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교차부 배근/ 큰보와 큰보 교차부 배근/ 큰보와 작은보 교차부 배근/ 작은보와 작은보 교차부 배근/ 보의 배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1 сен 2024
  • 구조적인 내력을 높이기 위해 보가 교차하는 부위의 철근을 어떻게 배치하는 좋은지 설명합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63

  • @user-rq7kv3xi8u
    @user-rq7kv3xi8u Год назад +4

    많은건설사 시공파트 직원들이 보고배워야 합니다
    요즘 철근 기공들도 모르는사람많죠
    특히나 지에스건설시공파트직원들 나아가서 메이져건설사직원들 수준미달이경우허다합니다 배워야 합니다
    교수님. 대단하심😊

  • @user-il6ke4hu3m
    @user-il6ke4hu3m Год назад +3

    교수님
    알찬 강의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
    계단 배근도 강의 부탁드립니다.
    늘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 @user-dz8cf4wh1g
    @user-dz8cf4wh1g 3 месяца назад

    즐겨보는 채널 감사합니다.

  • @synkie33
    @synkie33 9 месяцев назад

    현장에서 중요한, 지혜의 공유에 감사합니다.

  • @user-vf1sz5pm4e
    @user-vf1sz5pm4e 4 месяца назад

    설명 너무 좋네요. 머리에 쏙쏙 박힙니다. ㅎ

  • @user-wn8fk4dh6l
    @user-wn8fk4dh6l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좋은 강의 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zk1yq2fg8b
    @user-zk1yq2fg8b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gs304980
    @gs30498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 @gs304980
    @gs30498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설명 감사합니다

  • @user-vf9ze5vu9f
    @user-vf9ze5vu9f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dl_0528
    @dl_052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7:18에 춤이더큰 3G1 주근 상부근이 외부로(피복쪽으로) 가야한디고 하셨는데
    7:21엔 3G2z가 상부로 가야한다고 나옵니다
    헛깔려서요

    • @rebarwork
      @rebarwor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지금 보니 표기가 잘 못 되었네요. 3G1, 즉 철근량이 많윽 보가 위로 가야합니다.

  • @차학엽-v1y
    @차학엽-v1y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한수배우가 갑니다,

  • @user-pg5oc2wf4y
    @user-pg5oc2wf4y Год назад +2

    구조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설명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선 저렇게 까진 캐파가 못따라오는게 사실인것 같은데요. 어디까지 하는게 최선일까요? 견해가 있다면 알려주시면 참조하고자 합니다. 현장 감리, 건축설계를 하는 사람입니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2

      어려운 질문이네요. 철근작업도 사람이 하는 일이고, 특히 지금은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라, 배근 품질을 끌어올리기가 더 어려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도 현장에 가면 못 본체 돌아서는 때가 많습니다.
      그래도 댓글을 달아주시는 분들 중에는 철근 작업을 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는 것 같고, 배근 원리를 이해하게 됐다는 분들도 계십니다.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면 서로가 의사소통하는 것도 수월해지고 시공 품질도 더 좋아지지 않을까요?

    • @user-qp8kd4mn3p
      @user-qp8kd4mn3p Год назад

      @@rebarwork 선생님 말씀에 매우 공감합니다. 다른 직군들처럼 체계적인 교육이나 비전이 뚜렷하지 않아 젊은 사람들을 찾아보기가 힘든 실정입니다.
      기업에서는 값싼 노동력만 추구하며 제대로 교육도 안된 해외 인력만을 늘리니 품질이 좋아질 거라 기대하기가 힘듭니다.
      그럼에도 소통하려 애쓰시는 선생님의 아량에 절로 고개가 조아려집니다. 늘 고맙습니다^^

    • @proshin5059
      @proshin5059 Год назад

      @@rebarwork 근본적인 문제는 값싼 외노자의 저질시공과 국내 상급 기능인과의 대우차이가 거의 없음으로 인해 젊은 인력이 유입되지않는 상황인거 같네요. 내국인 기능인끼리도 실력차이가 있어도 일당의 차이가 거의없다시피하기도하구요.

  • @user-tw4fu8wl7l
    @user-tw4fu8wl7l 20 дней назад

    1.철근 이 많은 보의 철근이 철근이 적은 보의 철근 상부와 하부로 교차하는 보의 크기가 같은 경우
    철근이 적은 보의 스트럽높이가 작아져야 하는데 작아지는게 맞는가요?
    2. 철근배근순서가 1.철근이 많은보 하부근 2.철근이 많은보 하부2단배근
    3.철근이적은보 하부근4.철근이 적은보 상부근.
    5.철근이 많은보 상부2단배근.6.철근이많은보 상부근
    이순서가 맞는지 아니면
    1.철근이 많은보 하부근 2.철근이적은보 하부근
    3.철근이 많은보 하부2단배근4.철근이 많은보 상부2단배근
    5.철근이 적은보 상부근..6.철근이많은보 상부근 이순서 가 맞는지요?

    • @rebarwork
      @rebarwork  19 дней назад

      네. 기본적으로 철근량이 많은 보가 바깥쪽으로 가야하므로 스터럽 사이즈가 달라질 수는 있는데 모든 스터럽에 해당하지는 않기 때문에 적절히 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배근 순서 측면에서는 2단근은 25mm간격을 유지하셔야 구조적인 내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량이 많은 보의 2단근이 25mm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근 순서를 조정하셔야 합니다.

  • @user-zb3sl2ps1f
    @user-zb3sl2ps1f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항상감사드립니다
    큰보와 작은보가 춤이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스트럽은 어떻게 가공해야하는지 의문이 드네요
    독일 유튜브에서는 동일하게 가공하고 교차부위에서 한쪽을 밴딩하는게 맞다고함
    (그래야만 보의 유효춤이 높아지니 맞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선 한쪽 스트럽을 작게 가공하던데
    단면 그려서 설명부탁드려요

    • @rebarwork
      @rebarwor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답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 큰보와 작은보의 춤이 같은 경우라도 스터럽 배근 상세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작은보의 상하주근은 모두 큰보의 상하 주근 위에 올라타는 식으로 배근해야 하고, 이 경우 스터럽의 크기가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다른 보와 마찬가지로 배치하면 됩니다. 작은보의 상부 주근이 큰보의 상부주근 위로 올라가게끔 정착하는 것만 주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황방연-u3n
    @황방연-u3n Год назад +1

    현장철근시공반장입니다..
    철근량이 많은 큰보를 상부에 가도록 꼭 해야된다는 시방서가 있는건가요??
    아무래도 시공입장에서는 가닥수가 많은보를 선시공을 우선시하고있습니다.
    이에 대해 안된다는 명시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또한 아래로 갔을시 큰문제가 될지 궁금합니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그런 규정이 명시적으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철근이 원래 위치보다 내려가버리면 그만큼 능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만큼 구조설계를 할 때 가정했던 것보다 내력이 줄게 됩니다. 다행히 구조설계자는 이런 부분을 감안해서 철근을 계산된 것보다는 넉넉하게 넣기는 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었던 것은 구조설계자가 필요한 철근량을 계산할 때 그 철근이 제 위치에 있을 것이라고 가정해서 가닥수를 결정한다는 점입니다.
      우리나라 현장이 시간을 넉넉하게 주지 않고 금전전으로도 타이트하기 때문에, 원칙을 지키기가 쉽지 않다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원칙을 지키고 서로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요?

    • @jasonla3127
      @jasonla3127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철근 시공 반장임님도 설명자도 멋지다 튼튼하고 안전한 좋은건물 많이 만들어주세요!

  • @user-pl8eb9su8s
    @user-pl8eb9su8s 20 дней назад

    이영상을 아마도 5번쯤보고있습니다
    작은보와 큰보에 관련해서 궁금합니다
    작은보의 상부근을 위로가게하는건데
    편하게생각했을때 춤이크거나 철근량이 많은것을 위로하면되는걸까요?

    • @rebarwork
      @rebarwork  19 дней назад

      네. 맞습니다. 힘을 많이 받을 수록 바깥쪽으로 배근하셔야 합니다.

  • @user-pl8eb9su8s
    @user-pl8eb9su8s Месяц назад

    우연히 영상을 보게되었는데 매료되어 항상보면서 공부하고있습니다. 좀 요약해보면 철근이 많이 걸리는 곳을 상부로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그렇게 이해해도될까요??제가 준비중인 도면이있는데 도면에 제가표기를하고 혹시 점검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 @rebarwork
      @rebarwork  Месяц назад

      네. 철근이 많은 쪽이 위로 가는게 거의 맞습니다. 다만 제가 도면 검토까지 하는 것은 무리일 것 같습니다. 제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위치가 아니라 혹시라도 문제가 생기면 모두 곤란해지지 않을까요?

    • @user-pl8eb9su8s
      @user-pl8eb9su8s Месяц назад

      답변감사드립니다~~^^
      그럼 철근이 하부에많이걸리면 그것도 맨바깥쪽에 하는게맞는걸까요?

    • @rebarwork
      @rebarwork  Месяц назад

      @@user-pl8eb9su8s 네. 맞습니다.

  • @O_Ohistoryi
    @O_Ohistoryi Месяц назад

    진짜 철근 기공 20년차 30년차들도 모르시는걸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많이되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있는데 (400)보인데 보는 슬라브 높이보다 낮고 옹벽넓이만(200)만 올라가는경우 보 주철근 보강이 필요없는지 궁금합니다.

    • @rebarwork
      @rebarwork  Месяц назад +1

      말씀만으로는 어떤 구조물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만, 설비배관을 위해 슬래브와 보가 떨어져 있는 경우라면 보 주근을 보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 @O_Ohistoryi
      @O_Ohistoryi Месяц назад

      @@rebarwork 죄송합니다 설명이어렵네요 ㅠㅠ지금상황이 하리높이가 슬라브 높이보다 낮은 경우이고 덧살을 붙일필요가없고 넓이 400하리는 단차부위 밑에있고 슬라브와 옹벽넓이 200 라인만 살짝 올라가는경우 입니다.ㅠㅠ

  • @user-yp4ht1zd9d
    @user-yp4ht1zd9d Год назад

    많이 배워갑니다!! 좀짧게……!!

  • @user-bt6hd4so2o
    @user-bt6hd4so2o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질문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도면상에는 기둥에 보를 정착하는 철근은 표준갈고리로 시공되게 푶기가
    되어있는데 시공사에서 보내온 철근 샾도면에는 정착길이만 확보되면
    표준갈고리를 안해도 괜찮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당 현장은 내진설계 구조인데 어떤게 맞는 것인지 헤갈리내요
    답변 부탁드려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1

      표준갈고리를 안하고 인장철근의 정착길이를 적용해도 됩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면 정착길이가 길어서 철근을 더 낭비하게 되니까 표준갈고리를 만드시는 것이 더 경제적입니다.

    • @user-bt6hd4so2o
      @user-bt6hd4so2o Год назад

      @@rebarwork 내진 설계에도 상관 없나요
      교수님? 궁금합니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user-bt6hd4so2o 네.. 내진설계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peterpark4351
    @peterpark4351 Год назад

    단부나 교차지점에서 철근의 이음이 일어나는 경우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영향이 없을까요?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보통 B급 인장이음 길이를 적용하기 때문에 구조설계기준이나 표준시방서에서는 이음 위치에 대해 특별히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내진 설계된
      중간모멘트 골조의 경우 보와 기둥의 소성힌지구간에서는 겹침이음과 용접이음이 허용되지 않기때문에 이 구간을 피해야 합니다.

  • @user-fz5ls9iu9l
    @user-fz5ls9iu9l 3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전원주택을 지을때 기둥 식 구조 로 갈려고 그럽니다 보 배근 을 할때 창호 주변에 보를 설치를 하면 이걸 하인 방 보라고 부르나요

    • @rebarwork
      @rebarwork  3 месяца назад

      창 상하에 설치하는 가로로 긴 부재를 인방이라고 합니다. 위쪽은 상인방,아래쪽은 하인방이라고 합니다. 콘크리트로 된 기둥과 보로 지지하는 구조방식으로 하신다면, 벽을 벽돌이나 ALC로 할 때 상인방을 신경쓰시면 됩니다.

    • @user-fz5ls9iu9l
      @user-fz5ls9iu9l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리고 제가 노출콘크리트 를 좋아합니다. 이때
      내부 기둥 라운드 처리로 하고 싶은데 혹시 이렇게 되면 기둥 철근배근 이 달라지나요
      아니면 사각 기둥으로 하고 하면 되는건가요

    • @user-fz5ls9iu9l
      @user-fz5ls9iu9l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리고 화장실 은 아치디자인으로 할건대 이거는 철근 배근 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 @user-fz5ls9iu9l
      @user-fz5ls9iu9l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리고 화장실 은 아치디자인으로 할건대 이거는 철근 배근 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 @rebarwork
      @rebarwork  3 месяца назад

      @@user-fz5ls9iu9l 노출콘크리트는 면을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해 신경 써야할 부분도 많고, 콘크리트가 대기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피복두께도 더 두껍게 해야 합니다.
      기둥을 둥글게 하면 상부 보 철근이 지나가기에 간격이 좁은 구간이 생겨서 철근 배근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정재규-m4n
    @정재규-m4n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질문 하나만 드릴께요
    현장에선 락카 라고 하는 보강근이 있는데(정식명칭을 모르겠습니다 .거의 모든현장이 락카 라고 명칭을 합니다)
    락카의 위치와 방향이 구조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싶습니다.
    예를들어 상부근이 8개이고 락카가 2개일때
    보통 양쪽으로 3개씩 띄우고 가운데 두곳에 락카를 마주보게 •••[••]••• 조립을 하는데 맞는건가요?
    가끔 철근이 많이들어가서 •••[••[••• 이렇게 조립할경우도 있습니다.
    이렇듯 철근 중앙에 락카를 배치하는게 맞는지
    락카 갈고리가 마주보게 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락카의 용도가 단순히 보강근인지
    아니면 보를 단면적으로 나누어 힘을 분산시키는건지 알고싶습니다

    • @rebarwork
      @rebarwork  Год назад +2

      (락카 명칭) 현장에서는 레그바, 보조대근, 전단보강근이라고도 하는데, 구조설계기준에서는 전단보강근(shear reinforcement)이라고 합니다.
      (락카 기능) 락카는 스터럽과 같이 보에 발생하는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해서 스터럽으로는 부족하니까 추가로 배치하는 철근입니다.
      (락카 배치) 도면에 표시된 개수만큼 넣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로 부분의 개수가 중요하니까 도면에 표시된 개수에 맞게 꼭 배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둥의 경우에는 일반주기사항에 갈고리를 엇갈리게 배치하도록 명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보의 경우는 특별히 없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구조적으로 본다면 갈고리를 엇갈리게 배치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스터럽 위에 끼우는 캡타이의 경우도 90도로 만든 부분이 항상 슬래브가 있는 쪽에 면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아무래도 90도로 구부리면 복원력때문에 펴질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사실 기둥은 축력을 받아서 벌어지는 힘이 크기 때문에, 띠철근을 반드시 엇갈리게 해야 하지만, 보는 기둥처럼 벌어지는 힘이 크지 않기 때문에 갈고리 위치를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 @정재규-m4n
      @정재규-m4n Год назад

      정말 감사드립니다

  • @lmg1317
    @lmg1317 3 месяца назад

    보의 상부가 단차가있는 경우 상부가 더 높은 보의 상부근을 앙카로 접어 보의 교차부에 넣어 상부근도 단차형태로 배근해도 되나요?

    • @rebarwork
      @rebarwork  3 месяца назад

      늦게 확인하는 바람에 답변이 늦었습니다. 보 상부 단차가 있는 경우 갈고리를 만들어서 아래쪽 보에 끼워넣는 식을 배근하는데, 이 때 아래쪽 보에 끼워지는 부분의 길이(아래쪽 보에 삽입된 부분의 순 길이)가 인장철근 정착길이만큼이 확보가 되어야 합니다.

    • @lmg1317
      @lmg1317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면 아래쪽 보에 끼워지는부분의순길이는 주철근 표준갈고리표에서 A또는G에해당하는 길이만큼 확보되면 된다는 의미인가요? 그러면 보가 25mm철근이면 43cm를 순길이로 봐야한다는 의미죠?

    • @rebarwork
      @rebarwork  3 месяца назад

      @@lmg1317 아니요. 구조기술사에서 권장하는 기준은 A또는 G값이 아니라 인장철근 정착길이만큼 아래쪽 보 안으로 매립되어야 합니다.

    • @lmg1317
      @lmg1317 3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러면 0.6db fy/람다 루트fck공식써서 저희가 25mm상부철근에 항복강도가 500이면 이공식 계산하면 1m나오는데 이러면 낮은보철근에서 1m아래로 내려가야하는건가요?

    • @rebarwork
      @rebarwork  3 месяца назад

      @@lmg1317 네. 인장철근 정착길이를 적용하면 그렇게 될 것입니다. 보 춤이 작으면 구부려서라도 인장철근 정착길이를 확보해야 합니다.

  • @manevemaa5367
    @manevemaa5367 3 месяца назад

    콘크리트가 압축력은 크고 인장력은 약하다로 하지말고 철근과 비교해서 수치로 알려줫음 좋겟습니다.

    • @rebarwork
      @rebarwork  3 месяца назад

      철근 규격이 항복강도를 나타냅니다. 즉 SD400은 인장력에 대한 항복강도가 400Mpa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지금은 보통 SD500이 많이 쓰입니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로 나타내는데 보통 30Mpa이하가 사용됩니다. 물론 고강도콘크리트라면 40Mpa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