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lennial scholar compares Korea and Japan historically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июл 2024
  • Continuing our discussion with Park Ho, the young scholar who taught himself classical Chinese, now returning to his major, economics, he makes some comparisons between Korea and Japan -- like Korea's tax rate was much, much lower than Japan's, and Korea had more land in cultivation even though Japan had more land.
    Join this channel to get access to perks:
    / @thefrogoutsidethewell
    Website: www.frogoutsidethewell.com
    Facebook: / thefrogoutsidethewell
    Instagram: / thefrogoutsidethewell
    Chapters
    00:00:00 - Introduction to Joseon Dynasty's Tax System
    00:00:16 - Comparison of Tax Rates: Korea vs Japan
    00:00:59 - The Social Hierarchy in Joseon: Yangban and Nobi
    00:01:43 - The Importance of Land Ownership in Joseon and Japan
    00:02:38 - Evolution of Agricultural Practices in Korea and Japan
    00:03:36 - Analyzing Population Distribution in Joseon
    00:05:00 - The Rights and Wealth of Nobi
    00:06:00 - Famous Nobi in Korean History
    00:07:17 - Concluding Remarks on Joseon's Socio-Economic Structure

Комментарии • 48

  • @mikewazowski9556
    @mikewazowski955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9

    이런 젊은사람이 이런 연구를 많이 했으면 한다. 똑똑한 젊은이다.

  • @user-ok4df1vx9g
    @user-ok4df1vx9g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전부다 몰랐던 내용들입니다. 감사합니다 👍👍

  • @ayh1164
    @ayh1164 7 месяцев назад +9

    너무 재미있어요.

  • @centvin01
    @centvin01 7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색다른 관점의 연구네요.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erinnerungundgegenwart
    @erinnerungundgegenwart 7 месяцев назад +6

    I found this very insightful (as most of the time), especially the part about the 19th century divergence in arable land use between Japan and Korea

  • @thugitz1990
    @thugitz199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i learned so much here. thank you all!

  • @concon996
    @concon99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사실 굉장히 발달된 문명이었던 게 조선이었죠. 재평가 되어야 한다고 봄

    • @park56935
      @park56935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려말선초만 그랬지

    • @concon996
      @concon996 7 месяцев назад

      @@park56935 500년이 짧지 않은 시간이었죠. 임란과 호란이 말하자면내재적 모순을 정당화시키며 보수적 경향을 유발하고 강화시켰죠.

    • @user-vr3lo4kx7h
      @user-vr3lo4kx7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조선은 태어나지 말아야할 왕조였음 ㅋㅋ 애초에 태생이 굴욕을 자처하고 태어난 왕조 자기왕조를 지킬려고 굴욕과 과거의 위대한 역사까지도 팔아먹은놈들 수많은 역사서를 금서로 만들고 사라지게 한죄 중국이 불편해 할까봐 그리고 노비도 얘기하면서 어이가 없을듯 노비가 자유가 있었다고 얘기하는데 노비는 노비일뿐 자국민을 가장 많이 노비를 거느린 못난왕조 일제시대에 일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난거 좀 얘기해주지 통계학 공부했다면서 ㅋㅋ 불편한 진실은 절대 얘기안하는 역사가들 mz 역사가라면 청나라가 쓴 만주원류고도 적극적으로 인용해서 동북공정에 맞서 청나라를 우리역사로 편입하는 공세적인 무기로 활용해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해야지 안그럼수세적인 방어만 하니 항상 최선의 이득이 항상 최악일수밖에없고 중국입장에선 남는 장사지

    • @user-jw9ty5fr5d
      @user-jw9ty5fr5d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 왕조가 500년을 이어오기가 쉽지 않고 그런데는 이유가 있죠 ㅎㅎ 조선은 어쩌면 신권과 왕권이 조화된 영국의 의회 민주주의 보다 빠르게 정치적인 발전도 이뤘던 국가라고 생각합니다.

    • @user-vr3lo4kx7h
      @user-vr3lo4kx7h 5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jw9ty5fr5d 500년을 이어온 이유 세뇌 충효 왕 부모 일체화 성역 유교를 퍼트린 이유 정상적이라면 선조때 당연히 망해야 물론 한두번 더 망해야할 시점이 있었겠지만

  • @user-gc5bf8en6o
    @user-gc5bf8en6o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교수님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열심히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입니다.
    교수님 말씀 중에 유교와 부계사회를 따로 보라는 말씀이 인상깊게 남아 있습니다.
    사실 저도 한국인이지만 한국역사에 대해 그동안 잘 모르고 있었고,교수님 강의와 다른 한국학연구를 했던 외국 교수님 강의를 듣다보니 한국이라는 나라가 참 위대하구나 느꼈습니다.그동안 내 나라의 문화는 서구와 비교했을 때 참 보잘껏 없고 볼품 없구나 생각하고 지냈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은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그럴거라는겁니다.지금 10대 20대들이나 우리세대는 국사가 수능 선택과목이 아니기 때문에 중요하게 배우지 않았고 인기도 별로 없습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의 전신인 조선사편찬위원회는 일본에서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역사를 배우신분들이 만든 것이었고 그분들의 제자들이 역사를 가르치고,저희는 그런 교육을 받은 세대입니다.
    국사책을 만드는 국사편찬위원회나 문화재청,동북아재단 등은 그분들의 제자가 주류로 있습니다.
    세계 최대 고조선 청동기 철기시대 선사유적지가 될거라는 강원도 춘천 중도 유적지가 제대로된 발굴도 되지 않은채 멀린사의 레고랜드가 작년에 개장하였습니다.
    한국에는 국민 청원이라는게 있습니다.태종 때의 신문고라는 것을 착안한 것이지요.국민이 민원을 넣고 싶은게 있으면 표를 받아 표가 많아지면 대통령이 그것을 들어주는 것인데요,이 국민 청원도 있었지만 투표율이 저조해 흐지부지 되었습니다.
    또한 가야를 일본식민지라고 유네스코에 등재하려다 제재 받은 일이 있습니다.그것이 국책사업이었지만 많은 분들이 잘 모르고 있고,언론에도 잘 나오지 않았습니다.
    한국사 책에 훈민정음이 중국에서 반포되었다고 적혀 나오기도 합니다.민간출판사였지만 그런 책이 나올 수 있다는게 상상이 되시나요?
    한국에서는 중국이나 일본은 없는 유물도 만들어서 하는데 우리나라는 있는 유물도 은폐시키고 왜곡한다는 말을 종종합니다.
    교수님이 생각하시는것과 다르게 많은 한국인들은 한국 문화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관심가지지 않습니다.찾아보는 일부가 있겠지만 대부분 분위기가 그렇습니다.
    옛날에는 족보라는게 있었고,어르신들이 본관이 어디며 무슨파 몇대손이냐 물으셨습니다.대답 못 하면 창피한 일로 여겼습니다.이제는 그런 문화가 없고 자신의 뿌리 민족의 뿌리를 알아가는 과정도 소홀해지는게 아닌가해서 안타깝습니다.
    기회가 되시면 민감한 주제인줄은 알지만 동북공정이나 한국인 스스로 갖는 식민사관에 대해 다뤄주시면 좋겠습니다.
    한국인보다 더 한국에 많은 관심과 사랑을 가져주셔서 정말 감사드리구요,
    항상 건강하세요.
    오늘도 역사 지식 하나 배워갑니다~

  • @tothe9924
    @tothe992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익한 컨텐츠 감사합니다❤

  • @user-hs1dd4tc7t
    @user-hs1dd4tc7t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Wonder if you could ever get together with a Japanese historian or academic for a discussion. Would be incredibly captivating.

    • @hpark9778
      @hpark977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We sure could in the near future. Thank you for your suggestion.

  • @k.joomihyun
    @k.joomihyun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CoachedCoach
    @CoachedCoac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이번 내용도 알차고 재미있네요.
    다만 옛 데이터에 존재 할 법한 오차는 어떻게 포함할 지가 궁금하네요!

  • @gaeiskidosdoye6058
    @gaeiskidosdoye605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교수님, 다산 정약용과 그의 형제에 관한 책을 탐독해 보세요. 재밌습니다. 일단 소설 목민심서라는 책이 있구요. 그와 관련해서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자산어보 라는 귀중한 책을 남겼습니다.

  • @TV-jg2kj
    @TV-jg2kj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추가로 원래 내야할 세금을 곱해서 부풀려서 징수를 했다고도 하더군요. 또한 일본은 농업보다 어업과 상업이 발달했고 식사량도 조선보다 최소 두배는 적게 먹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빙하기에 각종 흉년과 질병이 만연하자 일본도 결국 오사카에서 쌀때문에 폭동이 일어날 지경이 되었으니까요. 조선은 구휼미를 풀어서 백성을 구제한다고 힘쓰고 있었고요.

    • @user-vr3lo4kx7h
      @user-vr3lo4kx7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렇게 잘난 왕조가 끊임없이 민란이 발생하고 민란때문에 일본에게 더 빨리 합병당했을까 ㅋㅋ

    • @TV-jg2kj
      @TV-jg2kj 6 месяцев назад

      ​@@user-vr3lo4kx7h조선후기에 시스템은 완벽하게 박살나있음 구제를 해도 해도 한계가 있었고 더군다나 왕권도 약해지고

  • @AngelaSealana
    @AngelaSealana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hank you for this insightful discussion! I appreciate the efforts of you and Mr. 박 to bring us this data.
    One question I have regarding an assertion of Mr. 박 actually deals with the impact of cultural studies on interpretation of data. Specifically, when he said that 41% of districts didn't have any 양반 households, his assertion was that 41% of people never encountered 양반. In my very amateur research on Christianity in Korea, I've learned that the 양반 brought Christianity to the peninsula from China, but that it spread remarkably quickly, and that one of its trademarks was that people of various social classes worshipped together. Therefore, I am wondering whether the spread of Christianity had any part to play in interclass encounters where the data would suggest otherwise -- and if so, how often this may have occurred.

    • @hpark9778
      @hpark977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o answer your question on the diffusion of Christianity in Korea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I have to mention the city of Chungju(定州) which produced the 2nd largest number of civil service exam passers in Korean history. It was not a coincidence that the co-founder of Andong Presbyterian church in Jongro (Seoul), Park Seong-bong(朴勝鳳, a presbyter) sponsored to establish Osan school in Chungju in 1907, while he was serving as a governor of North Pyongan. Another co-founder of Andong church was Yu Kil-chun's younger brother who taught Korean language to Rev. Henry Appenzeller. If you wish to learn about pioneers who introduced Christianity to Korea, then you might want to investigate Yi Seung-hun(李承薰), one of the first Catholic martyrs who were executed in 1801. As you mentioned earlier, 양반 were the ones who introduced Christianity to Korea but they did not rely on Qing dynasty to deploy priests in Korea. Christian missionaries came to Korea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Korean Christians during 1860s. Those groups of 양반 who valued education as the highest value first introduced Christianity to Korea and their legacy continues til this day.

  • @user-uj8bn4zn3i
    @user-uj8bn4zn3i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려거란전쟁 내용 해주세요~

  • @user-rr2ki5ey5h
    @user-rr2ki5ey5h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정론 직필! 감사합니다.""""

  • @user-zx7ws6ig1y
    @user-zx7ws6ig1y 4 месяца назад

    그런데 전체 영토면적과 경작가능면적 비교에서 북해도는 제외하고 비교했으면 하네요.
    알다시피 만주처럼 개간되지 않은 북해도는 19세기 후반에 일본령으로 들어왔는데..
    북해도가 면적이 아주 큰 지역이죠..

  • @yokolee5243
    @yokolee5243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Joseon had better archeicture

  • @user-xm9mu3fe2k
    @user-xm9mu3fe2k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 @sainbainauu2784
    @sainbainauu278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저는 전공자가 아니라서 😅 처음에 접근하기가 매우 힘들었어요 😭
    세종 02년 1420년 송희경宋希璟의 일기使行錄부터 읽었습니다(고손자 송순 俛仰亭歌)
    통신사 기록에서는 우삼동雨森東이라는 독특?한 분이 기억에 남습니다(水車 부분도)
    조선총독부 관련 기록물들의 상세내용은 국가기록원에서 우편으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
    콘텐츠에서 양반2%라는 부분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해 주셨으면 😅
    고위 관료 2%를 의미하나요?地主?
    콘텐츠 고맙습니다 ✍️

    • @hpark9778
      @hpark9778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1909년 작성된 민적통계표 '범례'에 따르면, "양반이란 '옛적'에 문무관을 봉직한 자의 자손을 말한다." 라고 하였습니다. 9품직인 참봉 역시 문무관의 범위에 들어가므로 양반이란, '고위 관료를 포함한 모든 문무관료'를 뜻합니다. 또한, 여기서 말한 '옛적'이 얼마나 '옛적'을 일컫는 것인지 정의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흔히 관습적으로는 4대조까지의 직계 조상 중 한 명이라도 현직(顯職, 명예직이 아닌 실무직)을 지낸 사람이 있으면 '양반' 가구라고 일컫는데, 다산 정약용은 "10대조까지 한 명이라도 현직을 지낸 경우도 포함해야 한다"며 범주를 넓게 보았습니다. 이 부분은 1909년 이전 조선 정부가 시행한 호적조사의 범례와 비교해서 밝혀내야 할 것입니다.

    • @sainbainauu2784
      @sainbainauu278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hpark9778반갑습니다 🤝
      예, '옛적'의 정의가 모호하네요
      예, 4대 봉사이니까요
      다산 선생님은 넓게 보셨군요!
      윤선도 종가의 만가보 萬家譜를 읽은 적이 있습니다(기록 꼼꼼함에 놀람)^^;
      양안量案을 본 적도 있는데 저의 지역 성씨와 일치했으나 어디가 어딘지 지형은 알 수 없었어요 ^^;
      1909년 작성된 민적통계표를「시험 베타판」으로 단순하게 생각했었는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니네요
      여담입니다만 증조부 고조부 때, 경찰서를 습격🔥했었다고 했었어요(아마도 호적民籍이 경찰서에 있었을 거예요)
      큰집 대청에 전리품?이 있었어요 ^^;
      일본인들과 양반 이야기를 했었는데 의미는 조선 (일부) 주자학자(연암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였습니다
      친절한 답변 고맙습니다 ✍️ 👏👏👏
      ✱12/16:양국의 종법宗法이나 촌장區長 또는 서당 傳奇叟 같은 것도 접근해서 좀 더 알고 싶었는데 아쉽게 되었어요 🤝

  •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양반이 인구가 2퍼센트 라는 사실, 우와! 신기하네요.
    몇년도 인지는 모르겠네요.

    • @hpark9778
      @hpark977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1

      1909년도 대한제국에서 시행한 민적조사입니다

    •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 7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렇다면 중인 이나 천민이 98퍼센트인데... 이들이 다 성을 갖고 있었나요? 현재의 성씨는 그냥 많이 섞인 것 같네요.

    • @hpark9778
      @hpark9778 7 месяцев назад +2

      1884년에 노비세습이 금지되었고, 1894년 갑오개혁 때 노비제가 철폐되었습니다. 1894년 이후로는 모두가 성씨를 갖게 되었고, 그 이전 17세기, 18세기 호구조사 통계를 보면 양인들은 물론이고 노비들 중에도 성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본관을 가진 노비는 드물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user-vr3lo4kx7h
      @user-vr3lo4kx7h 6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만큼 노비가 많은 왕조 ㅋㅋㅋ 부끄러움이 많은 왕조임

    • @user-lk3fj6ew5p
      @user-lk3fj6ew5p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user-vr3lo4kx7h 애쓴다

  • @crusaderforchrist8430
    @crusaderforchrist843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2

    Nobi weren't chattel slaves like the West, they were indentured servants or serfs like Tsarist Russia. Also, Japan had slave custom like Ojiroku and Obasa in mountain villages where they were unmarried and had to work like slaves for their eldest sons in their families.

    •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6 месяцев назад +4

      I'm going to take a minute to respond to this, although I'm going to be disagreeing with you and with young Mr. Park concerning slavery. It is all too easy to condemn American slavery as chattel slavery and avoid condemning Korean slavery by saying it is not chattel slavery, but is rather something different, something like serfdom or status slavery, or indentured servitude. I have a lot of questions about this, and I haven't made up my mind, but I think it is too easy to dismiss Korean slavery as something benign because it was not like American slavery. Though Korean slavery was tied to a hierarchical social system (which in and of itself was not benign) there were still buying and selling of people as slaves. And slaves were inherited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and slaves were moved from place to place at the order of the owner. Yes, there were "remotely located slaves" (외거노비) who had greater degrees of autonomy, but slaves could be relocated at the direction of the owner and remote slaves could become household slaves, and vice versa. The general construct that American slavery is unmitigatedly venal, on the one hand, and Korean slavery is unmitigatedly benign, on the other hand, is a common construct that I think is wrong on both counts. American slavery included domestic servants who included, often, a "wet nurse", or a nursing mother -- in the place of the mistress of the house. Few things can be more "familial" or intimate than nurturing a baby -- yet it was done by the slave woman, and she, by the way, was in control of the kitchen -- if the owners children tried to sneak a cookie from the kitchen without permission, they could get their little hands slapped with a wooden spoon. In other words, there were markings of intimacy, and quasi-family for the American slave as well as for the ("the servants were like members of the family") Korean slave. As an illustration, if Yi Doryeong were upset with Bangja, or had financial reversals, Bangja could be sold off. Similarly, if Chunhyang were financially hard-pressed or if angered by Hyangdan, Hyangdan could be sold off. Yes, yes, I know it's silly to cite fictional characters to illustrate a factual reality in history, nonetheless, I do so to make that point -- that indeed, Korean slaves were sold -- there are plentiful documents proving the fact. That!!! is chattel slavery.

    • @crusaderforchrist8430
      @crusaderforchrist8430 6 месяцев назад +1

      ​@@TheFrogOutsidetheWell Wasnt the buying and selling nobi very rare though? It wasn't a commonplace thing in Joseon society to buy and sell nobi. So it wasn't anything close to Chattel slavery like Americas. Nobi were considered citizens of Joseon society, albeit of lower status. Also, there were laws in Joseon that prohibit of killing Nobis and also laws that treat Nobis humanely as possible in Confucian parent-son relationship. They did have some property rights and there were rare instances of Nobi buying other Nobis. But overall, it wasn't comparable to African slavery in West.

    • @TheFrogOutsidetheWell
      @TheFrogOutsidetheWell  6 месяцев назад +3

      @@crusaderforchrist8430 Thank you for writing. I'm going to disagree with you without being disagreeable. Let me start by asking you why you think buying and selling were very rare? Do you have a pre-set conception of what Korean slavery was like? Have you looked at any purchase and sales agreements? There are a lot of them. Is your conception of American slavery that there was a lot of buying selling going on? Maybe that's not true -- because plantation owners wanted their workforce to be larger and stable. One interesting parallel I've found is that when an American owner or a Korean owner sells some slaves, they do so because they have "failed" -- business has gone badly, crops have not been good -- always something wrong that causes an owner to sell off slaves. I've seen American documents and Korean documents where the owner admits it is a failure that he has had to sell off some slaves. -- I'm not sure that nobi were considered citizens. With the three-part status on the hojeok, (yangban, commoner, and slave) though it wasn't articulated, it looks like something similar to the American 3/5ths of a person. Similar? Punishments in America and Korea were unequal for owners and slaves -- heavy punsihments for slaves, light punishments for owners (cases of beating or killing). Slaves in both places were beaten, rather often?, but the owners were seldom if ever beaten. -- Yes, Korean nobi had property rights in some cases, and in some cases America slaves did too. Interestingly, American slaves could purchase their own freedom, if they were able to save money or if others helped them to get money -- we don't hear of Korean slaves buying freedom. American slaves were granted freedom in cases of great valor and heroic action, but Korean slaves, for example after the imjin invasion, even after fighting for Joseon, and being recognized for their valor, were seldom given freedom -- some were given commoner status, but most slaves after the war returned to being slaves. In Dongnae, there is a row a monuments honoring yangban heroes of the war, and behind the tall monuments are a bunch of short monuments (비석) honoring slaves who were heroes in the war -- heroes, but still slaves.
      The folklore we have inherited says (what you just said) that the African slaves were treated badly and the Korean slaves were treated well, and that the two are not comparable. However, when you do compare the two, you see remarkable similarities. The biggest difference being that in one case it's a different race, in another it's the same race -- but does that make one better than the other? If so, which one is better? -- -(I don't mean to be argumentative -- I just want to share some things I've learned about slavery in both country's histories. I'm just suggesting we step away from our preconceived ideas and take a new look at the two cases.)

    • @sainbainauu2784
      @sainbainauu2784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전에 교수님이 만든 콘텐츠를 시청한 적이 있습니다
      얼마 전에 인근에서 강의하셨는데 늦게 알게 되어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강의하셨던 부근에 거대 포로 수용소(自治的)가 있었어요
      글쎄요
      예를 들어 불교라고 하더라도 고려 조선 京都 시간과 공간이 같으면서 다를 수 있지 않나요 더 세분화하면 서울과 부산이 다르고 ^^;;
      서양을 접하고 수많은 인공의 학술적 한자어 対訳語(漢字)들이 나왔어요
      (일부는 중국어 일본어라고 하겠지만)
      예를 들어「봉건 封建」「농노 農奴」
      저는 공부하면 할수록 내부가 엄청 넓어지는 것 같아요 ^^;;
      노예, 노비, 머슴, 일꾼「おじろく(男)・おばさ(女)」
      제가 한 분, 한 분 나누어 읽으면 두 분 모두 진실을 말씀하고 계시는데「이다是/아니다非」에서 갑자기 멍해지네요
      두 분 모두 고맙습니다 🤝

  • @user-sw4ts1mp6d
    @user-sw4ts1mp6d 3 месяца назад

    イザベラ・バードの朝鮮紀行を読めば真実を理解でき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