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 방법 알려줄게"│점프력의 비밀 #2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8 окт 2024

Комментарии • 97

  • @physical_engine
    @physical_engine  Год назад +4

    구독자 점프 피드백 링크
    ruclips.net/video/JuSHvr6s_z4/видео.html

    • @곽첨산
      @곽첨산 7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까지 연구하신거 논문이나 책으로 낸다면 우리나라 스포츠 발전에 크게 기여하실거 같습니다

  • @study4527
    @study4527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와.. 영상 퀄이 진짜 돈주고 들어야할정도;; 완전 이해됐습니다

  • @godkevin_
    @godkevin_ Год назад +4

    고관절 힌지 없이 무릎 힘만으로는 의자에 앉아 있다가 일어나는 것도 조금 높은 계단을 오르는 것도 힘듭니다
    실험 해보시면 이마를 탁 때립니다

  • @EUITTI
    @EUITTI Год назад +8

    어부바만 해봐도 알겁니다
    힌지를 사용해서 무게를 버티는 것과 무릎 허벅지로 버티는 힘이 차원이 다르다는 것을
    고로 지면에 밀수 있는 힘과 점프가 관계있다는 것을 알면 답이 나오죠 오늘 영상도 잘 봤습니다

  • @상추키우기-f8y
    @상추키우기-f8y Год назад +5

    이 영상은 스포츠 트레이너들과 스포츠 사이언스를 하는 사람들 모두가 알아야할 영상같다. 힘은 무릅과. 앞허벅지(대퇴사두근)은 보조고 진짜힘은 고관절에서 나온다는거

  • @Dunk_challenge
    @Dunk_challenge Год назад +7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분석해주신 영상에서 영감 받아 훈련해서 현재 앨리웁까지는 가능해졌습니다. 그렇기에 재능차이라 치부해버리는 사람들은 성장할 수 있는 그릇이 거기까지인 것 같습니다. 저는 더 성장할 거고 분석과 알맞은 훈련을 믿고 끝까지 해보겠습니다 💪💪

  • @안상연-d8t
    @안상연-d8t Год назад +18

    저는 181에 92kg정도 나가는 고3입니다 중학교 2학년때까지 태권도 선수를 했었어서 발목이랑 종아리가 엄청 두꺼워서 점프를 무릎정도 밖에 못뛰었습니다 그래서 105kg까지 몸무게가 늘어났을 무렵에 농구를 하는데 너무 힘들어서 감량을 하다가 몸이 가벼워지는것을 느끼고나서 점프를 올리는데 관심이 생겨 형님 영상을 찾아보고 후면사슬운동이라는것을 알게 되어서 헬스장에가서 후면운동을 시작했고 그 전에는 백보드에 손가락 2마디가 모자랐었는데 지금은 손가락 3마디까지 다 닿습니다 14cm 정도를 고작 후면사슬운동 1개월만에 일궈내었다는것에 대단히 놀랐습니다 제가 뛰면서도 이게 맞나? 생각이 들정도로 눈에띄는 변화가 있었구요 나중에 구독자 점프 피드백을 다시 진행하신다면 여름이 지나서 덩크하는 모습으로 뵙겟습니다 앞으로 더 좋은영상 기대하겟습니다 정말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successdiary
      @user-successdiary Год назад

      와… 저도 손가락 세마디 정도 지금 부족한데 후면사슬 운동 지금부터 해보겠습니다

    • @희태-e8j
      @희태-e8j Год назад

      체중감량 하시면 더 뛰실 수 있으실거에요

    • @jimmyj8516
      @jimmyj8516 Год назад

      후면사슬 뭐시기 관련영상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kjs37768
    @kjs37768 Год назад +2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 @만물의영장
    @만물의영장 Год назад +3

    이거 보면서 왜 제 점프가 안될지 자세 분석하니까 진짜 고관절힌지가 덜 접혀있네요!!

  • @하우루
    @하우루 Год назад +8

    진짜 점프력 관련 모든 영상 정독한 저로서도, 이런 관점의 접근은 국내에서 처음 보는 것 같네요. 국대급의 무릎, 허벅지 힘에 이런 훈련이 추가 된다면 어떤 괴물이 탄생할 지 ㄷㄷ

    • @asdqwe_
      @asdqwe_ Год назад +1

      저런 훈련함ㅋㅋㅋ

  • @Belblel
    @Belblel Год назад +4

    이론 영상이나 예시 설명은 좋은데 조금 만 짧게 하고 본인이 직접 시연하는 모습이 나오고 훈련영상으로 이어지면 더 좋을거 같아요 영상이 이랬다 저랬다 서론 본론 결론이 다 섞여 있는거 같아요..ㅠㅠㅠ 지금 영상은 설명이 아니라 자기 얘기 하는느낌 ㅠㅠ!!

  • @baqusa5080
    @baqusa5080 Год назад +1

    대단합니다. 이런 정보를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치아의요정
    @치아의요정 Год назад +32

    미식축구 훈련하는거 보면 개멋있음

    • @physical_engine
      @physical_engine  Год назад +1

      제 미식축구 훈련 영상도 곧 올라옵니다 ㅎ

  • @essentialview83
    @essentialview8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이 채널 좀 치네
    구독합니다

  • @nohjh93
    @nohjh93 Год назад +3

    스쿼트와 데드리프트도 고관절로 지탱해서 할 수 있다는게 흥미롭네요 항상 무릎 부상을 달고 살았는데 한번 도전해봐야겠어요

    • @joonlee7131
      @joonlee7131 Год назад

      유튜브에 로우바스쿼트 검색!

  • @거리에서-n2h
    @거리에서-n2h Год назад +2

    그 옛날 전성기 시절...
    역도 전병관 선수의 점프를 본 사람들이 가장 많이
    했던 말이 떠오른다. 어떻게? 였다.
    점프가 아닌 뜬다라고 말한 지인분의 말이 가장 기억이 남는구나!
    155cm...

  • @영민하게-w3p
    @영민하게-w3p Год назад

    고관절을 쓴다는 의미가 처음으로 와닿았네요.

  • @HUMANLIFE-up2kv
    @HUMANLIFE-up2kv Год назад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 @joonlee7131
    @joonlee7131 Год назад +2

    코킹이 강해져야 한다=등허리가 구부정해서 늘어나면 보상이 된 것이므로 둔근, 햄스트링, 대퇴사두 등이 늘어날 필요가 없어 강한 수축력을 만들지 못함

  • @지금성실정진
    @지금성실정진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피지컬 엔진 👍
    정말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 피지컬 엔진 구독 좋아요 >

  • @user-user-user-user-user-usre
    @user-user-user-user-user-usre Год назад

    진짜 좋은 정보의 채널입니다 햄스트링유연성은 상관없나요? 다리찢기할 수 있는게 좋을까요?

  • @정회동-w8k
    @정회동-w8k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레이업처럼 점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동작은 고관절 사용을 어찌 해야하나요.
    지금 보여주시는건 제자리점프 위주 같아서요 ㅠㅠ

    • @유타랩터-r8s
      @유타랩터-r8s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도 이게 궁금합니다 일반적인 점프슛을 쏠때도 틀린예시로 보여준 썸네일의 첫번째 형태를 선수들도하지 옳은 예시로 보여준 두번째 자세로 슈팅을 하지는 않죠

    • @noobjumpererr
      @noobjumpererr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레이업하는데 높게 뛸필요가있나요 ㅋㅋ

  • @836괴물쥐
    @836괴물쥐 6 месяцев назад

    헉시 레이업 하면서 점프할때.드리블시 자세를 낮춰서 드리블하다가 점프하는게 높은자세에서 드리블하다가 점프하는것보다 높을까요?

  • @김무르
    @김무르 Год назад +2

    햄스트링 유연성도 중요하겠네요

  • @littleboy5093
    @littleboy5093 Год назад

    깨달음을 얻었다

  • @콘우
    @콘우 Год назад +4

    한 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아킬레스건이 짧으면 높은 점프가 힘든가요?

    • @sonhuengmin1
      @sonhuengmin1 Год назад

      저두 궁금합니다

    • @strength123
      @strength123 Год назад

      제생각이지만 아킬레스건이 짧으면 가동범위가 충분이 안나와서 점프, 달리기 다불리할것 같애요

  • @NaturalHwaN
    @NaturalHwaN Год назад

    스쾃도 하이바 스쾃보단 로우바 스쾃으로 고관절 후면사슬위주로 운동하는게 좋겠네요

  • @베넥짱
    @베넥짱 Год назад +6

    피.엔 채널이 어디인가요?

    • @ichimiseo
      @ichimiseo Год назад +2

      여기 피지컬 엔진 채널입니다

  • @아마추어-d1j
    @아마추어-d1j Год назад

    아이 달리기 운동을 시키려고 하는데 저항이 낮으면서 부상없이 할 수 있는게 있을까요?

  • @꽝둥
    @꽝둥 Год назад

    영상 정말 잘 보고 있는데 제멀도 같은 원리 인데 앞으로 뛸려는 각도만 바꾸면 되는 건가요? 😢

  • @user-ji4ym9op2m
    @user-ji4ym9op2m Год назад

    군대에서 무릎을 다치는 바람에.... 고관절 운동이 힘들어요 ㅜㅜ 40키로 들어도 무릎이 시림..

  • @김완선-l6j
    @김완선-l6j Год назад

    질문이 있습니다.
    이탈리아 100M 선수 영상을 예로 들어 모든 구간에서 플라이오 매트릭 원리로 달린다고 하셨는데
    마리톤도 플라이오 매트릭 원리로 달릴수 있나요?
    마라톤은 그렇게 달리면 너무 빨라지고 금방지쳐서 적용할수 없는건가요?

    • @LaLa-fk2qz
      @LaLa-fk2qz Год назад +1

      해외의 장거리 선수들도 아킬레스건을 단련합니다. 힘줄의 탄성을 이용한 달리기는 힘줄의 구조적인 탄성을 이용한 에너지 순환 시스템이라서(스프링을 달고 뛰는거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체력 조절에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킵초게의 포어풋 스트라이크(앞꿈치 주법)가 그 방법인거죠. 하지만 구체적으로 같은 주법이어도 부상확률을 낮추려면 어떤 자세여야하는지 알아야할것같고, 힘줄의 탄성을 메인으로 장거리를 달리기 위해서는 잘 훈련된, 강화된 힘줄이 필요할 것같습니다.

    • @wrldjuice4855
      @wrldjuice4855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마도 플라이오매트릭을 그렇게 오래 사용한다면… 관절이 다 부서질것같습니다…

  • @basindiablo2
    @basindiablo2 Год назад +1

    질문 있습니다..! 제가 농구 1대1 공격할 때 드리블 전 공을 아래로 떨구고, 허리를 숙이는 자세로 시작을 많이 하는데 우연히 거울을 보고 해보니 등이 위 영상 그림 모델처럼 굽어있더군요, 농구 돌파에 적용해서도 의식해서 허리를 펴는 게 폭발력에 도움이 될까요? 너무 당연한 질문처럼 보이지만 돌파 전 자세에도 응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싶어서요

    • @basindiablo2
      @basindiablo2 Год назад

      @운동도전기 영상 제목이 뭘까요?

    • @basindiablo2
      @basindiablo2 Год назад

      @운동도전기 감사합니다

  • @마석도-q3u
    @마석도-q3u Год назад +2

    질문이 있습니다 점프력이 좋아지면 스피드도 빨라질까요??

    • @kimjjim
      @kimjjim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도 이거 궁금 연관있는듯

  • @이각구
    @이각구 Год назад

    엔진님 영상을 다보았지만 그 운동방법같은경우에는없네요 ㅠㅠ

  • @이영호-c3s
    @이영호-c3s Год назад +2

    정성 가득하고 퀄리티 높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각종 퍼포먼스에는 대퇴근이 제일 중요한 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 그렇다면 프론트나 하이바가 아닌 로우바 스쿼트를 하는 것이 오히려 더 실전적일 것 같은데 제 궁금증이 맞을까요? 아무래도 고관절이랑 햄스트링을 많이 사용하니까요.

  • @준이-b2z
    @준이-b2z Год назад

    흡연이 수행능력 감소에 크게 작용할까요

  • @김치-h9c
    @김치-h9c Год назад

    한발 점프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 @변광복-w1g
    @변광복-w1g Год назад +5

    늘 응원하는 일인1빠

  • @최시현-d2o
    @최시현-d2o Год назад

    그래서 많은 힘을 가동시키기 위해 로우바스쿼트류

  • @sunminkim299
    @sunminkim299 Год назад +2

    강력한 고관절 신전 파워가 핵심적으로 중요한 것은 맞으나, 무릎과 발목 관절의 신전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광근들에 의한 무릎 폄 파워뿐만 아니라, 이중 관절 근육들은 하나의 관절에서 발생한 힘을 인접 관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그 예로 대퇴 직근은 고관절의 신전력을 무릎의 신전력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광근들의 파워가 뒷받쳐주지 않으면 힘 전달의 효율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고관절에서 아무리 큰 힘을 생성해내도 무릎과 발목의 파워가 떨어지면 무용지물인 것이죠. 너무 하나의 특정 관절만을 바라보는 흑백 논리가 아닌 어떤 관절이 언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hakim9330
    @hakim9330 Год назад

    방에서 따라한다고 고관절 접어서 점프했다가 천장이 부셔졌습니다.

  • @만물의영장
    @만물의영장 Год назад

    이거 보니까 점프 잘하는 영상 찾아보니 전부 고관절 씀 ㄹㅇ 이건 진리였다

  • @jaehistory
    @jaehistory Год назад

    잘보고있습니다~

  • @신경환-x5m
    @신경환-x5m Год назад

    zzzz미친 마약에 스쿼트 적용 댕 참신하네요

  • @onlylegday
    @onlylegday Год назад +1

    그래 제멀 잘뛰던 애들 모습이 비슷했어

  • @Won808
    @Won808 Год назад

    스타트 개멋지다

  • @younggwang87
    @younggwang87 Год назад

    26kg아령 한쪽에 26kg인가요?

  • @jihokim0510
    @jihokim0510 Год назад +1

    얼마나 높이 뛰어질까 하다가 천장 박아서 윗집에서 내려옴

  • @이강한-x9m
    @이강한-x9m Год назад +1

    고관절 ㅇㅈ..

  • @harveyspecter1850
    @harveyspecter1850 Год назад

    햄스트링 가동성도 엄청 중요하겠다

  • @thinkbigxfo8419
    @thinkbigxfo8419 Год назад +2

    러닝 투풋 점프는 상체 숙이면 안됩니다
    타이밍이 안나옴
    마치 높이뛰기 원풋 러닝 점프하는데
    상체 숙이라는 것과 같은 오류

  • @jinsookim4917
    @jinsookim4917 Год назад

    🙇‍♂️

  • @내가옳아
    @내가옳아 Год назад

    그래서 역도 선수들이 점프력이 높은거구나...

  • @figun755
    @figun755 Месяц назад

    프로펜타닐러들 예드는 거 개웃기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KY00
    @DKY00 Год назад

    0:44

  • @zerosome-h3s
    @zerosome-h3s Год назад

    체고에영😂

  • @jimmyj8516
    @jimmyj8516 Год назад

    대부분 주인장보다 덩크 잘하네 ㅋㅋ

  • @mYwRdSskRzYStt
    @mYwRdSskRzYStt Год назад

    착지시 고통은 어쩔수 없노

  • @1상태
    @1상태 Год назад +2

    승진이가 백색근어쩌고 올렸는데 뭐라좀해라

    • @joonlee7131
      @joonlee7131 Год назад +4

      그것도 맞는데? 건강해지는 방법이 영양, 운동, 휴식, 스트레스 해소 등 여러 방법이 있듯이 고관절 하나만이 유일한 정답은 아님

    • @koboy765
      @koboy765 Год назад

      @@joonlee7131 그런데 더 최신과학으로 말하자면, 각자 타고난 적색근 백색근 비율은 안바뀜. 대신 적색근이 a,b로 나뉘는데 파워훈련 인터벌훈련등으로 백색근 비슷한(절대 백색근x) 타입으로 바꿀 수 있을뿐이지 당연히 엄청난 노오력은 필수

    • @koboy765
      @koboy765 Год назад

      @@joonlee7131 그리고 영양,운동,휴식등등은 자기가 타고난 몸에서 최고의 아웃풋을 만들기 위한 컨디션관리지. 애초에 타고나서 한계치가 다른거는 못 따라잡음. 근육질,양,종류 보다도 타고난 골격,체형에 따른 각부위별 뼈강도,굵기,길이가 엄청난 차이를 만듬

  • @diploma277
    @diploma277 Год назад +15

    경기도 1위 시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HyperAmateur
    @HyperAmateur Год назад +2

    1빠

  • @TV-im3md
    @TV-im3md Год назад +1

    2빠

  • @diploma277
    @diploma277 Год назад +2

    고전역학 좀 배워서 설명하면 좋을 듯 고전물리학적 설명이 너무 빈약하네요

    • @diploma277
      @diploma277 Год назад

      돌림힘 공부 ㄱㄱㄱ

  • @TV-ek8bz
    @TV-ek8bz Год назад

    내가 뭘 할 수 있는데

  • @elonmusk7007
    @elonmusk7007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어나니무스-q1h
    @어나니무스-q1h Год назад

    잘알겟습니다

  • @몰라몰라-k1v
    @몰라몰라-k1v Год назад +1

    딱케틀벨스윙자세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