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7 나머지 3620이죠? 그리고 항상 해깔리는것이 보철근에 대한 정착길이 가 있는데요. 만약 제가 가진 자료에 의하면 Fck 240 보상부철근 hd22 철근이라고 하면 정착길이가 1.41m 입니다 그런데 표준갈고리를 갖는 정착길이라면 표준갈고리 380+표에서 정착길이 430이면 총 0.81m인데 1.41과 0.81은 엄청난 차이 아닌가 해서요
교수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영상 속 배근은 구조일반사항에서 중간모멘트골조-내진상세인가요? 구조일반사항에서 일반설계일 경우 보는 A급인장으로 하라고 나와있어서요.. 좀 헷갈리네요.. 혹시 A,B급 둘다 가능한데 이음 위치가 모멘트를 많이 받는 위치에서는 A급을 쓰고 모멘트가 적은 위치에서는 B급을 쓰는건가요?
1) 상부근의 정확한 의미는 콘크리트 바닥면에서 30cm 위에 있는 철근입니다. 상부근 밑에는 기포가 많이 맺혀서 이음정착을 1.3배 더 길게 해주는 것입니다. 2) 수직부재인 벽체와 기둥의 주근은 세워서 배근하기때문에 상부철근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즉 상부철근은 중력 방향에 직각으로 누워있는, 보나 기초의 철근만 적용됩니다.
@@박찬웅-j8z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은 정착길이를 구할 때 적용하는 계수입니다. A급, B급은 이음길이를 적용할 때 어떤 조건인지를 따지는 것입니다. 물론 이음길이는 정착길이를 기반으로 한 것이므로 같은 개념으로 볼 수도 있는데요.. B급 정착길이라는 구분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음길이를 계산할 때 A급 이음에 해당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때문에 B급이음만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증이 있습니다. 1.그래도 끝단에서는 상단이 중앙부에서는 하단이 모멘트가 좀 더 클 텐데 그 철근을 가공하는 비용도 들고 차이가 없어 그냥 같게 보고 넣는게 경제적이어서 그런것이라고해하면 될까요? 2.철근 정착을 위해 추가한다는 말씀이 이해가 잘 안가는데 끝단같은 경우 상부가 모멘트가 커서 정착을 해도 상부를 해야 할것 같은데 하부를 더 정착해야 갯수가 같아지는데 힘을 덜 받는 하부를 굳이 추가 배근해 정착 한다는 의미인데 그럴 이유가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려요 그러는 이유가 있나요? 혹시 중앙부 하부근의 힘을 단부 하부근을 통해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그러는 건가요?
1. 만일 상대적으로 긴 경간에 인접해 있는 짧은 경간의 경우 긴 경간때문에 부모멘트가 크게 작용하게 되고 그 영향은 짧은 경간에 전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보와 다르게 휨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예를 들어 보단부에 벽체만 있는 경우 벽체 두께가 얇아서 보 상부근의 정착길이를 확보하기 어려워지면 벽체 위에 벽보 등을 만들어서 정착하는 경우를 말씀드린 것입니다. 보는 정착길이를 감안해서 400 이상으로 합니다. @@lmg1317
1. 부모멘트가 전달된다면 인접한 단부의 경우 더욱더 부모멘트가 심해질텐데 이러면 상부근이 더 필요할 거라 생각하는데 단부에서 갯수가 같으려면 하부근이 더 필요 해야하는데 이는 이러한 이유랑 관련이 없는 것 같은데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가요? 부모멘트가 상부근이 많아지는 건데 하부근이 추가되어야 갯수가 같아지는데 잘 매치가 안되네요 2.벽보등을 만들어서 정착하는 것은 상부근을 정착하는 것 아닌가요? 상하부 갯수가 같아지려면 하부근을 정착한다는 의미인데 상부근 정착길이가 부족한 것이 하부근이랑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식도 없고 해결을 하고 싶은데 전달에 있어 부족하나 봅니다. 어떻게 해야 해결할수 있을까요?
처음 질문하셨듯이 모멘트가 크고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보 단부나 중앙부 또는 상하부에 모멘트가 비슷해져서 철근량이 비슷해질 수 있는 경우를 말씀드린 거구요.. 2. 벽체 위에 벽과 직각으로 만나는 보 철근을 정착하기 위해 벽보를 만들면 벽보는 구조적인 역할이 크게 하지 않으니까 위아래에 철근 3가닥씩 배치하기도 합니다.. 이런 것도 상하부철근량이 같은 사례로 말씀드렸습니다.
보의 단부 정착길이를 계산할때 기둥 사이 순경간 값에 외단부는 0.25 내단부는 0.3으로 곱해서 계산하면 되는게 맞나요? 다른 강의를 보니 처음 외단부는 0.25를 적용 했고 끝나는 외단부는 또 0.3으로 적용했길래 여쭤봅니다 이미지가 안올라가는데 하이구조 채널의 보배근-2 동영상에 보면 위에 설명처럼 외단부에 0.3을 적용했더라구요
@@jjong306 6에서 5로 한 가닥이 줄어들면 그 한 가닥을 정착해주면 되는데요. 이 때는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만큼 배근해주셔야 합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0.25나 0.3하고는 관련이 없습니다. 정착길이에 대해서는 다음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uclips.net/video/iwIR4PM8uDY/видео.html
구조도면의 맨 앞에 있는 일반주기사항(General notes)에 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구조설계사무소에 따라 표의 형식과 값이 약간 다르기때문에 개별 도면을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만일 구조도면없으시면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조도면 사례를 하나 올려놨습니다. next-rebar.tistory.com/12
교수님! 일반 사회공사의 시공도면에서 방금 보의 시공을 이해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워보이는데, 원자력공사와 같은 플랜트 도면은 많이 복잡하고 어렵네요. 이런 구조 도면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머리가 돌이라 강의를 몇번씩 반복해서 듣고 또 듣다 보니 오늘 보의 상부근에 대한 이해가 되었습니다. 거듭 감사합니다.
최고입니다
훌륭한 강의 감사합니다!
직원들 교육용으로 최고의 영상입니다. 이 영상을 보게 한 후 ..현장에 동반하여 습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구조도를 보고 그리는 방법이 점 점 좋아지고 있습니다. 직원도 너무 좋아하네요...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신다니 저도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4:37 나머지 3620이죠?
그리고 항상 해깔리는것이 보철근에 대한 정착길이 가 있는데요.
만약 제가 가진 자료에 의하면 Fck 240 보상부철근 hd22 철근이라고 하면 정착길이가 1.41m 입니다
그런데 표준갈고리를 갖는 정착길이라면 표준갈고리 380+표에서 정착길이 430이면 총 0.81m인데
1.41과 0.81은 엄청난 차이 아닌가 해서요
네.. 맞습니다. 표준갈고리를 만들어서 정착했을 때 정착길이가 더 짧게 나옵니다.
@@rebarwork 강의 너무 재밌습니다
그럼 일반적 정착길이는.언제 쓰나요?
@@dl_0528 직선으로 정착이 가능한 경우나 표준갈고리를 만들어서 정착할 때
부재가 두껍지 않아 정착길이를 확보할 수 없을 때 어쩔 수 없이 적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해가 쏙쏙 됩니다^^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는 현직 건축사 입니다... 소가 되새김 하듯이 챙겨 봅니다.. 설계나 감리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유튜브에 훌륭하시분들이 많아서 너무 감사합니다. 너무나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고예요!!
표준갈고리 16d=16*22=352 인데 표380하고는 계산이 다른데 17d~18d가 아닌가요?
안전치를 감안해서 더 길게 정하는 것입니다. 352로 지정한다고 해도 작업자가 정확히 맞출 수도 없고, 혹시 잘못하면 길이가 부족할 수도 있기 때문에 넉넉하게 하는 것입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궁금한 게 있는데 가운데 있는 기둥을 양끝에 있는 기둥에서 처럼 90도 갈고리로 정착하면 안되는 건가요?
그렇게 해도 됩니다. 다만 기둥마다 그렇게 갈고리를 만들어 처리하면 번거롭고 일이 많아지고, 철근을 배근하기도 어려워서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rebarwork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강의 가 귀에 속속 들어 옴니다. 설명을 넘 잘하시네욤
설명굿입니다ㅡ짝짝짝
영상 고맙 습니다 많이 배웁니다
큰보(거더), 작은보(빔)배근 방법 동일하게 적용하면 되는건가요?
작은보는 하부 주근의 정착이 달라지기도 하는데 그 외에는 거의 동일합니다.
죄송합니다 초보자입니다. 단부란게 전부 0.25는 아니네요. 만약 기둥이 4~5개 쭉 있을 때에 외단부 제외 나머지 단부는 0.3으로 계산하는 건가요?? 상부 돕바 도 0.3 만큼 뽑아서 배치하면 되는건지요??
네. 내단부는 0.3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단 양쪽 스팬이 다르면 긴쪽을 기준으로 0.3을 곱해야 합니다.
교수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영상 속 배근은 구조일반사항에서 중간모멘트골조-내진상세인가요? 구조일반사항에서 일반설계일 경우 보는 A급인장으로 하라고 나와있어서요.. 좀 헷갈리네요..
혹시 A,B급 둘다 가능한데 이음 위치가 모멘트를 많이 받는 위치에서는 A급을 쓰고 모멘트가 적은 위치에서는 B급을 쓰는건가요?
일반적인 건물에서는 대부분 B급 인장이음을 적용합니다. 구조계산결과 기둥의 이음부위가 A급 이음의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A급으로 지정했다고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만 구조설계사무실에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rebarwork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피복두께는 어디를 봐야 하는가요?
보의 최소피복두께는 일반적으로 40입니다.
@@rebarwork 답변 감사드립니다. ^^
이번에 구조일반사항을 보는데 보의 외단부에 0.3L만큼 단부를 뽑아주라고 기재되어 있더라구요 무조건 외단부는 0.25라 생각하면 안될거같더라구요
네..구조설계자가 구조물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니 도면에 있는 일반주기사항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영상잘보고있습니다
오늘문득드는생각이있어 글남겨봅니다
구조일반사항에 레미콘규격에따라 철근의 이음정착을 놓고있는데
1)보의 상부근과 일반철근의
이음정착은 상부와하부근이나뉘어져있고 상부근은상부근이음정착을적용하고
일반철근은 하부근이음정착값을적용하면되는지요?
위사항이맞다면
2)상하부근으로 나뉘지않는
수직부재인기둥이나벽의
경우어느경우에 상부근이나일반철근의이음정착을적용해야되나요?
3)상하부근으로나뉘지않을경우 즉 수직부재의경우
상부근의
이음정착이없으므로
일반철근의이음정착길이를
적용해야되나요?
1) 상부근의 정확한 의미는 콘크리트 바닥면에서 30cm 위에 있는 철근입니다. 상부근 밑에는 기포가 많이 맺혀서 이음정착을 1.3배 더 길게 해주는 것입니다.
2) 수직부재인 벽체와 기둥의 주근은 세워서 배근하기때문에 상부철근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즉 상부철근은 중력 방향에 직각으로 누워있는, 보나 기초의 철근만 적용됩니다.
3) 네 맞습니다. 벽체의 수평철근도 상부근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최근 관급공사 철근시공상세를 작성하다보니 여러생각이들어 궁금한점 적어봤습니다
몇가지 더 글남겨봅니다
1)상부근이음정착길이1.3배수의 의미는 안전율과관련된것인지요?A,B급이음과관련된것인지요?
2)아니면 A,B급이음이 안전율과관련된것인지요?
@@박찬웅-j8z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은 정착길이를 구할 때 적용하는 계수입니다. A급, B급은 이음길이를 적용할 때 어떤 조건인지를 따지는 것입니다. 물론 이음길이는 정착길이를 기반으로 한 것이므로 같은 개념으로 볼 수도 있는데요.. B급 정착길이라는 구분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음길이를 계산할 때 A급 이음에 해당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때문에 B급이음만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전율과 안전계수. A,B급이음 상하부이음과 정착길이에대한개념이 잡히는것같습니다
늦은시간 빠른답변 정말감사합니다.부자되세요😊
감사합니다.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한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예시 도면처럼 3개 이상의 기둥이 있으면 보를 중간에 정착시킬 필요없이 계속 이어가면 되는지요. 화면에서는 2개 기둥만을 놓고 설명하셔서인지 두번째 기둥에 정착을 하는 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네. 가운데 기둥에는 정착하지 않고 계속 이어가는 식으로 배치하시면 됩니다.
네. 가운데 기둥에는 정착하지 않아도 됩니다.
구조적으로는 단부는 상부근이 많이 들어가고 중앙부는 하부근이 많이 들어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보 일람표에선 단부나 중앙에서 상부근과 하부근의 철근량이 똑같이 배근하는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문득 궁금증이 들어서요
보에서 상하부근은 보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단부가 상단에 중앙부가 하단에 모멘트가 크게 작용합니다. 그렇지만 경간이 짧으면 상하단이 모멘트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고, 철근 정착을 위해 일부러 추가하는 보도 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추가적으로 궁금증이
있습니다.
1.그래도 끝단에서는 상단이 중앙부에서는 하단이 모멘트가 좀 더 클 텐데 그 철근을 가공하는 비용도 들고 차이가 없어 그냥 같게 보고 넣는게 경제적이어서 그런것이라고해하면 될까요?
2.철근 정착을 위해 추가한다는 말씀이 이해가 잘 안가는데 끝단같은 경우 상부가 모멘트가 커서 정착을 해도 상부를 해야 할것 같은데 하부를 더 정착해야 갯수가 같아지는데 힘을 덜 받는 하부를 굳이 추가 배근해 정착 한다는 의미인데 그럴 이유가 이해가 안가서 질문드려요 그러는 이유가 있나요? 혹시 중앙부 하부근의 힘을 단부 하부근을 통해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그러는 건가요?
1. 만일 상대적으로 긴 경간에 인접해 있는 짧은 경간의 경우 긴 경간때문에 부모멘트가 크게 작용하게 되고 그 영향은 짧은 경간에 전달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보와 다르게 휨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예를 들어 보단부에 벽체만 있는 경우 벽체 두께가 얇아서 보 상부근의 정착길이를 확보하기 어려워지면 벽체 위에 벽보 등을 만들어서 정착하는 경우를 말씀드린 것입니다. 보는 정착길이를 감안해서 400 이상으로 합니다. @@lmg1317
1. 부모멘트가 전달된다면 인접한 단부의 경우 더욱더 부모멘트가 심해질텐데 이러면 상부근이 더 필요할 거라 생각하는데 단부에서 갯수가 같으려면 하부근이 더 필요 해야하는데 이는 이러한 이유랑 관련이 없는 것 같은데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가요? 부모멘트가 상부근이 많아지는 건데 하부근이 추가되어야 갯수가 같아지는데 잘 매치가 안되네요
2.벽보등을 만들어서 정착하는 것은 상부근을 정착하는 것 아닌가요? 상하부 갯수가 같아지려면 하부근을 정착한다는 의미인데 상부근 정착길이가 부족한 것이 하부근이랑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식도 없고 해결을 하고 싶은데 전달에 있어 부족하나 봅니다. 어떻게 해야 해결할수 있을까요?
처음 질문하셨듯이 모멘트가 크고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보 단부나 중앙부 또는 상하부에 모멘트가 비슷해져서 철근량이 비슷해질 수 있는 경우를 말씀드린 거구요..
2. 벽체 위에 벽과 직각으로 만나는 보 철근을 정착하기 위해 벽보를 만들면 벽보는 구조적인 역할이 크게 하지 않으니까 위아래에 철근 3가닥씩 배치하기도 합니다.. 이런 것도 상하부철근량이 같은 사례로 말씀드렸습니다.
보의 단부 정착길이를 계산할때 기둥 사이 순경간 값에 외단부는 0.25 내단부는 0.3으로 곱해서 계산하면 되는게 맞나요? 다른 강의를 보니 처음 외단부는 0.25를 적용 했고 끝나는 외단부는 또 0.3으로 적용했길래 여쭤봅니다 이미지가 안올라가는데 하이구조 채널의 보배근-2 동영상에 보면 위에 설명처럼 외단부에 0.3을 적용했더라구요
단부의 구속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모멘트의 크기를 반영하는 것이라, 외단부에서는 0.25를 곱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내단부에 0.3을 적용할 때 양쪽 경간의 크기를 비교해서 큰 값을 적용해야 하는 것만 주의하시면 됩니타.
@@rebarwork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기둥에 앙카를 접어 정착을 빼줄때 0.25를 곱한다 봐도 될까요? 가끔 배근하다보면 내단부인데 상부 배근이 6으로 가다 다음 스펜에서 섹션이 5로 바뀌면서 배근수가 줄어들때가 있더라구요 그땐 6인부분에 앙카로 접어서 단부를 하나더 빼주는데 이럴땐 앙카접어서 0.25, 0.3중 얼마로 뽑아주나요? 내단부라 0.3이 맞나요?
@@jjong306 6에서 5로 한 가닥이 줄어들면 그 한 가닥을 정착해주면 되는데요. 이 때는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만큼 배근해주셔야 합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0.25나 0.3하고는 관련이 없습니다. 정착길이에 대해서는 다음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uclips.net/video/iwIR4PM8uDY/видео.html
@@rebarwork
제가 질문을 잘못드린거같아요 상부 섹션 5 3 에서 4 3으로 바뀔때 될때 5부분의 3개는 쭉 지나가고 하나는 족싱으로 양쪽 단부 빼주고 5부분에 앙카를 접어서 단부를 하나더 빼줄때 이부분의 단부 빼주는길이가 궁금하네요 앙카를 접기때문에 0.25만 빼주는지 내단부라 무조건 0.3을 빼주는지 궁금하네요
내단부는 외단부보다 모멘트가 크게 발생합니다. 그래서 내단부라면 0.3을 곱해서 빼주셔야 합니다.
정착길이와 이음길이가 나오는 표는 어디서 구할수 있는지요? 표를 구하고 싶어서요. 감사합니다
구조도면의 맨 앞에 있는 일반주기사항(General notes)에 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구조설계사무소에 따라 표의 형식과 값이 약간 다르기때문에 개별 도면을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만일 구조도면없으시면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조도면 사례를 하나 올려놨습니다.
next-rebar.tistory.com/12
안녕하세요?
보 상부배근이 2단 혹은 3단의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슬라브의 배근과 같이,,,,,,, 톱바, 밴드바근으로 구별해서 배열하는 건가요?
보에서는 벤트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2단이든 3단이든 위치만 차이가 있지 다른 주근과 배근방식은 같습니다.
감사하게 잘보고 있습니다.
그렌데 8000-380-430=7190 이 나오는데 어떻게 7320이 되죠?
꼼꼼하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계산기를 잘 못 누른 것 같습니다. 7190이 맞는 값이네요.
@@rebarwork 감사합니다.
교수님! 일반 사회공사의 시공도면에서 방금 보의 시공을 이해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워보이는데, 원자력공사와 같은 플랜트 도면은 많이 복잡하고 어렵네요. 이런 구조 도면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머리가 돌이라 강의를 몇번씩 반복해서 듣고 또 듣다 보니 오늘 보의 상부근에 대한 이해가 되었습니다. 거듭 감사합니다.
주변분들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현장에서 젤 많이 하는 얘기 중의 하나가 모르면 물어보라는 것이 아닐까 싶은데, 그렇게 하다보면 지기만의 노하우도 생기게 되고.... 계속 노력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으시리라 생각합니다.
대한건축학회저 철근콘크리트상세도4판 기문당 노란색커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