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3%의 높은 시청률에 일조한 사람 저요. 어릴때 흙꼭두장군이 죽는장면이 가슴아렸던기억이나네요... 오래전엔 또래 친구들에게 물어봐도 모두 몰라서 속상했는데 역시나 명작이네요. 명절에 그뒤로도 몇번 방영해줘서 그때마다 보곤했죠. 누구의 무덤인가 할 것 없이 신라도 삼한시대도 공민왕의 이야기도 모두 녹여내지 않았을까요. 이 때 이 애니메이션 만들어주신분들 감사합니다.
당시 mbc에서 전해에 만들었던 머털도사의 초대박 이후 다시한번 국산 애니메이션이 시도되었고 흙꼭두장군의 대성공으로 이어졌는데 90년대 지나서 요즘에는 이러한 우리나라 정서를 담은 국산 애니메이션 제작이 뜸한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당시 어릴 적에 볼때는 몰랐는데 이렇게 짜임새 있게 스토리에다가 고증을 적절히 넣어 만들었다니 대단하는 생각입니다.
@@주누스토리 부부사이는 서로 아쉬운게 있어야 잘사나봐요.공민왕도 몽고공주의 파워가 절실했지만 노국공주도 쩌리왕족이라 사실상 남편밖에 믿을게 없었다 하더라구요..말그대로 서로 윈윈하는 정치 동반자 였는데....충렬왕하고 제국공주는 서로 넘 잘나서 탈이었나봅니다,,서로 아쉬울게 없으니 그리도 사이가 꽝이었나봐요 ;
27.3%의 높은 시청률에 일조한 사람 저요. 어릴때 흙꼭두장군이 죽는장면이 가슴아렸던기억이나네요... 오래전엔 또래 친구들에게 물어봐도 모두 몰라서 속상했는데 역시나 명작이네요. 명절에 그뒤로도 몇번 방영해줘서 그때마다 보곤했죠. 누구의 무덤인가 할 것 없이 신라도 삼한시대도 공민왕의 이야기도 모두 녹여내지 않았을까요. 이 때 이 애니메이션 만들어주신분들 감사합니다.
당시 mbc에서 전해에 만들었던 머털도사의 초대박 이후 다시한번 국산 애니메이션이 시도되었고 흙꼭두장군의 대성공으로 이어졌는데 90년대 지나서 요즘에는 이러한 우리나라 정서를 담은 국산 애니메이션 제작이 뜸한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당시 어릴 적에 볼때는 몰랐는데 이렇게 짜임새 있게 스토리에다가 고증을 적절히 넣어 만들었다니 대단하는 생각입니다.
@@주누스토리 맞아요 요새 만화나 웹툰도 잘 보고있지만 세련되어진 대신에 옛날 은비까비나 초롱이의옛날이야기등 한국정서는 많이없어진 것 같아요
엄청 울었던 애니메이션… 명절 때도 보고 재방송도 보고 흙꼭두장군 죽을 때 넘 슬펐던 기억이… 얼마만에 보는 영상인지 반갑게 봤습니다.
흙꼭두장군 마지막이 슬퍼서 더욱 기억에 오래도록 남았던 작품 같아요
@@주누스토리 맞아요~ 넘 슬퍼서 기억에 남네요~
아름다운 이야기네요..
2012년전의 이야기.
흥미로웠어요!!!
우리나라에 공감할 수 있는 흥미로운 스토리들이 많이 있죠~
흥미롭게 잘 봤어요 ~~
감사합니다 댓글은 언제나 힘이 되지요^^
만화 영화를 당시에 못봤는데
소문은 들었어요
좋은 영화 입니다
어릴 때는 그저 생각없이 보다가 마지막 장면에 슬펐던 기억만 있는데 나중에 다시 보니 정말 짜임새 있게 잘 만든 애니메이션이었습니다^^
제목을몰라서 겨우겨우찾았어요ㅠㅠㅠ제목이 흙꼭두장군이군여 아 91년이면 제가 6세때본거군요 어쩐지가물가물
정말 잘 만든 만화영화이지요^^
영화 산업과는 달리 애니산업은 사양화된 우리현실이 슬픈 ㅠㅠ 소프트웨어는 훌륭한데 그걸 활용하지 못하니 안타까운
네! 돌이켜보면 다양한 시도들도 많고 또 성과도 거두었던 90년대 한국 애니메이션 황금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내가 찾던 만화!!!
네 저도 가끔 생각나는 만화입니다 ^^
저도 안그래도 공민왕 생각 했었어요 ...공민왕의 세기의 사랑은 증말이지,,,,,,;;;군왕 중에서도 유일하게 무덤도 서로 연결해~~초상화랑 나란히 앉아서 밥먹은 에피소드에선 좀 무섭게까지 느껴 지더라구요;;집착 같아서....
공민왕이 사실상 마지막고려왕이었던 것 같아요 정인이기도 했지만 오든 것을 상의할 수 있는 정치 동반자이기도 했는데 그 상실감이 어마어마 했을 것입니다.
@@주누스토리 부부사이는 서로 아쉬운게 있어야 잘사나봐요.공민왕도 몽고공주의 파워가 절실했지만 노국공주도 쩌리왕족이라 사실상 남편밖에 믿을게 없었다 하더라구요..말그대로 서로 윈윈하는 정치 동반자 였는데....충렬왕하고 제국공주는 서로 넘 잘나서 탈이었나봅니다,,서로 아쉬울게 없으니 그리도 사이가 꽝이었나봐요 ;
2012년 전 인물이니깐 공민왕은 아닌덧 ㅎ
네, 아무래도 삼한시대의 인물일 가능성이크겠지만 공민왕릉에 유일하게 통로가 있는 점을 강조하고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