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 부산VS울산VS대구 사투리 비교 | 동국대학교 광홍 4명의 사투리 탐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1,6 тыс.

  • @GWANGTTARI
    @GWANGTTARI  4 года назад +130

    전라도 광주 사투리와 영남 사투리 차이 비교 영상을 새로 업로드 하였습니다!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ruclips.net/video/ijzsKVaHDn0/видео.html

    • @오으이
      @오으이 4 года назад +3

    • @드루와-z2e
      @드루와-z2e 4 года назад

      이에이승 이에이승 무한반복

    • @qweasd5245
      @qweasd5245 3 года назад +8

      왜 광주는 전라도 광주고 영남은 영남입니까..
      호남과 영남이죠

    • @오구오구-o1i
      @오구오구-o1i 3 года назад

      @@qweasd5245 ㅈㄴ 피곤하다

    • @cem605
      @cem605 3 года назад

      @@qweasd5245 그짝동네 특ㅋㅋㅋㅋㅋㅋㅋㅋㅋ전라도 얘기나오면 일단 혼자 거품물고 발작하기

  • @handlebreak
    @handlebreak 4 года назад +3207

    대구사람이 느끼는
    졸려 = 드라마 주인공이 순백색의 침대에서 자다가 새하얀커튼 사이로 살짝 삐져나오는 아침 햇살을 받으며 깼을때 기지개를 펴며 하는 말 같음.
    아웅 ~ 졸료 ~~

    • @정승우-i8s
      @정승우-i8s 4 года назад +294

      부산사람도 그래요

    • @정승우-i8s
      @정승우-i8s 4 года назад +17

      @@joonyuk7458 ㄹㅇㅋㅋ

    • @suzxi687
      @suzxi687 4 года назад +349

      서울사는데 잠온다가 그렇게 느껴짐

    • @성이름-w4d
      @성이름-w4d 4 года назад +335

      반대로 표준어쓰는사람들은
      잠온다라고 하면 귀여운척하는걸로 느끼죠 ㅋㅋㅋ

    • @정승우-i8s
      @정승우-i8s 4 года назад +53

      @@suzxi687 잠 못 주무실땐 잠 안온다 하시면서...

  • @VOID-bw5jc
    @VOID-bw5jc 4 года назад +380

    80년대 나름 공부 열심히 해서 서울의 명문대에 들어간 대구사는 사촌누나가 학기초반에 말 한마디 못 하고 있다가 첨 용기 내어 한마디 했데요. "아래(그저께) 내가 ~".....친구들 전부 땅 밑을 보고 있더라는...

    • @김사랄랄
      @김사랄랄 4 года назад +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ryuelhan5641
      @ryuelhan5641 4 года назад +11

      ㅋㅋㅋ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ㄱㄲ

    • @todayjoy
      @todayjoy 4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언제나고마워요-t8x
      @언제나고마워요-t8x 4 года назад +4

      그저께는 아래어제..,,

    • @주누아비
      @주누아비 4 года назад +16

      아래께 라고 많이쓰죠ㅎ

  • @dpven21
    @dpven21 4 года назад +2059

    우리나라 말에 성조가 없는데 사투리에 생겨난 게 아니라 원래 우리나라 말에 성조가 있었는데 그게 사투리에만 남고 서울말에서 사라진 거...

    • @ashm8826
      @ashm8826 4 года назад +193

      ########## 지금 현재 우리나라 표준어에는 성조를 인정하지 않는데, 표준어는 대한민국의 여러 사투리중 수도가 위치한 성조가 없는 서울 사투리를 기준으로 제정되었다는거 같음.
      근데 중세국어는 성조가 엄연히 있었고 이를 지금까지 계승한게 경상도 사투리라는 말이라는걸 설명하는듯

    • @AzureUnagi
      @AzureUnagi 4 года назад +67

      서울말에도 고저 악센트가 존재합니다. 보통 사람들이 쉽게 인식할 정도로 명백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흔히 없다고 여겨지는데 다른 음보다 조금 더 길고 크게 발음되는 강세음절이 있습니다.
      중세 한국어에 있던 것도, 현대 서울말에 남아있는 희미한 흔적도, 동남 방언에 뚜렷하게 남아 있는 것도 고저 악센트(pitch)이지 성조(tone)가 아닙니다. 성조는 음소의 대립을 만드는 음성요소입니다. 둘이 다른 개념이므로 구별해서 써야 합니다. 한국어 방언에 성조는 없습니다.

    • @AzureUnagi
      @AzureUnagi 4 года назад +30

      악센트(강세)는 단어나 문장 내에서의 상대적인 음의 높낮이를 말하는 것이고, 성조는 "하나의 음절"에서 음의 높낮이로 인해 "다른 음"이 되는 음소입니다. 성조는 중국어를 포함한 일부 언어에 존재하는 것이지만 악센트는 사실상 모든 언어에 존재한다고 보면 됩니다.

    • @주먹쥐고일어서-c2p
      @주먹쥐고일어서-c2p 4 года назад +2

      님 고대에 사신 것처럼 말씀하시네요 ㅋㅋㅋ 그런 말은 금시초문입니다. 현재까지 제가 알기로는 고대 한국어는 확실한게 거의 없고, 다 설입니다.

    • @이성민-d3e
      @이성민-d3e 4 года назад +76

      원래 한국어엔 성조가 있었는데 표준어가 제정되면서 없어진 거에요. 원래는 서울말도 표준어가 아니고 서울 사투리라고 보는 게 맞음. 80년대 영상보면 서울 사투리 확실히 알수있음

  • @if6591
    @if6591 4 года назад +1511

    울산은 진짜 다 섞임 사람마다도 쓰는거 다 다르고.. 어떤거는 경북꺼 쓰고 어떤거는 경남꺼 쓰고 같은 울산사람이라도 말하는 게 다름

    • @로잘리나
      @로잘리나 4 года назад +44

      경북이랑 경남 경계선에 있는 지역은 다 그런듯..ㅋㅋ

    • @넘나-x1x
      @넘나-x1x 4 года назад +11

      그건 토종 울산분이 아니시고 다른지역서 시집오신분 이신듯해요

    • @sjfu12jrj552
      @sjfu12jrj552 4 года назад +161

      일단... 저도 울산사람이고 울산이 도시특성상 공장이 많아서 타지역사람들이 많음ㅋㅋㅋ 토종울산사람은 극소수일듯ㅋㅋㅋ 우리아빠만 해도 충청도사람 우리엄마도 경북사람임ㅋㅋㅋㅋㅋㅋㅋㅋ살짝 울산은 경남+경북 섞엿는데 그래도 경남에 가까운 사투리

    • @조렌디
      @조렌디 4 года назад +29

      저 울산에20년 부산에 13년째살고있는데
      부산애들이 아직까지 말투이상하다고 놀리네요..저는완벽히부산말투인줄알았는데
      특히
      '~~아이가?' 이런말을 많이하고
      중간중간 경북억양이 섞여있다고..

    • @김동현-r2b6p
      @김동현-r2b6p 4 года назад +55

      저 울산 사는 고딩인데 솔직히 저나 주변애들이나 경북 사투리,부산 사투리,표준어 다 안어색하고 상황따라 섞어서 쓰는거 같아여

  • @tseer2811
    @tseer2811 4 года назад +1581

    울산 사람으로서 대구 사투리 들으면 정말 어색하게 들림 ㅋㅋ 그리고 대학교 다른지역으로 가기 전까지 전 제가 사투리 쓰는지 전혀 몰랐음 ㅋㅋ

    • @k_.modoriii
      @k_.modoriii 4 года назад +189

      Jun-ha Jeon 저도 울산사람인데 대학가기전까지 울산은 사투리 없는편인줄 ㅋㅋㅋㅋㅋ

    • @이매-q8z
      @이매-q8z 4 года назад +36

      ㅋㅋㅋㅋ 님들 왜그라세욬ㅋㅋㅋㅋㅋㅋ

    • @김유리-f5e
      @김유리-f5e 4 года назад +97

      경남 경북 통틀어서 울산은 사투리 안쓰고 억양만 있다 생각했는데............

    • @체리체리-w4w
      @체리체리-w4w 4 года назад +50

      울산은 억양이 부산경남쪽하고 비슷하더라구요 대구경북쪽하고는 억양 차이가 좀 있더라구요

    • @이매-q8z
      @이매-q8z 4 года назад +21

      울산에 제가 3년째 있는데 사투리 너무너무 심해서 못알아 들을때가 많아요.. 아래깨 라던가 ㅋㅋㅋㅋㅋㅋ

  • @roilionide
    @roilionide 4 года назад +167

    지금껏 본 무수한 사투리영상 중에 가장 공감되는 영상이네요 ㅋㅋㅋ 첨 서울가서 느꼈던 모든 경험과 혼란과, 대구에서 느꼈던 경험과 감정들이 다 담겨있는 ㅋㅋ

    • @GWANGTTARI
      @GWANGTTARI  4 года назад +2

      크항ㅜㅜ저희끼리의 이야기가 공감을 드릴 수 있다니 감동이에요ㅜㅜㅠ광따리 더더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구독해주셔서 앞으로도 함께 해요❤❤

  • @TwinStar372
    @TwinStar372 4 года назад +367

    울산 어디냐에 따라서 많이 다름 공장밀집한 중공업 자동차 화학단지쪽은 사투리가 좀 약하지만 상대적으로 토박이가 많이 살고 있는곳은 사투리 많이 씀..

    • @윤나영-v6t
      @윤나영-v6t 4 года назад +2

      그게부산임ㅋ

    • @떡잎방위대
      @떡잎방위대 4 года назад +1

      울산 저 구석탱이에 쳐박힌 울주군민으로써 사투리 안쓰는데여...?

    • @콩이아빠-t7r
      @콩이아빠-t7r 4 года назад +4

      ㅎ 지금 제가 울주군 범서읍에 살고있어요 이동네 사람들 반이상이 부산출신입니다 울산 사투리쓰는 사람 저 딱 한 명 봤어요

    • @이서현-x5h
      @이서현-x5h 3 года назад +4

      범서읍도 인구 많은 구영리쪽 가면 다 10년 전에 신도시로 개발된 곳들이잖아요ㅋㅋㅋ 여기도 다 외지인들임 구영리는 울산시내랑 교통도 잘 되어 있어서 개발될 때 시내사람들도 많이 들어왔음

  • @msha483
    @msha483 4 года назад +400

    부산 고향인데, 군대가서 알게됨 울산 교묘하게 부산과 다름, 대구는 아주 대놓고 다름ㅋㅋ

    • @thearthisyours
      @thearthisyours 4 года назад +6

      경남과 경북의 차이

    • @콜마이-q1h
      @콜마이-q1h 3 года назад +8

      경상도 사투리.
      서부경남말투 마산,통영,하동 등등 다르게씀.
      동부경남말투 울산,양산등 다르게씀.
      부산말투 다르게씀.
      대구말투 다르게씀.
      북경북 말투 안동,의성등 다르게씀.
      포항말투 다르게씀.

    • @ehrksl
      @ehrksl 3 года назад +4

      부산고향이고 대구 오래산 사람인데 말투가지고 엄청 놀림당함 ㅋ

    • @비마-h8t
      @비마-h8t 3 года назад +4

      아니 흔히 부산사투리라 하는데 경상도 지역마다 사투리 다다름. 주로 바다쪽이 강세가 강하고 악센트가 쌔게들어감.
      부산 울산은 비슷하지만 약간씩 차이가 있고 대구는 강세가 반대로 되는경우가 많음
      몇년살던 친구들 다 모이면 개판됨 니 말을 왜 그따구로 쓰노 시전

    • @SADONEATTACK
      @SADONEATTACK 3 года назад +2

      울산=경남 경북의 오묘한 콜라보

  • @실버-z7s
    @실버-z7s 4 года назад +39

    3:24 가만 보다 빵터졌넼ㄱㅋㅋㅋㄱㅋㄱㅋㄱㄱ
    진짜 격공ㅋㅋㄱㄱㅋㄱㅋㅋㄱㄱ 안경 끼신 분이 설명이 귀에 빡 꽂히게 해주시네욬ㄱㅋㄱㄱ
    타지에서 살아서 다들 표준어만 쓰는데 알고리즘을 통해 온건데 상당히 정겹네요ㅋㅋㅋㅋㅋㅋ 정겹고 익숙하고 반갑고 집에 가고 싶다..

  • @도싸-h6t
    @도싸-h6t 4 года назад +473

    울산은 원래 경주와 같은 문화권이었는데 1876년 갑오경장때 동래부에 편입되면서 경남문화권에 편입됩니다...당시에 경주,포항도 함께 동래부였습니다...그러다가 해방후에 행정구역 개편하면서 경주,포항은 경상북도에 들어갔으나 울산은 경남에 포함되었습니다...따라서 경남이기때문에 경남 사투리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1960년대 이후 울산이 공업도시로 육성되고 커지면서 경주지역이던 두동,두서면이 울산시에 편입되었습니다...그곳사람들이 경주 토박이들이니 경북 사투리를 쓸 수밖에 없죠
    울산이 공업도시로 발전하면서 2개의 루트로 인구가 유입되는데 부산,양산지역과 경주지역입니다...
    경주지방에서 유입된 사람들의 후손들은 당연히 경북사투리를 쓰겠죠..부산,양산지방에서 유입된 사람들의 후손은 당연히 경남사투리를 쓰는 것입니다...
    울주군만 봐도 두동,두서면 사람들과 가까운 언양쪽 사람들은 경주사투리 씁니다...그러나 기장과 양산에 가까운 온산,웅상쪽 사람들은 부산 사투리 사용한다는 거죠...
    그러니 결론은 울산은 유입된 루트에 따라 쓰는 사투리가 다르므로 경북,경남 사투리가 혼재되어 있다는 특이한 점이 있죠...

    • @헤이재형
      @헤이재형 4 года назад +8

      와 천재다

    • @junelee6028
      @junelee6028 4 года назад +12

      맞아요ㅎㅎ 외갓집이 경주 근처인 이화가 고향인데 외삼촌들이 쓰는 단어에 실제로 희야(형의 경북사투리)등의 경북사투리를 많이 쓰세용ㅎㅎ

    • @ninnn9186
      @ninnn9186 4 года назад +5

      저 울산 북구 호계 사는데 사투리 쓰는애들 별로못봄

    • @김재선-c6u
      @김재선-c6u 4 года назад +8

      @@ninnn9186 그쪽 살던 사람으로써 그냥 평소듣던 말이라 못 깨닳으신거같아요ㅋㅋㅋ 다 써요ㅋㅋ

    • @ninnn9186
      @ninnn9186 4 года назад

      김재선 저 수원에서 태어나서 자라고 울산 고딩때 왔는데요?

  • @김지호-c2w
    @김지호-c2w 4 года назад +103

    ㅋㅋㅋㅋㅋㅋㅋㅋ 목을 졸리다 ㅋㅌㅋㅋㅋ

  • @Sh-gl8iy
    @Sh-gl8iy 4 года назад +676

    원래 울산은 사투리가 그렇게 심하지 않아요 산업도시이고 여러지역에서 모여온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 표준어에 영향을 받아서 표준어+경상도 사투리 입니다 물론 각 가정/동네마다 다를수있긴한데 대부분은 저 사투리랑 달라요~~

    • @tkdwnsdprp
      @tkdwnsdprp 4 года назад +104

      울산사람인데 대학교나 군대에서 사람들 얘기 들어보니까 대구+부산 짬뽕이래요 ㅇㅅㅇ

    • @인간-c6u
      @인간-c6u 4 года назад +59

      울산 10년 산 어린앤데 울산은 지도상으로는 경남이지만 북쪽에 있으면 경북 사투리랑 경남 사투리랑 섞여있습니다. 북구에 북쪽에서 사는 전 경북사투리를 더 많이 쓰는 것 같네요
      글고 울산엔 전국 사람들이 섞여있습니다..ㅎㅎ 글고 울산사람들은 대구사투리가 부산사투리고 부산(경남)사투리가 대구(경북)사투리라 그게 섞여서 대구,부산보다 더 약해집니다 그래도 서울사람한테는 세게 들립니다 제 댓을 본 수도권분들은 착각하지마세요. 그리고 싸울때는 더 약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그래도 안 싸울때가 훨씬 많으니까 놀라지마세요.&21세기 사람들은 사투리 그렇게 많많많이는 별로 안 씁니다..... 근데 나 이거 왜쓴거야..?)

    • @오드리햇반-p9u
      @오드리햇반-p9u 4 года назад +11

      울산 사투리 많이 쓰는데 ㅎ

    • @Sh-gl8iy
      @Sh-gl8iy 4 года назад +12

      오드리햇반 님 기준 아닌가요 .. 전 북구에 살고 저희 동네 사람들은 사투리 심하게 안쓰는데 ...

    • @Sh-gl8iy
      @Sh-gl8iy 4 года назад +8

      당장에 울산 지역뉴스만 봐도 부산뉴스나 대구뉴스 보다 앵커들이 사투리를 거의 쓰지 않는편인데..

  • @화이쌤
    @화이쌤 4 года назад +40

    이 세사람은 표준경상도 맞네요..ㅋㅋ 어제아래...학교다니면서 뭐지?라고 헷갈렸다는...근데 그런갑다하고 쓴지도 어언~~ㅜ.ㅜㅋㅋ

  • @LeoMagicClass
    @LeoMagicClass 4 года назад +745

    나와 노의 가장 큰 차이는..
    나는 yes or no로 대답이 가능하고..
    노는 그렇지 않다 입니다.
    뭐 묵었나? 응
    뭐 묵었노? 치킨

    • @noona0419
      @noona0419 4 года назад +22

      오 딱 집었네 ㄷㄷ ㅇㄱㄹㅇ

    • @gabofilmtv9858
      @gabofilmtv9858 4 года назад +55

      뭐 하나? = Are you doing something?
      뭐하노? = what are you doing?

    • @나비야-u2m
      @나비야-u2m 4 года назад

      @@gabofilmtv9858 고 vs 노
      나 vs 가 이건 어떻게 달라요?

    • @아이-z7g
      @아이-z7g 4 года назад +1

      엇. 묵
      노. 엇
      뭐 묵 뭐 나

    • @목욕하는샐리
      @목욕하는샐리 4 года назад +1

      @@나비야-u2m 경상도 사람인데 질문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용...예시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 @선재-b5o
    @선재-b5o 3 года назад +25

    여러지역 사투리를 모아서 보니깐 정말 재밋네요. 그중에서 대구사투리가 가장 찰지고 재밌네요. 광따리님 앞으로도 이런 컨텐츠 많이 올려주세요.

  • @gorilladoll
    @gorilladoll 4 года назад +527

    대구는 ~노 보다는 ~는데로 많이 끝나죠 ㅎㅎ 니 뭐먹었는데 니 뭐하는데 처럼

    • @시언김-s7o
      @시언김-s7o 4 года назад +12

      ㄹㅇ

    • @revc6421
      @revc6421 4 года назад +1

      ㅇㅈ

    • @엥-l8s
      @엥-l8s 4 года назад +2

      ㅇㅈ

    • @younga830
      @younga830 4 года назад +1

      ㅇㅈ

    • @Luumini12
      @Luumini12 4 года назад +9

      저는 서울사람이라 그런진 몰라두ㅎㅋ 갠적으로 니 뭐하는데 이런거 약간 띠껍게 느껴짐 약간 짜증낼때 아 니 뭐하는데?!!?;;; 이런느낌??

  • @1.8-x6g
    @1.8-x6g 4 года назад +559

    3:27 마 얘들아 사투리에 자부심을 가지라

    • @GWANGTTARI
      @GWANGTTARI  4 года назад +8

      든든합니다 행님😉 시청해주셔서 댓글남기주셔가 감사함다❤구독해주셔서 앞으로도 쭉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1.8-x6g
      @1.8-x6g 4 года назад +2

      광따리 GWANGTTARI 넹 ㅋㅋㅋㅋ

    • @정무이-c6z
      @정무이-c6z 4 года назад +2

      마 아야 느말에 부심을 가라 하면 완벽

    • @gyuhwanlee1025
      @gyuhwanlee1025 4 года назад

      와~^^b

  • @하노이봉
    @하노이봉 4 года назад +39

    경상도 중에서도 무척이나 특이한 지역이 있습니다. 경북에는 안동, 영주등지가 무척 특이하고, 경남에서 무척 특이하고 다른 곳은 삼천포, 마산, 등지가 무척 독특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쪽도 같이 다뤄 주시면 무척 재미 있는 영상이 나올것 같습니다.

    • @유튜브용계졍
      @유튜브용계졍 3 года назад +5

      경북은 대구랑 거의 다 같던데 안동사투리는 진짜 다르더라구요 ㅋㅋ 좀 북한말같이쓰던데

    • @aquarium3320
      @aquarium3320 2 года назад +4

      저 안동출신 대구에 살고 있는데 안동말투 썻는데 지금 생각하면 완전 산골말투였네요 밥 묵었니꼐? 밥 묵었니더~ 했니꼐? 했니더~ 꼐로 묻고 더로 대답하고

    • @홍길동-m7d2f
      @홍길동-m7d2f 2 года назад

      하동 사천 사투리가 특이하고 재밋죠~~^^

    • @user-sv5yr3xq6l
      @user-sv5yr3xq6l 2 года назад

      마산은 별거 없어여

    • @하노이봉
      @하노이봉 2 года назад

      @@user-sv5yr3xq6l 마산 사투리를 말하는 겁니다.

  • @professor7028
    @professor7028 4 года назад +298

    부산사람인데 [맞다이가] 가 자연스러움 ㅋㅋ 대구분들은 [맞다"아"이가] 이런 느낌?? 경남쪽 사투리는 잘모르겟는데 대구사투리는 확실히 다른게 들림

    • @냥냥이귀여운
      @냥냥이귀여운 4 года назад +11

      난또 맞다이인줄

    • @Deleted_Account
      @Deleted_Account 4 года назад +4

      맞짱뜬다는 줄..

    • @유디-j2z
      @유디-j2z 4 года назад +20

      대구는 캣다 아니가~ 이렇게 쓰더라구요

    • @유나님-c5s
      @유나님-c5s 4 года назад +1

      맞아 ㅇㅇㅇㅇ 맞다이가

    • @유나님-c5s
      @유나님-c5s 4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경남인데요 맞다아이가 안쓰고 맞다이가 이거씁니다 ㅇㅇ

  • @bom4rang
    @bom4rang 2 года назад +4

    전 울산 동구 출신인데.. 어릴적 .. 특히 여자애들중엔 서울 말투와 섞인 사투리를 쓰는 애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전 생각에 쟤네들 부모님중 한분은 서울분이신가.. 라고 생각했었는데요. 정말 그랬을수도 있겠다.. 싶네요.. 어 글쓰다 생각해보니 제 친한 친구(남자)였던 세놈만 떠올려도 부모님분들중 한분은 경상도분이 아니셨네요...ㄷㄷㄷ 신기방기..

  • @김밍뭉
    @김밍뭉 4 года назад +157

    내가 서울에 올라가서 가장 놀랐던 것 세가지
    첫번째:발음 [월료일]이 표준어가 아니다
    두번째: "아래께" 라는 말이 없다
    세번째:"아메리카노"도 "블루베리스무디" 뺨친다

    • @언제나고마워요-t8x
      @언제나고마워요-t8x 4 года назад +1

      월료일이표준어가 아니라는걸 그럼 아예몰랐단거임??부산사람인데 ㄷㄷ

    • @김밍뭉
      @김밍뭉 4 года назад

      언제나고마워요 댓글 수정했어요! 그 단어 자체는 당연히 아닌걸 알고있었져 ㅋㅋ 근데 발음이 월료일이라는게 틀렸고 딴 사람들도 다 워료일 워료일 하고 월료일 안하는게 신기했던 거였어요!

    • @yoonsehee
      @yoonsehee 4 года назад +1

      아래께 가 뭐에요?? 아래꺼?

    • @김밍뭉
      @김밍뭉 4 года назад +2

      윤세희 그저께요

    • @녹차리
      @녹차리 4 года назад

      헐 부산인데 서울사람들 월료일이라고 안하고 워료일이라고해요..? 신기..
      그럼 예를들어 선영이는 어떻게 발음해요? 서녕이? 선영이?

  • @user-qp3nc1jn8i
    @user-qp3nc1jn8i 4 года назад +492

    컬러풀 대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un927
      @yun927 4 года назад

      ?

    • @user-qp3nc1jn8i
      @user-qp3nc1jn8i 4 года назад +2

      4딸라 ?? 왜용?

    • @yun927
      @yun927 4 года назад +2

      @@user-qp3nc1jn8i 왜쪼갬

    • @user-qp3nc1jn8i
      @user-qp3nc1jn8i 4 года назад +7

      4딸라 아니 웃겨서 쪼갰다 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쪼갠게 잘못이여?

    • @yun927
      @yun927 4 года назад

      @@user-qp3nc1jn8i 어느부분이 웃긴데

  • @안다다안다-w3j
    @안다다안다-w3j 3 года назад +7

    울산사람인데 이게 울산사투리인지 제가 타 지역 친구들한테 울 엄마한테 ‘다 말려’라고 했는데 아무도 못 알아듣더라고요..!
    다 이른다 이런 뜻이라니까 신기해해서 저도 신기했습니당

  • @지욤욤
    @지욤욤 4 года назад +46

    이거 레전드ㅋㅋㅋㅋㅋ 생각나면 보러옵니다 3번봤어요 앵간한 예능보다 웃김ㅋㅋㅋ 수빈님한테 빙의해서 봄ㅋㅋㅋ 그리고 목이졸리다 봐도봐도 웃겨욬ㅋㅋㅋㅋㅋ

  • @하늘-x4q3z
    @하늘-x4q3z 4 года назад +8

    같은 나라의 다른 말이 있는듯 느껴지지만 특성이
    다시보니 재미있네요 칭구들 고마워요~^^

  • @뀷뀷
    @뀷뀷 4 года назад +31

    와....울산 노잼도시인거 너무 공감가요....학교 축제때 흥이 안올라요옥ㄲ...ㅠㅠㅠㅜㅋㅋㅋㅋㅋㅋ

  • @Matthew-7dates
    @Matthew-7dates 4 года назад +16

    사투리는 대박임.
    저렇게 깊은 뜻이 있었네~.

  • @hyeinkim5752
    @hyeinkim5752 4 года назад +7

    수학에 보면... 중 3때부터 영어 들어가잖아요 2에 2승 2에 e승 이런거 해주심 재밌을거같아요 ㅋㅋㅋ 사투리 넘나 효율적 ㅋㅋㅋㅋ 제 사촌동생이 마산 사람이라 ㅋㅋㅋ 그때 발음법 알려줬는데
    넘나 신깈ㅋㅋㅋ다 알아듣게 됨ㅋㅋㅋㅋㅋ

  • @sweetvitter
    @sweetvitter 4 года назад +84

    E와 2에서도 그렇고 확실히 표준어 보다는 사투리가 분별력이 좋은 것 같네요. 사투리를 쓰는 사람 간에서는 의미와 전달력이 뛰어난 것 같아요.

    • @gdgong
      @gdgong 2 года назад

      이이 와 이

    • @Yangmory
      @Yangmory 2 года назад

      우리가 알고 있는 하와이 발음도 hawaii 이므로 하와ㅇ이(쌍이응)가 맞답니다
      미국인 타일러가 그랬어요
      경상도 발음의 e 2의 구분처럼요
      이건 한글로 쌍이응을 쓸수 없어서 생기는 문제죠 ㅋ

  • @sustainablependentive
    @sustainablependentive 4 года назад +12

    전 서울 사람이고 저희 어머니̆̈ 경상도 분이신લો “윤ටㅏ ~ 윤아~ “가 저희 어머니만 사용하시는 게 아니였네요 ‎𐨛 ‎𐨛 ‎𐨛 ‎𐨛 ‎𐨛 재밌게 보고 가요

    • @날다람G1
      @날다람G1 4 года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소윤님🐿💞저는 원이에요 ㅋㅋㅋㅋㅎㅎ댓글 달아주셔서 너무 감사해요😭💞코로나 조심하시구 광따리 많이 사랑해주세요🐿💞

  • @심준호-v4y
    @심준호-v4y 4 года назад +152

    10:46 아 저거 쌉인정.. 애들한테 시비충으로 보일까봐 일부러 의식하고 사투리 많이 욱여넣을라 하는데

  • @en-ni1zv
    @en-ni1zv 2 года назад +4

    너무 재밌어요. 경기도에 이십년 넘게 살다가 부산에 10년 정도 살았거든요. 많이 공감 되고 기억도 새록새록 나네요. 좋아했던 오빠가 아들이랑 놀고왔다는 얘기에 결혼한 줄 알고 충격먹었는데 아~들 이었던 일화, 사투리 진한 할머니 손님이 일본어 하시는줄 알고 일본분이냐고 물은 일화, 직장에서 '시루다' '널찌다' 등등이 업무 용어인줄 알고 자세히 적어달라고 한 일화 등등 무지 많네요~ '정말? 진짜?' 이런 감탄사를 얘기하면 약간 기분 나빠하며 진짜지 가짜겠냐는 반응, 반대로 부산분의 '맞나?'라는 감탄사엔 저 역시 맞아요 라고 열심히 대답했던 기억ㅋ 그리고 부산 내에서도 동네마다 은근히 사투리 차이가 있다는 사실! 대화를 많이 하는 직업이라서 알게되더라구요. 정말 사람 냄새 나는 따뜻하고 살기좋은 부산이에요

  • @babyzakk2644
    @babyzakk2644 4 года назад +131

    ㅋㅋㅋ영남에서 온 동기들 특징 "내 정도면 사투리 쓰는편 아이다"
    13:03 3초만에 무너짐ㅠㅋㅋ

    • @신수학-r3w
      @신수학-r3w 4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투리 계속쓰는데 서울사람다됐다는것도 웃겨요

    • @tfwefeaqef
      @tfwefeaqef 4 года назад +2

      ???:내 사투리 안쓰제
      지금 쓰잖아

  • @mirinae4313
    @mirinae4313 Месяц назад

    참 재미있고 반갑네요. 그런 다색하고 다양함이 오래 보존됬으면 좋겠네요.

  • @WSC1987
    @WSC1987 4 года назад +271

    대구나 경북은 깔롱직인다는말 안씁니다 ㅋ

    • @깨굴-u7d
      @깨굴-u7d 4 года назад +14

      저도 처음 들어봐영 ㅋ

    • @신수학-r3w
      @신수학-r3w 4 года назад +7

      깔롱을 어떻게 직이나요 ㅋㅋㅋ

    • @괴팍함
      @괴팍함 4 года назад +1

      ? 첨 들어본다

    • @VLAQ
      @VLAQ 4 года назад

      50대 이상은 많이 씁니다

    • @jkcafri794
      @jkcafri794 4 года назад +8

      울산도 안씁니다. 진주말이라고 나오네요

  • @PeterPanComplexe
    @PeterPanComplexe 4 года назад +77

    버스광고 문구에 '허리가 우리~ 하면 우리병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lui2295
      @slui2295 3 года назад +1

      이거 어제 봤는뎈ㅋㅋㅋㅋㅋㄲㅋ

  • @저희개는안물어요제가
    @저희개는안물어요제가 4 года назад +8

    울산 사는 중딩으로써 말하자면 확실히 경북이랑 경남 그 사이에 어중간하게 있어서 부산 사투리랑 대구 사투리가 섞여있는 짬뽕 말인듯해여
    부모님 영향도 좀 큰 듯 부모님이 두 분다 대구분이시고 할머니 할아버지댁도 다 대구여서 대구 사투리가 편하게 들리긴해여 애들도 사투리가 다들 다 다른 듯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이름-m6g3k
    @이름-m6g3k 4 года назад +8

    쌉공감ㅋㅋㅋㅋㅋ '졸려'는 진짜 드라마속에서만 들어본듯 (저는 대구인

  • @꿀펄센
    @꿀펄센 3 года назад +7

    대구 말 중에 `까꾸` 라는 말도 있습니다 `술래`란뜻이죠 어릴때 많이 썼었는데 요즘은 안쓰이는 것 같더라구요 대체로 대구 경북이 앞을 많이 때립니다. 경남이 뒷쪽을 많이 올리구요 유명한 말로 `대학교` 가 있죠

  • @lucaskang290
    @lucaskang290 4 года назад +15

    ㅋㅋㅋㅋ 저도 부산만 살다가 미국 유학갔더니 다 서울사람.
    저기서 했던말 개공감이고 똑같이 느낌ㅋㅋㅋㅋㅋㅋㅋ
    근데 사투리쓰면 더 빨리 친해지고 나 궁금해해서 외국친구(코리안아메리칸)도 더 많이 사귈수 있었다는... ㅋㅋㅋ 사투리는 무기니까 자부심 가지길~

    • @GWANGTTARI
      @GWANGTTARI  4 года назад +2

      강규환 아이고 ㅜㅜ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ㅜㅜ 더 재밌는 영상들 들고 돌아오겠습니다

  • @gabofilmtv9858
    @gabofilmtv9858 4 года назад +15

    9:06
    서울태생에 40년 살았지만 Yes의 의미로 ‘응’ 이 말은 거의 안 씁니다. 구어체가 아닌 문어체라고 보시면 되요. 응 보다는 보통 ‘어’ 를 쓰거나 가까운 사이에는 약간 뭉개지는 발음으로 ‘응’ 비슷하게 하긴 하는데 ‘응’ 발음은 아니에여.
    13:07
    그리고 ~~했니? 이건 더더욱 안써요. 특히나 친구사이라면 더더욱 안쓰죠. ~~니? 를 쓰는 경우는 보통 한참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뭔가 물을때 쓰는게 보통이고 보통 많이 가까운 친구 사이에는 ~~했냐? 밥 먹었냐? 처럼 냐를 많이 쓰고 그냥 약간 어려운 친구 사이에는 ~~했어? 밥 먹었어? 처럼 어를 많이 써요. 그리고 경상도 말은 친한 윗사람에게 ~~나? 를 써도 버릇없는 말이 아니고 그냥 친근한 표햔이지만 서울말에서 ~~냐? 는 절대 윗사람에게는 쓸수 없는 말입니다. 귓방맹이 맞아요 ㅋㅋㅋ 윗사람이지만 존댓말을 안쓰는 친한 사이라면 보통 ~~했어? 회사 갔어? 처럼 어를 쓰지요. 지방분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니? 는 서울에서도 아주 특별한 경우 아니면 거의 안 쓰여요. 서울사람들이 느끼기에도 약간 오글거리는 표현입니다. 마치 초등학교 선생님이 1학년 학생들 달랠때나 쓸것같은 표현입니다.

    • @jkcafri794
      @jkcafri794 4 года назад +1

      어를씀(경상도)
      밥묵나?(경상ㄷ)=버릇없는말 맞음. 윗사람에게 못씀 귓방망이 맞음

    • @gomygomy6289
      @gomygomy6289 3 года назад +1

      어 이거 맞는듯 동생들한테 ~니??많이씀

    • @jaemmin942
      @jaemmin942 2 года назад +1

      ~했니? 이건 진짜로 아랫사람한테 쓰는거.. 친구한테 절때 안씀

  • @yeoeun2000
    @yeoeun2000 4 года назад +4

    사투리 미쳐요 미쳐 그리고 익숙해보이는 저 장소 ㅎㅅㅎ?

  • @김눕
    @김눕 4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ㅋㅋㅋㅋㅋㄹㄹㅋㅋㅋ영상 마지막까지 엘리베이터 앞에서 얘기나누시는 줄 알았어요 ㅋㅋㅋㅋㅎㅋㅎㄹㅋㅋㅋㅋㅋㅋ울산사람인데 잼나게 보구 갑니다 전 제가 사투리 안 심한 줄 ㅡㅡ

    • @GWANGTTARI
      @GWANGTTARI  4 года назад +1

      ㅠㅠㅠㅠㅠㅠㅠㅠ저 웁니다ㅠㅠㅠㅠㅠㅠ
      재밌게 봐주셔서 너무 감사하고 댓글까지 남겨주셔서 넘 감사해여 ㅠㅠㅠ구독해주셔서 앞으로도 쭉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김눕
      @김눕 4 года назад +1

      @@GWANGTTARI 답글 감사합니다

  • @달코미-m5y
    @달코미-m5y 3 года назад +1

    뭐 먹었나? 뭐 먹었노? 의 차이점에 놀랐어여 ㅋㅋㅋㅋㅋ 노는 꼭 대답을 해줘야 한다는것도 너무 신기하네여 ㅋㅋㅋ 근데 2랑 e는 그냥 똑같은 인데.... 성조처럼 구분한다는거에 충격...... 1과 일도 충격 ㅋㅋㅋㅋㅋㅋㅋ

  • @나나핑_나나
    @나나핑_나나 4 года назад +11

    뭐야 일요일 월요일 발음이 달랐어? 전혀 몰랐던 사실.... 살면서 아무 의심없이 표준어라 생각하고 일료일월료일 했는데 역양이었다니... 부모님의 영향이 크기는 하구나(부모님 두분다 부산분이심)
    솔직히 살면서 난 표준어 되게 잘 쓴다고 생각했었는데 억양이 있기는 했구나... (살면서 부산은 태어나서부터 단 5년만 살았었음)

  • @cream3483
    @cream3483 4 года назад +6

    진짜 재미있는데요.전 외국인인데...거희 다 이해했어요 ㅋㅋㅋㅋ

  • @스텔라-u2k
    @스텔라-u2k 4 года назад +3

    진짜 신기한건 엄마는 부산사람 아빠는 경북사람인데 평소엔 부산사투리 쓰다가 가끔씩 나도 모르게 대구 사투리 나옴. 그때 마다 내 DNA 속 박힌 사투리
    ..너란 존재..

  • @최수영-s6v
    @최수영-s6v 4 года назад +5

    ㅋㅋㅋㅋ맞아 저 부산사는데 주말마다 서울에서 부산에 내려와서 가르쳐주시는 학원선생님이 계셨거든요 그 쌤이 부산 식당에 가면 식당 아주머니들이 자꾸 화를 낸다고 하시는거에요ㅋㅋㅋㅋ 부산이 억양이 세서 화내는게 아닌데 화내는걸로 들리나봐요..

  • @은수-r8r
    @은수-r8r 4 года назад +6

    아 대구사는데 너무 공감되고 재밌어여 울산분 뇸기여우심

  • @민민-w2w
    @민민-w2w 3 года назад +1

    오우 왼쪽에서 두번째 남자 너무 재밌네요. 역시 최고. 🤔🤔ㅡ8군단 일병 여치윤 병장에게 댓글 알바 시킴.

  • @정경-k5r
    @정경-k5r 4 года назад +5

    너무 재밌게 봤어요 다들 입담이 장난아님ㅋㅋㅋㅋ

  • @pa2WeDA
    @pa2WeDA 3 года назад +5

    울산은 타지 사람들도 많이와서 진짜 울산 사투리 찾기 좀 어려움,, 그래서 말이 섞여서 나올 수 있어요. 저도 울산에 오랫동안 살아서 그런데, 말이 섞여서 나옴ㅋㅋㅋ

  • @yongseungjoo6152
    @yongseungjoo6152 4 года назад +7

    대학와서 처음에 경상도친구들이 다른 친구들과 많이 싸우더라구요 별거아닌걸로 화낸다고... 나중에 오해인걸 풀지만ㅋㅋㅋ 저도 당시 사귀던 친구가 저한테 맨날 별걸로 아닌걸로 화내길래 대판싸웠는데 화낸게 아니라고 경상도 사투리라고 진짜 화날땐 욕이 섞인경우라고 하더라구요

  • @91Rabun
    @91Rabun Год назад

    이런 컨텐츠 너무 좋다ㅋㅋ 부산, 울산, 대구도 각기 특색이 있다카이

  • @betterlee6494
    @betterlee6494 3 года назад +4

    예전에 재수한다고 서울올라갔다가 수업 중 질문한다고
    말했다가 그때 학원쌤이 부산출신이였는데 어디서 오랜만에듣는 익숙한 억양이 들린다고 어디고향이냐고 물어보시던게 기억나네요ㅋㅋㅋㅋ

  • @c.h.park.3642
    @c.h.park.3642 4 года назад +11

    아버지 어머니 모두 대구 경북출신인데,
    어머니는 학창시절을 부산에서 보내셔서
    사실상 대구-부산이 모두 섞인 채로 제 사투리가 만들어졌네요 ㅋㅋㅋ 주위에 애들보면 거의 부산 쪽이더라구요

  • @ksh7100
    @ksh7100 3 года назад +3

    정구지는 한자말인걸로 알고있어요 사투리가 아닌 그리고 같은 경북인데 특히 상주분들 억양 진짜 독특해요

  • @김드진-f5q
    @김드진-f5q 4 года назад +8

    울산 사람으로써 이상하게 느끼는건 울산은 영상 보면 다 다른듯.. 저랑 다른것도 있고 같은것도 있는것 같은데

  • @콩짝-e8s
    @콩짝-e8s 4 года назад +4

    ㅋㅋㅋ 나 울산에 사는데 응도 쓰는데ㅎㅎ 그리고 뭐래라던가 알았어도 다 쓰는데..ㅎㅎ 이건 개인마다 다른 듯. 아 근데 오바 보다는 개인적으로 에바다라고 쓰는 경우가 많음

  • @min2134390
    @min2134390 2 года назад

    ㅋㅋㅋㅋㅋ 서울친구 욕 하는거에서 빵 터진...서울에서 전학온 친구가 욕 하는거 듣고 진짜 까무러치는지 알았지요 ㅋㅋㅋ 그리고 이름중에 선영이도 차이 확 나요. 서울은 서녕아 ~ 경상도는 선녕아 ~

  • @하울ss
    @하울ss 4 года назад +3

    2010년 고향 대구에서 서울로 올라온게 어느덧 직장 10년차..주변에서는 사투리 쓴다고 다들 그러는데 막상 명절에 고향집 내려가서 오랜만에 친구들 만나면 다들 서울말 쓰지 말라고..서울 사람됐다고 그런말을 한다..진짜 주변 직장 동료들한테 얘기하면 안믿는데..ㅎㅎ 나도 혼란스럽다ㅠㅠ

  • @무민-p1i
    @무민-p1i 4 года назад +1

    근데 그런 적은 있음 울산 사는데 학교 쌤이 대구에서 온 거임. 수업을 듣는데 잘 못 알아듣겠고 뭐라는 건지 한국말인데도 잘 안 들린달까 그래서 찡그리고 있었는데 애들이 쌤 어디서 오셨어요?이래서 쌤이 당황하면서 왜 내 말 이상해?이래서 네 조금..이러면서 나도 아 울산말이 대구랑 다르구나를 그때 깨달음. 그리고 다른 댓처럼 울산 살면서 억양만 약간 있고 사투리 안 쓰는 줄 알고 있었고 진짜 사투리가 여기저기 다 섞임.

  • @Ddoongddang2
    @Ddoongddang2 4 года назад +45

    포항은 더 다른데ㅋㅋ 대구 부산 울산 비교해봤자 의미없음 경북지역도 다 다름ㅋㅋ

    • @user-en5vw2xo3l
      @user-en5vw2xo3l 4 года назад

      경북 워낙 넓어서 강원도랑 섞이는부분많음

    • @날위한이별
      @날위한이별 4 года назад

      맞아요. 대구 사투리는 바닷가 사투리임. 낙동강 사이에 두고 사투리 변화가 심해요.낙동강 대구쪽은 바닷가 사투리 심하고. 낙동강 구미.선산.김천.성주는 사투리가 심하지 않아요.

    • @괴팍함
      @괴팍함 4 года назад

      어 포항 찾았다 포항은 어느 축에 끼는지

    • @Ddoongddang2
      @Ddoongddang2 4 года назад +2

      @@괴팍함 포항도 부산처럼 바다가 끼여있지만 뭔가 억센 발음과 억양이 있어요 부산은 쌈디같은 억양도 있고 범죄와의전쟁에서 최민식같은 억센 억양도 있죠 근데 포항은 그냥 억셉니다ㅋㅋ 진짜 타지방사람들이 보면 싸우는줄 알아요ㅋㅋ

    • @하프문-g8j
      @하프문-g8j 3 года назад +1

      @@날위한이별 대구는 내륙지역인데 바닷가 사투리는 뭔가요? 대구에 바다도 없는데 뭔 소리인지?

  • @user-so3cc3kt1g
    @user-so3cc3kt1g Год назад +2

    수빈양 억양있어요 ㅎㅎ 옆에 친구들 있어서 강화된것 같긴하네요 ㅎ
    동주군은 다정한 서울말이네요ㅎㅎ

  • @오유석victorio
    @오유석victorio 4 года назад +5

    친가가 충남 공주인데
    저랑 사촌들이 남자들은 죄다 석자돌림인데
    고모들이 석아~ 라고 부르셔요 ㅋㅋㅋㅋㅋ
    어릴때 큰댁가면 첫날에는 누구 부르는지 모르다가
    나중가서는 누가 누굴 부르는지 다 알아요 ㅋㅋㅋㅋ

  • @TV-vn5cz
    @TV-vn5cz 4 года назад +2

    영어짱TV입니다. 영상 재밌네요ㅋㅋ 구독과 좋아요 해요..앞으로도 좋은 영상 잘 시청할게요^^♡

  • @marumaruchichi
    @marumaruchichi 4 года назад +172

    노잼도시는 대전이 국룰인데

    • @descriptiondescriptiondescript
      @descriptiondescriptiondescript 4 года назад +9

      뭐여?

    • @하영-e7p
      @하영-e7p 4 года назад +8

      기야?

    • @예아-h1g
      @예아-h1g 4 года назад +16

      울산미만잡임 ㅋㅋㅋㅋㅋ 진짜 레알 ㅋㅋ

    • @떡잎방위대
      @떡잎방위대 4 года назад +2

      @@예아-h1g 시발 내가 선수칠랬는데

    • @콩이아빠-t7r
      @콩이아빠-t7r 4 года назад

      ㅎ 우리나라 개그맨 절반이 충청도 출신이라 할수있을 정도로 예능감이 좋은 동네에요 대전이 노잼 국룰은 아닌듯 합니다

  • @melody_32
    @melody_32 3 года назад +1

    와 졸려가 애교.... 보통 개졸리다 겁나졸리다 이렇게쓰면 어떤가요....?

  • @ywk3266
    @ywk3266 4 года назад +5

    울산토박이 사투리 아는 분은 드물거예요~ㅎㅎㅎ 이거 보면서 넘나 즐겁게 봤지만 여자분은 울산 진퉁 사투리 아닙니다. 25년전 저 고2때 작문 선생님께서 울산 사투리 알아오라고 했을 때 진심 개당황..ㅋㅋㅋ 난 울산에서 자랐는데 울산사투리를 쓰는 게 아니었다는!!!!ㅎㅎㅎㅎㅎㅎㅎㅎㅎ 지금도 그 라디오방송 하는 지 모르겠는데 "딱따구리 아줌마" 나오는 방송에서 딱따구리 아줌마가 쓰시는 사투리가 진짜 울산 사투리라고 하시더라고요~ 저 진짜 개 깜놀!!! ㅎㅎㅎ

  • @보라보라보랑이
    @보라보라보랑이 Год назад

    저도 경상도인데 저희 지역은 ~여/~나 도 써요. 예를들면 뭐래여/밥먹었나? 뭐하나? (약간 의문형 쓸때 쓰는듯)
    나머지는 억양이나 말투 다른 지역처럼 비슷비슷하게 쓰고 그래요 ㅎㅎ

  • @0220ubeen
    @0220ubeen 4 года назад +70

    요즘,,,젊은이들두,,,사투리를 쓰는군요,,,,^^ 세대통합을,,,,기원하며,,,,,~!~!~!! - 지나가는 아저씨 올림~~~ ^^b

    • @쩌에요같은소리하고있
      @쩌에요같은소리하고있 4 года назад +7

      그러게요,,,,참놀라네요ㅎㅎ,,,,매력적,,~!~!!~^~!!! - 지나가던 아줌마 올림~~~^^b

    • @엔티치부계정
      @엔티치부계정 4 года назад +7

      요즘 어린애들도 많이 쓴다카이?,,,,~!~!~!!~~~ ^^b -지나가던 젊은성인 올림~~~ ^^b

    • @블록피아
      @블록피아 4 года назад +8

      틀익 만점자들이 모여있네

    • @thearthisyours
      @thearthisyours 4 года назад

      하.. 서울말 전혀 안 씁니다. 단어는 표준어 가능한데 인토네이션은 못 바꿀걸요..

  • @iulii2121
    @iulii2121 4 года назад +2

    와.. 나도 서울이라 저 서울분의 혼돈이 너무 공감된다.... 지역별 음의 차이..?하나도 모르겠음ㅠㅠㅠㅠ다 똑같이 들려...

  • @qwerty9_9
    @qwerty9_9 4 года назад +13

    졸리다는 목이 졸리다 밖에 모른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kfndk5077
    @dkfndk5077 3 года назад +1

    진짜 느끼는게 다르구나 ㅋㅋ
    아 졸려! 졸립다 졸리네 졸리다
    이렇게만 썼지.
    근데 이게 귀엽게 들린다니..
    잠온다의 느낌은 귀여운 사람이 펑퍼짐한 옷 입고 아~ 잠온다~ 이런 느낌인데 ㅎ
    아니면 칭얼대는 애기한테 잠이 안와요~‽ 우리 애기? 이런 느낌이에요.

  • @vank6525
    @vank6525 4 года назад +45

    대구에서 20년 살고 서울살이15년차로 표준글자를 대구성조로 말하는 짬뽕인일때.
    이화여대근처에서 살다보니 어학원 다니는 6개국 학생들과
    (캐나다,미국,프랑스,자메이카,중국,일본)
    이웃으로 지내며 친하게 지냈는데
    그 중 먼저 일본학생이 제가 하는 한국말이 다른 사람보다 더 알아듣기 쉽다고 하더군요.
    전 경상도 말이 한국사람들도 일본말처럼 들린다고하니 그런가보다 했는데
    6개국+한국인까지 열 몇명이 모여 밥 먹는데 서울애랑 제가 동시에 뭔가를 설명했는데 외국애들이 대구억양을 더 잘 알아 들음.내가 의문을 제기함.어학원에서 서울말을 배울텐데 왜그러냐고?
    외국학생들끼리 토론.
    결과는.
    - '성조 때문'.
    영어에 악센트가 있듯이 일본어도 성조가 있다고.다른 외국어도 그렇고.
    참고로 일본친구들은 제일 남쪽에 있는 큐슈섬 출신.중국성조야 유명하고.
    해서 그후 오히려 적절히 장소,상황에 따라 성조를 더 강조하기도합니다.직장다니면서 pt할때나 기타 스피칭해야할 때 성조를 적절히만 섞어쓰면 상대가 덜 졸려하고 강조해야하는 부분에 성조를 올리면 기억도 잘하더군요.서울인들 표현으로는 그 부분이 귀에 거슬려 기억에 남았다더군요.
    신동엽씨도 예능에서 말할때 '강약중간약' 조절해서 말해야한다고 후배에게 조언한적이 있다던데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고 봅니다.
    결론은 '성조'도 약으로 쓸수 있으니 조절하는 법을 터득하셔서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햄찌만보면반응하는내
      @햄찌만보면반응하는내 4 года назад +1

      우리나라말도 예전에는 성조가 있었대요!다른 지역에는 이런 성조들이 사라졌지만 경상도 말에는 아직도 남아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2와 e의 구분이 가능한 거래요.

    • @도예서-w2e
      @도예서-w2e 4 года назад +1

      @@햄찌만보면반응하는내 맞아요. 그 중세시대 까지만 해도 성조가 있었대요.

  • @songkw5888
    @songkw5888 3 года назад +1

    재밋다ㅋㅋㅋㅋ지원님 표준어 흉내(?)낼때마다 고장난거같은 동작ㅋㅋㅋㅋ귀여움ㅋㅋ

  • @Gloria_Aria
    @Gloria_Aria 3 года назад +3

    전 부모도 저도 서울 토박이인데ㅋ울산 사투리가 되게 귀엽게 들림 ㅋㅋ 대구는 억양이 세지 않은 듯ㅋ 부산은 남자답고 멋짐

  • @아이스녹차라떼-h5k
    @아이스녹차라떼-h5k 2 года назад +1

    사투리로 잠시만예 이거 너무 상냥하게 들려서 좋더라구요ㅎㅎ

  • @인간-c6u
    @인간-c6u 4 года назад +45

    울산 10년 산 어린앤데 울산은 지도상으로는 경남이지만 북쪽에 있으면 경북 사투리랑 경남 사투리랑 섞여있습니다. 북구에 북쪽에서 사는 전 경북사투리를 더 많이 쓰는 것 같네요
    글고 울산엔 전국 사람들이 섞여있습니다..ㅎㅎ 글고 울산사람들은 대구사투리가 부산사투리고 부산(경남)사투리가 대구(경북)사투리라 그게 섞여서 대구,부산보다 더 약해집니다 그래도 서울사람한테는 세게 들립니다 제 댓을 본 수도권분들은 착각하지마세요. 그리고 싸울때는 더 약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그래도 안 싸울때가 훨씬 많으니까 놀라지마세요.&21세기 사람들은 사투리 그렇게 많많많이는 별로 안 씁니다..... 근데 나 이거 왜쓴거야..?)

    • @울산돌고래-q4q
      @울산돌고래-q4q 4 года назад

      공감갑니다. 가끔 이런 영상 보면 느끼지만 대구랑 경북 서로 섞여 있다는 느낌 많이 받아요.

    • @financialaccounting3783
      @financialaccounting3783 4 года назад

      섞여있다까지는 맞는데 약해진다는 착각인듯ㅋㅋㅋㅋ

  • @gyuhwanlee1025
    @gyuhwanlee1025 4 года назад

    드가제이~^^
    사투리 좋아
    고향 생각나네요 ㅠㅠ
    서울사람들 “가가 가가?” 이거 못 알아듣는다면서요?

  • @권대홍-d7x
    @권대홍-d7x 4 года назад +5

    대구경북사투리/부산경남사투리
    대구경북사투리와 부산경남사투리에 차이점은 아마 6.25때 많이 바꼈을 겁니다
    그때 당시 피난민들이 대체적으로 부산에 많이 와서 이북사람이랑 다른지역사람이랑
    부산에 터를잡고 살면서 말들이 조금씩 섞여서 많이 변형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ulsan_namgu_tour
    @ulsan_namgu_tour 4 года назад +2

    싸우는거 아닌데… 공감120%😂

  • @종정-l9b
    @종정-l9b 4 года назад +5

    2 e는 원래 사투리처럼 말하는 게 맞아요~

  • @꺄항-m7w
    @꺄항-m7w 4 года назад +2

    저 울산사람인데 저는 졸려는 안쓰고 잠온다는 조금 쓰는데 전 그냥 잠와뒤지겠다를 많이 쓰더라고요:-)

  • @Young-e6g
    @Young-e6g 4 года назад +14

    졸려 들으면 귀척하는거 같다고 하는데
    난 잠온다가 더 좀 오글거림
    졸리다는 동산데 , 잠온다는 명사랑 동사랑 합쳐진거니까ㅋㅋㅋㅋㅋㅋ 더 애기들이 쓰는 문법같음 뭐야,,,,,
    중요한건 피곤해라는 말은 웨 안씀 ? 난 저거 두개보다 피곤하다는 말을 더많이쓰는데 ㅇㅇ
    참고로 감자국사람임 ㅋ

    • @해솔-t3l
      @해솔-t3l 4 года назад +2

      이꾸요잇 감자국ㅋㅎㅎㅋㅎㅋㅎㅋ 강원돈가

    • @wod2136
      @wod2136 4 года назад +1

      궁금한게 있는데 환전은 보통 어디서 하나요? 못난이감자도 화폐로 쳐 주나요?

    • @Young-e6g
      @Young-e6g 4 года назад +5

      J. Massigetta 아 환전같은 경우는 농협에서만 가능하구여 ㅎㅎ
      못난이감자는 화폐로 안쳐줘요 대신 허니버터칩으로 만들어오면 +1000원 가치상승해서 하나에 2000원으로 환전가능해요

  • @Hesed_Rain
    @Hesed_Rain 2 года назад +2

    성조가 있는것이 확실히 의미전달에는 효율적이네요. 1과 일의 차이가 성조로 그대로 드러나네. 그러구보면 조선 팔도 다 성조가 있는데, 왜 서울말은 성조가 사라졌을까..

  • @attractiongrateful9013
    @attractiongrateful9013 4 года назад +3

    너무 웃기고 재밌어욬ㅋㅋ 나중에 욕 없는 버전으로도 만들어주실 수 있나요? 학생들 보여주고 싶어서요ㅠㅋㅋ

    • @GWANGTTARI
      @GWANGTTARI  4 года назад

      laon dream 영남사투리랑 전라도 광주 사투리 차이 영상 새로 업로드했답니다!💞 (비속어 없는 버전이에용 ㅎㅎ)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앞으로도 구독해주셔서 계속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코로나 조심하세요💕💕

  • @햄버거맨-g8c
    @햄버거맨-g8c 3 года назад +2

    재밌네요. 확실히 경상도 지역별로 억양 다르게 할 때 구별을 잘 못하겠어요.

  • @정재경-v2n
    @정재경-v2n 4 года назад +23

    사람들 말소리는 너무작고 웃을때나 효과음은 너무 커서 귀가 너무 아프네요;;

  • @cpdj1123
    @cpdj1123 4 года назад +2

    잘보고 갑니다^^

  • @fokz932
    @fokz932 4 года назад +65

    ㅅㅂ 서울아들이 2랑 e가 어찌 발음이 다르냐고할때 내이티브 미국인들은 e를 우찌 발음하냐고 물어보면 수긍하더랔ㅋㅋ

  • @user-ed5te2yk9z
    @user-ed5te2yk9z 4 года назад +2

    나 아직도 잠온다가 사투리라는거 알앗을때 그 충격이 남아있어.... 부산 사람인데 서울살다온 친구랑 얘기하다가 너무 졸려서 아 잠온다 이랫더니 친구가 한 1~2초 정도 못알아들은 표정으로 멍때리더니 잠온다고?? 졸리다는건가?? 이래서 잠온다 모르냐 햇더니 안쓴다 해서 충격이엿음ㅋㄲㄲ 여태 표준언줄 알고 살았지...나는

  • @능이-x3y
    @능이-x3y 3 года назад +3

    나만 서울사람들이 진지하게 욕하는거 들을때마다 귀엽다고 생각한게 아니였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초등학생이 욕하는거처럼 너무 귀엽기만하던뎈ㅋㅋㅋㅋㅋㅋㅋ

  • @은평구코주부
    @은평구코주부 4 года назад +2

    나도 울산 사람인데 현대 공장 근처는 타지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부산 대구 경북사람이 울산 토박이보다 많아서 그냥 부산말이나 대구말이나 다 친숙하고 구별도 잘 안감... 부산말 대구말 섞여나오는 듯...? 근데 대구경북 쪽 사람들이 더 많고 엄마도 경주 사람이라 대구경북 쪽이 더 익숙하긴 함.

  • @y._hyunjung
    @y._hyunjung 4 года назад +3

    부산사람인데 사투리 쓰는데 졸릴때만 '잠온다'보다 '졸려'를 더 많이 써서
    애들이 다 신기해 하던데 ㅠㅠㅠㅠ

  • @아무거나써봄
    @아무거나써봄 3 года назад +2

    5:50 울산에서 유치원부터 15년 대구에서 대학, 직장 15년 살았는데 중앙도서관 발음에서 저는 울산사람이 맞음을 확인했습니다 ㅋㅋㅋㅋ

  • @Krevaj
    @Krevaj 4 года назад +8

    저도 경상도 대구고향.현재 사는 곳 부산.잠온다가 사투리였네요. 부산서 말하면 비스무리한데 부산이 고향은 아이제 그럽디다..억양차이인듯.
    부산 살기좋음.정말 아름다운 도시~ㅋㅋ

  • @eyebrows5318
    @eyebrows5318 4 года назад +1

    3:22 우리나라말에 성조가 없는게 아니라 표준어에 성조가 없는겁니다.
    심지어 경기도말과 서울말도 자세히 구분해서 들으면 성조가 있고 없고, 다름을 알수 있어요.

  • @Liberta-82
    @Liberta-82 4 года назад +6

    이야~ 광따리 너무 재밌다 아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