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icePhysics 교수님 1번에 대한 해답을찾기위해 pn junction~pn diode까지 봤는데.. Ei-Ef관해서나 Vbi=kT/q*ln(NaNd/ni^2)에 대한것은 있지만, 영상에 Ec-Ef를 하나의 식으로 바로구하는거처럼 Ef-Ev관한거는 못찾고있어요ㅠ
@@DevicePhysicsmetal은 n++나 p++ semiconductor로 regarded 될 수 있다고 하셨고 Cdep 식도 pn junction의 경우와 똑같이 나오는데 MS junction에서의 Cdep과 PN junction의 Cdep이 무엇이 다른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oo5609 1. 강의에서 이미 설명했듯이, 아무리 Si에 도핑을 많이 해도, metal 과 비교하면 resistivity 가 상대적으로 매우 큽니다. 즉, metal 의 resistivity 가 낮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지, 도핑된 실리콘과 같다고 설명한 것이 아닙니다. 2. n++ Si 은 전자가 많고, p++ Si 은 홀이 많지만, metal 은 전자와 홀 모두 많은 상태입니다. 3. metal 은 물질의 특성상 내부적으로 전기장이 형성되지 못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전압을 인가해도 energy band가 휘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n++ Si 은 큰 전압을 인가하면 depletion region 이 생기거나 band 가 휘어집니다. 4. ms접합은 heterojunction 이기 때문에 실제 공정을 통해 만들어 보면 계면(interface)특성이 pn접합과는 매우 다릅니다.
교수님 갑자기 궁금해져 질문드립니다. pn junction, ms junction 모두 reverse bias를 가하면 non equilibrium 상태가 되는데 이 때 semiconductor의 EF는 Quasi Fermi level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맞다면 quasi fermi level(Efn)이나 그냥 thermal equilibrium 상태의 fermi level(EF)이나 계산식이 동일해서 Efn=EF로 봐도 무방한지 궁금합니다.
@@DevicePhysics Fermi Level이라는 게 equilibrium일때만 정의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pn junction을 예로 들면 reverse bias를 걸면 p-type의 band가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에도 p-type 쪽의 fermi level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fermi level이 quasi fermi level인지 아니면 fermi level이 존재하는 곳이 p-type neutral region 쪽이라 이 부분만 봤을때는 equilibrium 상태여서 fermi level이 그려진 것인지에 대한 개념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5:08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이 값이 Vbi가 되신다 하셨는데, 그렇다면 MS junction에서 Vbi 자체는 항상 양수만 가능한 건가요? 예를 들어, n type ohmic인 경우 Vbi=파이m-파이s를 하면 음수가 나오는데 이 경우에 Vbi를 음수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파이m-파이s의 크기 즉, 양수로 생각하는 게 맞을까요?
Vbi 는 pn접합에서도 배웠듯이 depletion region 양단에 발생하는 전위차입니다. ohmic contact 인 경우 depletion region 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러한 내부적인 전위차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즉, Vbi = 0 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DevicePhysics 오래전 댓글이지만, 여러 상황에 대해 생각하다가 고민이 생겨서 답글을 남깁니다... 파이s>파이m이고 p type인 경우 장벽이 생기는데 이때 Vbi는 파이m-파이s로 계산 시, 음수로 나오는데 알맞은 결과인가요? 아니면 절댓값을 씌워서 양수로 답을 내야하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영상보다 질문이 생겨 댓글을 남깁니다! zero bias 인 경우에 witdth가 bullt in potential과 농도에 관한 식으로 만들어졌는데 built in potential도 어떻게 보면 농도와 관련이 있는 수식인데 단순히 농도가 증가하면 width가 감소한다고 말하는것이 built in potential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는것을 말하는것인가요?
MS접합에서 depletion영역이 생기는 원리가 높은 준위에 있는 전자가 낮은 준위의 페르미 레벨로 떨어지면서 excess carrier 가 생겨서 공핍층이 만들어진다고 봐도 되나여? 그러면 PN접합시에도 thermal equilibrium 상태가 될 때 n타입의 페르미 레벨에 있는 전자가 p타입의 상대적으로 낮은 페르미 레벨로 떨어져서 excess carrier 가 발생해서 둘이 같은 원리인건가요?
아닙니다. 이야기한 것처럼 이해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열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페르미 레벨이 수평하게 맞춰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PN 접합의 경우 전자와 홀의 확산이 발생하며, 양쪽으로 건너간 전자와 홀이 recombination 하게 되면서 depletion region 이 형성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전 강의를 참고 바랍니다) MS 접합의 경우 페르미 레벨이 수평하게 맞춰질 때, Schottky barrier height 때문에 전자(또는 홀)가 확산을 통해 자유롭게 metal --> Si or Si --> metal 으로 이동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밴드가 휘어지면서 built-in E-field 가 형성되고, 이 E-field 에 의해 Si 쪽의 전자(또는 홀)이 움직이게 되면서 depletion region 이 형성됩니다.
@@shin1989 0:30 에너지밴드를 보면 depletion region 에서 밴드가 휘어지며, 기울기 값이 (-) 가 됩니다. 이것은 E-field 의 방향이 (-) 의 방향으로, 즉 왼쪽 방향으로 E-field 가 형성됨을 뜻합니다. 따라서 전자는 (+) 방향으로, 즉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어 움직이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밴드의 휘어짐에 따른 E-field 때문에 전자가 이동하게 되면서 depletion region 이 형성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보다 질문이 생겨 댓글 남깁니다. zero bias에서 만약에 metal 과 p type semi conductor를 접합 했다면 electrostatics가 어떻게 될 지 궁금합니다. charge density는 -qNa로 예상이 되는데 나머지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항상 영상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항상 좋은 강의 재밌는 강의 이해하기 쉬운 강의 감사합니다!!😊😊
1.교수님 그러면 Na가 주어지고 (Ef-Ev)를 구해야하는 상황이면 마지막식에서 ln부분을 Nv/Na로 바꿔주면될까여???
2.mos cap에서 Ec-Ef , Ef-Ev를 구할때도 동일하게 사용하면될까여???
3. 300K조건이라면 보통 Nc,Nv를 외우고있겠지만 이외에는 아무래도 표(그래프)를 봐야 할수있겠죠..??
1. 앞에 pn접합에서 이미 배운 내용이니 복습 바랍니다.
2. 동일하게 사용하면 됩니다.
3. Nc, Nv 에 대한 식을 배웠으니, 식에 바뀐 온도를 대입해서 구하면 됩니다.
@@DevicePhysics 교수님 1번에 대한 해답을찾기위해 pn junction~pn diode까지 봤는데.. Ei-Ef관해서나 Vbi=kT/q*ln(NaNd/ni^2)에 대한것은 있지만,
영상에 Ec-Ef를 하나의 식으로 바로구하는거처럼 Ef-Ev관한거는 못찾고있어요ㅠ
@@moonsungm [물리전자공학]에서 배운 내용입니다. [물리전자공학|4.1] 강의를 참고 바랍니다.
1/C^2 그래프를 왜 쓰는지 궁금했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5:08에서 전압은 상대적인 거니까, 경계조건을 at x=w, v=vbi at x=0, v=0로 둬도 될까요?
네 전압의 기준점은 본인 마음대로 정하면 됩니다.
교수님 그러면 MS JUNCTION의 커패시턴스는 P쪽이 매우 heavily doped된 p+n junction 에 역방향 전압을 가했을때의 capacitance와 등가인지 궁금합니다
등가(?)라는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습니다. 엄연 p+ Si 과 metal 은 다른 물질이며, 특성도 다릅니다.
@@DevicePhysicsmetal은 n++나 p++ semiconductor로 regarded 될 수 있다고 하셨고 Cdep 식도 pn junction의 경우와 똑같이 나오는데 MS junction에서의 Cdep과 PN junction의 Cdep이 무엇이 다른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oo5609 1. 강의에서 이미 설명했듯이, 아무리 Si에 도핑을 많이 해도, metal 과 비교하면 resistivity 가 상대적으로 매우 큽니다. 즉, metal 의 resistivity 가 낮다는 것을 설명한 것이지, 도핑된 실리콘과 같다고 설명한 것이 아닙니다.
2. n++ Si 은 전자가 많고, p++ Si 은 홀이 많지만, metal 은 전자와 홀 모두 많은 상태입니다.
3. metal 은 물질의 특성상 내부적으로 전기장이 형성되지 못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전압을 인가해도 energy band가 휘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n++ Si 은 큰 전압을 인가하면 depletion region 이 생기거나 band 가 휘어집니다.
4. ms접합은 heterojunction 이기 때문에 실제 공정을 통해 만들어 보면 계면(interface)특성이 pn접합과는 매우 다릅니다.
교수님 갑자기 궁금해져 질문드립니다. pn junction, ms junction 모두 reverse bias를 가하면 non equilibrium 상태가 되는데 이 때 semiconductor의 EF는 Quasi Fermi level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맞다면 quasi fermi level(Efn)이나 그냥 thermal equilibrium 상태의 fermi level(EF)이나 계산식이 동일해서 Efn=EF로 봐도 무방한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reverse bias 를 가했으면 nonequilibrium 상태가 맞습니다. 그런데 Efn=EF 이면 equilibrium 상태라는 뜻입니다.
@@DevicePhysics Fermi Level이라는 게 equilibrium일때만 정의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pn junction을 예로 들면 reverse bias를 걸면 p-type의 band가 위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에도 p-type 쪽의 fermi level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fermi level이 quasi fermi level인지 아니면 fermi level이 존재하는 곳이 p-type neutral region 쪽이라 이 부분만 봤을때는 equilibrium 상태여서 fermi level이 그려진 것인지에 대한 개념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seohwan8970 pn 접합 첫부분에 했던 가정들을 다시 이해해보면 스스로 답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앞에서 schottky barrier height라고 배운 파이B0와 여기 나오는 파이Bn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같습니다. n-type일때의 schottky barrier height (파이Bn)이라는 뜻입니다.
5:08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이 값이 Vbi가 되신다 하셨는데, 그렇다면 MS junction에서 Vbi 자체는 항상 양수만 가능한 건가요?
예를 들어, n type ohmic인 경우 Vbi=파이m-파이s를 하면 음수가 나오는데 이 경우에 Vbi를 음수로 생각하는 게 아니라 파이m-파이s의 크기 즉, 양수로 생각하는 게 맞을까요?
Vbi 는 pn접합에서도 배웠듯이 depletion region 양단에 발생하는 전위차입니다. ohmic contact 인 경우 depletion region 이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러한 내부적인 전위차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즉, Vbi = 0 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DevicePhysics 오래전 댓글이지만, 여러 상황에 대해 생각하다가 고민이 생겨서 답글을 남깁니다... 파이s>파이m이고 p type인 경우 장벽이 생기는데 이때 Vbi는 파이m-파이s로 계산 시, 음수로 나오는데 알맞은 결과인가요? 아니면 절댓값을 씌워서 양수로 답을 내야하는게 맞을까요?
도핑농도가 증가하면 width가 줄어드는데 Emax의 절댓값은 증가하나요?
pn접합과 동일하니, 한번 식도 유도해보고 계산도 해보세요.
허허 밴드 휘어지는 것까지! 진짜 설명 겁나게잘하시네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ms 접합에서 p형 schottky contact를 가정하고 순방향 ,역방향 bias를 가해주면 p형 반도체쪽의 페르미 준위가 금속의 페르미 준위보다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 궁금합니다!
이 질문에 스스로 답을 알지 못하면, 이전 강의를 이해를 못한 것입니다. 이전 강의를 다시 복습 바랍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교수님 이전 강의 더 보고 오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영상보다 질문이 생겨 댓글을 남깁니다!
zero bias 인 경우에 witdth가 bullt in potential과 농도에 관한 식으로 만들어졌는데
built in potential도 어떻게 보면 농도와 관련이 있는 수식인데 단순히 농도가 증가하면 width가 감소한다고 말하는것이
built in potential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는것을 말하는것인가요?
도핑농도와 depletion region 의 width 와의 관계는 Vbi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서로 반비례함을 이미 pn 접합에서 배웠습니다. [기초반도체공학|1.3] 을 다시 복습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영상을보다 질문이 생겨 댓글을 남깁니다
ms접합에서는 diffusion 커패시턴스는 없는 건가요?
네 없습니다. schottky diode는 majority carrier 의 이동에 의해서만 전체 전류의 흐름이 결정되는 소자이기 때문에 diffusion capacitance 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depletion capacitance가 reverse bias 상태일 때가 아닌 zero bias 상태일 때는 저 식에서 (V_bi+V_R)에서 (V_bi)로만 바꾸어주면 되는 것일까요?
네 맞습니다.
MS접합에서 depletion영역이 생기는 원리가 높은 준위에 있는 전자가 낮은 준위의 페르미 레벨로 떨어지면서 excess carrier 가 생겨서 공핍층이 만들어진다고 봐도 되나여?
그러면 PN접합시에도 thermal equilibrium 상태가 될 때 n타입의 페르미 레벨에 있는 전자가 p타입의 상대적으로 낮은 페르미 레벨로 떨어져서 excess carrier 가 발생해서 둘이 같은 원리인건가요?
아닙니다. 이야기한 것처럼 이해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열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페르미 레벨이 수평하게 맞춰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PN 접합의 경우 전자와 홀의 확산이 발생하며, 양쪽으로 건너간 전자와 홀이 recombination 하게 되면서 depletion region 이 형성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전 강의를 참고 바랍니다)
MS 접합의 경우 페르미 레벨이 수평하게 맞춰질 때, Schottky barrier height 때문에 전자(또는 홀)가 확산을 통해 자유롭게 metal --> Si or Si --> metal 으로 이동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밴드가 휘어지면서 built-in E-field 가 형성되고, 이 E-field 에 의해 Si 쪽의 전자(또는 홀)이 움직이게 되면서 depletion region 이 형성됩니다.
@@DevicePhysics 그렇군요 PN junction은 이해가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MS접합의 경우에 빌트인 E field는 Si쪽의 전자나 홀을 이동하게 만드는게 아니라 이동 못하게 하지 않나요?
@@shin1989 0:30 에너지밴드를 보면 depletion region 에서 밴드가 휘어지며, 기울기 값이 (-) 가 됩니다.
이것은 E-field 의 방향이 (-) 의 방향으로, 즉 왼쪽 방향으로 E-field 가 형성됨을 뜻합니다.
따라서 전자는 (+) 방향으로, 즉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어 움직이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밴드의 휘어짐에 따른 E-field 때문에 전자가 이동하게 되면서 depletion region 이 형성됩니다.
영상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8분에 리버스 바이어스를 걸어줄때 커패시터처럼 행동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림에서 +Q와 -Q는 어떻게 결정되는 건가요?
가해주는 전압에 의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보다 질문이 생겨 댓글 남깁니다.
zero bias에서 만약에 metal 과 p type semi conductor를 접합 했다면 electrostatics가 어떻게 될 지 궁금합니다.
charge density는 -qNa로 예상이 되는데 나머지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항상 영상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네 맞습니다. -qNa 로 시작하고 나머지 유도과정은 모두 동일합니다. 댓글에 수식을 적기는 어려워 직접해보고 잘 안되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질문주면 좋겠습니다.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