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 진작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구나...20년 묵은 층간소음 문제를 건설사가 단번에 해결한 이유 / 깐깐남 EP.7 / 비디오머그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깐깐남 커뮤니티 오픈]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premium.sbs.co...
    깐깐해서 남 주자. 깐깐남 시작하겠습니다. 오늘은 층간소음 편에 달렸던 댓글을 가지고 얘기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두 편 합쳐서 한 140만 회 정도 재생이 됐고요. 댓글은 6천 개 이상 달렸습니다. 여기 달린 댓글들 내용을 놓고 우리가 한번 생각해 볼 점은 없나 그건 더 나아가기 위해서 어떤 얘기를 할 수 있나 한번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지어진 아파트는 어떻게 하나?' '오래된 아파트는 정말 층간소음이 없다' '단열재 규정을 강화하면 공사비가 늘어날 것' '국토부와 건설사가 어떤 커넥션이 있는 것이 아니냐' '이제야 이런 보도가 세상에 나오다니' 등 독자 여러분들의 다양한 댓글들을 속시원히 풀어봤습니다.
    취재: 김범주 / PM·PD: David / 영상취재: 이재영 / 편집: 현승호 / 콘텐츠디자인: 김정연 / 출연: 양보연, 김규리 / 제작: 스브스프리미엄
    ✔신뢰할 수 있는 재미, 비디오머그 VIDEOMUG
    #비디오머그 #층간소음 #국토부 #건설사 #분양가인센티브 #감사원 #깐깐남
    ▶비디오머그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mu...
    ▶Homepage : n.sbs.co.kr/vi...
    ▶Facebook : / videomug
    ▶Twitter : / videomug_sbs

Комментарии • 962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103

    [깐깐남 커뮤니티 오픈]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LCH0228
      @LCH0228 Год назад +3

      들어가보니...글 꼴랑2개ㅋ
      다들 불편하지만 나서서 하기는 싫은건가도 싶네요
      누군가는 해결해주겠지...라는 느낌?
      혹은 내집 집값이 내려가는것은 아닐까...라는 느낌?
      작년인가?
      서울 강남등지가 침수되고서 보도된 뉴스보도중에 서울시인가? 정부인가? 어디서 서울시에 비가 많이 올경우 침수위험이 있는것을 조사하였는데...그거 발표나 공시하려다가 제지당해서 못했다는걸 본것 같네요
      문제는 알겠는데, 그거 공개되면 다들 꺼려하니 집값이나 부동산가격이 떨어지기에 반대했다고...
      층간소음문제도 동일한것 같네요
      해결은 필요한데, 내꺼는 건들지마

    • @앨리-z7e
      @앨리-z7e Год назад

    • @소나무-g9j
      @소나무-g9j Год назад +5

      80년도 규정보완해서 콘크리트 두께 최소하한규정 다시 강제해야한다

    • @yongsuknoh6738
      @yongsuknoh6738 Год назад +3

      층간소음? 70년도에 지은 여의도 한 아파트는 전여 없다.

    • @경숙김-q2w
      @경숙김-q2w Год назад

  • @MrBootto
    @MrBootto Год назад +692

    가전제품에 전력소비등급 표기 하듯이 아파트 분양시 층간소음 등급 표기 의무화 해야 한다고 봅니다

  • @대응3단계
    @대응3단계 Год назад +284

    태영건설방송에서 이런 기사가 나오다니....놀랍군요. 기자님 응원합니다.

    • @_rare_stacker
      @_rare_stack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태영건설 부도직전이라 정부에 압박주는거겠죠 8개월전이면 ㅋㅋ 결국 논란도 안됨

  • @이방인-g5w
    @이방인-g5w Год назад +349

    언론의 참기능이 뭔지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국토부에서 반응이 올때까지 후속 기사 부탁드리고 좋아요 꾹 눌러 응원하겠습니다.

  • @bk-ml4ry
    @bk-ml4ry Год назад +400

    국토부는 건설사를 위한 정부 부처이고 국민의 고통은 안중에 없나요? 그런데 왜 세금으로 월급을 받고, 국민들에게 고통을 주며 이웃들 간에 충돌과 심지어는 그 고통과 이웃간에 충돌로 살인까지 벌어지는 일들을 만들게 하고 있는 것인가요 ? 국민 혈세보다 더 많은 돈을 건설사에게서 뒷돈으로 받고 있는 건가요 ?? 대체 이유가 무엇인건가요 ???

    • @안티광신
      @안티광신 Год назад +24

      개인의 이득 추구가 가장 중요한 세상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은 내가 피해를 보지 않는 다는 확신이 서면, 공익을 해치는 행동을 서슴치 않고 합니다. 이유는 원래 사람이라는 존재가 그래요. 의로운 사람은 거의 없는게 현실입니다. 그리고 이런 일 가지고 일일이 따지지 않는 공격력이 말소된 인간성이 대다수인 사회에서 국민의 대대적인 호응은 왠만해서는 일어나지 않죠. 사람들이 모여서 국토부를 상대로 소송을 지속적으로 걸어대고, 공론화시키고, 잔인하게 물어뜯어서 국거 요직에 있는 몇몇 사람들이 나락가는 걸 보고나서야 변할 겁니다. 왜냐하면 눈가리고 아웅해도 그동안 아무런 처벌이 없었거든요. 그러면 사람이 의롭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인 걸 가정해봤을 때, 아 이 돈을 받으면 내 인생이 좃돼겠구나 했을 때, 그때 어쩔 수없이 사람이 의로운 일을 합니다. 그게 대부분의 사람들의 본성입니다. 사람들이 다 님같지 않습니다.

    • @지금여기에-j7c
      @지금여기에-j7c Год назад

      아따 기업이 잘되야재~

    • @FamilyBae
      @FamilyBae Год назад +2

      한국은 한번 대지진나야죠

    • @RainbowCalligraphy
      @RainbowCalligraphy Год назад +15

      국토부공무원임원이 은퇴하면 자기가 편의 봐주었던.. 건설사의 임원으로 재입사하는 경우도 있고.. 서로 윈윈이라.. 건설사가 편의 봐주면 공무원은 눈감아주고.. 그러니... 절대 층간소음 해결이 안될겁니다... 건설사가 어떻게든 자재비나 편법으로 공사비 아껴야하는데.. 층간소음해결할일 없을거구요.. 공무원들도 머리아프고 건설사봐준것도 있는데 층간소음 해겱의사 없을거구요.

    • @허허허헙
      @허허허헙 Год назад +2

      @@안티광신 + 레몬법과 현기차

  • @lifesuper7
    @lifesuper7 Год назад +55

    안바뀐다고 그냥 됐다 하고 손놓으면 진짜 아무것도 안바뀌죠 .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여론을 모아가야지 그나마 바뀔찬스가 생기지 않을까싶네요.
    힘든 여정에서 목소리 내고 계시니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
    계속 전국민의 큰 고통원인중 하나인 층간소음문제에 열의를 다해주시면 좋겠네요. 힘내시고 계속 응원하겠습니다.

  • @Sfhjtfihfgi
    @Sfhjtfihfgi Год назад +691

    끝까지 가주세요. 기자님! 정말 오랜만에 기자 정신을 느낍니다.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18

      깐깐남 커뮤니티를 오픈했어요!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박수-g3k
      @박수-g3k Год назад +18

      양아치들 몇억짜리 집에 돈삼백을 아끼려고 그동안 시공을 안했단 거잖아.

    • @SaramEmonjoda
      @SaramEmonjoda Год назад

      씨2벌 예전에 아파트 집 정책한 대통령 때문에 이 지경된게 참….. 그 후 아파타 자재들이 ㅈ나 줄어듬

    • @_rare_stacker
      @_rare_stack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소비자가 사는게 몇 억이지 시공업체는 하청에 하청에 하청이라 그 몇 백 남는거.. 본질적으로 아파트 건설의 구조적인 문제임

  • @riolay9891
    @riolay9891 Год назад +280

    40년 넘게 아무런 규제와 제재 없이 날림 진동 콘크리트 박스를 마구 찍어 낼 수 있었던 건 언론사를 소유한 건설사의 막대한 자본력과 정.관 로비 때문입니다. 아파트 짓는 건설사는 대기업을 비롯해 왠만한 이름 있는 기업은 계열사로 하나씩 다 가지고 있습니다. 아파트만큼 좋은 수익 사업이 없거든요. 전국민의 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 3억이건 10억인건 30억 이건 똑같이 층간소음 있습니다. 구지 돈 더들여 조용한 아파트 만들 이유가 없거든요. 지어서 팔면 끝, 층간소음 커도 집값 떨어질까봐 쉬쉬하고 건설사에 항의 하는 사람 없습니다. 층간소음으로 살인사건 매년 몇 건씩 일어나도 건설사가 소유하고 있는 언론은 단지 그들의 인성문제로 몰아갈 뿐 지어 판 건설사에게는 아무런 문제 제기를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평당 10만원에 조용한 아파트 만든다면 25평형 250만원인데 그 돈 들여 층간소음 없앨 수가 있는데 그 돈도 아까워 날림으로 지어파는 건설사 입니다. 분양대행사에 그냥 계약서만 써도 한 채당 분양비 500만원이상 수수료로 줍니다. 그들은 일단 선분양으로 팔아버리면 콘크리트 두께가 기준보다 얇든 층간소음이 크든 곰팡이가 심하든 똥이 묻어나오든 이젠 나하고 상관 없는 일이라 아예 상대 조차 안해 줍니다. 소송에도 눈 하나 까딱 안 합니다. 이걸 제재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정부가 해야 하는데 그들의 파워가 워낙 쎄 그냥 토건 마피아 입니다. 여태 40년 넘게 일단 짓기만 하면 수익률 30% 이상의 ATM 같은 아파트사업 선분양만 해도 완판 입니다. 투기용으로도 좋고요... 이제는 달라 졌으면 합니다. 몇 억 주고 사서 몇십년 대출 갚는 내 집에서는 적어도 내 가족과 발 뒷꿈치 들며 조심조심 걸으며 아랫집 눈치보고 아이들한테 잔소리 처럼 살살 걸으라고 말 안했으면 좋겠습니다. 윗집하고도 층간소음으로 얼굴 보지 않았으면 하고요.

    • @jhs4677
      @jhs4677 Год назад +18

      SBS도 건설사가 사주

    • @촉법소년단
      @촉법소년단 Год назад

      조선 동아같은 족벌언론빼고 다 건설사소유

    • @정행복-b3v
      @정행복-b3v Год назад

      같은 영상을 봐도 이렇게 해석하다니...
      분양가 상한제의 맹점이 원인아닌가요?
      국가에서 분양가를 제한하니 날림으로 짓죠
      그리고 이 영상을 만든 채널이 님이 악의축으로 규정한 sbs어서 만든 것이에요

    • @빅로트-l8d
      @빅로트-l8d Год назад +18

      @@정행복-b3v 분양가를 제한하니 날림으로 짓는다구요??? 이러니 노예처럼 살지.

    • @hey_______
      @hey_______ Год назад +13

      ​@@정행복-b3v 분양가 상한제가 없었으면 제대로 지었다? 글쎄요..

  • @크리에이트-u4q
    @크리에이트-u4q Год назад +524

    층간소음은 해결될때까지 주기적으로 꾸준히 영상을 주시길.

    •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Год назад +4

      그냥 층간소음 살인은 합법 통과시키자 그래야 사람들이 목숨아까운줄알고 조용히살지

    • @jjundaniel3281
      @jjundaniel3281 Год назад +1

      @@user-ip1ny5dy7q 와.. 이 인간은 지금까지 대체 뭘 본 거야? 진짜, `소 귀에 경 읽기`네... 기자님이 이 글 보시질 않길... 진짜 힘 빠지실 듯.... 한심하다 진짜... 어휴...

    • @user-0.75
      @user-0.75 Год назад

      ​@@user-ip1ny5dy7qㅋㅋㅋㅋㅋㅋㅋ

    • @킬라-p2e
      @킬라-p2e Год назад

      ​@@user-ip1ny5dy7q정박아 싸이코는 좀 짜져라 이런 좋은 영상에서 개소리하노

    • @qIIIllIldj3h
      @qIIIllIldj3h Год назад +3

      방음재, 차음재를 7cm이상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중량충격음, 경량충격음 방지
      을 받을수있는 방음재를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층간소음 저감성능을 갖춘 바닥구조를 의무화하고
      더 강화시켜야합니다.
      진동방지 특수 콘크리트슬래브를 써야합니다.
      고급 방음기술, 방음재를 사용해야합니다.
      층고를 높이고, 윗집과 아랫집의 간격을 더 늘려야합니다!!!!

  • @starlightknights
    @starlightknights Год назад +228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자님 덕분에 진실을 알게 되었고, 이제는 국민이 나서서 국회의원, 정부에게 확실하게 요구해서 고처가야 할 것 같습니다. 정치인은 선거에서 당선이 되기 때문에 선거시 이 부분을 확실하게 요구하고, 안들어주면 다시 볼일 없는 사람이 되는 거죠.

    • @이승-s6g
      @이승-s6g Год назад +3

      국회의원이라는 놈들은 원래 자기 주머니가 최우선인 놈들이죠..

  • @hyojina
    @hyojina Год назад +269

    방송의 순기능이 바로 이런거라고 생각합니다! 뒤에서 응원하겠습니다

    • @황언덕
      @황언덕 Год назад +1

      맞는 말이긴한데... 아무것도 안바뀌고 여기서 스스로 위로 하는것밖에 안되는듯...

    • @김-y9w
      @김-y9w Год назад +2

      맨날 뒤에서 응원해봐라 바뀌나 ㅋㅋ

    • @ccocca8705
      @ccocca8705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앞에서 응원하거나 청원 참여라도 할 생각이 아니라면 마지막 같은 말은 ... 행동하는 사람들도 지쳐 나가떨어지고 책임자들이 여태 비웃으며 안심하고 콧방귀 뀔 수 있게 도와준 근본이 압축된 문장 아닌가 싶음.

  • @juhnnyb
    @juhnnyb Год назад +82

    분양가에 어드밴티지를 줘서 소음방지 기술을 이끌어내는 게 맞다고 하셨는데 층간소음이 당연히 1~2등급이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면(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오히려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을 때 디스어드밴티지를 주는 쪽이 맞는 거 아닐까요? 층간소음 없는 집에 살고 싶으면 돈 더 내라는 건데.. 그건 마치 벽체에서 철근을 몇 개 빼놓고, 철근이 충분히 들어간 무너지지 않는 집에 살고 싶으면 분양가를 더 내라고 하는 것과 같아요. 이건 그냥 스탠다드가 돼야 합니다. 국토부는 스탠다드를 만들어야 하는 거구요.

    • @역마차
      @역마차 Год назад +4

      정답.....
      영혼없는 공무원....
      영혼없는 국회의원....들....

    • @강민수-b7o
      @강민수-b7o Год назад

      그렇게 따지면... 제약회사 제품효과가 없을때 디스어드밴티지를 주는게 맞나? 현대기아차도 음주운전자가 탑승하면 시동안걸리게 해야지 안하면 디스언드밴티지..? 사회문제를 생산자보고 해결하라고 하는건 너무 억지인듯. 한국식 아파트주거문화로 층층이 닭장처럼 사는 구조적인 문제와 애새끼들 발망치로 쿵쿵 뛰어다녀도 통제안하는 젊은 부모들이 문제아닌가?

    • @choe3989
      @choe3989 Год назад

      @@강민수-b7oㅋㅋ 집을 ㅈ같이 만들어논걸 디스어드벤티지 주자는 거자나
      그렇게 ㅈ같이 만들고도 비싼값 받아 팔았으면서ㅋㅋㅋㅋ 양심이없나..
      누가봐도 생산자 잘못인데ㅋㅋㅋㅋ 남탓타령.. 으휴.. 대단하십니다..

    • @안녕하오-k5q
      @안녕하오-k5q Год назад

      ​@@강민수-b7o 그생산자가 이렇게 지으면 뻔히 층간소음분쟁이 생긴다는걸 알면서도 건물을 지으니깐 문제지. 그러니깐 처음부터 잘만들어라는거지.

    • @강민수-b7o
      @강민수-b7o Год назад

      @@안녕하오-k5q 4살짜리 답변인가..? 그렇게 따지면 핸드폰 액정은 왜 유리로 만들어? 강화플라스틱신소재로 만들어서 터치도 되면서 깨지지않게하든가. 지금의 아파트 시스템은
      7,80년대 주거문화+구조적인 문제+ 기술력+닭장처럼 지어서 최대한 많이 팔아먹어야하는 부동산 경제+지새끼 발망치 통제안하는 맘빠충 복합적인 문제라고 생각못하겠어..?

  • @불바
    @불바 Год назад +66

    깐깐남 김범주 기자님 수고하셨습니다.
    저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의 SOC 건설현장을 돌며 공사비를 빼먹는걸 적발해서 ... 아마 총 850억원은 넘게 적발햇을거에요... 경각심을 심어주려고 동분서주 했었고, 그 결과를 일부 정리하여 라는 단행본으로 발간했다가 재미없는 내용의 책이라 읽는 독자가 없어 폭망한 불타는 바다(불바) 입니다.
    먼저 층간소음 문제를 다루시는 줄 알았으면 제가 조언을 좀 드렸을건데.... 현장에서는 미신보다 더한 맹신이 하나 있었습니다.
    그건 모든 문제를 설계도만 가지고 따지는 것이었습니다. 저도 물론 처음엔 그런줄 알았습니다. 그러다가 현장에서 소리소문도 없는 어느 전문가를 만났는데, 이 분은 정말 고수였습니다.
    그분의 충고에 의해 설계도면과 실제 시공과의 차이를 꿰뚫어보는 법을 좀 배웠고, 현장마다 가서 대비해서 비교하는 습관을 가질수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한 현장에서 크게 빼먹은걸 알고 적발해서 수사기관에 보내 처벌하고 공사비 차액 환수하고..... 이런걸 20건 가까이 하다가 /.............
    문제는 사람들이 설계도만 맹신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현장은 설계따로 시공따로인데, 이걸 감리라는 들러리들 보고 감시하라고 하더라고요.
    인원도 얼마없고 아는것은 물론 업무 능력도 별로 없던데....
    저는 요즘은 발파로 인한 소음과 특히 진동피해에 대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진동계측기를 엉터리로 눈가림으로 설치하고 속여서 사실은 남의 귀중한 집과 재산을 가루로 날려 버리는 가공스런 작업이 바로 폭약을 이용한 터파기나 터널굴착에 사용하는 발파라는 공법이죠.
    180편이 넘는 논문을 읽고 외국서적과 논문을 읽고 익히며 억울한 사람들의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ㅏ.
    기자님의 노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 @Kang-wo7mp
    @Kang-wo7mp Год назад +115

    전국민들을 층간소음에 시달리게 만든 쓰레기 국회위원과 공무원 들이 처벌되는 그날이 오길 기도할뿐입니다.

  • @upinthesky5283
    @upinthesky5283 Год назад +59

    김범주 기자님 감사합니다. 늘 응원하겠습니다!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1

      깐깐남 커뮤니티를 오픈했어요!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엑셀excel
    @엑셀excel Год назад +22

    국토부가 이 정도로 건설사의 이익을 위해 일을 한다면, 뭔가 건설사에 약점을 잡혀있다고 보는게 합리적입니다...
    1. 경찰이던 검찰이던 국토부와 건설사와의 밀착관계를 내사해야 합니다..틀림없이 뇌물, 퇴직후의 자리 등의 (묵시적으로 오랜기간 주어진) 반대 급부가 있을 겁니다...
    2. 내사후 수사로 전환해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고위 관료들을 모두 처단해야 합니다...

  • @CCPOUT2025
    @CCPOUT2025 Год назад +56

    먹는거, 사는집, 타는 차, 학교, 직장 이런거 가지고 장난치는 것들은 사형 시켜야 한다.

  • @samajune501
    @samajune501 Год назад +15

    각 분야마다 이런 기자님들만 계시다면 우리 사회가 지금보다 훨 나을텐데라는 생각이 드네요. 기자님 화이팅입니다. 속시원합니다.

  • @하비원
    @하비원 Год назад +31

    당연한 말씀입니다. 관심을 갖고 계속 시정 요구를 하고 문제 제기를 해야 바뀔까 말까 한 대한민국 시스템 정말 후진국을 못 벗어나네요

  • @jinupark-
    @jinupark- Год назад +32

    기자님 화이팅입니다 지지하고 관심가지겠습니다 건설사를 위한 국토부 정말 울분이 터집니다

  • @allthetimeallthetime9627
    @allthetimeallthetime9627 Год назад +109

    그래 깐깐남처럼 확실한 고발프로가 있어야 잘 모르는 국민들도 제대로 알고 관심을 갖죠.
    고맙습니다!!!!😁😁😁

  • @RostoWw
    @RostoWw Год назад +37

    정부가 안 바뀌면, 국회의원들이라도 해줘야 되는 건데
    진짜 건설사한테 다 로비 먹어가지고 안 해주는 거 같습니다.

  • @드니로로버트-n6y
    @드니로로버트-n6y Год назад +59

    건설사가 주인인 sbs기자님이 이런 개념있는 취재를 하시다니 용기가 대단하시네요. 응원합니다. 국토부와 건설사들이 붙어먹으며 나라살림도 말아먹고 부실시공을 끊임없이 해대는 나라에서 그 대변인인양 건설사들의 이익을 위해 여론전과 정치질을 끊임없이 해대는 SBS에서 이런 보석같은 분이 나오실줄은 몰랐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사내에서 압박이 와도 꿋꿋하게 이겨내시길 빕니다.

    • @수수깡-d2j
      @수수깡-d2j Год назад

      SBS가 정치뉴스는 쓰레기인데
      이런 뉴스들은 잘하는것 같음.

  • @goodgoodlife802
    @goodgoodlife802 Год назад +19

    층간소음 없어질때까지 끝까지 파보시죠.
    기자님 응원합니다.

  • @감사-A
    @감사-A Год назад +84

    결론은 층간소음의 모든 원인은 건설사나 시공사가 원인 제공했네요. 그동안 층간 소음으로 분쟁생기고 문제 발생했던 모든 것을 담당 시공사에게 책임을 돌리고 지난 일이라도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도록 법개정을 해야합니다. 정치꾼을 로비 받고 놀지 말고 일 좀하시오...

    • @qIIIllIldj3h
      @qIIIllIldj3h Год назад

      방음재, 차음재를 7cm이상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중량충격음, 경량충격음 방지
      을 받을수있는 방음재를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층간소음 저감성능을 갖춘 바닥구조를 의무화하고
      더 강화시켜야합니다.
      진동방지 특수 콘크리트슬래브를 써야합니다.
      고급 방음기술, 방음재를 사용해야합니다.
      층고를 높이고, 윗집과 아랫집의 간격을 더 늘려야합니다!!!!!!!

  • @ykkim9343
    @ykkim9343 Год назад +43

    저런건설사들 응원해야하고 .. 기둥식 아파트로 백년아파트로 가야한다.. 이제는 부수고 짓고 하는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그리고 주차장기준좀 높여야한다.. 뭔 새로지은 아파트가 주차장에 자리가 없어서 난리냐.. 정부는 뭘하고 있는건지..

    • @DoTroll5610
      @DoTroll5610 Год назад +2

      자리는 넘치게 지음. 한 세대에서 주차장을 3대씩 쓰니까 부족한거.

    • @김변혁
      @김변혁 Год назад

      부대시설이랑 주차장이 다른 아파트보다 넓고 튼튼한 기둥식 아파트. 분양가 옆동네 신아파트보다 같은 평수 인데 1.5배 비싸다고 하면 들어가겠음?

    • @_FairWind
      @_FairWind Год назад +1

      @@김변혁네. 전 입주 하겠어요.

    • @qIIIllIldj3h
      @qIIIllIldj3h Год назад

      방음재, 차음재를 7cm이상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중량충격음, 경량충격음 방지
      을 받을수있는 방음재를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층간소음 저감성능을 갖춘 바닥구조를 의무화하고
      더 강화시켜야합니다.
      진동방지 특수 콘크리트슬래브를 써야합니다.
      고급 방음기술, 방음재를 사용해야합니다.
      층고를 높이고, 윗집과 아랫집의 간격을 더 늘려야합니다!!!!

  • @톨레랑스
    @톨레랑스 Год назад +57

    영상이 대한민국 아파트의 미래를 바꾸는 시작이 될거고 꼭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4

      깐깐남 커뮤니티를 오픈했어요!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정은이네농장jay
    @정은이네농장jay Год назад +1

    건강을사랑하는 모임 건사모 에서 다녀갑니다 풀시청 합니다 화이딩 자주올께요 굿 ❤❤❤❤😅😅😅

  • @극속전설-h9q
    @극속전설-h9q Год назад +8

    넘좋아요. 국토부공무원들 좀 보세요 청원이라도해야 보려나

  • @또로록땍때굴
    @또로록땍때굴 Год назад +2

    아파트 건설현장 직접 본적 없죠?
    얼마전 콘크리트 층간 타설까지만 된 아파트를 봤는데 경악할 정도였음.
    층간 콘크리트 두께가 30센티도 안돼 보였음.
    온갖 가구에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콘크리트 두께가 저렇게 얇았다니..
    누가봐도 윗집이 뛰면 아랫집은 시끄러울 수 밖에 없는 슬림한 두께.
    그래서 윗층이 뛰면 아랫층은 울리는 정도가 아니라 천장에 매달린 등이 찡찡 거리며 굉음을 냈구나 이해가 됐음.
    층간 콘크리트를 얇게 해도 하중을 견디게 건설기술을 발전해왔으니 건설비는 대폭 줄어들었겠지만 두께를 두배 줄인 결과 층간소음은 수십배 커진거지.
    이제부터라도 기술력 부족으로 무조건 두껍고 튼튼하게 짓던 옛날방식으로 돌아가야 함.
    기술력 발전과 생활쾌적이 정비례해야 하는데 완전 반비례관계가 되어버림.

  • @d-day_00
    @d-day_00 Год назад +11

    층간소음을 잡으면 집값을 올려줄게 아니라..
    등급을 정하고 적정 미달이면 집값을 내리게 해야됨

  • @oddontheboard6645
    @oddontheboard6645 Год назад +5

    층간소음. 꼭 해결됐으면 좋겠습니다.

  • @fasgrxc
    @fasgrxc Год назад +5

    잘 보고 갑니다 응원합니다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깐깐남 커뮤니티를 오픈했어요!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hellodanbi
    @hellodanbi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저희 윗집도 초등학교 남학생이 있는데
    뛰어다니고 발망치소리에 난타를 당해서
    슬리퍼를 4개 사가지고 올라가 인사도 했는데 참다가 한달에 한번정도 몇번 이야기했더니 본인들이 스트레스 받는다고 쪽지를 문에 붙여놨더라고요..
    어쩔수없죠. 아이가 크면 안뛰겠죠..
    제가 아파 약을 먹고있어 깜짝깜짝 놀라기 싫어서 귀마개를 하고있습니다.

  • @ormastes
    @ormastes Год назад +17

    미국 100년된 아파트도 전혀 층간소음없다. 기술이나 그런게 아니라 걍 아파트 선전할때 고시하도록하거나 법적 기준 높이면 되는건데 건설회사 로비때문에 안되는거지.

    • @kiheonjeong2657
      @kiheonjeong2657 Год назад

      미국은 집에서 신발 신고 생활하잖아요

    • @시오즈
      @시오즈 Год назад

      그 미국도 종종 아파트 봉괴 사고 뉴스에 나오든데요

  • @horanghoranghorang
    @horanghoranghorang Год назад +10

    태어나서 진짜 끝까지 집중해서 본 정보 기자님 현타오지말고 화이팅하세요 !!!

  • @빙고칸채우기
    @빙고칸채우기 Год назад +8

    하다보면 결정적인 순간이 와서 바뀐다는 말 격하게 공감합니다.❤
    항상 좋은 취재에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 @MS-pw5mb
    @MS-pw5mb Год назад +14

    이게 진정한 언론이다. 감사원도 잘했다. 국토부는 시정하라.

  • @gunken77
    @gunken77 Год назад +13

    항상 좋은 주제~ 쉽게 풀어주셔서 고맙습니다! 깐깐남 응원합니다~!!^^

  • @jsb8718
    @jsb8718 Год назад +9

    ㄹㅇ이분같은 참기자님이 있어서 다행이다싶다

  • @kwh1871
    @kwh1871 Год назад +5

    건설사가 편법과 속임수로 1%이득을 보면...사회적 문제와 피해발생 그 손해는 10~1000%이상 대폭증가. 마찬가지로 작은 각종사기와 횡령이라도 그 영향으로 한국금융산업계의 발전에 피해가 엄청남.. 반대로 이젠 거의 없어진 물품절도와소매치기등으로 해서 얻어지는 관광이나 대한민국브랜드가치는 헤아릴수없는 이득을 보고있슴.. 사소한 작은 일에라도 정직과 최선을 다하면 대한민국은 진짜 세계초일류 선진국으로 간다..// 건설사가 설계도에서 철근한개라도 빼먹을 생각대신 철근하나라도 더 넣어서 건설할 생각을 가진다면...사회적이익이 대폭증가

  • @때려쳐-r8i
    @때려쳐-r8i Год назад +31

    진짜 유익한 서민 방송이네 진짜 이유를 알아가니 궁금증도 사라지고

  • @蘇盡-w9g
    @蘇盡-w9g Год назад +19

    국토부 업무를 분리해야된다고 본다.

  • @최광민-u2i
    @최광민-u2i Год назад +3

    아파트분양할때 소음문제도 확인해서 소음이심한 아파트는 분양을할수없는 제도를 만들어져야한다고 생각해요

  • @누가보래
    @누가보래 Год назад +5

    이제 조용한 집이랍시고 분양가 프리미엄 붙겠군요 대단하다...

  • @jessicaon30
    @jessicaon30 Год назад +2

    층간소음ㆍ부실시공 등도요
    베란다 설치 의무화도요
    화재시 큰일 나요

  • @Woooo-w6n
    @Woooo-w6n Год назад +3

    방음 신기술 적용을 안하면 분양가를 측정된 기준에서 낮추겠다고 해야지.
    결국 기업만 다 해쳐먹겠네

  • @향방산
    @향방산 Год назад +18

    국토부는 도대체 뭘 하는곳인지 해체해야 한다

  • @송재영-i5z
    @송재영-i5z Год назад +7

    층간소음이 없거나 최소화하여 아파트를 짓는게 당연한데 무슨 인심쓰듯이 하는게 우습고 기가 찰 노릇이군요

  • @bihukim3617
    @bihukim3617 Год назад +4

    층간소음은 국토부 토건마피아하고 건설업자들의 농간인걸 모르는 놈들도 있냐?..다 돈이다..

  • @유인석-x7f
    @유인석-x7f Год назад +10

    이런 프로그램이 나와도 안바뀐다면 우리 미래는 없다고 봅니다!!

  • @trustkim9225
    @trustkim9225 Год назад +47

    층간소음으로 이웃들 민폐끼치기 싫으니 애들 더더욱 키울 엄두가 안남.. 이미 낳아 키우시는분들이 진짜 대단하심...

    • @mooosooon
      @mooosooon Год назад +2

      노인되서 죽을까봐 지금 못살고 죽겠다는 논리네요

    • @니나노-r1v
      @니나노-r1v Год назад +3

      ​@@mooosooon노인되고 남한테 피해줄까봐 오래 못살겠다가 맞는 논리 아닐까요..?

    • @응응-i8u
      @응응-i8u Год назад +4

      @@mooosooon 어제 학교에서 비유법 배워서 써보고싶어서 안달이 나부렀노ㅋㅋ

    • @dodo-qg4ck
      @dodo-qg4ck Год назад +1

      애들이 싫으신건 아닌가요?
      이기적이 논리네요

  • @Realgroove
    @Realgroove Год назад +11

    이런 사람이 세상을 바꾸는거다ㅠ 이런사람만이 바꾸는 현실이 슬프네요ㅜ

  • @Kris-yc4rm
    @Kris-yc4rm Год назад +1

    화이팅입니다.

  • @SON7-e2u
    @SON7-e2u Год назад +3

    층간소음 문제로 칼부림 나서 유명을 달리한 분들과 유족 분들 생각하니 제가 울분이 터집니다 진작에 아랬으면 어땠을까

  • @MyeongsuAdS
    @MyeongsuAdS Год назад +47

    이전 층간소음으로 굉장히 고통받고 이제는 맨 윗층만 고집하는 1인입니다. 층간소음에 대해서 자세히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

    • @LCH0228
      @LCH0228 Год назад +4

      층간소음은...구조나 그 형태에 따라서 옆집이나 밑집에서도 올수도 있습니다
      개인주택에 방음 잘된거 아닌이상은...

    • @hofffnung
      @hofffnung Год назад

      @@LCH0228정답.. 윗집이랑 싸웠는데 아래층이었다는 이야기도 수두룩하죠 ㅋㅋ

    • @littlepooh1603
      @littlepooh1603 Год назад

      저희 누님은 님처럼 고층으로 이사갔는데 밑에 층 개가 하도 짖어서 미치기 일보직전.....

  • @에이치케이-m5e
    @에이치케이-m5e Год назад +6

    우리나라 사람들 갈 수록 예민해지는 건 집 문제가 큰 거 같습니다. 퇴근하고 집에 와서 맘 편히 걷고 놀고 하면 좋을 텐 데..
    그 간 층간소음으로 안 죽어도 될 사람들이 얼마나 죽었을까요? 앞으로를 위해서 지금이라도 늦지 않은 부분입니다. 큰 한 발자국이라도 갔으면 하네요

  • @kara6027
    @kara6027 Год назад +1

    안녕하세요
    늦었지만 새해 🙆 복도 사랑 건강 평화를 빌어요 🙏 감사하고감사하고 감사하고감사합니다

  • @cgyver
    @cgyver Год назад +4

    이게 제대로된 기사지!! 화이팅입니다!

  • @최재관-d7z
    @최재관-d7z Год назад +1

    정의 로운 방송에 감사드립니다

  • @꽃냥-x5q
    @꽃냥-x5q Год назад +4

    맞습니다ㆍ 응원합니다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깐깐남 커뮤니티를 오픈했어요!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유자청-t5r
    @유자청-t5r Год назад +1

    어머님 사시는 2층짜리 단독주택의 2층을 리모델링하면서 방바닥의 난방파이프가 오래된거 같아 콘크리트 들어내고 새로 파이프 묻었는데...세상에나 1층에서 전에 안들리던 위층의 발자국 소리가 들리네요. 달라진 점은 딱하나. 들어낸 콘크리트에는 강자갈이 섞여있었고 새로한 바닥은 시멘트로만 했습니다. 강자갈의 위력을 느꼈네요. 아파트도 자갈을 섞어서 넣어주면 층간소음이 줄어들거 같아요.

  • @23jordan74
    @23jordan74 Год назад +25

    멋져요 기사님
    해결 될때까지 시리즈로 계속 갑시다

  • @무명인-z3w
    @무명인-z3w Год назад +2

    벽식구조도 문제지만 슬라브 두께 자체가 얇아진게 문제인데 여기서도 그 문제는 지적하질 않네요 98년~ 2000년도 쯤에 건축법 시행령이 개정
    된걸로 아는데 그때 흡음재 를 깔면 슬라브 두께를 3cm정도 얇게 깔아도 되도록 개정한걸로 압니다 그게 가장 큰 문제죠 슬라브가
    기본적으로 두꺼우면 이런 소음 문제는 왠만큼 해결됩니다 예전 아파트도 다 벽식 구조지 그때 지은건 벽식구조가 아닌게 아니잖아요?

  • @lightgame2707
    @lightgame2707 Год назад +3

    지금까지 만들어진곳에서 살고있는 우리들은 결국 답이 없다는거네요 애도 없고 조용히 사는 이웃만나는 행운뿐인것이나 다름없군요

  • @비람의파이터
    @비람의파이터 Год назад +1

    이런기자가 진짜지

  • @루브브브
    @루브브브 Год назад +5

    행정입법 예고 나오는 그날까지 화이팅입니다

  • @정폭풍-f3f
    @정폭풍-f3f Год назад +1

    감사합니다~~

  • @user-Safaritvkids
    @user-Safaritvkids Год назад +14

    이런 프로그램이야말로 수신료를 논할 가치가있다고 생각합니다

  • @봉두산-k3b
    @봉두산-k3b Год назад +2

    층간소음, 국토교통부와 건축업자와의 묵시적, 암묵적 짬짬이 한통속이다.

  • @코스모스-j7r
    @코스모스-j7r Год назад +51

    이렇게 방송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저는 층간소음 문제에 공무원이 개입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에서는 오직 아파트가 완공되면 준공검사를 할 때 그 신축 건물의 소음지수를 측정하여 시장에 발표만 하고, 그 자료를 보고 소비자가 판단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모든 것이 해결이 될 것입니다. 만약 선계약제도라면, 계약서에 소음지수 얼마까지 되는 아파트를 짓겠다라는 조항을 계약서에 넣게 하면 됩니다. 그 조건을 맞추지 못하면 몇 배의 위약금을 물게 하면 됩니다.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깐깐남 커뮤니티를 오픈했어요!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qIIIllIldj3h
      @qIIIllIldj3h Год назад

      방음재, 차음재를 7cm이상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중량충격음, 경량충격음 방지
      을 받을수있는 방음재를 두껍게 깔아야합니다.
      층간소음 저감성능을 갖춘 바닥구조를 의무화하고
      더 강화시켜야합니다.
      진동방지 특수 콘크리트슬래브를 써야합니다.
      고급 방음기술, 방음재를 사용해야합니다.
      층고를 높이고, 윗집과 아랫집의 간격을 더 늘려야합니다!!!!

  • @BohemianRhapsody777
    @BohemianRhapsody777 Год назад +1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pjw10044
    @pjw10044 Год назад +4

    층과 층사이에 합판과 콩크리가 들어가는데 그 합판 자재값 비싸다고 삥땅 치는 업체가 많을듯 그 삥땅 업체 조사해야돼

  • @취대남-d9f
    @취대남-d9f Год назад +1

    국민청원갑시다

  • @clk9726
    @clk9726 Год назад +5

    기자님 화이팅!!

  • @ascoooops
    @ascoooops Год назад +7

    희룡아 그게 장관이라는 놈이 내놓은 정책이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

  • @leolee2401
    @leolee2401 Год назад +10

    정말좋은 정보와 활동 감사드립니다 ㅠㅠ 이분을 국토부장관으로!

  • @YSJ90
    @YSJ90 Год назад +6

    빌드업 지렸네..소음저감매트까지 팔수있고..

  • @김민준-o2p
    @김민준-o2p Год назад +8

    모든 국회의원은 층간소음이 심한 아파트에 의무적으로 사는 법이 있으면 좋겠네요 그럼 1달 안에 법발의 할텐데 다들 40억짜리 단독주택에 사니깐 알수가 있나

  • @김현호-h5b9t
    @김현호-h5b9t Год назад +4

    응원합니다

    • @videomug0
      @videomug0  Год назад

      깐깐남 커뮤니티를 오픈했어요! 층간소음을 겪었던 경험이나 함께 나누고 싶은 의견이 있다면 스브스프리미엄 '층간소음, 까주세요!‘ 커뮤니티에 남겨주세요. ▶ premium.sbs.co.kr/board/649e666ae82576390a1c63c4

  • @엽엽-o1e
    @엽엽-o1e Год назад +13

    이런문제는 유튜브가 아니라 '그것이 알고싶다' 쪽에서 다루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이네요. 어짜피 같은 방송사이기도 하고요. 그래야 공론화가 되는게 더 수월하지 싶습니다.

  • @a42762085
    @a42762085 Год назад +2

    분양가 높이겠다니까 나오는
    층간소음기술

  • @dguho8hjfes
    @dguho8hjfes Год назад +4

    가장 쉬운 방법 두고 맘껏 싸우라고 장만 만들어주네

  • @수수깡-d2j
    @수수깡-d2j Год назад +1

    카르텔들은 코웃음치기만 할뿐이죠.
    이 또한 지나가리라....

  • @sml4442
    @sml4442 Год назад +4

    국토부 원희룡장관이 " 저도 층간소음 피해자 입니다" 라고 입털던게 잊혀지지가 않는다.

    • @Love-xs7sw
      @Love-xs7sw Год назад

      문재앙5년간 아무것도 안한게 더 심한거 아니냐?
      그나마 관심갖고 대책을 찾으려고 노력하는자를 욕하고, 아무것도 하지않은 자는 욕하지않는게 더 이상해.

    • @animal-luv
      @animal-luv Год назад

      그래서 뭐 참으란건가 지도 참으니까!?
      하여튼 이번정부 지명된 인간들 누구한사람 멀쩡한 인간이없음

    • @Love-xs7sw
      @Love-xs7sw Год назад

      @@animal-luv 문재앙때는 장관들이나 공기업 사장들이 계속 바뀐거아나?
      인사청문회도 무시하고 그냥 다 임용했지, 조국처럼.
      그렇게 장관, 공기업 임원하고 나온애들은 급여하고 연금하고 수억~수십억씩 다 해먹은거다. 넌 얼마나 해먹고 민주당 지지하는거냐?

  • @1hourmusic324
    @1hourmusic324 Год назад +1

    윗집이 슬리퍼만 싣어도 층간소음의 90%이상이 사라진다. 공동건물은 2센티 슬리퍼 의무화가 현실적이다.

  • @jmlove5556
    @jmlove5556 Год назад +16

    온국민이 다 보고 다같이 청원 해서 제발 층간 소음 문제.제대로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사원이라도 그나마 제대로 일하는게 놀랍네요. 한국 공기관들이 하두 썩어서 이렇게 일하는곳이 있다는게 더 신기합니다

  • @배드민턴-o7j
    @배드민턴-o7j Год назад

    분양가 올려주는것도 방법이지만 층간소음 등급제로 300가구이상 아파트는 의무적으로 등급 받아 아파트정문 및 출입구등에 크게 의무 표기하도록 해야한다고봄

  • @헨더슨-l6u
    @헨더슨-l6u Год назад +4

    초기엔 인센티브가 필요하지만 층간소음 아파트가 보편화되면 인센티브를 안줘도 다 하게됩니다

  • @DJLEE-e7s
    @DJLEE-e7s Год назад +4

    10년된 아파트에 살고 있지만 층간소음 뿐 아니라 측간(옆집)소음도 심합니다. 우리집 안방이 이웃집 안방인데 밤마다 성행위를 하는 소리까지 들릴정도니 정말 심합니다. 어떻게든 새로 짓는 아파트는 층간, 측간 소음이 어느정도 차단되었으면 좋겠어요.

    • @이뚜빈-d6j
      @이뚜빈-d6j Год назад

      측간소음 미쳐요
      저는 층간보다 더심한거같아요ㅠ

    • @reinolze
      @reinolze Год назад

      얼굴은 모르는데 누가 감기걸렸는지
      무슨일을 하고
      어떤 통화를 하는지 다 알게됨...;;

  • @seongmi8969
    @seongmi8969 Год назад +5

    참나 당연할걸 이젠 분양가 올려준다고하니깐 무슨 준비한거마냥 답있지롱 이지롤 ㅋㅋㅋㅋㅋㅋㅋㅋ 이때까지 서민들만 개고생 거참 건설사 너무한거아니오 ㅋㅋㅋ

  • @phj548
    @phj548 Год назад +1

    층간소음때매 존나 스트레스 받아 이건 건설문제를 떠나서 ㅈㄴ 뛰는 소리가나서 ㅅㅇ충동 마려움

  • @AWxCP_HymnForTheWeekend_Remix
    @AWxCP_HymnForTheWeekend_Remix Год назад +6

    중요한건 기술쇼로 끝나지 않게 해야겠죠 사실 충분히 국민적 공감대는 형성되어있지만 정당,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죠

  • @koreawk
    @koreawk Год назад +1

    층간소음은 근본적으로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사람들의 자세가 문제입니다. 어릴 때부터 교과목에 '슬기로운 배려' 라는 과목을 만들어서 층간소음, 고성방가, 무전취식, 보복운전 등 사회에 문제가 되는 부분들에 엄청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봄.

  • @IIllIll
    @IIllIll Год назад +3

    법 만들고 적용되는지 확인하고 그게 안 되어 있으면 재시공, 보상 등 강력한 제재가 있어야 합니다.

  • @chonghyunkwon
    @chonghyunkwon Год назад

    인센티브로 해결할 수도 있겠지만 법적제제로 해결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일반 아파트 층간소음 데시벨 기준을 낮추어 만들어서 그 기준에 충족되지 않으면 분양가를 낮춘다거나 허가를 내주지 않는 방식으로요..

  • @changsuoh5996
    @changsuoh5996 Год назад +10

    깐깐남 화이팅ᆢ항상 응원합니다

  • @seromijh146
    @seromijh146 Год назад +1

    좋아요를 많이 눌러서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길

  • @junwd
    @junwd Год назад +4

    심각합니다 칼부림이 나고 사람이 죽는 상황인대도 달라지는게 없어요
    정말 단채로 시위라도 해야할 판입니다

  • @user-ydjk26df
    @user-ydjk26df Год назад

    이야... 이따구로 했는데 가끔 애들 뛰는소리 들릴락말락 하는 정도면 저희집이 선녀였구나 싶네요...
    윗집 새로 이사오신분들이 어린아이들 있는 신혼부부신데 그분들이 전 집은 층간소음이 너무 심했다고 조용히 하겠지만 혹시모르니 죄송하다 하면서 주기적으로 선물 보내오거든요...
    아니 뭐 애들 사는데 가끔 쿵쿵댈수도 있지 했는데 다른집들은 진짜로 심해서 그런거구나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