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베그 측도 알아보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ноя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29

  • @tanganikalee2445
    @tanganikalee2445 5 лет назад +2

    아주 훌륭한 강의 !! 그대의 학문이 더욱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 @졸려버리는
    @졸려버리는 5 лет назад

    와- 정리 너무 좋아-너무 깔금해-이해하기- 편해

  • @정진우-k8s
    @정진우-k8s Год назад

    명강의 입니다.

  • @전현호-r8y
    @전현호-r8y 3 года назад

    1:16 예전에 이 관점을 가지고 길이가 존재하는 것인가를 며칠간 고민해봤던 기억이 있는데 우연히 이 영상으로 만나니 정말 흥미롭게 시청했습니다!!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 @FLareWorks
    @FLareWorks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잘보고갑니다 설명이 진짜 너무 잘 되어있네요...

  • @aerockh
    @aerockh 4 года назад +1

    고생하셨습니다. 최고네요!

  • @bawimann
    @bawimann 5 лет назад +7

    다 이해가 잘 됐는데 맨 마지막에 무리수의 측도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 @mathlab8437
      @mathlab8437  5 лет назад

      네! 항상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무리수 측도에 대한 부분은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한 영상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bawimann
      @bawimann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hyeonminyun84
      @hyeonminyun84 4 года назад

      바위맨 측도는 가산성을 공리로 가짐으로써 정의가 됩니다. 간단히 쓰자면, 두 집합 A B가 서로소 라면 m(A U B) = m(A) + m(B)

    • @hyeonminyun84
      @hyeonminyun84 4 года назад +1

      바위맨 를 만족을 합니다.
      우리가 보는 집합은 [0,1]에서의 무리수 집합인데요. 위 영상 (6:21) 에서 소개한 대로 이를 유리수 부분 무리수 부분으로 나누어 각각을 A, B 라고 합시다.
      저 구간은 측도가 1이고 A, B 두 집합은 서로소 이기에 m(A) + m(B) = 1 을 만족하며 A 는 측도가 0 이므로 B 의 측도는 1이 됩니다.
      물론 우리는 유리수 집합이 메져러블이다 라는 것을 알기에 부분집합 여집합을 취해도 여전히 메져러블 이라고 논할 수 있습니다
      (부분집합을 취해주는 과정이 메져러블을 보장하는건 당연히 아닙니다)

    • @나현호-o2e
      @나현호-o2e 3 года назад

      @@hyeonminyun84 혹시 유리수 길이 측정할때 구간을 입실론이 2로 계속나눠지게 잡잖아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수학영재
    @수학영재 4 года назад +3

    이야! 이해했다
    정말 감사합니다 역시 수학은 말로표현할수없이 신비롭고 대단해...

  • @insupsong8633
    @insupsong8633 4 года назад +1

    르벡측도는 나름 고급?개념이라 딱딱한 교과서 말고 이런 영상이 희소한데 덕분에 잘 봤습니다^-^

  • @파뿌리노랭이펜계정
    @파뿌리노랭이펜계정 Месяц назад

    유리수가 가산집합인건 맞는데 조밀하므로 한 유리수를 포함하는 인터벌을 잡으면 엡실론이 무엇이든 그림처럼 안되지 않나요?

  • @나현호-o2e
    @나현호-o2e 3 года назад +2

    유리수 집학의 측도를 구할때 왜 덮개 구간을 입실론이 2로 계속 나눠지게 잡는건가요?

  • @김미정-u1f7p
    @김미정-u1f7p 5 лет назад +1

    재밌게 보고 가요
    언제나 흥미롭네요.

  • @Anonymous-kj6cu
    @Anonymous-kj6cu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4 года назад

    측도론이 굉장히 중요한 분야인데...
    대중회되어 있지 않아서...
    아무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BIG-initials
    @BIG-initials 3 года назад

    비전공자들에게 항상 말하는게 유리수 집합과 자연수 집합의
    개수는 같다고 얘기하고 다님ㅎㅎ
    지금 내용 실해석학 시간에 공부했는데 뭔 개소린가 하고 공부했는데 방금 이해됐어요

  • @이정현-k4o8k
    @이정현-k4o8k 5 лет назад +1

    흥미로운 내용이네요 역시 수학력발전소!

  • @이강호-z7e
    @이강호-z7e 3 года назад

    덮개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ㅠㅠㅠㅠ

  • @지나이다-l2l
    @지나이다-l2l 4 года назад +2

    모든 덮개합이 2ε인데
    갑자기 르베그 측도가 왜 0이에용?ㅠ

    • @최형준-o6y
      @최형준-o6y 4 года назад +2

      모든 가능한 2e 중에서 하한을 찾아야 되는데 그게 0이에요

    • @지나이다-l2l
      @지나이다-l2l 4 года назад +1

      @@최형준-o6y 감사합니다 🙏 💕 😘

  • @띠용-f8e
    @띠용-f8e Год назад

    무리수가 개많네

  • @bodavoem1711
    @bodavoem1711 4 года назад

    ㅇㅁ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