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전쟁(2) : 페르시아 정복과 원정의 결말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한번에 끝내는 세계사" 도서 링크
    bitly.kr/qRH9yHCR
    [참고자료]
    "한번에 끝내는 세계사", 북라이프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lexander the Great
    -Philip ii
    -Wars of Alexander the Great
    -Chronology of the expedition of Alexander the Great into Asia
    -Battle of the Granicus
    -Siege of Halicarnassus
    -Battle of Issus

Комментарии • 403

  • @앵벌이버드
    @앵벌이버드 4 года назад +102

    공부는 원래 싫어하고 세계사 중에서도 전쟁역사는 초등학교때부터 진짜 역대급으로 관심도없고 재미없어했는데 지금 이분영상 몇개째 보는건지 .. 집에서 쉬면서 넷플릭스가아니라 역사영상을 보고있다니 진짜 ... 영상 더 줘요 현기증나요

  • @kwanghoshin7742
    @kwanghoshin7742 4 года назад +3

    초등학생딸 보여주니 재미있어하네요. 반복해서 잘 공부할게요. 감사합니다!

  • @Ji_hun_Kim99
    @Ji_hun_Kim99 5 лет назад +52

    별별역사님 !! 다음번에는 링컨 대통령과 미국 남북전쟁에 대해 재밌게 서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carjh
    @carjh 5 лет назад +14

    역사가 어렵다고 느껴지는데
    이분은 진짜 동화책 읽어주듯이 콕콕 박히고 재밌어서 보게되네요!

  • @yttyyyyyyyyyytt96
    @yttyyyyyyyyyytt96 5 лет назад +5

    평생 역사를 적으로 둘줄알았는데 별별역사님 너무좋아요 ㅎㅎㅎㅎ 설명개꿀잼!!! 한번에 끝내는 세계사는 꼭 사야겠네요.

  • @VanillaSkyyy
    @VanillaSkyyy 5 лет назад +49

    영웅으로 죽거나, 끝까지 살아남아서 악당이되거나 (from 다크나이트)

  • @Ksadin
    @Ksadin 5 лет назад +4

    세계사 책으로 공부할 때는 재미 없었는데 영상으로 보니까 너무 재밌는 듯 ㅎ

  • @고고-y4s
    @고고-y4s 4 года назад +5

    역사 별로 안좋아했는데 진짜 재밌어요. 너무 죠습니다.

  • @김준수-z8e
    @김준수-z8e 5 лет назад +7

    세계사를 이렇게 맛깔나게 들을 수 있다니...

  • @KGeoJe
    @KGeoJe 5 лет назад +1

    이분꺼는 지금까지 봤던 채널 중에 제일 몰입이 잘되는데 내가 좋아하는 내용을 안하면 안 봄 ㅠㅠ..

  • @Bob_0029
    @Bob_0029 5 лет назад +17

    오우쉣~ 별별역사 정주행 하다가 마침 알람떠서 바로 옴 ㅋㅋㅋㅋ 초럭키 ☆

  • @이연희-z8i
    @이연희-z8i 4 года назад +1

    또박또박 잘 정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암
    @암 5 лет назад +12

    몽골때부터 봤는데 진짜 재밌습니다

  • @wjsdmswls39
    @wjsdmswls39 5 лет назад +6

    이 분 컨텐츠 소개 방식이 좋음.. 레퍼런스를 잘 알려 주잖아 ㅎㅎ

  • @홍진실-f7p
    @홍진실-f7p 5 лет назад +1

    좋은 시간
    감사 합니다

  • @오복이-k2s
    @오복이-k2s 5 лет назад +10

    잘 보고 있어요
    펠로폰네소스 전쟁도 해주세요~~

  • @nassitv
    @nassitv 5 лет назад +1

    일러스트도 넘 잘만드시고 내용도 알찹니다
    영상을 쪼금 짧게 분할해주시면 출퇴근할때 더 보기 좋을거같아요! 개인적인생각...ㅎㅎ

  • @G_seektree
    @G_seektree 5 лет назад +5

    다리우스도 좋고, 알렉산더도 좋아하는 왕인데 캬아 ㅎㅎ
    그 와중에 스타테이라 미모가 후덜덜합니다요 ㅎㅎㅎ

  • @mayoritamayorita9264
    @mayoritamayorita9264 4 года назад +1

    좀 자주 오려 주세요 가맛히 보겠습니다

  • @방퇴과외
    @방퇴과외 5 лет назад +3

    표현 진짜 잘하시네요
    잼있게 보고 갑니다 ^^

  • @kimsh2440
    @kimsh2440 4 года назад +1

    역사 무지무지 좋아하는데 , 재미있어요 감사합니다

  • @하얀고양이진
    @하얀고양이진 3 года назад +1

    세계사를 좋아합니다!
    재밌습니다!

  • @fullmoon8843
    @fullmoon8843 4 года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당~

  • @JHJ-e6v
    @JHJ-e6v 5 лет назад +117

    타고난 싸움꾼이긴 한데 너무 젊어서 국가운영, 정치도 제대로 할줄 몰랐죠.
    어릴때 지나치게 성공하다보니 감도 잃게 되었구요.
    병사들 개고생시키고 반란,파업이 없을줄 알았다는게 웃긴거죠.
    명예만 있으면 다 되는게 아니거늘

    • @mcs4239
      @mcs4239 5 лет назад +18

      맞는 소리긴 합니다...
      주변인들 고생시키는데는 진짜 한몫 했죠 특히 마지막 유언을 "가장 강한자에게 제국을 준다"라고 애매하게 말해서 제국은 갈라지고
      결국 아내와 자식은
      자기가 키운 2인자들에게 죽임을 당했죠
      유언이라도 똑바로 남기던가 ㅉㅉㅉ

    • @scipiom8119
      @scipiom8119 5 лет назад +16

      항우와 가장 비슷한 서방의 왕이죠.타고난 용장이자 맹장이며 용병술의 귀재였죠.전투에서 알렉산더와 항우처럼 최일선에서 군대를 지휘하면서 전쟁의 시야를 놓치지 않는 왕이 없죠.장군으로썬 천하에 가장 뛰어난 인물들인데 내정이 부족했던 것 뿐이죠.항우와 달리 알렉산더는 그정도까지 무지했던 왕은 아니었죠.단지 너무 일찍 죽어서 후계구도가 불안정했죠.
      알렉산더는 전쟁에서 패한적이 없고 항우는 딱 한번 패했을 뿐이죠.항우와 달리 알렉산더 주위에는 위협이 될만한 적이 없었죠.또 항우와 달리 알렉산더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정통후계자로 후계자 수업을 받고 자라서 어린나이에 즉위했지만 정치적인 결단도 탁월했죠.반란을 일으킨 그리스 도시를 토벌할때 내색하나 하지 않고 전격적으로 처들어가 몰살 시킨건 아주 유명하죠.항우와 달리 알렉산더의 정치적인 식견이 부족한 면은 별로 보이지 않고 오히려 너무 일찍죽은게 문제일 뿐이죠.
      페르시아를 점령한 알렉산더는 넓은 제국을 다스리기 위해 그동안 고수해오던 마케도니아식의 왕정에서 페르시아식으로 제국의 통치 체계를 바꾸죠.이때문에 마케도니아 부하들에 의한 암살이 많았지만 전부 극복하고 강력한 리더쉽으로 왕성한 정복전쟁을 수행하죠.
      알렉산더를 무식한 통치자에 정치를 할 줄 모른다는 표현은.....마케도니아 왕이었지만 넓은 제국을 얻고 그걸 제대로 제국으로 만들고자 마케도니아식의 관습을 버리고 페르시아식 황제의 권위와 제도를 도입한건 그가 얼마나 결단력이 뛰어나고 식견이 있는지를 보여주죠.
      알렉산더는 단지 너무 어린나이에 죽어서 아직 태어나지도 않는 자식과 정신지체를 가진 왕족인 동생 그리고 믿을 수 있는 신임할 장군들은 죽고 없고 오직 알렉산더가 살았을때만 충성할 마케도니아 장군들만 남았을 뿐이죠.

    • @JHJ-e6v
      @JHJ-e6v 5 лет назад +7

      무식하다고 한적은 없구요.
      젊은 나이에 감당할수 없는 성공으로 몰락할 예정이었던 지도자라는 겁니다.
      내정,내치가 부족할 뿐이다 가 아니라
      그게 부족하다는건 굉장히 큰 단점인거죠;;
      기업도 지가 창업했다고 해서 큰 대기업이 되었는데도 본인이 경영하는 사람 거의 없습니다.
      전문경영인이라는 직업이 괜히 있는게 아니구요.
      알렉산더는 군권만 쥐고 그외는 전문 책사급에게 맡기는게 나았습니다.

    • @scipiom8119
      @scipiom8119 5 лет назад +5

      @@JHJ-e6v 아주 쉽고 간단히 말하네요^^. 거대한 페르시아를 무너뜨리고 그보다 더 큰 제국을 만들었죠.어떤 민족의 누구를 책사로 영입해서 맡기죠? 책사가 말하면 그냥 나오고 그가 복종하고 따르나요? 내정을 장악한 자들중에서 주변 민족과 뭉쳐서 반란하고 성공한 자들도 넘쳐나죠.
      알렉산더가 뛰어난 점이 이당시 그리스-마케도니아에서 페르시아보다 더 거대한 제국을 경영할만한 인재가 얼마나 될까요? 그리스가 그렇게 뛰어났다면 고작 변방의 마케도니아에게 패하고 도시국가들이 몰락하지도 않았겠죠.그리스는 도시국가 체제를 벗어나지 못하는 수준이고 마케도니아는 이제 고작 산골에서 키운 강병으로 그리스 잡아먹고 거대한 제국을 세웠죠?
      자 그럼 이 시점에서 이 거대한 제국을 운영할만한 인물이 어디에 존재할까요? 알렉산더가 뛰어난 점이 이 부분을 냉정히 봤다는 점이죠.마케도니아는 거대한 페르시아를 경영할만한 인재와 그럼 통치 이념도 존재하지 않았죠.지중해 알렉산더의 제국을 빼면 카르타고 정도인데 이 카르타고는 철저히 상업에 취중하고 군대는 용병으로 사용해서 이 이점을 살려서 지중해 패권을 장악했지만 반대로 이맹점 때문에 포에니 전쟁에서 계속해서 로마에게 패하게 되죠.
      간단히 알렉산더가 만든 거대한 제국을 다스릴 통치 이념과 인재는 페르시아 제국 뿐이 존재하지 않았던 겁니다. 그리고 강력한 군대의 중추였던 마케도니아 귀족들에게도 페르시아 식의 황제의 권위를 내세운 동양권의 전제정치 제대로 통치이념을 세운거죠. 이 과정에서 마케도니아 귀족들의 반발이 있었고 암살시도가 있었지만 그걸 극복하고 명분을 얻고자 페르시아 키루스 황제의 딸과 박트리아 지금의 아프가니스탄 귀족의 딸인 록산느를 왕비로 만들죠.알렉산더가 단명하지 않았다면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이념을 세우고 그 지역 명문가의 딸들을 왕비로 얻은 알렉산더는 빠르게 제국을 정비했을 겁니다.
      이 당시 전문 책사라는 큰 틀에서 제국을 바라볼 만한 인재가 유럽에선 없었다고 봐야하죠.인재가 있었어도 그들도 알렉산더 처럼 새롭게 배우는 인물들 일 뿐이고 그런 행정적인 인재는 페르시아 제국의 관료들 뿐입니다.알렉산더는 이 점을 냉철히 꿰뚫어 봤죠.그래서 군대는 마케도니아 장군들이 쥐고 행정은 페르시아 제국의 괸료가 채우게 된겁니다.

    • @JHJ-e6v
      @JHJ-e6v 5 лет назад +2

      @@scipiom8119 인재 영입하는것도 본인 능력입니다.
      늘 그렇지만 인재는 없는게 아니라 보는 능력이 없는겁니다.
      책사 시스텀을 어떻게 구축하든 본인이 능력이 딸려서 문제인데 뭘 더 미화하려고 애쓰시는지
      후반으로 갈수록 무리한 정복전쟁에 뻘짓하며 본인 운영능력의 한계를 보여준건 명확한 팩트입니다.
      시스템이 어쨌고 그당시 없었고 하는건
      그렇게 위대하니 어쩌니 칭호 붙여진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핑계로는 너무 구차하네요.
      그래서 타고난 싸움꾼이었다는 거고
      정치,내정의 운영능력은 감당할 수 있는 영역밖이었다는 건데
      커버치기 위해 온갖 말을 빙빙돌려서 하시네요.
      알렉산더는 갈수록 평가가 나빠지는건 팩트입니다
      본인은 계속 좋아하세요

  • @tourlove
    @tourlove 5 лет назад +3

    흥미로운 내용 잘 보고 갑니다. 생생하네요

  • @sanggi3714
    @sanggi3714 5 лет назад +1

    너무 재미있게봅니다.
    다음 영상이 기대됩니다

  • @힝횻
    @힝횻 4 года назад +1

    와 정말잼있어요 항상 감사합니다

  • @paikscoffee
    @paikscoffee 5 лет назад +3

    이거 뼈빠지도록 나오길 기다렸어요ㅜㅜ

  • @ykroh9917
    @ykroh9917 3 года назад +4

    알렉산더의 아버지는 이렇게 될것을 알고 천천히 준비하신게 되는군요 ㄷㄷ

  • @이윤희-x7d
    @이윤희-x7d 3 года назад +2

    항상 많이 알려주셔서 고마워요 ♡

  • @안녕-s8k7g
    @안녕-s8k7g 5 лет назад +3

    재미있게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대월의 레러이, 훈족의 아틸라 언제 한번해주세요 ~

  • @nanda21s1
    @nanda21s1 5 лет назад +1

    별별역사님은 먼저 추천하고보는 영상이네요^^

  • @3색볼펜-j4p
    @3색볼펜-j4p 4 года назад +1

    별별역사 팬 됐습니다~

  • @살았땅
    @살았땅 5 лет назад +134

    이분 너무 잘하시네 책을 사게 끔 만드셔..

    • @xellossn6683
      @xellossn6683 5 лет назад +5

      출판사 직원이면 ㅋㅋ 대박

    • @vkdkjdpfjendn4753
      @vkdkjdpfjendn4753 4 года назад +3

      @@xellossn6683 아니어도 대박

    • @박연서-r2b
      @박연서-r2b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책엔 저런 내용은 없음ㅋ

  • @리첼-f3t
    @리첼-f3t 5 лет назад +1

    별별역사님 제가 얼마나 기달려 는지 아세요ㅠㅠ 잼있게 봤어용

  • @Kimterang
    @Kimterang 5 лет назад +2

    모든영상 정말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yoon5912
    @yoon5912 5 лет назад +5

    진짜 재밌게 봤네요 ㅜㅡㅜㅜ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 @splex7
    @splex7 5 лет назад +1

    들으면 들을수록 빠져드는 마성의 목소리 연기

  • @Lavi_NvFv
    @Lavi_NvFv 4 года назад +1

    이번에도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잘 읽었다고 해야하나요 ㅎㅎ

  • @돌돌돌돌돌-o3i
    @돌돌돌돌돌-o3i 5 лет назад +15

    로마와 카르타고의 포에니 전쟁도 만들어주세요!!!

  • @RSPLBYCRTR
    @RSPLBYCRTR 5 лет назад +2

    정말 잘봤어요~~ 그 사망설중에 모기에 물려서 말라리아에 걸려서 죽었다는 이야기도 있죠

  • @조희만-f9f
    @조희만-f9f 5 лет назад +1

    늘 잘 보고 있습니다.

  • @LouiseHyeweonLee
    @LouiseHyeweonLee 4 года назад +1

    설명 최고네요

  • @johnny4252
    @johnny4252 5 лет назад +1

    역시 재밌네요 잘 보고 있습니당🤗

  • @양화대교-o9y
    @양화대교-o9y 5 лет назад +2

    재밋게 잘봤습니다 ^^ 요청한주제라 제일 재미있는 영상같네여 이제 한동안 영상요청받지마시고 초한지에 몰두해주세여 !!

  • @2020-h3e
    @2020-h3e 4 года назад +8

    알렉산더는 포기를 모르는 인간이라....
    인도철병 이후 곧 아라비아 원정까지 계획했고 더나아가 로마랑 카르타고 원정까지 기획했다고 하니 부하들이 충분히 지쳐서 암살할만함;;
    동쪽에 중국문명 존재를 알았으면 파미르고원 까지 넘었을 양반임;;

  • @jogudec3
    @jogudec3 4 года назад +3

    알렉산더는 전투의 신이지
    금사자 투구 쓰고 공성사다리 제일 먼저 타고 올라가서는 눈 앞에 적들 앞에 두고 "나 알렉산더야!!"라고 외치는 지휘관은 이 사람 밖에 없음

  • @옆집개님
    @옆집개님 5 лет назад +26

    별별 역사님 제발 사자왕 리처드의 십자군 원정편좀 만들어 주시면 안되겠습니까? 부탁합니다ㅠㅠ

    • @옆집개님
      @옆집개님 5 лет назад +1

      될수있으면 발리안 편도....

  • @junbpark
    @junbpark 4 года назад +1

    너무 재밌습니다

  • @unitedhanxrp5029
    @unitedhanxrp5029 5 лет назад +1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전필순-m3p
    @전필순-m3p 2 года назад +2

    알렉산드로스는 말라리아로 죽었을거라는게 요즘 많이 설득력있는 주장이며 죽기전 고열로 투병하는 과정이 일지로 기록되어 남아있는데 병이 진행되는 과정이 말라라아 증상과 거의 흡사하다고 하네요.

  • @Kraticrusth
    @Kraticrusth 3 года назад +1

    잘보고가요~

  • @나르초
    @나르초 5 лет назад +2

    영상너무재밋는데 주기적으로 나왓으면 좋겟는데 디테일분량 조금적어도되니까1주일1연재안되나요

  • @전동민-y5u
    @전동민-y5u 4 года назад +2

    카이사르의 갈리아정복도 해주세요

  • @뭐씨-n7g
    @뭐씨-n7g 5 лет назад +2

    10만명 축하드려요😁😁

  • @kgd5509
    @kgd5509 5 лет назад +24

    훈족의 왕, 신의 징벌인 아틸라 해주세요~ 넘 잘봤슴다

    • @PLUTONIUM1228
      @PLUTONIUM1228 5 лет назад +1

      아틸라 나오면 개꿀잼일듯요 ㅋㅋ 아틸라 말고도 게르만족 대이동 같은것도

  • @타로미라클
    @타로미라클 2 месяца назад

    최고입니다!

  • @pjs2501
    @pjs2501 5 лет назад +1

    재미있게 잘보고있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이워니-k1d
    @이워니-k1d 5 лет назад +2

    형 영상 다시올리니까 너무좋다... 자주올려줘!!

  • @rim2174
    @rim2174 4 года назад +6

    유럽에 큰 영향을 미친 전염병들에 대해 알려주시면 재밌을 것 같아요ㅠ 중세 시대 흑사병이나 아테네를 붕괴시킨 장티푸스 같은 거요!! 어떻게 돌게 되었는지 그 이유랑 어떤 피해를 낳았는지 그런 것도 알려주세여 !

  • @srk96
    @srk96 5 лет назад +6

    히틀러 독소전쟁 편은 진심 개 답답했는데 이건 좀 시원하네

  • @adadmin7455
    @adadmin7455 4 года назад +2

    ㅋㅋㅋㅋ 진짜 재밋네요 ㅋㅋ 나 학생때 유튜브 있었으면 공부 유튜브로 했을듯

  • @아로네-y7i
    @아로네-y7i 4 года назад +1

    와 진짜 시간 가는줄 모르고 봤네;;;

  • @Артем-о1ч5л
    @Артем-о1ч5л 5 лет назад +1

    다음은 나폴레옹 전쟁에 관하여 하면 재미있겠네요.

  • @연습계정-s3i
    @연습계정-s3i 5 лет назад +2

    정말 재밌습니다 선생님. 보면서 가슴이 펄펄 뛰는것 같습니다

  • @포스틱-w5c
    @포스틱-w5c 5 лет назад +1

    넘재밌어요!

  • @guus3771
    @guus3771 5 лет назад +1

    기다렸어요!

  • @MAX-sr8ut
    @MAX-sr8ut 5 лет назад +68

    전투는 잘하는데 정치를 못하는왕이군요 참 사람은 완벽하지 않다는게 함정

    • @levanmagnus3499
      @levanmagnus3499 4 года назад +8

      아니 현지인 민심을 잡기위해선 귀족들읓 포섭핳 수밖에 없고 실제로도 그래서 페르시아는 알렉산더 시기 반발 없었다는게 함정. 그리거 무엇보다 너무 알렉산더가 일찍 죽음

    • @앰창정
      @앰창정 3 года назад +1

      @@levanmagnus3499 문제는 페르시아 귀족들을 너무 융성하게 대해줫다는거지 자기 따르던 부하들은 제쳐두고 이제 한팀됐는데 일단 둘이 친해지게 하는게 우선인데

    • @levanmagnus3499
      @levanmagnus3499 3 года назад +1

      @@앰창정 제쳐둔 적 없습니다. 반란이 났을때 알렉산더가 꾸짓자 마케도니아 군인들은 밤에 알렉산드로스가 있는 막사를 포위한 뒤 동틀 때까지 목놓아 울었는데 알렉산더는 이들 모두 용서한 뒤 이들 전원에게 자신의 '일족'이라는 칭호를 부여하는 영예를 주고 성대한 잔치를 베풀어 이들과 함께 주연을 즐기는 일화도 있습니다

    • @예술인-l2t
      @예술인-l2t 3 года назад +1

      알렉산더는 정치를 못하는게 아니였습니다. 그리고 세계 각지에 전투와 정치를 둘 다 잘하는 국가지도자는 꽤 많습니다. 조선왕조에서 상당히 정치를 잘 한 것으로 평가받는 세종의 최대업적중 하나가 4군 6진이라는것만 봐도요.

    • @stevecho6398
      @stevecho6398 3 года назад

      그래도 세계사 교과서 보면 그리스 병사랑 페르시아 여자랑 결혼시킨건 헬레니즘 문화를 탄생시킨 업적이라 나와있음

  • @구르미사쟈
    @구르미사쟈 4 года назад +1

    다 보았습니다 ㅇ ㅂㅇ! 마지막은 완전히 괜찮은 왕은 아니셨네요!
    그래도 꽤 사기하나는 끝내주시구 전략두 좋은 왕이었습니당

  • @Bongbongking
    @Bongbongking 4 года назад +2

    세계사가 이렇게 개꿀잼 이였다니;

  • @김도윤-c8p6m
    @김도윤-c8p6m 5 лет назад +2

    알랙산더는 정말잘싸우고 용맹한 장군이었지만 야망이 너무 컷다.

  • @SINCE_1000_th
    @SINCE_1000_th 5 лет назад +14

    6:10 와... 정말 미인이다..!!!

    • @피그근육
      @피그근육 4 года назад +1

      ㅋㅋㅋㅋㅋ짤 생각나네

  • @오지랖그만부려
    @오지랖그만부려 4 года назад +5

    별별님 너무 좋아요!! 역사가 이렇게 잼있다니...알렉산더는 최고의 리더쉽과 먼저 나서서 하는 행동이 참으로 멋지지만..부하들을 내치는건 역시 그사람의 권력을 쥐어주면 안다더니..

  • @토스카드
    @토스카드 5 лет назад +2

    바이킹도 다뤄주실수 있나요?

  • @DailyLifeWoongDang
    @DailyLifeWoongDang 5 лет назад +2

    크 너무 잘 보구가용 ㅎㅎㅎ

  • @fridaytvtv9290
    @fridaytvtv9290 4 года назад +2

    감사합니다^^

  • @윌슨-t7h
    @윌슨-t7h 5 лет назад +2

    너무 행복합니다...

  • @jhbae4863
    @jhbae4863 4 года назад

    넘 재밋어요!

  • @TV-mq2fp
    @TV-mq2fp 5 лет назад +1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ls-qq4iv
    @ls-qq4iv 4 года назад +1

    왜 요즘 영상 안올리셔요 ㅠㅠ 재밌게 보고잌ㅅ어ㅛ는데....아쉬워야

  • @강태민-h6o
    @강태민-h6o 4 года назад +1

    이거 2편을 1시간동안 시간 지난지도 모르고 보는 내가 흑우제

  • @망각의삶
    @망각의삶 4 года назад +3

    요점은 땅을 정복하는건 성공했어도 사람의 마음을 정복하는건 실패했다는 이야기가 돼겠군요 ㅎㅎ

  • @짜파게티-n4e
    @짜파게티-n4e 5 лет назад +1

    드디어 올라왔다
    전내용 까먹어서 또보고옴

  • @크-g3x
    @크-g3x 5 лет назад +2

    저기 초한지 4편은... 좀올려주세요

  • @kisesyo2818
    @kisesyo2818 5 лет назад +2

    많이 기다렸어요 잘볼께요^^

  • @죠리푱
    @죠리푱 5 лет назад +15

    형 내가.형 씹덕팬인데
    스타테이라 목소리 부분에서는 너무 힘들었다리 ㅋㅋㅋㅋㅋㅋㅋ

  • @아리송-z5j
    @아리송-z5j 5 лет назад +1

    너무 잘봤어요@@@@@@@@@@@@@@@@@@@@@

  • @dph6605
    @dph6605 5 лет назад +1

    뭔가 별별님 그림실력이 계속 느는 것 같은데...!!!

  • @추멘-j9w
    @추멘-j9w 5 лет назад +1

    드디어 기다렸어여

  • @Jin0709
    @Jin0709 4 года назад +1

    너무 재밌어... 형 사랑해

  • @choo1030
    @choo1030 5 лет назад +1

    별별역사님 영상 왤캐 중독성있게 잘만들어요? 그리고 브금 이름좀 알려주셈. 노래도 중독성있어.

  • @wjsdmswls39
    @wjsdmswls39 5 лет назад +1

    곧 10만이네용 ㅎㅎㅎ

  • @조마-i5d
    @조마-i5d 5 лет назад

    아무거나 좀 빨리 얼려주세요 너무 재밌어요 ㅠㅠ

  • @현정-g2e6p
    @현정-g2e6p 5 лет назад +1

    잘들었ㅇ니요 감사 남김니다

  • @이게임플레임완수
    @이게임플레임완수 5 лет назад

    잘 보았어요. ^^ 굿 굿

  • @도쿄의아침
    @도쿄의아침 5 лет назад +20

    21:18 코끼리 귀엽다

    • @kmh950103
      @kmh950103 4 года назад

      뿌우우 ㅠㅠㅠㅠ

  • @gkdms-k9c
    @gkdms-k9c 5 лет назад +5

    정말 안타깝네요.. 누군가 옆에서 제대로 된 조언을 해줄 신하나 군사가 있었더라면 달라졌을까요? 정복왕이 그 나라의 문화를 따르는게 꼭 잘못만은 아닌거 같은데 문제는 시대상이겠네요 좋은 유익한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cq6tj1zi2c
    @user-cq6tj1zi2c 5 лет назад +2

    이채널 100퍼 뜬다

  • @abfppjnpmn
    @abfppjnpmn 5 лет назад +16

    체스의 전술중 핀과 같은 방식으로 싸웠구나 그래서 왕에게 돌진할 수 있는 거였어
    알렉산드로스는 상당히 운도 좋았던 거 같네요 전투기록이 사실에 가깝다면 그의 전술은 꽤 과대평가된 느낌이고 용기와 운 임기응변쪽에 더 눈길이 갑니다 만약 적장이 유능한 인물이었다면 헬레니즘도 없었을 거고 인류의 역사도 지금과는 정말 많이 달랐을텐데 거기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도 재밌을 거 같단 생각이 드네요
    그의 사후 제국이 급속히 분열된 것도 그의 성격 인생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어 흥미롭게 느껴집니다

    • @abfppjnpmn
      @abfppjnpmn 3 года назад +1

      @맛점 알렉산드로스가 대단한 사람은 맞지만 생각보다는 실망스러운 부분이 있었다는 얘기입니다 왕이나 되는 사람이 몸을 사리지 않고 무모하게 돌격하는 모습이 멋지기는 하지만 장군이나 군주로서 적절한 행동이라 보긴 어려워 보이니까요 (실제로 죽을 뻔한 적도 있고 위험한 상황 중상을 입은 적도 있는 걸로 앎)
      그러고도 살아남았다는 게 신기하고(리처드나 지금은 이름이 생각 안나는 중국의 또다른 장군을 제외하면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 무패란 사실은 더 신기하고 운도 꽤 작용한 거 같지만 운만으로 그런 업적을 이룰 가능성은 거의 0에 가까울 거 같고
      설명 일화 등을 들어보면 실제로도 전장인식능력이나 임기응변 멀티태스킹능력 전투능력 용기 통솔력 심리를읽고다루는기술도 모두 뛰어난 거 같고 전쟁에 타고난 아주 탁월한 재능을 지닌 건 맞는 거 같아요
      후의 장군들도 광장히 높게 평가했고
      님의 의견을 보니
      현대의 장군들을 그 시대에 데려다 놓으면 그 시대의 장군들 보다 더 전쟁을 잘할 수 있을까?란 의문이 드네요
      예전이라고 해도 왕족은 최고의 교육을 받았을 거고 현대의 교육과 비교해 볼 때 고대의 전쟁에 있어 어느 쪽이 더 나은 교육체계를 가지고 있을지 비교해 보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나에게는 그런 자료가 없군요 그래서 상상해볼 수는 있겠지만 그것만으로 실제의 상황을 아는 건 무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니 여기에 대한 판단은 유보하는 게 나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다만 연구자들에 의하면
      오히려 예전 사람들의 지능이 더 뛰어나고 갈수록 인류의 지능이 저하되고 있다고 하더군요 (반응속도 측정자료와 기타 다른 방법이 사용된 걸로 앎) 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현대의 지적인 사람들이 그 시대에 간다면 평균 수준의 지능을 지닌 평범한 사람이 될 거라고 합니다
      영화 300에 나오는 크세르크세스도 10만명에 달하는 자신의 병사들 이름을 하나하나 다 기억하고 있었다고 하고 그리스 테미스토클레스 역시 2먄명의 아테네 시민들 이름을 모두 기억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 @loboliji
      @loboliji Год назад +1

      근데 알렉산더가 전쟁 원데이 투데이 한 것도 아니고 그리스 페르시아 이집트 인도 북부까지 싹 터는 와중에 모든 지휘관이 다 무능했단건 알렉산더 억까 아닐까요?

    • @abfppjnpmn
      @abfppjnpmn Год назад +1

      @@loboliji 모두 무능할리는 없겠죠 알렉산드로스가 대단히 유능한 장군인 것도 맞지만 생각보다 많이 고평가 된 인물인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확히는 기억나지 않지만 이전에 본 기록에 의하면 알렉산드로스가 고전 or 대패할 뻔한 적이 있던 걸로 기억합니다 만약 상관이 부하의 의견을 받아들였다면 무엇보다 본 기록에 의하면 알렉산드로스 스스로가 그 점을 자각한 것처럼 쓰여있었습니다
      페르시아를 정복하고부터는 군대자체도 더 막강해졌고 그다지 강한 상대가 많지 않았던 거 같기도 하고요
      (너무 오래전 역사라 부정확한 면이 있고 페르시아와의 전력 차가 그렇게 압도적으로 크지는 않았을 거라는 얘기도 있고)
      그리고
      인도에 들어서면서부터는 꽤 고전했던 걸로 압니다

    • @ckdghm
      @ckdghm Год назад +1

      전술이 과대평가 된건 별로 없어보입니다 임기응변자체도 가장중요한 전술적인 판단이죠 현장에서 몇만명이 멀찍이 있는 고대시대에 사용했던 우회개념이나 운용은 냉병기 시대를 지나 중세까지 가도 비빌 군대가 몇없습니다 팔랑크스가 강해서만 이겼다면 후대에 얼마 지나지 않아서 나온 피로스는 초기로마와 싸울때 엄청나게 고전합니다 역사적으로도 단일제국을 상대로 도시국가급 규모로 압도하는건 없었고 알렉산더 사후에 모두 분열되서 망하는것만 봐도 지도력이나 신임은 말할필요가 없죠 후대 로마를 모든 국가가 로마를 자처할때 로마는 알렉산더를 매우 시기할정도로 잘싸웠습니다 카이사르는 롤모델로 삼았었고 로마도 체계적인 군대운용이 유명하죠 심지어 고대에 알렉산더 시절 만든 전략개념을 지금도 일정부분 사용합니다 퉁쳐서 보기에는 놓치는 부분이 좀 많은거같아서 올립니다 제국을 경영하는 스타일은 아니고 정복군주에 확실히 가까운건 맞는거같습니다 그래도 다떠나서 헬레니즘시대를 연 인물이라는것만 따져도 전무후무한 인물이죠 워낙 독특한 인물이고 매력적인 인물이라 인기도 있지만 인기에만 가려지기에는 대단한 인물이죠

    • @abfppjnpmn
      @abfppjnpmn Год назад +1

      ​@@ckdghm알렉산드로스의 전술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전술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하지만
      알렉산드로스가 메우 도박에 가까운 전투를 벌여서 승리한 적이 많다는 사실은 압니다 그래서 죽을 뻔한 적도 많았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자체가 그다지 좋은 전술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왕이 죽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위험부담이 너무 크므로 놀랍게도 운이 좋아 매번 승리를 거머쥐고 살아남긴 했지만-누가 수학적으로 확률을 계산해서 알려주실 수 있나요?- 그의 무모함이 결국 제국의 분열을 불러왔고 일족은 부하들에 의해 멸족됐죠 전략적으론 완전히 패배했다고 생각됩니다, 그 자신의 소원은 어느 정도 이루었지만)
      만약 목숨을 걸고 선두에 서지 않았더라도 똑같이 승리할 수 있었다면 확실히 전술적으로 뛰어나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건 알 수가 없군요

  • @Keanu_1
    @Keanu_1 4 года назад +1

    이형님 왜 안오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