요. 공항 주기장 버스처럼, 롱시트형 시내버스 없는지 궁금한데, 일단 다른영상 찾아보러갑니다.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5

      롱시트형 시내버스는 아무래도 승차감 문제때문에 시내버스에 도입하지 않는게 아닐까싶습니다.
      급출발 급제동할때 버스가 심하게 흔들리다보니 롱시트 좌석에 앉은 승객 입장에서 멀미가 나고 승차감이 떨어질 우려가 크기 때문입니다.
      시내버스에 굳이 롱시트배치를 하더라도 수송력을 얼마나 높일지도 의문이고 시내에는 보통 궤도교통이라는 훌륭한 대체운송수단이 있기도 하니까요 ㅎ..
      공항내부버스의 경우 롱시트좌석배치 버스로 비행기 탈 사람들을 최대한 수송해야 맞기도하지만 공항에서 딱히 급제동과 급출발, 과속을 할 일이 없다보니 공항버스에 롱시트좌석버스를 도입한게 아닐까싶기도합니다.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라 꼭 맞는말이 아니다보니 걸러 들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ㅠㅠ

    • @마이야히
      @마이야히 4 года назад +2

      ​@@도시교통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필리핀 시내버스(public utility vehicle)에서는 롱시트를 쓰는데, 버스폭이 작은지 의자를 너무 안쪽으로 깔아서 그런지는 몰라도,말씀대로 크로스시트에 비해서 수송효율이 높지는 않네요.
      그리고 cross seat 와 long seat 라는 용어는 콩글리쉬인가 싶네요. 구글링하는데 전혀 뜬금없는 내용만 나와서...ㅠㅠ 오히려 forward-facing 이나 aisle/sideway-facing 같은 단어로 더 잘나오네요.
      이런거 물어볼 곳 자체가 없어서 폐를 끼쳤습니다.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2

      @@마이야히 롱시트 크로스시트 용어가 해외에선 잘 발견이 안되는군요 ㄷㄷ
      흠.. 다음부터 자료조사를 좀 더 꼼꼼히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런거 물어봐주시는게 저로서는 더 좋은일입니다. ㅎㅎ

  • @캐르
    @캐르 4 года назад +2

    어릴적 기차타고 창밖보는걸 좋아해서 맨날 신발벗고 뒤로 창문 보면서 타다가...종점에서 못 내릴뻔했던적 이후로 왜 지하철 자석은 기차처럼 안되어있을까 이런 생각 했었는데 이런 이유가 있었구먼

  • @컨셉에충실한사람
    @컨셉에충실한사람 4 года назад +5

    4:01 제가 7호선을 타지는 안았지만 단소살인마 영상에서봄

  • @박원임-z6r
    @박원임-z6r 4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dadaecityboi
    @dadaecityboi 3 года назад

    0:21 적절한 김대기형님 ㄷ

  • @ktx9526
    @ktx9526 4 года назад +3

    진짜 대단하네요

  • @InsiderHOT
    @InsiderHOT 4 года назад

    오호 이런주제 아주 좋아용

  • @철버덕이
    @철버덕이 Год назад +2

    9호선은 서해선 김포공항역 연장되고나서 더 혼잡도 심해졌을거 같아요ㅠㅠ

  • @Earth-Ground
    @Earth-Ground 4 года назад +2

    동그란 스툴형 회전의자를 롱시트처럼 창가에 배치하면, 자리차지하지않고 통로도 확보하면서, 창밖을 보며 갈 수도 있음..... 단 등받이가 작거나 없어지므로 편하게 기대서 가기는 힘들테니 자세가 좋아져서 의외로 오래 앉아가도 힘들지 않을 것임.....게다가 옆사람과 붙어 앉을 수 없으므로 닿는 거 싫은 사람은 만족도 높을 것임....

  • @Road_Mania
    @Road_Mania 4 года назад +3

    영상 잘 보고 갑니당

  • @30_channel57
    @30_channel57 4 года назад +2

    일본 도쿄에서는 롱시트도 부족해서, 기본 롱시트지만 출근시간에는 시트가 접혀 들어가서 전부 서서 타고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장거리 선로에서는 크로스시트 칸을 따로 만들어서 추가 요금을 받는 곳도 있죠

  • @kyusangtux
    @kyusangtux 3 года назад

    행복을 만나고 사랑을 통하는 세상 서울교통공사

  • @세웅-o9w
    @세웅-o9w 4 года назад

    수고하세요

  • @busrailway_ch
    @busrailway_ch 4 года назад +6

    0:21 음? 뭐가 지나갔는데?

  • @douseo5263
    @douseo5263 4 года назад +2

    어릴때 처음으로 서울가서 지하철 타봤는데 이런 좁은 공간에 이만한 사람이 다탄다는게 존나신기햇음..

  • @카러플P10유저
    @카러플P10유저 4 года назад +6

    1:25 중저항....

  • @133_asinstn
    @133_asinstn 4 года назад +1

    굿 입니다

  • @Binee-youtuber
    @Binee-youtuber 4 года назад +10

    외국 지하철 중에는 지하철에 크로스시트 있어요

    • @Escape_Reality
      @Escape_Reality 4 года назад +1

      맞아요 프랑스 지하철이 그래요

    • @youngtoyoung2
      @youngtoyoung2 4 года назад

      영국은 세미크로스요

  • @CHSunnyahn
    @CHSunnyahn 3 года назад +2

    e217계같은 근교형은 롱시트 아니면 세미 크로스시트가 대부분입니다. 그린샤는 크로스.

  • @yetnalidda
    @yetnalidda 4 года назад +10

    1:41 놀래랑

  • @퓨처트레인
    @퓨처트레인 4 года назад +3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면 공항철도 직통열차는 크로스시트에 속하는 것이군요.)

  • @정재성-c1l
    @정재성-c1l 2 года назад

    거기다가 하나 더 해서 크로스시트좌석은 비싼 운임을 써야하는 경우에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어짜피 많은 대량 승객수송이 아닌데 좌석에 앉아서 가려면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죠.
    철도가 아닌 버스의 경우에도 입석버스보다 좌석버스운임이 배이상 비싼것이 다 이런이유입니다.

  • @dal5796
    @dal5796 4 года назад +11

    지하철을 열차처럼 좌석배치? 제 정신이 아닌거죠..운송력 문제뿐 아니라 빈번하게 승하차해야하는데..ㅠ

  • @악마리그병살타1위
    @악마리그병살타1위 4 года назад

    강의 좋았어요 ㅎㅎㅎ

  • @홍명신-z8e
    @홍명신-z8e 4 года назад +2

    롱시트-(세미크로스도 있지만)일반버스, 크로스시트-좌석버스;
    대략 이렇게 감 잡으면 되더라구요 ㅎㅎ

  • @lIlIllIIlIlIlllIIlI
    @lIlIllIIlIlIlllIIlI 4 года назад +10

    한국도 통근열차 등급에서는 하이브리드 좌석 배치가 있지만 만성적인 전동차량부족으로 극한의 차돌리기가 만성화된 한철의 현실상 광역전철에서는 하이브리드 편성이 쉽지 않죠.

  • @Chanstin
    @Chanstin 4 года назад +1

    7호선에 중앙롱씨트 좌석배치는 진짜 아니였음.. 혼잡이 덜한 노선에 적용하면 좋을거같아요

  • @officialminjoonji
    @officialminjoonji 3 года назад +1

    4:15 불쌍한 SR열차...

  • @TonyChang2277
    @TonyChang2277 4 года назад +1

    이거 제가 예전부터 1시간이상 장거리 광역철도에는 크로스시트 적용해달라고 두번정도 코레일 상대로 국민신문고에 올렸는데, 반영해보겠다고 회신이후 아무런 조치가 안되는 고질적인 민원사항입니다.시트개조 예산이 없는건지, 하기싫은건지..그저 전철의 태생 목적과 객차당 수송인원만 운운하긴 했었죠.

  • @Kyary_Pamyu_Pamyu
    @Kyary_Pamyu_Pamyu 4 года назад +1

    평일에 아침10시경 김포공항에서 공항철도로 지하철을 탔는데요. 원래는 롱시트? 일반 지하철과 같았는데 그때 탓던건 기차같았어요.
    그거는 여기서 보니 크로스 시트네요.
    무궁화호나 ktx 좌석처럼 의자가 있었고요
    그런데 한칸 한칸마다 안전요원인지, 안내요원이 있었어요. 20대 젊은 대학생같은 느낌으로(봉사활동이었나?) 아무튼간에 그건 언제언제 운행하는것이며, 그 안내 해주는 여자들은 뭐죠? 직장같진않고 뭐 봉사활동 같았어요!

  • @gongseong2350
    @gongseong2350 3 года назад

    저거 중앙좌석 만든 이유가 잡상인 통행금지를 위한 것입니다.
    승객수용력은 좀 떨어질 수는 있으나 안내방송을 못 듣게 하는 잡상인 차단이라는 큰 장점이 있지요.

  • @GODNEO_ilsang
    @GODNEO_ilsang 4 года назад +4

    개인적으로 1호선 경부선같이 중장거리로 달리는 노선에서는 도카이도선처럼 크로스시트를 섞었으면 어땠을까 생각하게 되네요ㅋㅋㅠ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3

      킹치만 운영사 입장에서 똑같이 지하철 운임받는 실정에 사람도 덜태우는 크로스시트 방식 열차라면 수지타산이 안 맞아서 아마도 도입하지 않을거 같긴해요 ㅠㅠ

    • @elmo2455
      @elmo2455 4 года назад +4

      코레일:아 지하철 요금 겁나 싼데 그 요금 내고 크로스시트를 원합니까 그리고 ㄹㅇ 도카이도선보다도 무궁화가 요금 더 싸요 그러니까 그냥 무궁화 타세요

    • @elmo2455
      @elmo2455 4 года назад +3

      이게 확실하죠 1호선 경부선 계통에서는 서울-천안(신창)간 좌석급행이 사실상 무궁화호라고 생각하면 되겟습니다. 거기는 애초에 전철 요금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그런 서비스를 하는 게 가능하지만 여긴 서울-천안도 3천원도 안 되기 때문에 그건 어렵죠

    • @5월23일-x7v
      @5월23일-x7v 2 года назад

      여기가 일본인줄 아나보네...

  • @birth8506
    @birth8506 4 года назад +45

    서서가도 좋으니까 타는 사람이라도 여유롭게 의자 폭좀 늘려줘.. 여름엔 어케 좁아도 타겠는데 겨울엔 패딩땜에 너무 좁음

    •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4 года назад +3

      따뜻하겠네요ㅋㅋ

    • @애니프사
      @애니프사 4 года назад

      다 돈인데요...

    • @정호영-f4q
      @정호영-f4q 4 года назад

      요즘엔 넓어진 열차 늘어났던데 기존보다 1명분 줄여서 실제로는 아니지만 체감상 1.2배쯤 넓어진느낌 어깨 터질듯이 닿던게 이젠 여유

    • @aba3722
      @aba3722 4 года назад

      지금 내는 요금에 4배 5배 내는거 찬성하세요?

    • @2837aaa
      @2837aaa 4 года назад

      그래서 저는 타기전에 패딩벗어서 선반에 올려둬요

  • @gsp_gamsung
    @gsp_gamsung 4 года назад +14

    경춘선은 크로스시트로 배치해줬으면 좋겠음

    • @진짜워홀러-s3n
      @진짜워홀러-s3n 4 года назад

      ㄴㄴ

    • @이현승-r2y
      @이현승-r2y 4 года назад

      청춘 타시오

    • @박세정-k8c
      @박세정-k8c 4 года назад

      일반열차가 있으니

    • @Ycmjg37143
      @Ycmjg37143 3 года назад

      경춘선은 사람수가 많아서 롱시트를 쓰고 크로스시트로 가는 기차 승차권을 구입하셔서 타시면 됩니다.

  • @trainasseen7838
    @trainasseen7838 4 года назад +16

    진짜 충북선 전철화 하면 청주에도 제대로된 철도가 생기는데....

    • @ssharp_
      @ssharp_ 4 года назад +4

      충북선은 이미 복선전철화 다 된 철도인데요.

    • @Equiblue
      @Equiblue 4 года назад

      2022년이었나...

    • @commentno3153
      @commentno3153 4 года назад

      광역철도를 만들잔 얘긴데, 접근성이 너무 떨어지네요.

  • @lynnsterpiece
    @lynnsterpiece 4 года назад +1

    호주 지하철은 일반 기차처럼 돼있는데 양방향 둘다 앉을수있게 의자가 돌아감 진짜 편했는데

  • @슈퍼마리오-v9e
    @슈퍼마리오-v9e 3 года назад

    버스는 시내버스, 마을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고속버스 모두 크로스 시트입니다.

  • @강현우-h3n
    @강현우-h3n 4 года назад

    완전초급행처럼 하고 요금조금비싸게받고(예약제 정기권 월 20-25)
    2층열차놓으면가능할듯
    경인선기준
    동인천.주안.부평.부천.신도림.영등포.용산.서울역
    경부선기준
    천안.평택.오산.수원.금정.안양.가산디지털.신도림.영등포.용산.서울역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2 года назад

    수송력 확보를 위해서 좌석을 없애버립시다.

  • @hj370
    @hj370 4 года назад +1

    기차 자기 좌석이 있음
    지하철 자기 좌석이 없음

  • @patekphilippe1987
    @patekphilippe1987 4 года назад

    호주 브리즈번 살 때 트레인 시트는 세미크로스시트였어요
    아침 첫 차 타고 출근할 때 시트에 앉아 앞좌석 마주보고 있는 곳에 다리 뻗고 앉아서 꾸벅꾸벅 졸면 머레리역에 도착해서 뜨는 아침 해 맞이하며 뚜벅뚜벅 걸어갔었는데
    때론 그 시절이 그립네요 ㅎㅎ

  • @이은찬-l1i
    @이은찬-l1i 3 года назад

    1:28 그것이 말로만 듣던 그 중저항?!?!?

  • @nochina7174
    @nochina7174 4 года назад +1

    일본에 있죠. 기차좌석처럼 쾌속 전철안 요코스카선 있어요. 일본 전국에 있어요

  • @ston.k444
    @ston.k444 4 года назад +6

    롱시트 덕에 지옥철로 300명 이상을 태울수 있는거지.....

  • @그리피스-d3i
    @그리피스-d3i 3 года назад +2

    외국에 몇년 살아봐가지고 아는데 외국 전철은 세미크로스시트도 꽤 있었음.

  • @김수호-i3r
    @김수호-i3r 4 года назад +1

    프랑스에 있는 TGV 열차 2층도 있는데 2층 타면 재밌어요

  • @jjkane2
    @jjkane2 2 месяца назад

    7호선 중앙에 앉아서 가는 방식 정말 불편했는데 없어진거 너무 다행이라고 생각함

  • @Eugene7902
    @Eugene7902 3 года назад

    중앙롱시트도 괜찮은 방법이네요 그런데 조금 불편하겠네요
    공항철도는 다르더라고요.
    직통열차는 크로스시트 일반열차는 롱시트..
    한번은 공항철도를 타려고 기다리고 있는데 분명히 일반열차가 들어온다고 했는데 실제 들어온 것은 직통열차였습니다.
    저는 방송 오류 또는 착오 또는 직통열차가 사정이 있어서 잠시 정차했는가 보다 하고 탑승하지 않았는데 승무원이 내리더니 "일반열차니 타세요" 라고 안내를 하더라고요. 뭐 그래서 크로스시트 직통열차를 탄적이 있었지요. ㅎㅎㅎ
    어떠한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완행노선에 크로스시트 직통열차를 투입한 것입니다. ㅎㅎㅎ
    김포공항~ 공덕까지 탑승했었지요.
    실제 직통열차를 인천공항~ 서울역까지 탑승한 경험도 한번 있었지요 ㅎㅎ

  • @정재성-c1l
    @정재성-c1l 2 года назад

    이렇게 크로스시트좌석의 경우 비싼 운임을 지불해야 하며 그에 따라 승차권에 좌석배정도 존재해야 할 것이라면 장거리라도 통근을 목적으로 하는 광역철도는 이런 적용을 하기가 곤란해집니다.
    물론 지역 단거리 통근열차에 크로스시트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스나 대체적으로 수요가 적은 단거리 노선들이 대부분입니다. 과거 광역전철이 생기기전에 수도권에서 경의선, 경원선이 그런 예에 해당됩니다.

  • @김수호-i3r
    @김수호-i3r 4 года назад +1

    청량리 갈 때 지하철 자리 많이 비어 있었어요

  • @라쵸
    @라쵸 3 года назад +1

    0:50 "김포골드라인"

  • @곽철용-i5z
    @곽철용-i5z 3 года назад

    0:22 이거 밈 아는 사람은 아재

  • @juwan3113
    @juwan3113 4 года назад

    🇫🇮핀란드 헬싱키 지하철도 기차처럼 배치되어 있답니다

  • @olihin
    @olihin 4 года назад +4

    창 바라보면서 좌석 앞에서 바로바로 내릴 수 있음 엄청 좋을 거 같음.

  • @SJK-Raichu
    @SJK-Raichu 4 года назад +11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철덕인데도 잘 모르는게 많아서

    • @도시교통
      @도시교통  4 года назад +1

      저도 철알못입니다.

    • @SJK-Raichu
      @SJK-Raichu 4 года назад

      @@도시교통 어...진짜요 아 근데 제가 6년전때부터 철덕이었는데

    • @commentno3153
      @commentno3153 4 года назад

      @@SJK-Raichu외관만 보고 사진만 찍지ㅜ말고, 철도안전법 공부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이나 도시철도 시스템 일반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 @SJK-Raichu
      @SJK-Raichu 4 года назад

      @@commentno3153 근데 제가 잼민이라서...

    • @somangpiano
      @somangpiano 2 года назад

      @@SJK-Raichu 직업할거아니면 몰라도돼요

  • @SDB-u4j
    @SDB-u4j 4 года назад +5

    많이 태워야져

  • @ngt578
    @ngt578 4 года назад

    지옥에서 사용하는 교통수단 = 크로스시트로 구성된 2호선

  • @crovoc
    @crovoc 4 года назад +1

    호주처럼 3단이면 사람 엄청 많이타는데 좌석도 타는사람이 손쉽게 앞뒤로 조절가능

  • @HelloTraffic
    @HelloTraffic 2 года назад +1

    광주에서 볼수있는 통근열차가 세미 크로스시트로 구성되어있죠.

  • @52_muchim
    @52_muchim 4 года назад

    이게 전세계적으로 그런건 아닌가보네요.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지하철들에는 죄다 크로스 시트 입니다.

  • @제말이맞고님말은틀렸
    @제말이맞고님말은틀렸 4 года назад +4

    의자방향이야 어쨌든 의자'폭'이나 늘려달라고ㅜㅜㅜㅜㅜㅜㅜ칸막이 있었으면 좋겠다. 어깨,무릎 자리침범 못하도록

    • @HanSoLo94832
      @HanSoLo94832 4 года назад

      아그러면...이성이랑 터치못함 ㅜㅜ

    • @안녕-w3x5l
      @안녕-w3x5l 4 года назад +3

      @@HanSoLo94832 으휴..

    • @HanSoLo94832
      @HanSoLo94832 4 года назад

      @@안녕-w3x5l 본성을 숨키기는

    • @hashana_
      @hashana_ 4 года назад

      2호선에 최근에 폭 늘린 차들 있는데 진짜 편ㅡ안

    • @sincot6507
      @sincot6507 4 года назад

      @@HanSoLo94832 ㅋㅋㅋ 진짜 대단하네

  • @raeonardobak
    @raeonardobak 4 года назад +1

    옛날 통일호 통근열차도 세미 크로스시트 구조와 흡사한거 같다고 볼수 있을거 보여요

  • @쇼츠하는팔찌
    @쇼츠하는팔찌 4 года назад

    수도권 전철 개통을 한지 벌써 46년이라니 그렇게 되었나요?? 너무 오래되었습니다 수도권전철 생긴지가요....ㅠㅠ 너무 오래되어서 수도권전철에게 형님이라고 불러야겠어요^^

  • @user-xijinpingping
    @user-xijinpingping 4 года назад

    0:55 콩나물

  • @김수호-i3r
    @김수호-i3r 4 года назад +1

    무궁화호 열차 식당 칸에 롱시트있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코마치-r1t
    @코마치-r1t 4 года назад

    지하철은 단거리운행을하고 자주 내리기 때문에 기차처럼 배치 안하는거네요.

  • @저승사자-j
    @저승사자-j 4 года назад

    보자마자 응 안된다고 생각부터 먼저 함...
    이유는 버스를 생각해봐라...사람들 자꾸 혼자 앉으려고 하고....그리고 대중교통 중 사람들이 제일 많이 타는게 바로 지하철이야...그리고 자리가 없을때 사람들이 서 있을 수 있는 공간도 좁혀지고.. 그래서 난 반대🤚👎

  • @송영규-t9i
    @송영규-t9i 2 года назад

    지하철은 기차좌석은 안되지만 기차도 지하철좌석(자유석)그래도 있네요

  • @Earth-Ground
    @Earth-Ground 4 года назад

    복도를 따라 가운데 비드발을 치면 앉은 승객간 시선도 차단하고, 입석손님이 넘어지지 않게 손잡이 역할도 하고, 잡상인이 이동할 수 없는 장애물 역할도 한다...

  • @최우진-m8x
    @최우진-m8x 4 года назад +8

    효율적인 롱시트좌석배치 다좋은데요..
    한라인에 좌석 몇개줄여서 좌석당 길이를 늘였으면 좋겠어요.. 길이가 너무짧아서 여름엔 불쾌하고 겨울엔 숨을 못쉬겠네용

  • @반응개꿀잼
    @반응개꿀잼 2 года назад

    지하철은 롱시트,기차는 세미 크로스 시트군요

  • @조용현-n6r
    @조용현-n6r 2 года назад

    비둘기호도 롱시트로 되어 있었지요

  • @룰루랄라-u5j8o
    @룰루랄라-u5j8o 4 года назад +1

    호주 기차는 2층으로 되어있더라 근데 그많큼 더 비싸다는게...

    • @gongseong2350
      @gongseong2350 3 года назад

      국내 청량리-춘천 itx열차 중앙칸도 2층입니다.

  • @wlgns0002
    @wlgns0002 4 года назад

    간단:의자 돌릴필요 없음 공간 넓어짐

  • @gas887
    @gas887 4 года назад

    원래는 공항철도 직통열차는 KTX와 비슷합니다.

  • @wooth
    @wooth 2 года назад

    세미크로스시트 전철 나오면 얼마나 좋을까? ☺️

  • @htjh2678
    @htjh2678 4 года назад +1

    제가 영국갔을때 런던지하철 중
    세미크로스 시트도 있더라구요
    그리고 롱시트가 안좋은게 사람많은건 둘째치고 옥외구간지날때 추워요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