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뭐 했어?" "누구랑 놀았어?" NO!! 우리 아이 기관 생활 궁금하다면, '이렇게' 물어보세요~ [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3

  • @육퇴한밤
    @육퇴한밤  Год назад +4

    🎵 인터뷰 순서
    00:00 하이라이트
    00:36 장재진 언어치료사님 인사와 근황
    02:00 전국의 엄마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03:53 아이의 기관 생활, 어떻게 물어볼까요?
    07:10 초등 입학 전, 언어 발달 체크 포인트는?
    09:34 한글 공부의 적기는 언제인가요?
    11:57 새해 첫 날, 아이들과 서점에 가는 이유는?
    12:47 초등 자녀 독서 시간, 어떻게 확보할까요?
    17:04 문해력 출발은 '어휘력' 어떻게 키워줄까요?
    19:20 초등 글쓰기, 핵심은?
    22:17 육퇴한 밤 독자님께

  • @육퇴한밤
    @육퇴한밤  Год назад +2

    📚책 선물
    소중한 시청 후기를 남겨주신 독자 3분께 장재진 선생님의 책을 선물합니다.
    1) 하루 5분 언어 자극 놀이 120 : 0~6세 아이의 언어·감각·운동·정서 발달
    2) 30일 완성 초등 문해력의 기적 : 7세부터 초3까지 독서·어휘·쓰기로 잡는 엄마표 문해력 수업
    3) 초등아이 언어능력 : 말하기·듣기를 넘어 읽기·쓰기에 날개를 달아 주는 학령기 언어학습법
    장 선생님께서 직접 드리는 선물입니다. 소중한 메시지도 담아주셨어요.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 @TV-rb7vg
    @TV-rb7vg Год назад +12

    아들 글쓰기 첫 시작은 녹음과 메모였어요.그림책을 좋아하던 아들이 밤에 하늘을 보더니 시적인 언어를 구사할때 멈춰섰어요."넘 멋지다 그 표현"집에가서 메모하고 그 다음에는 가끔 녹음도 했어요.여섯살 부터 한줄 두줄 쓰더니 일곱살에는 삐뚤빼뚤 글쓰로 한장을 쓰기 시작해 일기장이 40권 되었어요.6학년이 된 아들 요즘도 자기 하루를 글로 남겨요.아이의 언어에 엄마가 반응해주는 것도 소중한 것 같아요❤

    • @장재진-g2d
      @장재진-g2d Год назад +3

      반응해주는 부모만큼 훌륭한 교과서가 없을거니까요~ 좋은방법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dodogirl8282
    @dodogirl8282 Год назад +3

    초1,2 아들들하고 같이 보았어요~ 중1 형이 워낙 성실하고 차분한 아이였어서 둘째,셋째는 좀 당황스러운 육아중이예요 ㅎㅎㅎ 저는 요즘 인터뷰어가 되어서 매일 아이들과 대화중이예요. 남자아이들이지만 수다가 넘쳐서요^^;; 뭐라도 궁금해 해준다면 열심히 대답해주고 있어요. 한글은 거의 1학년 1학기에 완성된 정도로 늦었지만, 책을 많이 읽었고 대화속에서 늘 스토리텔링을 해온지라 말을 글로 옮겨 오는 과정이 수월했던것 같아요. 또 처음엔 제가 많이 받아써줬어요. 뭐든 상황에 맞춰서 놀이하듯 하면 좋은것 같아요. 그 과정이 모여서 스스로도 잘하는 아이로 자라는거겠죠!^^
    영상 감사합니다~~

    • @장재진-g2d
      @장재진-g2d Год назад

      무엇보다 기다려주고 지지해주면서 놀이처럼 끌고간다면 그보다 더 좋은 언어자극법이 있을까요! 말을 글로 가져오는것은 를 느끼게할수있는 좋은방법이에요 응원드려요

  • @김선국-d6s
    @김선국-d6s Год назад +1

    잘 보았습니다~^^

  • @양희조-o5j
    @양희조-o5j Год назад +2

    말로 표현하는게 서툴고 내성적인 아이를 둔 초저아들 맘입니다~ 지난번 강의에서도 정말 많이 배우게 되었는데 다시 육퇴한 밤에서 만나게되서 귀쫑긋하고 몇번이고 반복해서 들었어요~
    매일 "어떤게 재밌었어??" "누구랑 놀았어??" 이렇게 밖에 아는게 없었는데~ 영상을 보면서
    요즘은 여행 갔다오거나 놀러갔다오면 가족이 모여 앉아 한줄씩 연결해 얘기하면서~ 서로 듣고 집중하는 재미가 생겼어요~
    단번에 좋아지지는 않겠지만~ 꾸준히 연습하면 좋아질거라 믿고 계속 노력해 보려구요~^^
    그리고 혹시 제가 한말을 다시 되묻고 따라하게 하는데 그것도 괜찮을까요??
    아이가 피곤할땐 "너무 길어서 모르겠어"이럴때도 있고 잘따라할때도 있고 자꾸 되묻게 되더라구요~ㅜ 더 늦게 전에 언어치료를 받아보는게 좋을지 고민이에요~ 넘 좋은 팁들과 내용들 감사드려요~~❤❤

    • @장재진-g2d
      @장재진-g2d Год назад

      처음부터 자기의 생각을 조리있게 말하는 아이는 아무도 없을거에요^^ 자꾸 엄마가 캐물으면 아이는 되려 피하게되지요~ 처음에는 엄마나 아빠말을 따라할지라도 좋은 모델링을 보여주는것도 필요합니다 아이는 그 모델링을 들으며 저렇게 말하는구나, 를 자연스럽게 배우게된답니다 아이에게 질문만 하지말고 먼저자연스럽게 말을 건네보셔요^^ 엄마는 이랬어 이런생각이 들더라... 그렇게요

  • @봄눈-x4w
    @봄눈-x4w Год назад +4

    안녕하세요.
    저는 7세,5세 아들을 둔 엄마인데요
    정말 제 고민을 듣고 영상을 제작해주신게 아닌가 싶을정도로 말씀 한마디한마디를 놓치기 아까워 영상을 몇번이고 반복해서 보고 있네요..
    일단 전 7세 첫째 아들이 말도 늦게 트였고 (4세 겨울즈음) 지금은 말은 하지만 항상 말을 할때마다 “어..있잖아..어.. 그게..어…” 이런식으로 말하며 된발음인 ”쌀“이라는 단어를 “살”이라고 발음하며.. 가끔씩 특정 단어에서는 5살인 동생보다 발음이 부정확하다고 느껴질때가 있답니다.. 아이도 이런걸 본인이 부끄럽다 느껴지는지 어려운 발음이거나 잘 발음이 안될때면 부끄러워하거나 화를 내기도 합니다..
    크면 나아지겠지 말이 늦게 틔여서 그런거겠지 했는데.. 학교에 가면 친구들에게 놀림을 당하진 않을까 또 자신감도 떨어져 내성적으로 되진 않을까 이래저래 고민이 많습니다..
    오늘 이야기 해주신 말씀 하나하나
    노트에 적고 잠들기전에 조금 더 나은 부모가 되길 바라며 댓들 남겨봅니다 ㅜㅜ…

    • @장재진-g2d
      @장재진-g2d Год назад

      아이의 이야기를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이 늦었던 아이들은 초저까지 유심히 관찰해야합니다 조음(발음) 언어능력 상위언어능력 읽기능력 모두에 영향을 받을수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어머님께서 잘관찰하시면서 충분히 언어자극을 잘주신다면 아이는 점점 성장해게될거에요 힘내세요 화이팅입니다

  • @꿈꾸는카타리나
    @꿈꾸는카타리나 Год назад +2

  • @바니바니-u4n
    @바니바니-u4n Год назад +3

    초등1 아이엄마 입니다. 책을 읽는건 좋아하지만 독서록을 쓰자고하면 번번히 아무내용도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아이였어요.(독서록은 학교숙제로 주2~3회 쓰고있습니다)
    선생님의 강의를보고 책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한두장면에 대해 대화를하고, 서로의 경험도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게되었어요. 그랬더니 아이가 책에 대한 이해도도 깊어졌고, 공감능력도 향상되었어요. 또한 독서록에 이 내용을 쓰면 좋겠어! 작가는 이말을 하고 싶었었나봐!! 라고 포인트도 잡아가네요.
    하지만 무엇보다 좋은건, 서로의 경험들을 나누면서 아이와 끈끈해지고 있다는거에요.
    저희아이는 본인의 마음도ㆍ학교생활도 전혀 이야기 해주지 않는 아이였고, 궁금해서 물어봐도 "몰라! 기억안나! " 라고 하던 아이였어요.
    그런데 책의 상황과 자기의 경험을 연결시켜 하나ㆍ둘 말하다보니, 말하는것에 대한 부담?공포?가 없어진건지ᆢ 아니면 엄마는 내 이야기를 잘 들어줘~라고 생각한건지 ᆢ이제는 그날 있었던 일들도 조잘조잘 말해주고 그순간의 자신의 기분이나 친구들의 반응들도 말해주네요.
    책을 읽고 경험을 나누는 사소한 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이제는 독서록 시간을 기다리기도 합니다.
    제 삶에 너무나 좋은 변화가 생겼어요.
    강연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