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란히 망해버린 '서울 대표 상가' 동대문·강변·용산의 공통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май 2023
  • 입지 좋아도, 호재 있어도…'공실 늪' 빠진 신도시 상가
    • 입지 좋아도, 호재 있어도…'공실 늪' ...
    1.5억짜리 매장이 302만원에…상상초월 공실 폭탄, 최악의 동대문 상황
    • "장사 안돼 투잡, 쓰리잡 뛰어요"…상상...
    감정가 1억 매물도 600만원에…"21년 만에 최악" 강변테크노마트의 몰락
    • 감정가 1억 매물도 600만원에…"21년...
    바가지는 기본, 손님에 "맞을래요?" 협박까지…'자승자박' 용산전자상가의 비참한 최후
    • 바가지는 기본, 손님에 "맞을래요?" 협...
    "강남? 그럼 뭐해"...14년째 유령 상가 상징이 된 가든파이브, 어쩌다 이지경 됐나
    • "강남? 그럼 뭐해"...14년째 유령 ...
    한때 서울을 대표하는 집합상가가 ‘유령상가’로 전락했다. 땅집고가 동대문 쇼핑몰, 강변 테크노마트, 용산 전자상가 등을 취재한 결과, 집합상가 공실이 쏟아지고 경매로 나온 상가 매물 감정가도 크게 떨어졌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감정가 1억5700만원으로 책정된 동대문 밀리오레 1층 4㎡ 매장은 경매에서 302만원에 팔렸다. 동대문 상권을 대표하는 쇼핑몰인 밀리오레는 지상 7층까지 상가로 운영 중이다. 3층 위로는 공실률이 50%가 넘는다. 6층 상가의 경우, 점포 216곳 중 5곳 만이 영업을 하고 있다. 나머지 15곳은 문을 열었지만 종업원이 없다.
    국내 전자상가를 대표하는 강변 테크노마트와 용산 전자상가도 마찬가지다. 테크노마트 8층은 집합상가 392곳 중 150곳 이상이 공실이다. 점포 임대료는 없고, 관리비만 1구좌당 25만원 수준. 그럼에도 들어오려는 임차인은 없다. 용산 전자상가 역시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공실도 크게 늘어났다. 한 빅테이터 전문기업에 따르면, 서울 주요 상권 153곳 중 2019년 대비 지난해 상권 매출 하락폭이 가장 큰 곳이 용산전자상가였다. 3년 새 매출이 무려 527억원 줄었다. 전자상가 인기가 줄면서 매출 하락폭이 컸다. 2위인 선릉역 350억, 3위 청담역 335억 감소보다 매출액 감소폭이 훨씬 컸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테마형 집합상가 상권이 살아나기 힘들 것으로 전망한다. 한 업종으로 특화된 테마형 집합상가는 트렌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이 치명적이다. 일례로 전자제품 장사가 안 되면 업종변경을 하면 되지만, 집합상가의 업종을 바꾸려면 점주 대다수의 동의가 필요하다. 상인들끼리 이해관계가 달라 업종 변경도 쉽지 않다. 개별 층마다 점포를 수없이 쪼개 분양해 점주만 수백명이 넘기 때문이다. /박기홍 땅집고 기자 hongg@chosun.com
    땅집고M에서 부동산 · 투자 · 재테크 · 절세전략 · 꼬마빌딩 · 건축 등 다양한 강의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땅집고M 5월 개강 강의
    📢NPL(부실채권) 실전 투자 전문가 과정(5/10 개강)
    강의 자세히 보기 : bit.ly/3mF5Ifb
    경기 침체 속에서도 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 네, 바로 부실채권 시장입니다.
    일반 개인 및 법인이 접근할 수 있는 전략과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중소형빌딩 자산운영 관리 설루션 8기 수강생 모집(5/16 개강)
    강의 자세히 보기 : bit.ly/3L81gPg
    나의 빌딩의 현재가치는 얼마나 될까? 그에 맞는 임대차 및 유지관리 전략은?!
    땅집고M에서 미래가치 극대화를 통한 매각부터 절세 전략까지 알려드립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3,5 тыс.

  • @ChunbaeA.K.A.Jangsan_beom
    @ChunbaeA.K.A.Jangsan_beom Год назад +5594

    1도 안타깝지 않고, 잘 망했다고 속이 다 시원하다. 막 대학 올라갔을때 atm, 밀리오레, 용산 갈 때마다 정말 부당하고,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취급을 손님들이 당했었고, 상인들은 당연하다는듯 자행했었는데, 마치 강원도에서 갑질하던 부대 주변 상인들이 군부대 이전하고 쫄딱 망한 것 보는 것만큼이나 속이 시원하다.

    • @minyang273
      @minyang273 Год назад +71

      apm?

    • @ChunbaeA.K.A.Jangsan_beom
      @ChunbaeA.K.A.Jangsan_beom Год назад +72

      @@minyang273 아 오키 ㅋㅋㅋ 잘못씀 ㅋㅋ

    • @moonp3890
      @moonp3890 Год назад

      조선놈들이 다 그헣지 뭐

    • @webpkm7874
      @webpkm7874 Год назад +66

      ㅋㅋㅋ 맞음 대박이 쪽박이되다 ㅋㅋㅋ

    • @yumyumboink3262
      @yumyumboink3262 Год назад +295

      우리나라 웃긴게 그렇게 누군가를 등쳐먹고 등한시 하고 벗거먹고 누군가가 손해보는거로 누구의 생계가 이어진다는거. 근데 더 웃긴건 이게 각분야 각층에서 일부분만 그런게 아니고 이게 구조적으로 확실하고 명문화 되어있다는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대한민국은 사람을 갉아서 유지되는곳. 심지어 같은 사람들끼리도 서로 갈아먹어야 사는데

  • @user-uj1rk4zt4z
    @user-uj1rk4zt4z Год назад +4261

    유통구조 변화도 있지만 소비자 호구로 생각하고 장사하다 몰락했다는 공통점이 있죠

    • @user-yg5cd9vj8k
      @user-yg5cd9vj8k Год назад +284

      이게 정말 큼. 추억때문에 갈까 싶다가도 혐오감 때문에 안감

    • @user-zf8mg7th4e
      @user-zf8mg7th4e Год назад +139

      맞아요~ 인과응보

    • @JuYongJun
      @JuYongJun Год назад +168

      동대문, 용산 상인들이랑 욕두문자 박으면 많이 싸웠죠 ㅋㅋㅋ 잘~~~ 망했다 ㅋㅋㅋㅋㅋ

    • @sj3364
      @sj3364 Год назад +116

      맞아요 남대문시장 구경갔다 같이간 사람이 옷구경을 만지면서 했는 데 아줌마 상인의 짜증썩인 발언이 아직도 생각나요 30년 되가는 데 남대문 다시는 안가요

    • @user-ch9wk5rq7n
      @user-ch9wk5rq7n Год назад +48

      이젠 인테넷 판매땜에 일반 매장은 힘들다

  • @seanpark122
    @seanpark12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651

    15년 전에 용산에서 엄청난 불친절과 바가지씌운걸 알고 속으로 망해버려랴 했는데.. 현실이 돼서 너무 기쁩니다.

    • @user-zf3hx6wg4z
      @user-zf3hx6wg4z 4 месяца назад +6

      어차피 그때 바가지씌우던넘들은 딴곳 다튀엇을듯

    • @user-rm8gq7ty4i
      @user-rm8gq7ty4i 4 месяца назад +7

      용산 뿐만이 아니랍니다

    • @user-bb5rx5cb7f
      @user-bb5rx5cb7f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어릴적에 용산에서 바가지 사기당하고 업주한테 따졌는데 나보고 어디사냐고 묻더라 왜? 밤길조심하랍니다 ㅋㅋ 어이가 뺨을때림 반말로 억울하면 경찰신고해 임마 그래봤자 소용없다라는식 아련한 ㅈ같은 추억 그뒤로 용산 테크노마트 한번도안갔죠

    • @user-ps3gi1qq7i
      @user-ps3gi1qq7i Месяц назад

      태블릿 사러 용산까지 왔는데 장사하는사람이 불친절하게 알려주고, 무조건 사라고 강요함. 나도 기분 나빠서 안산다고하니깐 정색하고 있음.

    • @user-pr6ew7vg5y
      @user-pr6ew7vg5y 22 дня назад +1

      망하는데 15년 걸리는군요

  • @mandcho4155
    @mandcho415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8

    가슴이 따듯해지는 영상이내요

  • @skmin4251
    @skmin4251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090

    1. 과도한 호객행위 2. 협박 및 욕설, 사기상술 3. 복잡한 매장 구조 4. 문화공간과의 괴리 5. 비 정가
    물론 온라인 등의 발달로 필요성이 낮아지는 것도 있겠지만 자업자득인 면도 크다.

    • @user-6626
      @user-6626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걍 중국인으로 버텼는데 밑천드러난거지 ㅋ

    • @user-so5xr2fj5m
      @user-so5xr2fj5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ㄹㅇㅋㅋ 꼴좋다 하나도 안안타까움

    • @man513
      @man51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ㅁㅈㅇ

    • @user-kq7wi8fc4z
      @user-kq7wi8fc4z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출산으로 20대초반 인구 급감으로 이제 10년후면 자영업자,기업들 폐업하고 공실률올라갈겁니다. 대형3사도 아이돌구인난이라 콘텐츠주는 하락. gdp 동남아한테 추월
      성비감안하면 젊은여자인구가 더욱 없음 . 통계상 저출산으로 전국 여자 청소년수 10~19살 합친수보다 한국외국인노동자가 80만명이나 더 많은 망조국가.

    • @user-tk7vc5wo4p
      @user-tk7vc5wo4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뭔호객행위야. 그럼 부산 해운대나 관광지 벌써 망했지.
      호객행위가 없었다는게 아니라 결정적원인은 유통구조 변화지.
      호객행위가 결정적인 원인이라는건 그간 당했던거에 대한 자위질이지.
      암튼 팩트만 말하면 호객행위는 있었지만 결정적 망한 이유는 유통구조 변화지. 호객행위는 아니다. 그럼 덤탱이 씌우는 국내관광지 다 망했게??
      호객행위가 없단 말이 아님. 결정적인 원인은 아니라는거지;.
      좀 제대로 알고 쓰자.

  • @yoonaeyoon
    @yoonaeyoon Год назад +346

    고딩 때 동대문 상가 갔다 말로만 듣던 양아치라는 게 뭔지 알게됨. 다시는 동대문상가 안감.

    • @djdjdkdwed
      @djdjdkdwed Год назад +5

      다신 날 찾지말고 떠나

    • @user-fr5tq4nl8d
      @user-fr5tq4nl8d Год назад +8

      저는 전에 시디플레이어 사러 세운상가였나 거기 위로 지나가다가 야동테이프 파는 사람들하테 잡혀서 몸싸움했던적이 있었죠. 기분 더럽더라구요. 근데 그 후에도 가끔 갔습니다. 거기 재미있고 쓸만한걸 많이 팔았거든요(전원일기 테이프같은거 말고요 ㅎㅎ). 사실 동대문에 양아치가 많은지는 몰랐지만 친구들이 옷사는걸 따라가서 신세계를 보곤했답니다. 그때는 약간 일본 스타일? 그런게 먹혔는데 그런걸 싹다 모아놓은게 그곳이었죠. 진짜 핫했죠 ㅎㅎ 종류도 다양하고 고딩때는 몰라서 당한거고 지금도 핫하기만 하다면 다시 가보면 틀릴수도 있지 않을까요 ?

  • @MnMandJin
    @MnMandJin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41

    코로나로 조금 빨라졌을 뿐 원래 내리막 중이었잖아. 이미 15년 전에도 강변 테크노, 남부터미널 전자상가, 용산 전자상가 등등 문닫아 심각하다는 뉴스가 연일나왔었고 동대문도 위태위태했고..15년이면 충분히 서서히 내리막 중이었고 상인들이 다른 길을 찾을 시간도 충분했음. 문제는 저 건물들의 아까운 시간. 임대인들과의 관계와 건물 용도를 뭐로든 바꿔야...

  • @mjsuk670
    @mjsuk670 9 месяцев назад +58

    동대문 두타, 밀리오레 옷상가 쌀 줄 알고 아들 대학입학했을 때 옷사주러 두어 번 갔었는데 전혀 싸지 않았어요.
    차라리 수입브랜드들이 몰려 있는 아울렛 가서 할인하는 옷들 사주는 게 낫겟다 싶더라구요.
    그래서 그 이후로 동대문에는 발길을 안했습니다. 갔던 곳 중 한 곳이라도 잘 샀다고 신뢰하게 됐었다면
    계속 갔을 거예요. 단골을 만들지 못하겠으니.. 상가가 골목골목 복잡하기도 하고 안가게 되는 거죠.

  • @user-fx9mk6rt4h
    @user-fx9mk6rt4h Год назад +917

    오래전 시간이 좀 남아 용산전자 상가갔다가 봉변당한적 있습니다
    용산전자상가는 망해도 쌉니다.
    없어져야 마땅한곳입니다
    아직도 생각하면 화가 나네요.

  • @practiceryu1752
    @practiceryu1752 Год назад +212

    저런 상가 가기 꺼려지는 이유는 업주가 손님의 안색을 살펴서 가격을 제멋대로 씌우는 경우가 많음,,,, 중고품을 새것으로 파는 경우도 있고,,, 그런 꼼수 쓰면 결국 손님들은 다 눈치채고 점점 안가게 됨

  • @kimhariart
    @kimhariar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잘 보고 갑니다
    영상 감사해요 ^^

  • @areuadreamer
    @areuadream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16

    15~17년 전쯤 옷이나 수제화 구두 사려고 동대문 다녀었는데 그때 진짜 매장주인들 정말 기고만장했다. 그때만해도 온라인보다는 아직 보세매장이 잘 되던 시기라 전국각지에서 보세매장하는 상인들이 올라와서 옷무대기로 사가던 시절이라 개인고객이 가면 쳐다보지도 않고 무시했었는데... 세월 참...

    • @user-ef3jp7op3v
      @user-ef3jp7op3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대한민국 살릴려면 모두 힘을 합쳐서 출산율 지금 당장 올려야합니다
      한국이 성장 할 수 있었던거는 사람의 힘이었습니다 사람이없으면 망합니다
      미래가 꿈과 희망이 있어야 현재도 행복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1. 징병제 폐지하고 모병제 직업군인제 전환
      2. 남고 여고 남중 여중 없애고 남녀공학 통합
      3. 젋고 능력있는 사람들 귀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특히 예체능)
      4. 해외여행 자제하고 국내여행 지방경제 내수경제 지역경제 활성화
      5. 해외유학 해외취업 자제하고 국내기반 늘리기
      6. 사건 사고 범죄 질병으로 인해 생기는 인명피해 줄이기
      7.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 빌라 늘리기
      8. 한국사회 긍정적으로 만들기 (부정적인 뉴스 줄이기)
      특히 남녀싸움 붙히는 여론없애기

    • @user-gc2cv1co1t
      @user-gc2cv1co1t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6

      부산에서 서울까지 동대문가서 옷 한벌 사볼려고 힘들게 올라갔는데 쏘아붙이는 말투와 눈빛때문에 두려워서 빙빙돌다가 빈손으로 돌아갔던 기억이나네요. 망했다니 꼬숩네요 🤣

  • @user-pw9oi8bk3l
    @user-pw9oi8bk3l Год назад +798

    동대문 상권을 아예 삭제시키세요.
    손님들을 막대했던 싸가지 매장 직원들이 지금의 저 현장을 만든거에요. 절대로 동대문으로는 안갑니다. 앞으로도 영원히요!!!

    • @user-vs4gi6io6h
      @user-vs4gi6io6h Год назад

      맞습니다, 주변에 포장마차 진상 아줌마 싸가지 밥맛 떨어져 후로는 안갔어요ㅡ

    • @webpkm7874
      @webpkm7874 Год назад +23

      동감

    • @user-fy1md4oo9v
      @user-fy1md4oo9v Год назад +18

      공감.

    • @user-op3ft6ti8t
      @user-op3ft6ti8t Год назад +36

      진짜. 동대문 동 짜 도 듣기싫 어요
      상인들 너무 무서움 ~

    • @user-sp1lc9xr5m
      @user-sp1lc9xr5m Год назад +2

      @BigCountry ㅇㅈ ㅋㅋㅋㅋㅋㅋ

  • @Presure903
    @Presure90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아주 좋은 소식입니다^^

  • @user-tg4dz9tz8r
    @user-tg4dz9tz8r Год назад +562

    용산은 "손님 맞을래요" 뿐 만이 아니라 손님에게 억지로 강매하고
    구입후에 교환도 안해주려고 하는 못된 심보가 지금의 공실을 만들었다.
    어떻게 해서든 더 받아쳐먹으려는 수작질들이 쌓이고 쌓여서 그렇게 된거지
    온라인 쇼핑몰이 늘어서만 그런것이 절대 아니다.
    동대문도 마찬가지고 국내 관광지도 그렇겠지만 그렇게 후려쳐서 받아먹으려는 행위들이
    사람들의 등을 돌리게 만든다는 것을 알면서도 행위는 바뀌지 않는다.
    내국인이 등돌리니까 외국인한테 그런짓을 하겠지. 진저리가 난다.

    • @ryanwooh3433
      @ryanwooh3433 Год назад +12

      온라인 쇼핑몰 늘어나서 그런거 맞는데?
      그럼 90, 00년대 손님접객태도 더 개판일때 왜 발디딜 틈도 없이 사람들이 몰린건데?
      반대로 지금 용산가면 점원이 물건사고 나올때 거의 90도 인사하고 왕처럼 모시는데 지금처럼 접객태도 좋으면 더 몰려야 정상이지.
      그냥 소비행태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간게 맞는거야.
      그러다보니까 판매자도 창고형으로 인건비랑 물류비 같은데서 절약하고 대량으로 도소매 하는 사람들만 남게 된거고.

    • @jinsookim9606
      @jinsookim9606 Год назад +8

      어른신들에게 폭리 카메라 상인들 자업자득 .

    •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Год назад +22

      @@ryanwooh3433 그때는 대체가 안됐으니까... 대체가 되더라도 서비스가 좋으면 사람들은 이용한다. 백화점 처럼... 근데 용산은 지금 그래봐야 소용없어. 주 고객층은 이미 용산에 대한 환멸을 갖고 있거든...

    • @junghwanlee9474
      @junghwanlee9474 Год назад +18

      ​@@ryanwooh3433 용팔이 어서오고

    • @user-fr5tq4nl8d
      @user-fr5tq4nl8d Год назад

      @@junghwanlee9474 에헤이 ... 현실은 현실이죠. 용산이 망해가는건 그만큼 대체제가 많아지기도 하고 그만큼 상가를 탈출해서 동네로 나가는거죠. 그리고 누가 뭐래도 님이 사는 컴퓨터는 용산에서 사는거에요~ 물론 오프라인 말고 온라인으로요 ㅎㅎ 그게 현실이죠 세상이 변한거에요 그냥 ㅋㅋㅋ 님이 아무리 욕을 해도 잘될때는 잘되는거고 님이 아무리 우쭈쭈해도 세상변화에 따라 또 변하는거죠. 좀 있으면 컴퓨터 자체도 없어질텐데 그럼 손님 막대해서 그런걸까요?

  • @plusa3580
    @plusa3580 Год назад +218

    지금도 잊혀지지 않는다..한 20년전 쯤인가 용산전자상가에서 바가지 써서 환불을 요구했더니 악을 쓰며 욕을 하던 점원 자식이..그때도 그지랄이더니, 망했다니 아주 반갑구만..친절하지 못한 사람들은 장사를 말고,.그런 인간들은 망해야 한다..그것이 자연의 이치다..

    • @user-ef3jp7op3v
      @user-ef3jp7op3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3

      대한민국 살릴려면 모두 힘을 합쳐서 출산율 지금 당장 올려야합니다
      한국이 성장 할 수 있었던거는 사람의 힘이었습니다 사람이없으면 망합니다
      미래가 꿈과 희망이 있어야 현재도 행복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1. 징병제 폐지하고 모병제 직업군인제 전환
      2. 남고 여고 남중 여중 없애고 남녀공학 통합
      3. 젋고 능력있는 사람들 귀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특히 예체능)
      4. 해외여행 자제하고 국내여행 지방경제 내수경제 지역경제 활성화
      5. 해외유학 해외취업 자제하고 국내기반 늘리기
      6. 사건 사고 범죄 질병으로 인해 생기는 인명피해 줄이기
      7.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 빌라 늘리기
      8. 한국사회 긍정적으로 만들기 (부정적인 뉴스 줄이기)
      특히 남녀싸움 붙히는 여론없애기

  • @bamtantv
    @bamtant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

    가든파이브는 2010년도에도 텅텅 비어있었는데 아직도 비어있나보네요

  • @king_lid
    @king_lid 9 месяцев назад +4

    첫 카메라를 테크노마트에서 샀었는데 눈탱이 제대로 맞았던 기억이 ㅠㅠ

  • @user-tn5rs8ho9n
    @user-tn5rs8ho9n Год назад +124

    이제는 먹는 거 빼고는 상가 자체가 생존이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오프라인 매장은 가격도 너무 비싸요.

  • @user-cd2iq8zh7i
    @user-cd2iq8zh7i Год назад +85

    강변에 카메라 사러 갔다가 불쾌한 경험이 있어서 강변은 다시 안갑니다. ㅋㅋㅋ

  • @oinkoink6906
    @oinkoink6906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캬!!~~~ 정의구현. 속이 시원~

  • @ivancoreano3232
    @ivancoreano323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6

    17년 전역 이후 강변 테크노마트에서 휴대폰 바꿨던 기억이 나는데 그때는 단통법을 피해 가격을 말로 안하고 계산기로 보여줬던 곳이죠 ㅋㅋ 성지라고 해서 12시가 지나면 가격이 바뀌던 기억이 나네요

    • @gogoluna9291
      @gogoluna9291 27 дней назад

      ㅋㅋ 맞아요 저도 강변테크노에서 갤럭시 S7샀었는데, 가격을 계산기에 찍어서 보여주고, 시세가 실시간으로 바뀐다고 했었음

  • @user-xm3dy6uo9e
    @user-xm3dy6uo9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69

    예전에 동대문은 둘러보고있는데 자기한테안온다고 욕하고 그런어른들이있었죠 속이다시원하네

  • @myworld3d2
    @myworld3d2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96

    수년 전까지만 해도 용산에서 물건 거래했던 사람인데, 판매만 문제가 아니라 수리도 똑같이 양,아치 스러움이 있었죠.
    수리 견적으로 장난 쳐서 경찰 부르고 난리도 아니였습니다. 수리비용 7~10만원인데 20만원 30만원 50만원 불러 버리니까
    간판에 판매,수리 붙어 있지만 사실 직접 수리하는 매장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수리를 전문으로 하는 곳은 따로 있고
    가령 A매장 수리 의뢰 -> A매장에서 찐수리업체에 보냄 -> 찐수리업체에서 견적 8만원 나옴 -> A매장에서 8만원 주고 받아와서 고객에게 30만원 부름 -> A매장은 수리 견적 의뢰만 받은 심부름 비용으로 10~30만원까지 다양하게 받아냄 -> A.S 생기면 찐수리업체에 보내고, 무상으로 A/S 받아와서 고객에게는 어디가 더 고장나서 교체,수리를 했다면서 돈을 뜯어냄
    수리라는 것은 부품교체를 의미하는게 아닙니다 그래픽 카드가 고장 났다면 회로도 보고 확인해서 고장난 부위를 고쳐서 회생 시키는걸 의미 하죠.
    이런 식이였죠. 한때 돈 많이 벌었을 겁니다. 지금은 수리 자체도 레드 오션이고 조립도 직접 할 줄 아는 사람들도 많고, 수리도 어지간한건 직접 하는 시대라.. 노트북,데탑은 납땜질만 할 줄 알아도 유튜브 검색해서 어느 정도 수리할 수 있습니다.

  • @user-wc3qv6ux1m
    @user-wc3qv6ux1m Год назад +266

    20대초 정장사러갔다 안사니 비웃던 옷팔이들
    당시 충격적이었는데 결국 뿌린대로 거둔셈이네요

    • @user-fr5tq4nl8d
      @user-fr5tq4nl8d Год назад +11

      옛날 동대문이면 뿌린대로 거둔다는 말이 맞죠 . 빌딩 산사람들 많으니까요..

    • @user-pr6ew7vg5y
      @user-pr6ew7vg5y 22 дня назад +2

      그자들이 전부 인터넷 쇼핑몰하고 있겠지

  • @user-sy4mw5iw3v
    @user-sy4mw5iw3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이전에 캐논 40D 비싸게 산다고 해서 갔는데, 여행용 멀티전원탭 내가 대형마트가서 비싸게 산건데 그거 거저 달라고 해서 "미쳤냐고"라고 한말하니 깨깽하더라.
    절라 사기꾼 애들임. 그리고 바디가 당시 가격이 30만원이였는데 쓰지도 않은걸 바디만 10만원에 받아간다하고 미친새끼아니야 하고 안팔고 들고감 그정도로 더러운 동네임.

  • @user-gw4uk6zv1u
    @user-gw4uk6zv1u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2

    내 20대때의 추억이 많았던 밀리오레 에이피엠 동대문의류상가
    자업자득인 부분도 있지만 저런 상황이 된걸 보니 씁쓸하다 ㅜㅜ

  • @user-nj9bu3je4g
    @user-nj9bu3je4g Год назад +460

    사람들은 여전히 오프라인을 선호합니다. 특히 의류는 사이즈와 재질을 봐야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요즘은 스타필드나 롯데몰 같은 대형 쇼핑몰이 많고 사람이 북적입니다. 공통점은 호객이 거의 없고 가격 흥정도 없고 편히라고 쾌적하고 친절하기 때문이죠. 이젠 불친절과 더불어 찾는 사람마다 가격이 달라지는걸 원하지 않습니다

    • @user-uc7lg5lu7r
      @user-uc7lg5lu7r Год назад +33

      스타필드, 롯데몰이요? 거기 들인돈에 비해 매출 안 나와서 심각해요. 오프라인 구매에서 온라인 구매로 바뀌는건 문명 발달에 의한 자연스런 흐름입니다.

    • @wol9303
      @wol9303 Год назад +22

      요즘 사이즈도 디테일하게 나와서 젊은애들은 대부분 온라인입니다.

    • @user-jn5ip6zt4k
      @user-jn5ip6zt4k Год назад +78

      @@user-uc7lg5lu7r 온라인 구매가 시대적인 흐름이기는 하지만. 오프라인 구매를 선호하는 집단도 사라지지는 않음. 온라인 구매를 선호하는 이유가 편하고 싸기 때문인데 반면에 사이즈나 품질 등의 반품문제로 번거로운 부분도 있음. 이런 이유로 오프라인 시장도 사라지지는 않을 거임. 조금 더 비싸도 직접 입어보고 제품 확인한 후에 사는 사람은 언제나 존재하니깐. 예전처럼 구매시장에서 메인을 차지하지 못할 뿐이지..

    • @user-uc7lg5lu7r
      @user-uc7lg5lu7r Год назад +6

      @@user-jn5ip6zt4k 물론 오프라인 매장이 사라지진 않겠죠. 그런데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면 오프라인 점주들은 죽어나는거죠.

    • @user-li1pj1bs8s
      @user-li1pj1bs8s Год назад +5

      대형쇼핑몰은 즐기러오는 환경이라 사람이 많이 몰리죠..온라인으로 망하는곳은 물건만 파는곳이 문제..

  • @brucekim9023
    @brucekim9023 Год назад +1896

    예전에 용산이나 동대문에서 정말 무시무시한 형님들한테 협박 비스무리하게 받았던 무서운 기억이 있습니다..
    무슨 조폭도 아닌데, 조폭처럼 구는 모습이 무섭기도 하고, 심하다 싶어서 한두번 가보고는 안 가게 되더군요..
    상황이 저렇게 된 건 트렌드가 변한 것도 있겠지만, 그들이 스스로 만든 것도 한 몫 했다고 생각합니다..

    • @mensa2030
      @mensa2030 Год назад +100

      동대문 주차관리하던 넘들은 진짜 깡패들이예요. 차주에게 욕하면서 차 인도함..

    • @vbhgf-vl7rq
      @vbhgf-vl7rq Год назад +48

      지금도 그 양아치들 때문에 힘듦.차라리 가치0 돼서 깡패들좀 나갔음 좋겠다

    • @EmileCle
      @EmileCle Год назад +53

      ??? : "손님 맞을래요?"

    • @milk-zy3ky
      @milk-zy3ky Год назад +42

      양아치질 하던게 사람들 인식에 전부 박히면서 일어난 결과다

    • @hyunjunnew2223
      @hyunjunnew2223 Год назад +39

      코로나가 아니라도
      부당이익 즉 사기쳐서 재산 증식한 곳들이죠 동대문 용산 가든5 입점주들 다 한때 집사고 차사고 했잔아요
      갑질에 손님들 바가지 씌우는데 그 돈벌이들이 영원하길 바라는게 이상한거 아닌가

  • @user-nb7uw8ts3l
    @user-nb7uw8ts3l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하나같이 공통점이 있는 상권들이군요

  • @mrhoho
    @mrhoh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잘 보고 갑니다

  • @kasfbull
    @kasfbull Год назад +54

    양아치 장사에 재방문 손님이 누가 있을까? 다 싹 망해버려야한다!

  • @illiliiilil
    @illiliiilil Год назад +45

    손님 맞을래요가 시발점이였을 진 몰라도, 결정타 맞은 건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가 활성화 된거지.

    • @gorani_jusik
      @gorani_jusik 18 дней назад

      그거 기자가 3일인가 걸쳐서 각각 1시간 정도씩 문의만 하고 그래서 그런거자나 ㅋ 작업당한거지 기자한테

  • @sungeunchoi9533
    @sungeunchoi953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테크노마트에서 주말에 영화도 보고 푸드코트에서 음식도 먹고 추억이 있는 곳인데 이렇게 되었군요….
    20년전에 이민갔네요

  • @Better_Ketchup
    @Better_Ketchup 29 дней назад +1

    얼마전에 용산 선인상가에 ITX 조립을 맡기러 다녀왔는데 정말 한적하더라구요..
    그나마 그분은 유튜브 통해서 찾아주는 손님분들도 많았던거같구요..
    거기서 케이스랑 수냉쿨러 파워 구입해서 조립 맡겼는데 전부 다나와 최저가에 주시더라구요! 조립 선정리도 야무지게 해주셨구요

  • @vex238
    @vex238 Год назад +493

    싸고 품질좋고 친절하면 손님이 갑니다. 옷이든 전자제품이든 가격이 비슷하거나 약간 비싸도 직접 보고 바로 사는 것이 가장 좋죠. 그런데 그쪽 상가들이 하나같이 불친절하고 바가지 씌우던 기억만 가득해서 안가는 이유도 있어요. 대놓고 눈 아래위로 굴리며 손님 간보고 , 외국인에게 진짜 너무 심하게 바가지를 씌워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부끄러웠던 기억도..

    • @unka2007
      @unka2007 Год назад +13

      그것도 그건데… 인프라부터 노후화되서 가기 싫어짐 시대에 뒤쳐진게 훨씬 크죠.

    • @user-fr5tq4nl8d
      @user-fr5tq4nl8d Год назад +5

      남자들이 대부분 그렇지만 옷사는 법을 잘 모르죠.. 그런데 눈썰미 좋은 제 친구들은 학생때도 십면만원 들고 직접가서 일년치 옷을 사곤했답니다. 그런 친구들 보면 얼마나 부럽던지.. 자신한테 잘맞는 옷도 잘 고르고 가격도 잘 후려치고 그런 친구들이 대우도 잘받아요. 사실 그런거 못하는 저같은 사람들은 동네 흔한 메이커 가서 옷을 사도 눈탱이 맞죠. 물론 가격이야 정해져 있지만 안팔리는 옷이라든지. 많이 남는 옷을 사준다던지. 워낙 많은 사람들이 찾는 상가는 어쩔수 없이 이면이 존재하긴하지만 그 상가가 미치는 영향도 큽니다.

    • @hepariful
      @hepariful Год назад +3

      @@user-fr5tq4nl8d게임 능력치에 흥정 (Barter) 이란 스킬이 괜히 있는것이 아님. 상품을 조리 있게 할인 시키는것도 일종의 능력입니다.

    • @user-fr5tq4nl8d
      @user-fr5tq4nl8d Год назад +1

      @@hepariful 그거지!!

    • @user-fr5tq4nl8d
      @user-fr5tq4nl8d Год назад +2

      @@hepariful 사실 제가 자랑한 제 친구들도 처음부터 잘했겠어요? 눈텡이도 써보고 불합리도 격어보면서 더 좋은 방법을 학습하고 단련해 나간 결과 사회에서 이기고 살아가는 법을 배운것이죠. 하지만 대부분 글을 보면 어디서 눈테잉 맞은적 있으니 다신안간다거나 이런곳은 이러해서 안간다거나 공부했는데 성적이 안나와서 안한다거나 등등등 엄밀히 말해서 자신이 경험이 부족해서 능력치가 부족해서 당한 문제를 가지고 포기를 하는것이죠 그곳이 핫한이유가 눈탱이를 잘쒸워서 이겠습니까? 좋은게 있으니 사람들이 몰린것이고 그걸 무기로 돈벌어먹는 상인이 문제인것이었죠. 좋은게 있으면 찾아가서 싸게 잘사는 방법을 찾아서 이겨내야죠 세상이 만만합니까 서로 못잡아 먹어서 안달인것이 세상시스템인데요 ㅎㅎ 우리의 삼성도 경쟁업체가 생길라치면 가격후리기로 작살내잖아요 상대업체가 망하면 상대업체에 다니던 직원들은 삼성 메모리나 삼성 핸드폰 안살까요?

  • @user-sz8qh8cc7t
    @user-sz8qh8cc7t Год назад +67

    동대문에서 정말 안좋은 추억이 있습니다 지금도 갈 생각은 없네요

  • @user-ly8il4vk6b
    @user-ly8il4vk6b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건물주가 몇분이라면
    용도변경이 쉽겠지만
    점포주가 수백명이라
    용도변경도 어렵겠다.

  • @user-tr6cp4of5p
    @user-tr6cp4of5p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구독 꾸 욱 ~

  • @user-yx8fx9mh5u
    @user-yx8fx9mh5u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녕하세요 ᆢ
    앞으로 ᆢ미래에
    어떠형식으로 변해갈까요?
    흐름이 궁금합니다

  • @user-qq3qg2oh4z
    @user-qq3qg2oh4z Год назад +30

    앞으로 볼거리가 없는 오프라인 실내상가는 멸할듯 해요.

  • @user-zk6wl5ll1y
    @user-zk6wl5ll1y Год назад +1130

    몇달 전 아이포함 저희 가족 4명 동대문 놀러갔다 밀리오레 방문했었습니다. 중고등학교때 친구들하고 옷살때 생각도 나서 7층부터 에스컬레이터로 내려오는데 전부 공실이더 군요. 와이프에게 예전 북적되던 밀리오레가 변해 아쉽다고 말하고 있는데 몇 남아있는 상가 장사하는 사람들이 저희가 지나가니 위아래로 훑터 보더니 "이리와봐 !! 사라고 안해 " 이러더군요 덕분에 학생때 옷 가격 물어보면 귀찮게 대답하던 옷팔이들이 생각났어요. 기분 참 더러워 지더군요. 처음엔 안타까웠는데 나오면서 여긴 더 망해야한다고 생각들었어요. 그리고 지하 아동복 매장 가니 '어서오세요'라고 인사하고 옷구경할때도 말안거는 가게에서 아이들 옷사고 나왔습니다.

    • @koo8308
      @koo8308 Год назад +112

      장사천재백종원 1회 아프리카 모로코를 보시면 야시장에 시장조사때 삐끼가 식당 들어오라고하는걸 보고 저러면 손님들이 더 안온다라는 말로 주방을 오픈하고 요리 냄새로 승부를 합니다
      이건 식당에 국한된 문제가 아닙니다
      80-90년대식의 장사 스타일입니다

    • @laiftaim
      @laiftaim Год назад +11

      훑'어'입니다.

    • @laiftaim
      @laiftaim Год назад +15

      북적'대'던요... 하아...

    • @jiwonjang5713
      @jiwonjang5713 Год назад +155

      @@laiftaim 거참, 고작 맞춤법 좀 틀린다고 뭘 그리 한숨까지 쉬고 그러시나. 그냥 적당히 이해가 된다면야 융통성 있게 이해하고 넘어가면 그만인 것을

    • @laiftaim
      @laiftaim Год назад

      @@jiwonjang5713 고작? 그것 참 그 인성과 인생이 그래요... 넘어가긴 뭘 넘어가나 구렁이 담 넘어가나? 고작 맞춤법 기초적인 것쯤 맞게 쓰는 게 그렇게나 어려워서 되는 대로 알지도 못하고 맨날 평생 틀리고 살지요 끌끌끌... 그딴 식이면 고작 길에 가래침 뱉는 거 뭐가 어때? 고작 횡단보도 앞 정지선 좀 안 지키는 거 뭐가 어때? 고작 제한속도 좀 넘으면 어때 이 바쁜 세상에? 사람 사는 집에서 내 집인데 생활소음 좀 내는 게 뭐가 어때? 이봐요, 됐고 그냥 적당히 살다가 적당히 떠나가세요. 지나가다가 남의 댓글 보고 '고작' 하아... 이 한숨 좀 쉬었다고 주제넘게 나서지 마시고. 상대 제대로 잘못 골라서, 대댓질 말 섞다가 멘탈 터지지 마시고. OK???

  • @mavelyaromi
    @mavelyaromi 4 месяца назад +9

    신기한게 스타필드나 더현대몰 롯데월드몰 이런데는 사람 미어터지는데 저기는 너무 가고싶지않음 몇몇 상인들이 악질이었던 기억때문인지

  • @user-ov6yf6md8p
    @user-ov6yf6md8p 4 месяца назад +1

    상인들의 태도도 거칠고 마인드가 틀려 먹은 것도 큰 문제지만 잘 될때만 생각하고 임대료 가격을 막 올리다 보니 다 빠져 나가는 일명 젠트리피케이션이란 부분도 크겠지요.
    수익이 나야 장사를 할텐데......

  • @user-gi8zf7xb8z
    @user-gi8zf7xb8z Год назад +341

    망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적지 않을거 같네요
    손님으로 가서 손님대접은 커녕 불쾌한 기억을 만들어준 곳들이네요 전부다....

    • @user-ef3jp7op3v
      @user-ef3jp7op3v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

      대한민국 살릴려면 모두 힘을 합쳐서 출산율 지금 당장 올려야합니다
      한국이 성장 할 수 있었던거는 사람의 힘이었습니다 사람이없으면 망합니다
      미래가 꿈과 희망이 있어야 현재도 행복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1. 징병제 폐지하고 모병제 직업군인제 전환
      2. 남고 여고 남중 여중 없애고 남녀공학 통합
      3. 젋고 능력있는 사람들 귀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 (특히 예체능)
      4. 해외여행 자제하고 국내여행 지방경제 내수경제 지역경제 활성화
      5. 해외유학 해외취업 자제하고 국내기반 늘리기
      6. 사건 사고 범죄 질병으로 인해 생기는 인명피해 줄이기
      7.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 빌라 늘리기
      8. 한국사회 긍정적으로 만들기 (부정적인 뉴스 줄이기)
      특히 남녀싸움 붙히는 여론없애기

  • @user-xk2xv5bp9f
    @user-xk2xv5bp9f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혹시 대전도 취재가능한가요? 기존에 취재한게 있다면 제목을 알려주셔도 좋습니다.

  • @TV-jv5wq
    @TV-jv5wq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마음이 씁쓸하네요

  • @Spcegunhoo
    @Spcegunhoo Год назад +65

    동대문도 용산도 (나머지는 제가 겪어보질 않아서 모르겠습니다) 공통점은 갑질 및 바가지, 지나친 호객행위로 인한 거부감....자업자득.

    • @tinateris
      @tinateris Год назад +1

      갑질 바가지 지나친 호객행위해도 태국은 여행자 넘쳐나더라.

    • @Spcegunhoo
      @Spcegunho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tinateris 영상이랑 전혀 상관없는 딴 소리 잘 들었습니다.

    • @Acruv
      @Acruv 9 месяцев назад

      ​@@tinateris지능..

  • @jinnam6822
    @jinnam6822 Год назад +12

    방송 감사 합니다.😀

  • @hasus6106
    @hasus6106 5 дней назад +2

    저때라도 처분하고 나왔으면 나았겠지.

  • @rieco2
    @rieco2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정말 심각 하군요...출생수 감소로 젊은층 이 적어지고..
    그간 코로나 후유증과 ..

  • @user-dc6oi4fg3j
    @user-dc6oi4fg3j Год назад +14

    하나같이 소비자를 호구로 보던데..아닌가? 이같은 후보로 노량진 수산시장도 머지않았다

  • @time_ing3374
    @time_ing3374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장사가 잘되어야 규모의 경제라고 박리다매로 가격 매리트를 가져갈 수 있지만 저렇게 장사가 안되면 가격 또한 내려서 손해보며 팔 수도 없으니 가격 경쟁력과 접근성 두마리 토끼 모두 다 놓치며 결국엔 망할 수 밖에 없는 구조.

  • @user-ud4rc2ue5o
    @user-ud4rc2ue5o 4 месяца назад +1

    깡패넘들이 지배
    공사하러 갔더니 말도
    안되는 요구로 타업체
    는 공사못하게ᆢ
    지들이 요구하는 업체
    로공사하게 하는데ᆢ
    개박아지 쒸움
    망하게 함

  • @benbenne4518
    @benbenne4518 Год назад +32

    전혀 연민의 정도 안가는 곳... 경험해봤던 세대라면

  • @sjjhh3169
    @sjjhh3169 Год назад +16

    모든 팔이들 정리해 줌. 하나라도 해당되면 무조건 믿거.."동팔이, 테팔이, 용팔이, 폰말이, 중고차팔이, 차팔이, 보험팔이, 남팔이, 빵팔이, 택시, 딸배, 소래포구 - 노량진 - 월미도 회팔이, 동해안 회, 수산물 팔이 등등등등등

  • @Reverse-DOG
    @Reverse-DO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좋아요~❤

  • @righf
    @righf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온라인에 제품 찾는데 AI가 만든 이미지만 뜰때 오프라인에라도 파는데 있으면 직접 보거나 체험해보고 싶기도 하던데 오프라인 을 잘 안찾아 없어지고 있다니 마음이 안좋네요. 오프라인에서 맘에 드는 제품 보면 사용 리뷰라든지 좀더 자세한 정보있나 온라인 검색하는것도 습관되긴했는데 택배가 항상 망가져서 오고 느리게 받는 경우가 많아지니까 저같은 상황에서는 오프라인이라도 방법이 있는게 사는데 도움돼요.

  • @slptckamin9948
    @slptckamin9948 Год назад +73

    후려치던 시절 생각하면 진짜 1도 안불쌍하긴 한데. 단순기능을 가진 일반가전수리 코너 쪽은 없어진건 조금 안타깝다 생각이 들었네요. 옛날 카세트라던가 고칠때 밑길 곳이 점점 없어지고 있으니

    • @user-jf6qn6xr7t
      @user-jf6qn6xr7t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이 아니라 하나도 입니다.

    • @user-tg7in5wo9x
      @user-tg7in5wo9x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user-jf6qn6xr7t 유행어에요. 아니 유행이라 하기에도 한참전에 나옴.

  • @user-kk4ui2ss3i
    @user-kk4ui2ss3i Год назад +11

    이렇게 알기 쉽운 상권분석 최고입니다
    영등포시상역 쪽에 숙박업을 계획하있어요
    여기도 분석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어요~

    • @user-fd3qy7hq4c
      @user-fd3qy7hq4c Год назад +3

      영등포에서 절대 숙박업 하지 마세요
      진짜 지금 제말 듣기를 잘했다고 나중에 저한테 감사하다고 할것입니다..
      지금 영등포도 저거랑 비슷한 건물이 몇개나 있어요 가보면 알아요
      그리고 더더욱 영등포시장쪽은 안하는게 좋습니다
      상권이 안좋다는게 아니라 지금 영등포는 개발포화 상태 입니다
      이미 모든 인프라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것도 아주 많이요.. 모든 업종이...

  • @h.s.k9723
    @h.s.k9723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있을때 잘하자 라는말이 괜히 있는게 아님

  • @phoneslim9200
    @phoneslim920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프라인은 이제 물건파는곳보다는 서비스업쪽으로 가야할듯..물건은 인터넷의 편리함 가격경쟁력을 이기기가 힘듬

  • @Video-hr2ig
    @Video-hr2ig Год назад +14

    8:21 저 거대한 건물이 용산터미널상가 자리였죠 저기가 바로 손님 맞을래요? 하던 업체가 있던 곳...

  • @user-cp9wd9cr3t
    @user-cp9wd9cr3t Год назад +24

    장사꾼이 손님 우습게보면 망한다는 진리를 보여주는 참교육현장이네요.^^

  • @mayflower5743
    @mayflower5743 7 месяцев назад +5

    동대문에서 안좋은 추억 없었던 대한민국 사람이 거의 없더라구요

  • @alphonse777777
    @alphonse77777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용산에 추억도 많지만 지금생각해보면 사기도 많이 당했네요 소니 이어폰 당시 비싼돈 3만원넘게 주고샀는데 1달도 못되서 끊어지길래 봤더니 중고품이었고,, 슈퍼패미콤 팩을 샀는데 세이브가 안되서 나중에 알고보니 복사판 이었다던가 ㅡㅡ

  • @kdh4883
    @kdh4883 Год назад +26

    그냥 싹 다 밀어버리고 새로운 걸 조성해야합니다. 언제적 동대문, 용산, 강변역입니까... 5,10,20,년뒤에도 또 같은 내용이 취재로 나올텐데 바꿀거면 빨리 바꾸자구요

  • @ellenmichener9719
    @ellenmichener9719 Год назад +12

    저 세 곳을 상징하는 한 문장... "손님 맞을래요?"

  • @user-ln6ny2kg4e
    @user-ln6ny2kg4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테크노마트도 06,07년도인가 mp3사러갔을때 정말 사람 많았는데 ..

  • @EunmiDeVere
    @EunmiDeVer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

    그러니까 친절했어야지~~ 있을때 잘하지 코로나때 받은돈 국민한테 빛더미로 남아있다

  • @June7788-bp6mk
    @June7788-bp6mk Год назад +13

    무슨 조폭도 아니고 아주 그냥 .. 에혀 ... 옷도 다 너덜너덜 .. 싸구려만 가득
    어째 입을만하게 하나도 안보이냐?

  • @freefalling346
    @freefalling346 Год назад +8

    공통점이 있네
    가격 표시제 안하고
    손님에 따라서 바가지 등쳐먹는 영업 방식

  • @kaishark7179
    @kaishark717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마치 OTT의 발전으로 사라진 비디오 대여점을 보는 느낌이군

  • @Zerojoo96
    @Zerojoo96 Месяц назад +1

    요즘 쇼핑 자체를 줄였을 뿐 아니라, 뭘 산다 해도 어디 나가서 사지를 않는다, 다 온라인 이용하지~

  • @eq6356
    @eq6356 Год назад +26

    3군데 한꺼번에 다뤄줘서 감사합니다!
    코로나 펜데믹 이후로 온라인쇼핑 시대를 앞당김.. 영화관도 잘 안가게 되고

    • @rooster_maverick
      @rooster_maverick Год назад

      영화관은 그 정도는 아님. 코로나 시대에 범죄도시, 아바타 같은 천만 영화가 나오기도 함.

    • @user-fr5tq4nl8d
      @user-fr5tq4nl8d Год назад

      영화관은 님이 솔로라 안가는것이고요 ㅎㅎ

    • @user-bjresegj18hyd
      @user-bjresegj18hy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fr5tq4nl8d촌스럽게. 혼영족 많고요, OTT에 다양한 컨텐츠가 많아 굳이 영화관안 가는사람들 많습니다.

  • @devSuper91
    @devSuper91 Год назад +17

    중학생때 동대문에서 역대급 호구당한거 생각하면 아직도 열받네

    • @user-ls3nc5rn3k
      @user-ls3nc5rn3k Год назад

      친구야 형 핸드폰 한번만 쓰자~어?

  • @ic8928
    @ic892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굿굿

  • @livingkim5311
    @livingkim531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집합상가는 전국 어디나 똑같이 망하는 중이다.
    창의적인 독자제품이 없고 남의 제품 받아파는 곳은 어디나 똑 같네.

  • @RIDERGI
    @RIDERGI Год назад +16

    저도 2002년까지 선인상가에서 도매를 했었는데 용산은 다나와 싸이트가 나오면서 점점 희망이 없어졌지요 지금이라도 오프라인만의 특성을 최대화해야 살길인데 아쉽네요

    • @jiyongjung8495
      @jiyongjung8495 Год назад +6

      그때 다 나왔어야지…

    • @user-wy4jr1pc5g
      @user-wy4jr1pc5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응 아직도 다나와 탓 하네 지금정권이랑 별 다를게 없네요

    • @RIDERGI
      @RIDERG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wy4jr1pc5g 다나와 탓이 아니라 단순한 오프라인 판매방식에서 온라인 방식으로 변화되었다는 말이였습니다

  • @user-cd2iq8zh7i
    @user-cd2iq8zh7i Год назад +74

    동대문은 소비자를 소매, 도매로 구분하며 치사한 짓을 해서 안갑니다.
    용산도 소비자를 호구로 보는 판매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 @nasin_j
      @nasin_j Год назад +10

      소매 도매를 구분한다는게 치사하다는건 대단한 착각입니다. 그건 상도덕이고 그들의 룰입니다. 소매손님에게 도매가로 주면 내 고객인 도매손님 망하라는건데 그게 앞뒤가 맞습니까?

    • @user-pk4ko8ig1k
      @user-pk4ko8ig1k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8

      현직 디자이너입니다....도매장사하는곳은 도매손님들만 오는게 맞습니다..신상하나 내려믄 피땀흘려 시장에 나오는데
      그에 맞는 응당한 대가가 따라야 된다고 봅니다

    • @je8215
      @je821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

      하지만 도매 하는곳에 소매로 살 사람은 안가는게 맞음..

  • @user-iu7ld9ir3o
    @user-iu7ld9ir3o Месяц назад +1

    저도,20여년전에 바가지 사기를 당해서,동대문시장,남대문시장쪽은 쳐다도 안보고,영원히 안가겠다고 결심했었거든요.🔥댓글을 읽어보니 저와같은 피해를 당한 소비자분들이 한둘이 아니네요.🔥그리고,십대때 갔을때 어리다고 반말하고,비웃고 농락하듯 말장난했었던일을 생각하면 너무 끔찍하고 치가 떨렸던 기억도 납니다.🔥20여년전,남대문,동대문에서 바가지요금과 깡패같은 사람들한테 불친절을 당한뒤로 죽을때까지 안가겠다고 결심하고 한번도 안갔었는데 알아서 사라지네요.🔥🔥🔥자업자득,자승자박😱

  • @user-zz2ti1gq6r
    @user-zz2ti1gq6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와 안가봐서 몰랐는데
    저렇게나 심각하게 변했군요..
    저기서 게임기 게임팩 많이샀었는데..
    하긴 이제는 대부분 온라인으로 구매를하니..

  • @user-zq3jc2er7h
    @user-zq3jc2er7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6

    유통구조에 문제도 있지만 가격 가성비도 측면과 상인들에 무책임한 상술이 몰락을 더욱 빠르게 불러왔다고 생각합니다. 저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장사를 했다면 지금 흥하고 있는 스파 브랜드들의 자리를 저들이 일부 차지했을 수도 있겠지요.

  • @user-ce1rh5bw3y
    @user-ce1rh5bw3y Год назад +5

    씁쓸하네요...

  • @jonice3216
    @jonice3216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영하 15도에서도 따뜻함이 느껴지는 훈훈한 소식 잘보고 갑니다.

  • @seonwoohwang1719
    @seonwoohwang1719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속이 뻥!

  • @silvery_rain
    @silvery_rain Год назад +30

    손님 맞을래요? ㅋㅋ 희대의 그 어록 만들어낸 인간 지금은 어디서 뭐하고 있을까.. 지 목소리 박제된 사실 알고나 있으려나 ㅎㅎㅎ

  • @OutNothing-yz8cp
    @OutNothing-yz8cp Год назад +20

    용산이나 동대문 남대문 바가지 역세권이다 이게 한국의 현실이다

  • @user-dw1ww9ur8h
    @user-dw1ww9ur8h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터넷으로 이마트도 문을 닫더라구요.
    이제 Off line 매장 즉 오픈매장 상가는
    회복이 될 수가 없습니다. 끝난거죠.

  • @user-gm1un3lo5p
    @user-gm1un3lo5p Месяц назад +1

    과거 용산전자상가에 덤탱이 쓴 거 생각하면... 그 뒤로 다시는 안감..

  • @user-sj3nt7qu5t
    @user-sj3nt7qu5t Год назад +61

    테크노마트 땅집고 말 듣고 역세권 상권이라 사무실 얻을라고 봤더니 월세는 없지만 관리비가 비싸 월세랑 다름없고 사무동이 자리가 꽉차서 판매동으로 사무실 많이 만든다 하여 지금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팩트로 조사를 하셔야지 뜬구름 잡듯이 조사해서 조회수만 올리려고 하면 안되죠~~~7,8층은 분양주대표 관리단에 위임하여 쉽게 못들어가며 들어가더라도 구좌를 여러개 묶어서 크게 들어가지 않는한 주지도 않습니다.물론 경매나온거나 사는건 비추 합니다. 경기가 어떻게 될지는 모르기에 괜히 싸다고 덥썩 샀다간 관리비에 죽기 때문에 피해야 하고 계약을 하더라도 짧게 해야 되는데 짧게도 잘 안내줍니다.8층에는 한구석으로 몰아서 사무실 내준다고 이번에 싹 새로 공사를 했더군요...

    • @jooyoungkim7585
      @jooyoungkim7585 Год назад

      ㅡ😮

    • @joker-vc9vv
      @joker-vc9vv Год назад

      테크노마트 관리비 비싼건 유명한데..

    • @unka2007
      @unka2007 Год назад +1

      근데 강변 죽은 건 확실한데요 ㅋㅋㅋ 주변만 봐도 무슨 슬럼가 같음. 아파들도 홍콩에서나 볼 법한 실외기 잔뜩 달은 노후 아파트. 보기 흉함

  • @jameskim6845
    @jameskim6845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66

    오프라인 매장의 필요성이 낮아졌다면 일반 사무실로 구조를 로 변경해서 사용해야지 계속 집단상가를 고집하니 저렇게 된거죠.
    상가에 사람이 많을 때에도 앞선 회사들은 온라인으로 이전을 준비하고 매장영업보다 온라인 영업에 주력하여 판매를 잘 이어가고
    있습니다.

    • @user-to5up4cj9p
      @user-to5up4cj9p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9

      님 말씀은 일리는 있습니다만...
      요즘 광화문, 여의도, 강남의 큰 빌딩들도 공실이 많아요.
      일반사무실로 구조조정해도 공실날 확률이 높아요.
      차라리 다 철거하고 아파트를 지으면 좋을 거 같긴 합니다.

    • @baeksal_com
      @baeksal_com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21

      저런 상가는 대부분 개별 분양이 된 상태입니다.
      즉 주인이 전부 다르다는 거죠.
      용도와 시설을 변경하는 건 ... 거의 불가능합니다.

    • @user-hw6jq9dq2e
      @user-hw6jq9dq2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사무실도 재택근무 점점 늘어나면 공실 늘어난다. 미국처럼

    • @user-hw6jq9dq2e
      @user-hw6jq9dq2e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7

      ​@@user-to5up4cj9p인구가 줄고있는데 무슨 아파트 재개발이야..

    • @Goldbin123
      @Goldbin123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5

      개별분양이라 다들 투자의 목적으로 은행권 대출을 이빠이 받아 이자내기도 빠듯합니다 분양가도 높아 월세가 자연스럽게 높으니 들어갈 사람도 없고 싸게 줄수도 없는 상황인거죠

  • @kimjongchul5391
    @kimjongchul5391 9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지금은 어떤지 모르나, 너무 비싼 주차비도 문제가 있었다고 봅니다.

  • @kiyjy7
    @kiyjy7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용산전자상가는 '손님 맞을래요?' 만 봐도 말 다했음

  • @user-hb9qy9rq7n
    @user-hb9qy9rq7n Год назад +6

    인구 감소로 저곳을 찾을 만한 연령대가 반이상이 줄었고 동시에 코로나 그리고 온라인으로 이동 및 가성비의 부족으로 인한것이라 대책찾기가 엄청 힘들죠

  • @user-ky7oz3me6g
    @user-ky7oz3me6g Год назад +47

    밀리오레 구경갔다가 중국인 아닌거 알고 아..이러면서 그냥 고개돌리더군요 재수졸라없었음

  • @Mintrue
    @Mintrue 9 месяцев назад +8

    온라인보다 가격이 합리적인가? 물건이 다양한가? 다른 오프라인매장에 비해 차별화된 볼거리가 있는가? 분위기가 좋은가? 친절한가? = X

  • @user-ll3ik5oj6i
    @user-ll3ik5oj6i 9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용산에서 컴퓨터 사지 마세요 다나와 비싼사이트 보여주면서 아직도 눈탱이 쳐요

  • @Sopoong-wq6td
    @Sopoong-wq6td Год назад +4

    유통구조 변화가 가장 크죠 왠만해선 온라인으로 구매하지 오프라인가서 구매하는경우는 스타필드처럼 복합쇼핑 기능이 있어야 사람들이 방문합니다

  • @only4jes484
    @only4jes484 Год назад +15

    싸가지 없는 장사꾼들..싹 다 망해버려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