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방법 및 횟수🔻 팔꿈치를 고정한 채 진행하는 것도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하지만 중량을 효율적으로 다루고 싶다면 영상 속 방법을 꼭 해보세요. ✔️ 1. 호흡을 통해 복압을 잡고 체스트 업을 진행합니다. 2. 바벨을 몸에 붙이면서 팔꿈치를 접어 줍니다. 3. 명치를 스친다는 느낌으로 시작자세로 돌아 옵니다. ✔️ 가슴을 들어야지 허리를 꺾으면 안됩니다. ✔️ 8회~12회로 설정해서 중량을 설정해 주세요.
@@youngjunlee3939 1. 초보자들을 위한 영상입니다. 3~5회로 설정을 했다고 무작정 중량을 올리다 허리가 다치는 일이 없도록 말이죠^^ 2. 고중량만을 위한 방법은 아닙니다. 무게가 멀어질 수록 어깨와 허리 부담이 심해집니다. 보다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들기 위함이죠. 물론 보디빌딩 관점에서 보면 비효율적으로 하는 게 맞을 수도 있지만 운동에 정답은 없으니까요^^
팔 크기는 무조건 중량 ->반동을 이용하면 중량이 늘고 이완시 더 큰 부하를 줌 잔근육은 대략 15-20회가 가능한 정도의 저중량 고반복 신체라는 게 한계에 가까운 무게를 들어야 어라? 이 새끼 더 큰 힘이 필요하구나! 라는 걸 깨닫고 성장합니다 적당히 컨트롤 가능한 무게만 고집한다면 신체도 변화를 일으킬 필요를 못 느끼는 거죠. 그냥 목적에 따라 운동법도 다르다는 얘기일뿐 정답은 없습니다~
힘들게해야 몸이 좋아집니다😊
이사람 혹시 트레이너일까 무섭네요
자극이 중요하지 그게 꼭 힘들게 드는건 아님
@@덕지리-e6m 자극 중요합니다 전 고반복 저중량으로 많이해봤고 고중량 저반복으로도 오랫동안 해봤습니다 하지만 결국엔 중량이 몸키우는데는 가장 중요합니다
중량을 더 올리면 되는 거지 뭘 ㅋㅋ
박승현식 바벨컬
🔻운동방법 및 횟수🔻
팔꿈치를 고정한 채 진행하는 것도
또 하나의 방법입니다.
하지만
중량을 효율적으로 다루고 싶다면
영상 속 방법을 꼭 해보세요.
✔️
1. 호흡을 통해 복압을 잡고
체스트 업을 진행합니다.
2. 바벨을 몸에 붙이면서
팔꿈치를 접어 줍니다.
3. 명치를 스친다는 느낌으로
시작자세로 돌아 옵니다.
✔️
가슴을 들어야지
허리를 꺾으면 안됩니다.
✔️
8회~12회로 설정해서
중량을 설정해 주세요.
힘들면 몸이 자동으로 움직이네요
중량을 칠건데 8-12랩은 왜 하며, 바벨컬을 굳이 고중량으로 하는 이유가 뭘까 궁금하네요. 파립 종목도 아니고, 그냥 단순 무게 딸인가요?
이두힘이 부족해서 무거운물체를 못들게 되면 쪽팔리니까요
@@youngjunlee3939
1. 초보자들을 위한 영상입니다.
3~5회로 설정을 했다고 무작정 중량을 올리다
허리가 다치는 일이 없도록 말이죠^^
2. 고중량만을 위한 방법은 아닙니다.
무게가 멀어질 수록
어깨와 허리 부담이 심해집니다.
보다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들기 위함이죠.
물론 보디빌딩 관점에서 보면
비효율적으로 하는 게 맞을 수도 있지만
운동에 정답은 없으니까요^^
증량을 멈추면 성장이 멈춥니다.
안전한 증량을 위해서는 모든 중량물을 몸에 붙여야 합니다
중량을 더 많이 들면 부하가 더 오겠죠?
근육이 얼마나 무거운무게를 얼마나 많이드느냐인데 그말은 볼륨이 많아야 한다는 거겠죠
모든 근육은 지근 속근 둘다 잇기에 저런 자세로 5회 반복의 중량 훈련도 해주는게 좋아요.
낮은 반복 회수도하고 팔꿉치를 고정한채 8회이상 많은 반복훈련도하고
그냥 하나의 스킬배운다 생각하면 좋아요
팔 크기는 무조건 중량
->반동을 이용하면 중량이 늘고 이완시 더 큰 부하를 줌
잔근육은 대략 15-20회가 가능한 정도의 저중량 고반복
신체라는 게 한계에 가까운 무게를 들어야 어라? 이 새끼 더 큰 힘이 필요하구나! 라는 걸 깨닫고 성장합니다
적당히 컨트롤 가능한 무게만 고집한다면 신체도 변화를 일으킬 필요를 못 느끼는 거죠.
그냥 목적에 따라 운동법도 다르다는 얘기일뿐 정답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