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Комментарии • 153

  • @tvNOfficial
    @tvNOfficial  2 года назад +3

    언제 봐도 유익한 [#알쓸신잡] 시즌2 정주행하기😎
    👉 ruclips.net/p/PLgbB1gJhmG7BW2B6lZ4NFGLlzZTBjzfGH

  • @lotuslakelet
    @lotuslakelet 4 года назад +254

    우리가 아름답다고 하는 것들이, 문제해결을 위한 답인거예요..... 우왕.우왕입니다.
    실사구시가 기어이 예술이 되는.

    • @knox9798
      @knox9798 3 года назад

      다이슨의 철학이 그렇습니다.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 @春泥棒
    @春泥棒 4 года назад +258

    진짜 소름이다 한옥구조의 여러가지 비슷한 이유들을 들었지만 이런 이유는 처음듣네

    • @brabbit1149
      @brabbit1149 2 года назад +3

      저건 한옥뿐아니라 동양에서 나타나는 행태임

  • @user-fe5ep6yb2t
    @user-fe5ep6yb2t 4 года назад +221

    건축이야말로 인문학적 소양과 물리화학적 지식, 재료에 대한 이해까지 모두 중요한 종합예술이면서 과학이죠.

    • @user-qf7eh9ks1f
      @user-qf7eh9ks1f 4 года назад +2

      그렇네요
      저는 건축이 그냥 건물 뚝딱뚝딱 튼튼하게 짓고 그냥 그걸로 끝인줄 알았는데...

    • @lotuslakelet
      @lotuslakelet 4 года назад +17

      그렇죠. 과학과 기술을 기반으로한 최고의 예술.

    • @cmania72
      @cmania72 4 года назад +9

      @@user-qf7eh9ks1f 건축과 건설의 차이죠

    • @redfrost6354
      @redfrost6354 Год назад +2

      @@user-qf7eh9ks1f 모든그렇지

    • @sgpark9689
      @sgpark9689 Год назад

      @@redfrost6354 뭐가 그런데?

  • @travellerworld8966
    @travellerworld8966 4 года назад +218

    고궁이나 고택을 방문했을 때 이런 해설을 들어야 하는데....

  • @leokenygud
    @leokenygud 4 года назад +157

    아름다움에도 이유가 있다.
    그 속엔 과학이 들어 있다.

    • @user-vx7mh5fw6g
      @user-vx7mh5fw6g 3 года назад

      멋진 말이네요

    • @leokenygud
      @leokenygud 3 года назад

      @@user-vx7mh5fw6g 감사합니다.

    • @user-nu9rx8uv9j
      @user-nu9rx8uv9j 3 года назад

      0:00

    • @package4587
      @package4587 2 года назад

      과거엔 경험으로 터득했던 과학이라면
      이제는 수학으로 계산하는 아름다움

  • @user-uv9gx2oz6x
    @user-uv9gx2oz6x 3 года назад +91

    와... 이런 지식을 도서관 뒤지지않고 침대에 누워서 알 수 있는게 감사하다

  • @sookmo6700
    @sookmo6700 Год назад +12

    개인적으로 알쓸신잡 본것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이였음.. 관심도 없던 곳에 대한 눈이 떠지고 지식이 늘어난 기분. 이 장면 처음봤을때 심장 두근거림이 잊혀지질않아

  • @bourneethan3190
    @bourneethan3190 4 года назад +170

    외국애들 맨날 경복궁 창덕궁 볼 때 안내사가 이런 설명도 반드시 해야한다고 봄

    • @user-df5lo1ce8g
      @user-df5lo1ce8g 4 года назад +3

      공감해요 ㅋㅋㅋ

    • @jesspark7432
      @jesspark7432 4 года назад +10

      맨날 처마의 곡석이 산을 닮았다 이런거 말고...

    • @user-vm1db6zn9t
      @user-vm1db6zn9t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디서 뭘 들었는지..안내사들이 공부를 얼마나 하는데 댓글에 지적들이야. 안내사분들 이미 다 알고 있고 비교하면서 설명하거든...함부로 지적질 하지 마세요

  • @user-yg9ux6sy7u
    @user-yg9ux6sy7u 4 года назад +41

    왜 교과서에는 저런 내용이 없었을까 맨날 곡선의 미 어쩌구만 본것 같은데..

  • @user-tk7tz8lr2u
    @user-tk7tz8lr2u 4 года назад +14

    음.. 그런 이유도 충분히 있을 수 있지만 더 중요한건 추녀라는 물건은 원래 지렛대 역할이 더 큰 법인데 지렛대의 힘점은 모서리 기둥 위 가 됩니다.
    만약 나무의 두께가 일정한 추녀를 쓰면 힘점에 부과되는 하중이 많아서 부러질 수도 있지요 그래서 힘점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게되고, 그러다 보니 추녀가 많이 들려지게 됩니다.
    그리고 추녀의 길이는 바깥 길이와 안쪽 길이가 1대 1이 되게 만들지 않고 안쪽 길이가 더 길게 만듭니다만, 그래도 처마쪽 지붕의 하중이 많이 실리게 되어 추녀 뒤부분이 들리는 현상을 종종 봅니다. 구조적으로 그리하면 안되지만 처마 곡선 이쁘게 만들려고 욕심부리면 고장이 나게 되어 있지만 사람 욕심이 화를 부릅니다.
    과도한 처마곡과 처마내밀기는 화를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 @SSangSSong
      @SSangSSong 4 года назад

      흠,.. 말이 어려워 이해를 못하겠군요 주륵

    • @kk-iy9dl
      @kk-iy9dl 3 года назад

      현장의 지식이군요. 제일 명쾌한 답 같습니다.

  • @lllllllilllllilil
    @lllllllilllllilil 4 года назад +131

    한옥은 못을 안쓰고 조립식이라는게 정말 대단한점임

    • @abcdefghi446
      @abcdefghi446 4 года назад +2

      그만큼 쇠가 귀했을수도 있죠..

    • @aabaaxsdag
      @aabaaxsdag 4 года назад +8

      @@abcdefghi446 쇠가 귀하기보단 당시 우리는 목재를 서로 연결시킬 철물을 만들 주조기술이 없었습니다 귀한것보단 그냥 못만들었음....

    • @SO-oy2li
      @SO-oy2li 3 года назад +12

      @@aabaaxsdag , @S.h Kim 두분 다 무슨 소리...일본도 그렇고 원래 동아시아 건축 특징중 하나가 못 쓰지 않고 조립형으로 짓는겁니다...뇌피셜 좀 그만 퍼뜨리세요

    • @aabaaxsdag
      @aabaaxsdag 3 года назад +4

      @@SO-oy2li 접합철물을 만드는 기술이 없어서 조립식으로 발전했다는 견해를 말씀드린겁니다

    • @aabaaxsdag
      @aabaaxsdag 3 года назад +3

      @@SO-oy2li 애초에 원래라는게 대체 어디있는지..? 어떤 기술이 특정 방향으로 발전했다면 반드시 그 이유가 있는법인데 원래그렇다....?

  • @user-fr2ul9jp9n
    @user-fr2ul9jp9n 4 года назад +9

    유명한 물리학자가 말햇지 . 왜 과학자가 아름다움을 보는 안목이 부족할거라고 생각하느냐. 과학자는 꽃잎을 봐도. 예술가가 볼 수 없는 근본적인 원리를 본다는거지. 세포하나하나의 활동과 그것이 어우러지면서 이루어지는 광합성 호흡 등..자연의 이치에서 오는 아름다움을 우리는 볼수 있다고.

    • @user-cc1kh6fp1g
      @user-cc1kh6fp1g 4 года назад

      혹시 어떤 물리학자인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말이 너무 좋아서요

    • @user-fr2ul9jp9n
      @user-fr2ul9jp9n 4 года назад

      @@user-cc1kh6fp1g 파인만입니다 광합성은 얘기가 없군요 더욱더 미세한 원리를 보면서 아름다움에 더해 느낄수있는게 많다는 취지네요. 꽃이 곤충을 유혹하는 점에서도 더생각해볼게 있다. 그렇다는건 곤충은 색을 느낄수 있고 나아가 아름다움을 느낄수 있는가에 대한 탐구. 그런오만가지 자연의법칙들이 감상에 어우러진다는거죠. 예술가로서는 그게 고리타분한 숫자놀음으로밖에 안보이지만 과학자의 눈으로는 그것까지 아름다움이라는거죠

    • @user-cc1kh6fp1g
      @user-cc1kh6fp1g 4 года назад

      @@user-fr2ul9jp9n 오.. 감사합니다!

    • @user-cc1kh6fp1g
      @user-cc1kh6fp1g 4 года назад

      @승리쟁이 감사합니다 잘 볼게요

  • @mint3892
    @mint3892 4 года назад +45

    알면 보이는 세계...

  • @daekingt.1885
    @daekingt.1885 4 года назад +22

    이 내용이 유현준 교수님의 책인 '어디서 살 것인가'에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재밌어요 한 번 읽어보세요

  • @user-Mocushura
    @user-Mocushura 4 года назад +12

    그리고 추가로 절에 들어가실때 대웅전 정면에서 보시면 처마끝이 뒷편 산능선에 맞게 실루엣이 겹치게 짓습니다
    자연을 해치지 않고 녹아드는 건축법!

  • @KPR-dg8oe
    @KPR-dg8oe 3 года назад +3

    진짜 3해줘요... 알쓸신잡 끝나고 멍청해지는 느낌이란 말이예요ㅠㅠ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4 года назад +63

    이거 보니 고대 일본 목조 건물들이 오래 못 가는 원리가 생각나네

    • @user-qf7eh9ks1f
      @user-qf7eh9ks1f 4 года назад +6

      무슨 원리인가요?
      건축학에는 아는게 없어서 궁금하네요

    •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4 года назад +19

      @@user-qf7eh9ks1f 습도가 높은데 보완할 건축기술이 덜 발전 했기 때문입니다 기원이 오래된 이세신궁의 경우엔 20년마다 새로 짓는데 추측하는 이유 중 하나가 건물이 낡아지기 때문이죠 일본은 중국과 우리나라로부터 건축기술을 도입하는데 백제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큰 절을 지을때 백제인들의 기술력에 많이 의존했죠 물론 천천히 일본식으로 건축을 발전시킵니다 여기 영상처럼 지붕 구조도 독특한 양식도 나오죠

    • @user-qf7eh9ks1f
      @user-qf7eh9ks1f 4 года назад +9

      @@user-li1id6oj7e
      오호.... 섬나라라서 습도가 높아 다다미를 깐다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그게 건축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은 몰랐네요...
      감사합니다. 많은 공부가 됬습니다.

    • @lotuslakelet
      @lotuslakelet 4 года назад +9

      @@user-qf7eh9ks1f --질문과 답. 답에 대한 감사표시. ㅎㅎㅎ. 오랜만에 훈훈하니 마음이 다 따땃~~합니다.

  • @gpgp2529
    @gpgp2529 4 года назад +34

    이 양반이 우리나라 유적지 책을 써야하는데.. ㅋ

  • @monggus1838
    @monggus1838 3 года назад +8

    이제야 보게된 영상이라
    뒷북치는 것 같은 질문이지만 합니다.
    디자인 기본에서 나오는 '이유있는 선'에 대한 해석은 인정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나무가 썩지않게하기 위한 해석)
    하지만 한옥에서 북쪽기둥의 경우와 섬이라 습도 높고 비가 오는 일본의 경우는 어떤 해석이 될지는 더 궁금하네요.😄

  • @justjustwalk
    @justjustwalk 4 года назад +6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말을 한옥의 처마에서 찾게되네요ㅎ

  • @user-eh5sk6gt7h
    @user-eh5sk6gt7h 4 года назад +1

    진짜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 @user-lw9mg8hi2z
    @user-lw9mg8hi2z 3 года назад +1

    우아 넘 신기해서 재밌다🥺

  • @package4587
    @package4587 2 года назад +1

    소름 돋았습니다. 교수님 건강하시고 더 번창하세요.

  • @timecenter
    @timecenter 4 года назад +1

    햇빛 만이 아니라 바람과 환기가 잘되게 하는 목적도 있구요. 강풍에 집안으로 바람이 덜 들어오죠.기단 역시 바닥 습기와 바닥흙먼지를 맊는 역활까지 포함 됩니다.

  • @nameno831
    @nameno831 4 года назад +2

    정말 알면 알수록 신비하네. 많이 알아야 되겠다

  • @user-xv5ci2uo5e
    @user-xv5ci2uo5e 4 года назад +1

    와! 새로 알았는데
    어디가서 아는체 해야겠어요🤣🤣🤣

  • @user-pk5kb7ew7c
    @user-pk5kb7ew7c 3 дня назад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란말 다시한번 되새깁니다 ㅋㅋㅋ

  • @caomos
    @caomos 4 года назад +3

    멋진 지식!!

  • @user-qn2nu5td1d
    @user-qn2nu5td1d 3 года назад +1

    재미있다!

  • @babjom
    @babjom 3 года назад +2

    진짜 우와~ 하게 만든다 ㅋㅋㅋ

  • @user-gv5ll7zc1x
    @user-gv5ll7zc1x 4 года назад +12

    이분이 얘기하는거 다 재밌는것ㄱ닽어

  • @user-dw1yw1tw4d
    @user-dw1yw1tw4d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갑자기 궁굼해 졌는데 오키나와의 전통건축물 추선이 급한곡선이 아닌데 이는 무슨 연유에서인가요?

  • @junytt
    @junytt 4 года назад +1

    전통건축 수업들어보면 진짜 그 과학적인 방법에 지리지

  • @Bohemian5380
    @Bohemian5380 4 года назад +4

    한, 중, 일 추녀선이 확실이 다름~~ ㅎㅎ

  • @withttona
    @withttona 2 года назад +6

    건축가님 처마나 추녀나 기단이 해가 들어가서 기둥을 말리게 함이라고요? ㅎㅎ
    한중일 목조 건물에서 한옥만이 유일하게 태양과 바람을 이용한 과학적인 건축물입니다.
    오늘 주제에 해당되는 부분인 처마의 각도나 기단을 쌓아 올린 한옥에 대한 과학적인 내용입니다.
    지붕이 기둥을 비에 젖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죠
    설령 비에 젖더라도 북쪽은 해를 거의 보지 못하지만 바람에 의해 쉽게 건조되도록 노출되어 설계되었습니다.
    1. 지붕의 끝자락인 처마는 겨울에는 해가 들어오고 여름에는 태양을 차단하는 기능을 합니다.
    처마를 통한 가장 이상적인 태양의 입사각은 여름철 남중고도 약 76.5도 입니다.
    양쪽 끝 모서리는 상대적으로 더 많이 튀어 나오므로 추녀를 사용해서 점차적으로 같은 입사각이 되도록 끌어올린 것입니다.
    그래서 가장 이상적인 각도는 추녀까지 처마의 그림자가 일직선이 되어야 하고 한옥을 위에서 봤을 때는 정확하게 그림자가 직사각형이 됩니다.
    2. 기단을 높이 쌓은 것은 기둥이 비에 젖지 않도록 함이 아니라 구들을 놓기 위함입니다.
    아궁이에 불이 굴뚝으로 잘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고래 속에 냉습이 없어야 합니다.
    그래서 기단을 쌓아서 지표면보다 높게 해서 최대한 냉습을 줄이고자 했고
    아궁이도 방의 높이보다 1미터 이상 낮아야 불이 잘 들어갑니다.
    따라서 바닥에 아궁이가 있다고 가정하면 가장 이상적인 높이 1.5미터 정도 기단을 쌓아서 올려줘야 완전연소에 가까워서 적은 땔감으로 윗목 아랫목 골고루 따뜻하고 따뜻함도 오래 지속할 수 있습니다.
    구들을 놓고 처마의 각도를 제대로 해석하고 건축한 것은 중국 일본에는 없고 오로지 한옥에만 있습니다.
    한옥은 이외에도 태양과 바람을 이용한 많은 과학적인 사실들이 더 있답니다.

  • @user-og5lh2tr4j
    @user-og5lh2tr4j 2 года назад

    전통건축물의 마당에 잔디를 깔지않고 모래바닥으로 그냥두는데도 다 저런이유죠

  • @chingguaniyo244
    @chingguaniyo244 6 лет назад +6

    @tvn pls help provide english subs for this show!! Please please!
    Eng sub juseyo!

  • @beautelle9460
    @beautelle9460 3 года назад +1

    나무가 젖으면 썩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머리를 쓰는건 당연하고 상식적이다. 이건 질문으로 했어야했다.

  • @user-bg1ov9cp1i
    @user-bg1ov9cp1i Год назад

    교수님 설명하신거로 생각해보면 한옥만 과학적인게 아니라 각각의 지역과 문화적으로 발전해온 건축물들은 모두 그지역의 현실에 맞게 발전해온 과학적인 이유가 있는거죠~^^
    이글루를 적도국가 사람들의 시각으로 보면 비효율적 이지만....

  • @user-bl7lh5zm5n
    @user-bl7lh5zm5n 3 года назад +2

    옛날 사람들 진짜 똑똑하ㅈㄴ

  • @youtubecuby7941
    @youtubecuby7941 3 года назад +2

    한옥의 처마에 이런 과학이 있었다니!!!!!!!

  • @ssinssin.9648
    @ssinssin.9648 3 года назад +1

    문제해결을 위해 적용되는 디자인하고.... 그냥 외부에서 보기 좋게만 하는 디자인하고.... 차이점을 알아야 할텐데....
    눈에 보이는것만 좋게 하려는 우리 사장님~ 반성좀 하시길 바라봅니다

  • @juing_
    @juing_ 2 года назад +2

    학교쌤이 처마 모양은 나라별 산 모양세에 따라 만든거랬는데, 뭘 가르친거지…

  • @y2k2000y2k
    @y2k2000y2k 4 года назад +4

    기둥?좀더 생각해보죠.처마 바로밑이 빗물에 젖을가능성이?얼마나 될까요.아래 주춧돌 부분보다요.
    처마 바로 아래부분이 빗물의 젖음보다 여름철 습기의 이동이 잘되도록 통풍에 유의하고 적용한걸로
    생각되어지거든요.위도마다 해의 높이에 따른 처마끝의 각도가 달라지기보다는 습도가 원인이 아닐까도
    생각해봅니다.남방보다 우리나라의 처마끝이 급격하지않은 이유가 겨울이라는 점도 작용했을테구요.

    • @y2k2000y2k
      @y2k2000y2k 4 года назад +2

      @ac ll 한옥 건물이 길게 큰 건물인경우 처마끝부분에만 기둥이 있는게 아닙니다.
      중간부분에 기둥이 있는 건물들이 있는 경우처럼 처마끝이 들리는것으로 기둥을 말리는것으로 설명이
      안되죠.중간부분은 처마끝이 들리는것처럼 안되어있으니 말입니다.가장 높이가 낮은 부분일테니까요.
      이것을 지적하는것이고 과학적인것을 들어 설명했지만 그 설명이 과학적이지않게 된겁니다.
      아는사람이 정확하게 알려주어야합니다.모르는 사람이 들으면 그런가보다하고 다른 이에게 또다 그대로
      옮길테니까요.왜라는 단순 의문에서 지적한것이고 문제삼고 싶어서 글을 다는것은 아니니 심각하게
      받지않기를 바랍니다.관심 감사합니다.

    • @kk-iy9dl
      @kk-iy9dl 3 года назад

      박수 칩니다.

    • @jinsoolee891
      @jinsoolee891 3 года назад

      2000년전의 한옥도 지금과 비슷한 모습이었다고 합니다.
      당초 설계한분의 의도는 지금은 알길이 없지만 다양한 추론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goodluck3269
    @goodluck326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셜록현준 ❤ 유현준 교수님 ❤🙇‍♀️🙏존경합니다

  • @Bminus1991
    @Bminus1991 3 года назад +1

    Form after Function 디자인이 이유가 없는게 없지

  • @kanny6317
    @kanny6317 4 года назад +17

    하~ 내가 좋아하는 팬티였는데....

  • @NELRUMT
    @NELRUMT 3 года назад

    3:04 막걸리 250cc

  • @rogue2586
    @rogue2586 4 года назад +2

    한반도에서 하앙식(처마를 길게 빼는 건축방법)이 삼국시대 이후로 조선시대와선 거의 보기 힘들어진 이유와 건축기술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크기가 줄어든 이유가 궁금합니다.

    • @kyusangtux
      @kyusangtux 4 года назад +6

      난방이 힘들고 지을 나무가 없어서요. 온돌 넣으면 개무거워서 2층 하기에는 힘들고 인구 많아지고 온돌 겁내 많이 쓰니까 나무 씨가 말랐어요.

    • @user-bl5gw3fp9o
      @user-bl5gw3fp9o 4 года назад +10

      마찬가지로 기후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면서 소빙하기대에 진입하다가 조선후기(현종, 숙종) 즈음에는 소빙하기의 절정이라 추위를 극복하기위해 전국적으로 온돌(거기에 온돌도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 열효율이 상승된 것도 있음)을 설치하였고 온돌을 쓰려면 단층밖에 안되는거죠. 그리고 발전된 온돌은 고대~고려까지의 입식생활에서 조선시대 이후 현대까지의 좌식생활로 바꾸었고 이것들이 고려에서 조선초까지 있던 다층구조의 건축물이 점차 사라진 이유죠.
      또한, 이런 단층은 도시화에 저해요인이 되서 한양이 일정이상으로 인구를 부양하지 못하게되었고 그래도 한양은 인구를 더 끌어모아야되기 때문에 도성의 집들은 규모가 점점 작아지게 되고 도성내 집값의 상승(조선때도 부동산은..)으로 규모가 작아져서 지방의 한옥마을과 다른 북촌 한옥마을 같은 모습을 띄게 되는겁니다.
      더하여 추위가 점점 심해지니 벌채가 가속화되고 민둥산이 되어버렸고 안그래도 귀한 일정 크기 이상의 나무도 덩달아 더 귀해지기도 했죠. (큰 규모의 목재 건축물의 저해요인 중 하나)
      번외로 원래 경복궁은 지금의 청와대처럼 청기와를 사용했으나 청기와에 들어가는 재료 중 하나가 염초(초석)인데 이 염초가 화약의 원료가 되고 굉장히 귀한 재료입니다. 그런데 임란이후 경복궁이 불타고 광해군이 궁궐들을 재건할때 경복궁이 아닌 인경궁(경복궁보다 더 크게 지으려고했음)을 청기와로 지워버리는 엄청난 사치를 해버렸고 인조반정이후 없애고 창덕궁의 선정전만이 유일한 청기와를 올린 건물이 되었죠.^^

    • @lotuslakelet
      @lotuslakelet 4 года назад +1

      @@user-bl5gw3fp9o --우왕 ㅎㅎ

  • @user-fx7hx7eh2y
    @user-fx7hx7eh2y 4 года назад +1

    건축가가멋지네

  • @whctjsdlfqhrlfprl
    @whctjsdlfqhrlfprl 3 года назад +1

    정말 자동 우앙 이 나온다

  • @user-po9sj2sd3r
    @user-po9sj2sd3r 3 года назад

    근데 태양의 입사각때문에 처마를 들면 그만큼 비를 맞을 각도도 나오는거 아닌가요?

    • @user-rm3br7rz5c
      @user-rm3br7rz5c 3 года назад +5

      비는 어차피 바람때문에 맞아서 그런거 아닐까요. 우리도 우산을 써도 바람이쎄면 비는 다 맞듯이. 근데 태양빛은 각도에 의해서 정직하게 비추기 때문에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 @xptmaruchi
    @xptmaruchi 4 года назад +3

    그러면 일본 건축물의 처마는 왜 밑을 향하지요?

    • @xptmaruchi
      @xptmaruchi 3 года назад +1

      @문지형 너야 말로 시각장애가 있냐? 건축가가 우리나라와 동남아 사례를 들었지만 일본은 처마가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일본의 경우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느냐는 건데 뭐가 시각장애?! 이런 무례한 자는 또 처음이네. ㅎ

    • @brabbit1149
      @brabbit1149 Год назад

      @@xptmaruchi 비가 안오는 지역은 처마가 밑으로 쳐지고 비가 자주오거나 많이오는 지역은 처마가 위로 향함 대표적으로 동남아쪽은 비가 많이오고 자주와서
      처마를 들어 햇빛을 많이받게하는 구조 일본은 지역마다 다름

  • @cheat1022
    @cheat1022 4 года назад +1

    박사는 박사

  • @user-cq9so3gy4b
    @user-cq9so3gy4b 2 года назад

  • @Catia-AutoCAD
    @Catia-AutoCAD 3 года назад

    곡선으로 갈수박없죠 처마가 물받는건데 유체역학적으로 생각합번해봅시다^^

    • @Dongtaecon
      @Dongtaecon 2 года назад

      게이는 처마가 직선이면 빗물이 고이기라도 할 것 같노?

  • @user-ne6sq5yf9g
    @user-ne6sq5yf9g 3 года назад +1

    생활과학

  • @jinsoolee891
    @jinsoolee891 3 года назад +1

    햇빛도 들고 비도 피하고 그리고 경비도 절감하자면 가장 간단한 해결은 처마를 짧게 하면 되지 않나요 ? 어차피 모서리는 길게되니 그냥 길이를 줄이면 간단히 해결될것 같은데.... 처마를 어렵게 들어올린 것은 토 다른 무엇이 있지 읺을까요 ?

    • @user-zp3sw3ee6m
      @user-zp3sw3ee6m 3 года назад +1

      아니 나무기둥 안젖게 하려고 길게 했다고 했잖아 제발 제대로 보고 댓 달아라 깨어있는척 하지말고 ㅋㅋ

    • @jinsoolee891
      @jinsoolee891 3 года назад

      @@user-zp3sw3ee6m 니가 봤냐 ? 이새끼야

  • @MrKakara1
    @MrKakara1 2 года назад

    동네 아저씨가 “내 생각에는~” 이러면 박사고 교수고 뭐고 다 필요 없음.

  • @mjk7686
    @mjk7686 4 года назад +1


  • @blackstallion936
    @blackstallion936 4 года назад

    추녀는 미녀보다 아름답다ㅡㅡ

  • @user-hf2ph4dz8x
    @user-hf2ph4dz8x 3 года назад +2

    우리나라가 수준이 제일 높았다..
    지혜가 높았는데.. 사대주의로 그 진가를 못알아보고 자국의 전통 기술 가치를 무시한다.. ㅠㅠ

  • @baramsori5211
    @baramsori5211 3 года назад +4

    기둥말리기 위함보다 햇빛을 집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함이라는게 더 보편화된 설명...

    • @kk-iy9dl
      @kk-iy9dl 3 года назад +6

      그러게요. 여러 설들이 있는데... 저런 단편적인 자기 생각을 정답인 것 같이 정리하는 걸 함부러 말하다니... 걸러야 할 걸 걸러내지 못하고 그대로 수용하게 만드는 바보상자 지식이 또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 @user-ek6wr4rl4m
    @user-ek6wr4rl4m 4 года назад

    왜 창을 뚫어요. 불법인데 그냥 창 역할을 하는 모니터로 창을 대체하면 어떨까 하는 짧은 생각을 가져 보네요 ㅎㅎ

  • @user-zr2pf5ln2i
    @user-zr2pf5ln2i 3 года назад

    교이꾸 상은 숭례문을 남대문이라고 했구나. 역시 왜

  • @3gd998
    @3gd998 4 дня назад

    다른나라도 다 하고 있는데? 국뽕은

  • @user-do1kw4vt5h
    @user-do1kw4vt5h 2 года назад

    약주들하셨나 얼굴이 뷹으시네

  • @min8511115
    @min8511115 4 года назад +3

    이렇게 유익한 방송에 하필이면 황교익이 나와서 뭔 말을 할때마다 뵈기 싫다...

  • @user-pw6zu4vc7h
    @user-pw6zu4vc7h 4 года назад

    사실을 말해도 그가 말하면 거짓말 같이 들리는 신기한 현상.

  • @NewYork_NJ
    @NewYork_NJ 4 года назад +5

    ㅎ 이건 아니지.. 항상 자기 생각을 객관적 사실 처럼 얘기해요. 이 친구는...

    • @user-qe2ek5op9j
      @user-qe2ek5op9j 4 года назад

      뭐지...건축하는 쟤말이 틀렸다는 말이지? 그냥 아무 이유없이 그런거라고? 너는 뭔 딴 이유를 알기에 이런 말을 쓴거잖아...그치??? 근데 동남아 가면 다 그렇게 알고 있어...실제로도 그렇고...그럼 넌 적도에 가까울수록 처마가 올라가는 이유를 다르게 알고 있다는 얘기잖아...이쯤되면 궁금한데....왜 적도에 가까울수록 처마가 쳐 올라가 있을까? 좀 알려 줬으면 좋겠는데...밑에 얘도 알면 좀 알려줘라...

    • @NewYork_NJ
      @NewYork_NJ 4 года назад +1

      KD J 우리보다 남쪽에 있는 일본 처마는 왜 플랫한지요? 우리보다 북측에 있는 일부 중국 건축은 왜 더 올라가 있나요? 개인적인 해석은 누구나 하죠. 단 저리 신념을 갖고 얘기 하는건 저 사람 마음. 맘에 안드는 건 내맘. ㅎㅎ

    • @aabaaxsdag
      @aabaaxsdag 4 года назад +1

      @@user-qe2ek5op9j 유현준씨는 다른 건축교수들은 아무도 공감 안하는 혼자만의 뇌피셜로 가득한 사람 맞는데ㅋㅋㅋ그 뇌피셜이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들 한테는 ㅈㄴ 그럴듯하게 들려서 이렇게 뜬거지 뭐 뚜렷한 작품 하나 없는사람인데

  • @user-ny8bh2qf3s
    @user-ny8bh2qf3s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실수행 ㅈ

  • @user-uf3pr3rr6e
    @user-uf3pr3rr6e 4 года назад +1

    도대체 황교익 아는게 뭐냐

  • @rosharosus9681
    @rosharosus9681 4 года назад +4

    ??? : 이 처마라는 것이 사실은 일본에서 온 것이거등요?

  • @0bock276
    @0bock276 3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진짜 궁금한데 저 황교익이란 사람은 무슨 자격으로 자기있나요? 한 분야에 전문성이 있는 것도 아닌데...

    • @user-kw9ej5fm5o
      @user-kw9ej5fm5o 3 года назад +1

      깊이있는 음식칼럼 많이 쓰셨어요 한번 읽어보세요 유익합니다

  • @kunyou1042
    @kunyou1042 2 года назад

    나...c...야는...아무데나..끼네..재수없씨..

  • @user-uf3pr3rr6e
    @user-uf3pr3rr6e 4 года назад +3

    아ㅡ씨 황교익

  • @user-gy6jm6uc8p
    @user-gy6jm6uc8p 4 года назад +6

    황교익인가 하는 저인간 나와서.. 퉤 퉤퉤

  • @Choenma_s
    @Choenma_s 4 года назад +3

    기둥 말리기보다, 내부로 햇볕을 유도하기 위한거라고 봐야겠죠.. 이양반 건축쪽에서 그렇게 인정받고 있지 않은데. 가끔 이상한 이야기도 해서. 신뢰가 좀..

    • @aabaaxsdag
      @aabaaxsdag 4 года назад +1

      ㄹㅇ임 전문지식 없는 사람들이 들으면 그럴듯하게 들리는 뇌피셜만 말하는사람

  • @user-uf3pr3rr6e
    @user-uf3pr3rr6e 4 года назад +2

    황교익 아는거라곤 불고기가 일본거라는 ㅡㅡ에휴

  • @user-xh7pr9nu6d
    @user-xh7pr9nu6d 3 года назад +1

    두 공학자 빼고 유시민 황교익 헛똑똑이들

  • @user-wp9ul2my4z
    @user-wp9ul2my4z 4 года назад +1

    ㅉㅉ 그럼 일본은? 비도많이오고 습한데 추녀가 안들리는데?

    • @rooney9558
      @rooney9558 4 года назад +4

      어디나 예외는 있지 않겠니? 그래서 일본 건축이 빨랑 썩고 수리를 많이한댄다

    • @user-qe2ek5op9j
      @user-qe2ek5op9j 4 года назад

      기술력이 많이 딸리고 좀 많이 무식해서...저렇게 올리는게 보통 쉬운게 아니거든...일본 애들이 왜 역사를 계속 고치려고 발광할까? 지들 문화가 개똥이라는걸 아는거야...19세기에 만든 일본 보물보면 우리나라에선 개 밥그릇으로 쓰는걸 보물 지정 해 놓은거 보면 진짜 개똥이었거든..그래서 지금도 계속 헐고 새로 짓고..아주 생난리다..

  • @TV-ro6qd
    @TV-ro6qd 2 года назад

    비호감 2명이나 있네.

  • @user-di9vh1xv5n
    @user-di9vh1xv5n 4 года назад

    교익이는 들어가.

  • @MM-vp9yd
    @MM-vp9yd 4 года назад +2

    이 양반은 자기만 아는 것처럼 말하는 것이... 별로다

  • @wanginga
    @wanginga 4 года назад

    뭔 치밀한계산이야! 그냥 하다보니 우연히 그렇게 된거지! 이번선거도 통계학적으로 나오기힘든 확율이라니 선관위나 이모 당지도부가 우연히도 가능하다고했다며 기와집 처마도 우연히 됀겨 계산해봐야 아는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