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변수 확룰변수이면 뭐 리만적분으로 충분한데 확률공간이 항상 1차원으로 보내는 실가함수에대해서만 정의되지는 않아요 메져러블하기만 하면 진짜 별 이상한 놈들도 데려와서 확룰을 정의할 수 있어요 위상적 데이터분석? 하는 사람들은 실제로 뭐 이상한 영상 데이터를 어떤 수학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그 개념에 대해서 메져를 정의하기도 하더라구요 잘은 모르지만! 핵심은 그냥 밑변 쪼개는 리만썸가지고는 적분이라는 개념을(나아가 확룰을 계산하기가) 확장하기 어려워서 르벡썸을 쓴다고 생각하시면 되어요
설명 진짜 잘하신다..
항상 양질의 강의 감사합니다.
근데 통계학에서 웬만한? 쓸만한?? 확률변수의 cdf는 거의 다 연속함수로 표현할 수 있는데
그리구 연속함수면 리만적분이든 르벡적분이든 딱히 상관없는거 같은데
왜 굳이 르벡적분을 쓰는 건가요??????
불연속한 지점이 가산인 함수면 뭐 르벡이든 리만이든 상관없어요ㅎㅎ 글고 어디까지나 르벡적분은 이론적인 전개를 깔끔하게 하기 위해 나온 수학 개념이지 어차피 실제 프로그램에서 하는 적분 근사는 기본적으로 리만썸입니다
단변수 확룰변수이면 뭐 리만적분으로 충분한데 확률공간이 항상 1차원으로 보내는 실가함수에대해서만 정의되지는 않아요 메져러블하기만 하면 진짜 별 이상한 놈들도 데려와서 확룰을 정의할 수 있어요 위상적 데이터분석? 하는 사람들은 실제로 뭐 이상한 영상 데이터를 어떤 수학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그 개념에 대해서 메져를 정의하기도 하더라구요 잘은 모르지만! 핵심은 그냥 밑변 쪼개는 리만썸가지고는 적분이라는 개념을(나아가 확룰을 계산하기가) 확장하기 어려워서 르벡썸을 쓴다고 생각하시면 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