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 추출] 고농도 샷 VS 고수율 샷 장단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6 фев 2025
  • ✓ 퀘스트빈 원두 구매 & 샘플 신청하기!
    questbean.com
    ✓ 원두 납품 상담하기!
    031-797-2990 / 010-6480-2990

Комментарии • 28

  • @퀘스트빈
    @퀘스트빈  Год назад

    ✓ 퀘스트빈 원두 구매 & 샘플 신청하기!
    questbean.com
    ✓ 원두 납품 상담하기!
    031-797-2990 / 010-6480-2990

  • @퀘스트빈
    @퀘스트빈  2 года назад +1

    *본 내용은 중배전 이상 원두에만 해당 됩니다 !
    약배전 원두는 기본적으로 고수율로 추출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다만 약배전 원두(고수율)로 에스프레소로 마시는 것은 그렇게 추천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맛있는 에스프레소”편에서 이어가겠습니다!

  • @espresso2
    @espresso2 2 года назад +6

    개인적으로 그래서 ims바스켓을 선호하지 않는 편입니다. 음료에서 농도감과 수율을 어느정도 다 가져가려면 vst나 풀만 혹은 순정 바스켓을 쓰게 되더라구요
    속도가 빠른 바스켓에 가는 분쇄도에서 1:1.7~1.8 정도로 진하게 뽑아서 높은 농도감과 가는 분쇄에서 나오는 높은수율을 다 챙기는 방향으로 세팅을 하고있습니다.
    진하게 추출한 에스프레소를 희석하는건 언제든 가능하지만, 일단 연하게 추출되면 진하게 만드는건 불가능하니까요..

  • @ckp1610
    @ckp1610 2 года назад +4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비교군이 아쉽긴 하네요. 영상의 추출 비율이면 고농도는 고농도-저수율이고 고수율은 적정농도-고수율 아닌가요? 적정농도일 때 고수율 저수율 비교, 적정 수율일 때 고농도 저농도 비교가 적합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 @junethewindholic9010
    @junethewindholic9010 Год назад

    농도와 수율에 관한 심화 과정 같아요...이 작업을 어떻게 까페 음료에 응용하나 했는데...그걸 해결해 주는 영상 같습니다...

  • @4001charles
    @4001charles 2 года назад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항상 일정하게 커피를 내리다보니 왜 제가 만든 라떼가 아메리카노보다 맛있었나 알게되었어요. 어떻게 에스프레소를 내릴지 또 한번 생각하게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the_expedition
    @the_expedition Год назад +1

    수율을 구하는 공식이 TDSx추출커피양%원두량인데 어떻게 농도와 수율이 반비례할 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위의 실험은 같은 양의 원두로 추출양을 달리 했을 때 수율의 변화에 관한 것이지 추출 커피양을 같게 두고 농도의 변화에 대한 수율의 변화를 비교한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퀘스트빈님의 말씀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 @김민규-r3w8n
      @김민규-r3w8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인정!!

    • @안영성_생각저장소
      @안영성_생각저장소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라떼먹는데 고수율로 하라는곳은 첨이네요 보통 고농도로 해서 바디감과 케릭터를 강하게 할텐데~물론 개인마다 다르겠죠

  • @doh623
    @doh623 Год назад

    Tds와 농도는 다른건가요?

  • @karabautomena
    @karabautomena 2 года назад

    샤워스크린과 레티나 볼트 같은 파츠 비교영상도 알려주세요!

  • @m1emili0
    @m1emili0 2 года назад

    다크한 원두는 수율이 낮아도 맛있을 수 있지만
    라이트한 원두는 그래도 어느정도 단맛을 끌어내야 하지 않을까요?

    • @퀘스트빈
      @퀘스트빈  2 года назад

      네 :) 맞습니다.
      영상 내용에 중배전 이상 원두 부터 해당되는 내용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 약배전 원두는 고수율로 추출 하시면 좋습니다. 다만 약배전 원두를 에스프레소로 마시는건 그렇게 추천하진 않습니다 😅

  • @이용자-k1w
    @이용자-k1w 2 года назад

    소비자 입장에서 같은 물의 양에 같은 양의 에스프레소 비교가 궁금합니다 !
    고농도 40ml와 고수율40ml가 희석된 같은양의 아메리카노가 각각 있다고 한다면 맛에 있어서 고농도 아메리카노가 더 우수한가요 ?

    • @퀘스트빈
      @퀘스트빈  2 года назад

      글쎄요 ~ 보통 이런 실험을 할 땐 원두 사용량은 고정으로 들어가고, 추출량, 분쇄도가 달라지면서 농도과 수율이 변화하는건데요. 추출량이 고정값이면 원두 사용량이 달라져야되는건데.. 좀 어렵네요 😅

    • @이용자-k1w
      @이용자-k1w 2 года назад +1

      @@퀘스트빈 쉽게 물에 희석하는 커피가 '리스트레또 투샷vs 에스프레소 원샷' 이런개념으로 질문드렸어요 ㅎㅎ

    • @이용자-k1w
      @이용자-k1w 2 года назад

      @@cxhjrt765esyr 고농도추출이 물에 희석이 되었을때 고수율추출에 비해 농도가 약하다고 하셨으니 샷추가를 해서 같은 농도가 되었다고 가정을 한다면 고농도추출이 더 우수한거냐고 여쭤봤는데 왜 이게 바보같은 질문인가요

    • @syan106
      @syan106 2 года назад

      @@이용자-k1w 저도 이게 궁금해요!

  • @심슨-c4v
    @심슨-c4v 2 года назад

    라떼도 고수율로 가는게 좋은가요 ? 어느 영상들 보면 라떼는 아메리카노보단 고농도로 뽑는게 우유를 뚫을수 있다고해서 궁금해요1

    • @퀘스트빈
      @퀘스트빈  2 года назад

      라떼 역시 고수율도 추출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 잔만 작으면 고농도로 추출 할 수 있겠지만요

    • @haimstory
      @haimstory 2 года назад

      갠적으로 제 오랜 세월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라떼는 룽고로 뽑으면 맛있어요

  • @woo05321
    @woo05321 Год назад

    원두량18g 추출량48g 분쇄도 최대치로 얇게 세팅
    추출시간이 10초 이렇게 나옵니다ㅜㅜㅜㅜ분쇄도 더이상 얇게 안되구요
    문제점 : 과소추출 + 커피맛 싱겁다
    문제가 뭘까요? 살려주세요ㅜㅜ

    • @오잉-o7x
      @오잉-o7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도징량이 18인데 추출값이 약 2.6배에 추출시간이 10초라...... 당연히 분쇄도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분쇄도를 가늘게 해보세요!! 많이요!

    • @오잉-o7x
      @오잉-o7x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라인딩 시간을 동일하게 하고 분쇄도를 가늘게 조절하면 당연히 도징량은 훨씬 적어질겁니다. 그에 맞게 그라인딩 시간도 늘려보시구 추출해보세요~!

  • @곤튜브-l3e
    @곤튜브-l3e 2 года назад +2

    고농도추출시 분쇄도를 더 가늘게 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