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발명] 바퀴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좀 가벼운 소재의 이야기가 없을까 해서 한번 만들어 보았습니다. 여러 분의 평에 따라서 시리즈로 할 지 결정하겠습니다.
    아 그리고 바퀴가 세상에 미친 영향은 한 두개가 아니겠죠. 기술, 노동, 사회 온 분야에 다양한 영향이 있을 겁니다. 여기서 말한 바퀴가 역사에 미친 영향은 하나의 측면을 이야기 한 것이니 그 점 이해하시고 시청 바랍니다.

Комментарии • 32

  • @hyj7862
    @hyj7862 5 лет назад +17

    아니 잘려고 하는데 이렇게 올려버리시면.
    .......
    너무 좋습니다 ㅋㅋㅋ

    • @tjdghks626
      @tjdghks626 4 года назад

      은근 재미있고 잠도 잘옴 ㅋㅋ

  • @튜브유-b2d
    @튜브유-b2d 5 лет назад +6

    꼭 시리즈로 나오기를, 제발~~~

  • @moonlight_heaven-s3g
    @moonlight_heaven-s3g 5 лет назад +4

    와 이거 시리즈로 나오면 신규구독자 유치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너무 재밌어요

  • @nephemaeosly
    @nephemaeosly 5 лет назад

    가장 변하지 않는 진리의 속성에 대해 박사님 덕분에 사유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 @channel-tt9rl
    @channel-tt9rl 5 лет назад +1

    좋은 컨텐츠인것 같습니다. 흥미롭고 유익했어요ㅎㅎ 시리즈로 제작될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 @ekddmf
    @ekddmf 5 лет назад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들으면서 5G 떠오른 ㅎㅎ

  • @neo-vb4ei
    @neo-vb4ei 4 года назад

    이런거 책으로 나오면 정말 재밌겠네요 인류 역사를 바꾼 간단하지만 강력한 발견 발명들에 관해 역사들을 살펴보면 적정기술 개발등에 더욱 활용할 길을 연구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 @plaisirpatisserie
    @plaisirpatisserie 5 лет назад +1

    너무재밌어요ㅜㅜ 언제나감사드려요!!

  • @강대봉-e9d
    @강대봉-e9d 4 года назад

    임용한 박사님 영상은 토전사를 비롯해 거의다 섭렵하였지만, '인류역사발전'을 5분만에 요약한 이 영상을 보고 놀라서, 한 생각이 떠올라 몇 자 적어보옵니다 ^^
    '장자'던가요? 그 책엔, 제환공과 '수레바퀴 깎는 노인' 사이의 대화가 소개돼 있는데 꽤 유명한 이야기이지요ㆍ
    기억나는 대로 되새겨본다면,
    제 환공이던가요? 어느 봄날 마루에서 경전을 읽으면서 그 내용에 감탄을 연발하고 있었지요ㆍ치국의 도가 다 그 경전에 쓰여 있었으니 ~
    바닥에서 환공의 수레를 고치고 있던 노인이 그런 환공을 보고 비웃는 모습으로 말을 걸었습니다ㆍ
    "주공, 무슨 책을 읽고 있습니까?"
    "경전일세"
    "경전이라면, 그 쓴 사람은 이미 죽어 흙이 되었겠네요?"
    "그야, 그렇지!!!"
    "죽어 흙이 된 사람이 쓴 책에 뭐 그리 대단한 내용이 있겠습니까?"
    여기서 잠깐 제 환공이 화를 내고 좀 소란스러웠다가, 노인이
    "저는 글은 읽을 줄도 모릅니다ㆍ평생 이런 수레 만드는 일과 고치는 일만 하다 70세를 훌쩍 넘겼지요ㆍ그래 수레구멍을 얼마나 파야 수레바퀴가 잘 굴러갈 지, 부서지지 않고 전쟁을 할 수 있을지를 알고 있습니다ㆍ하지만, 제 자식 놈에게 이 기술을 가르치려는데 아들 놈은 20년이 넘도록 배워도 맨날 부셔먹습니다ㆍ수레구멍을 파는 것도 이리 많은 수련을 쌓아야는데 그깐 '흙이 된 자 '가 써둔 글줄 몇 자 읽고 나라를 경영할 수 있다면 그 어찌 웃기지 않는단 말씀입니까?"
    제 환공은 그 수레 고치는 노인의 말에 충격을 받고서, 그날 이후 나라 곳곳을 살피면서 민생을 돌봐 최초의 춘추5패에 올랐다고 하는 정도로 기억합니다ㆍ
    이 이야기는 제환공이 관중의 보좌로 패자가 되었다는 통설을 비판하는 소수설이기도 하겠지만, '책 속에 길이 있다'는 주류 입장을 보충하는 면도 있다하겠습니다ㆍ
    이 이야기에는 빠졌지만, 제환공은 이런 뛰어난 기술자를 우대하는 정책을 폈으리란 점도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ㆍ
    제환공은 공자보다 한 세대 이상 선배이니 약2600~2700년 전입니다ㆍ즉 약3000년전부터 중국에 수레, 전차가 발달했을 것이란 추정이 가능한 거죠^^
    위 영상에서 말씀하셨듯이, 세계 역사를 바꾼 '바퀴'는 수메르문명부터라고 합니다(약5000~12000년전).
    바퀴를 이용한 수레ㆍ전차를 만들어 전쟁에 활용, 사실상 최초의 대제국을 건설한 건 기원전 1800년전 즉 약3800년전 히타이트(아니면 페니키아?)로 알려져 있습니다(지금의 시리아ㆍ레바논ㆍ이스라엘 지역이라면 페니키아겠네요?).
    페니키아(또는 히타이트?)는 그 당시 중동ㆍ그리스ㆍ이집트 및 북아프리카 일대ㆍ스페인 이베리아반도까지 이르러 지중해 패권을 장악한 세계 최초 제국을 건설한 셈이었지요ㆍ
    알렉산더 대왕보다 1500년 전이구요ㆍ그게 '바퀴 달린 수레를 전쟁용 전차로 이용한 결과'였다고 볼 수 있을 듯 싶거든요 ^^
    이 페니키아(히타이트?) 스타일의 전차는 그후 영화300의 페르시아전쟁ㆍ알렉산더 대왕의 동방원정ㆍ벤허 영화에서의 전차(로마 시대)ㆍ공자보다 50~100년 선배인 제환공의 여기 전차(수레) 등등을 볼 때, 누가 먼저 수레를 발명했느냐는 기원설 논쟁은 차치하더라도 이미 약 2500년 전후엔 수레ㆍ전차가 당대 전세계에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었다는 게 확실하다고 하겠습니다ㆍ
    공자도 전용 수레가 있었고 일종의 자가용 격이랄까요? 사회적 지위를 상징하는 물건이라서, 안회가 죽어 장례비가 없어 어느 제자가 공자의 수레를 팔자고 건의하자 공자가 크게 화를 낸 사실이 논어에도 나오지요^^
    당시 공자는 "대부는 수레가 있어야 한다"는 취지로 그 제자를 크게 나무라거든요^^
    이 영상에서 보듯, 바퀴의 발명과 개량을 통해 수레를 만들고 전차로 활용하여 단번에 세계 제국을 건설하는 세력이 나타는가 하면, 상업세력들은 수레를 이용, 원거리 교류를 통해 부를 축적해 가면서 , 자연스럽게 '수레ㆍ전차에 관한 기술 뿐 아니라 각 나라ㆍ지역 간의 책이나 지식들도 교류'가 있었을 터, "석가ㆍ공자( 두 사람은 띠동갑 사이)는 물론 한참 후배지만 소크라테스도 서로서로 안부?까지는 몰라도 책(죽간ㆍ두루마리)을 주고받으면서 서로의 존재 자체는 알고 지내지 않았을까요?"
    (자현 스님은 불교방송 강의에서, "석가모니가 수 개의 외국어에 능통했다(하긴, 조선 신숙주도 7개 국어, 신미 스님도 7개 국어를 우리말보다 능했다)"고 하더라고요ㆍ '총ㆍ균ㆍ쇠'의 저자 제럴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13개 국어를 한다고 자기 입으로 하는 말을 김미경 티비에서 직접 토로해서 놀랐습니다ㆍ 70세에 이태리어를 배웠다고도 하고요 ) ^^
    요즘 박사님 강의를 깊이 공부할수록 그랬을 가능성이 크다는 확신이 점점 더 커져가는 느낌이 듭니다^^
    '글로벌 시대',
    우리가 '처음'이 아니었던 듯 싶습니다~^^
    아브라함의 부인 '사라'의 뜻이 '신라'와 같다는 주장도 있어 꽤 흥미롭기도 합니다~^^
    아브라함이 "아브(아버지)라고 함"이란 뜻이라고 푸는 분도 있더라고요^^
    지금도 이스라엘에서 '아버지'를 '아브'라고 발음한다는데, 가보진 않아서 좀 ~~? ^^
    이 정도 가면, '단일민족' 개념을 학교서 배우던 '단일민족'은 폐기되고, 'Oneness로서의 단일민족'으로 패러다임 쉬프트가 이루어져야 하는 게 아닐까 싶은 생각조차 듭니다 ^^
    박사님, 이런 감명깊은 영상을 올려주시어 감읍할 따름이나이다~💓

  • @sunnyhappy4679
    @sunnyhappy4679 5 лет назад +1

    시리즈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 @박정희-v7s
    @박정희-v7s 5 лет назад

    시리즈로 ....계속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 @ramyeonjin3597
    @ramyeonjin3597 5 лет назад +1

    새로운 컨텐츠네요 재미있습니다!

  • @aliceww2146
    @aliceww2146 4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호이짜-p4p
    @호이짜-p4p 5 лет назад

    땅을 다니는 교통수단가운데 바퀴가 없는 것이 없는 것만 봐도(자기부상열차 제외ㅋㅋ) 바퀴는 정말 중요하긴 하네요. 박사님 항상 응원합니다~

  • @history-benlee
    @history-benlee 5 лет назад

    시리즈로 만들어주세요!!! 재미있어요 ㅎㅎ

  • @용이엄마-o6n
    @용이엄마-o6n 5 лет назад

    좋아요!!!!!!!
    시리즈 해 주세요♡♡♡♡♡

  • @Fallen_Song
    @Fallen_Song 5 лет назад

    삼국지 아저씨가 들려주니 구전동화 듣듯이 귀에 착착감기네용

  • @라이라이-v1v
    @라이라이-v1v 5 лет назад +2

    유럽 보면 민간인들이 바퀴달린 수레를 모는것이 자주 보이고
    마차에서도 바퀴가 이용이 되었는데
    한국에서 바퀴를 사용하는 것은
    공성전때 바퀴살 없는 바퀴를 보거나
    방패, 대포를 끄는 바퀴 밖에 본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왜 조선시대 상인들은 바퀴를 잘 이용하지 않았는지가 궁금합니다.

    • @여행용품-w2h
      @여행용품-w2h 5 лет назад

      저도 궁금합니다
      시리즈로 나와서 이 궁금즘도 해결해주세요

  • @주재환-k7i
    @주재환-k7i 4 года назад

    중국을 통일했던 시황제도... 지중해를 통일했던 로마도 빠른 수송을 위해서 길을 닦는것을 제일 우선했다던데... 바퀴를 이용한 인적 교류와 물류이동을 위해서이겠죠...

  • @korscv1234
    @korscv1234 5 лет назад

    발명품 시리즈는 재밌을거같습니다

  • @최재은-r6e
    @최재은-r6e 5 лет назад

    편자 나침반 화약 종이 문자...
    쟁쟁한게 많지만 바퀴가 1위 맞는거 같네요.
    테크트리의 가장 기초 베이스.

  • @강승헌-h6n
    @강승헌-h6n 5 лет назад

    이런 강의를 들르면 유튜브도 일종의 바퀴

  • @오미영-f2b
    @오미영-f2b 5 лет назад +1

    💬👏👏👏

  • @JoonghounKim
    @JoonghounKim 5 лет назад

    바퀴가 우리에겐 너무 일상적으로 다가 왔지만 사실은 인류 발전에 굉장히 중요했군요!

  • @강연철-n5f
    @강연철-n5f 5 лет назад +3

    지니도 나오네 ;D

  • @닥터푸우-y4b
    @닥터푸우-y4b 5 лет назад

    누구는 바퀴를 더 튼튼하게 만들고
    누구는 바퀴를 어디에 쓸까 고민하고
    누구는 바퀴가 없는 세상을 꿈꾸고

  • @horadokoi
    @horadokoi 5 лет назад +1

    천문술이 발달한 마야 아즈텍 문명이 바퀴가 없었다던데 이런거보면 정말 신기하네요

    • @JGCCJG
      @JGCCJG 5 лет назад

      황금의 나라가 석기시대였던것도 웃기죠
      금세공과 건축술도 대단했죠

  • @jasonhong4925
    @jasonhong4925 5 лет назад

    인류 최고의 발명품

  • @김기연-y7f
    @김기연-y7f 5 лет назад +1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기술자들 대우가..별로인나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