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플렉스를 마주하는 글쓰기 방법과 효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2

  • @uayeojeong
    @uayeojeong Месяц назад

    정말 백만 번 옳으신 말씀 입니다. 급 공감 합니다.

  • @아니근데진짜-h4j
    @아니근데진짜-h4j Год назад +53

    동기부여 컨텐츠 보면서 도파민 얻다가 이제는 동기부여 뒤집기 보면서 도파민을 얻어버리는 나..

    • @p1ay_liist
      @p1ay_liist Год назад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저도

    • @NoRaengs99
      @NoRaengs99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ㅋㅋㅋㅋ

    • @mr3double
      @mr3doubl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ㅋㅌㅋㅋㅋㅋ 공감

    • @runningfor9577
      @runningfor9577 3 месяца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

  • @abcdegh7861
    @abcdegh7861 23 дня назад

    제발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말기! 완전하게 솔직하게 쓰기. 남에게 보여지는 글은 꾸밀 수 밖에 없다.

  • @lee-zf6hc
    @lee-zf6hc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ㄹㅇㄹㅇ맞음 이래서 일기 써야함. 모든 자기성장의 시작. 자신의 가장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것이죵. 명상이랑도 일맥하는 부분이 있어요. 심지어 쓰면서 아이디어도 많이 나오고 계획도 나오고 칭찬도 나오고 비판도 나와요. 창피함도 느끼구요. 창피함을 느끼는게 자신의 성장에 꽤 중요한 것 같더라구요.

  • @오리리오-y9m
    @오리리오-y9m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메타인지랑 상통하는 부분이 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lrnrdlwhgdk
    @alrnrdlwhgdk Год назад +16

    한국의 큰 문제는 듣기좋은 말, 긍정에 중독되 있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는 겁니다.
    싫은 소리하면 적이고, 부정이나이견을 제시하면
    타당하거나 정중하더라도 부정적인 화합을 방해하는
    인간 취급하는데 바로 이런 사람들이 문제의 원인인 경우도 많죠

  • @메타몽-j3r
    @메타몽-j3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지나친 선망도 열등감이다.
    맞는 것 같아요.
    도저히 따라잡을 수 없는 지인이 있습니다. 그 사람에 대한 강한 선망을 품고 있어요. 그 이유는 결국 그 사람처럼 될 수 없는 나 자신을 마주하기 싫고, 인정하기 싫으니까 회피하는 차원에서 그 사람을 신격화하다시피 해버리는거죠. 어차피 범점할 수 없는, 다른 세계의 사람이야. 어떤식으로든 노력해도 그 사람처럼 될 수 없고, 뛰어넘을 수도 없어. 이렇게 취급하면 그 사람만큼 재능을 타고나지 못한 나는 더 노력할 이유가 사라지게 되고 말죠. 현재 내가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개선하지 않고 도망치기 위한 이유를 만들어주는 셈이죠.
    도망쳐버린 이후로 근 10년동안 도망쳤다는 그 사실은 무의식중에 떠올라 나 자신을 갉아먹고 속을 곪아가게 하고 있습니다. 제대로 된 개선이 없었기에 그런걸까요.
    어떻게 개선해나가야 할지 아직은 막막하네요. 개선해도 그 사람보단 여전히 열등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발목을 잡습니다..하하😅😅

  • @키위kiwi1234
    @키위kiwi1234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거 진짜 현실적인 얘기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mo1pf3qb3f
    @user-mo1pf3qb3f Год назад +4

    진짜 멘탈적으로, 가치관적으로 너무 제 이상형이세요 너무 섹시합니다ㅠㅠ 이런게 진짜 뇌섹남이 아닐까 생각해요. 외모가 아니라 말에서 섹시함을 느낀다는게 도대체 뭔가 했는데 처음 느껴보네요 ㅎㅎ

  • @삼대백-r9f
    @삼대백-r9f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4:39

  • @hot6778
    @hot6778 Год назад +2

    '삶은 점들의 연결'이라는 생각을 항상 하고 사는데 같은생각 반갑습니다.날카로운 분석 방송 잘 봤습니다.

  • @리아류
    @리아류 Год назад +4

    이걸 말로하면 심리상담이겠어요.
    최근 심리상담을 6주정도진행했는데, 말씀하시는 글쓰기 방법을 그저 말로 옮겼을 뿐이에요.
    심리상담은 곧 끝나가지만 이런 방식으로 글쓰기를 통해 콤플렉스를 마주하고 바라봐주는 방법을 연습해봐야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jbpark4423
    @jbpark4423 Год назад +4

    정말 공감가는 영상입니다.
    이런 글쓰기는 진정 자신과의 대화죠. 머리속으로 생각만 하는거와 정말 다르고 영상에서 말하듯
    자기만 보는 자신과의 대화로 느껴집니다. 이것만으로도 생각들과 잡념들이 정리 되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컴퓨터 메모장에 쓰는것도, 더 좋은것은 펜으로 직접 종이에 쓰면 정말 좋더군요.
    다른 영상들도 쭉보면서 그동안 제가 놓쳤던 것, 착취하려는 자기계발서들, 영상들에 대해서 한번더 생각 해볼 수 있었어요
    양쪽모두 좋은 부분들만 제가 판단해서 잘 듣겠습니다. 용기 있고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 @계속가
    @계속가 Год назад +7

    블로그에 비공개로 글 쓸 때는 그냥 진짜 좀 막 쓰는 편인데 동뒤님 영상을 보니 그 와중에도 좀 자신을 포장하려 했던 것 같아요. 스스로에게 솔직하지 못 했던 것이죠. 이제부터는 진짜 제 꼴리는대로 써보렵니다. 감사합니다~ 번외로 스스로에게 자문해보고 답해보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꼭 문제를 상정하고 해결하려고 하는 건 아니고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이 뭔지 계속 솔직하게 자문해보다보면 제가 진짜 무엇을 원하고 뭐가 필요한지 알게 되더라고요.

  • @g.o.a.t5351
    @g.o.a.t5351 Год назад +10

    저는 콤플렉스 관련 글은 쓴적이 많진 않은데 진로랑 꿈때문에 한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글을 쓰는 것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 확실히 알 수 있는 가성비 원탑인 툴이라고 확신합니다

  • @박나이프
    @박나이프 Год назад +2

    저같은 경우 글쓰고 이름 모를 사람들의 댓글에 오히려 위안을 받아 감정이 해소가 된적이 있었어요.
    그리고 삶은 점들의 연속이란 말에 아주 공감하고가요!

  • @이상윤-n3b
    @이상윤-n3b Год назад +3

    호오포노포노에서 "내면아이"를 치유해야 한다고 했는데 지금 말씀하신 "글쓰기"도 좋은 치유방법들 중 하나겠네요.

  • @매포-t3n
    @매포-t3n Год назад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reamligion
    @dreamligion Год назад +3

    알고리즘에 떠서 놀랐습니다.
    인지행동치료 중에 써내려가면서 무의식에 있는걸 드러내서 자신을 마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동기부여 영상 중에 유용한 것도 있지만 아닌 것도 많습니다.
    얼굴까고 영상 찍으실 분들이 있었으면 좋겠지만... 그게 참...
    끌어당김의 법칙을 하도 신봉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끌어당김의 법칙을 따라 해봤는데 목적을 잊지 않게 도와주는 것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더라고요. 행동 안하면 그게 안 이뤄진다고 말해도 안들어서 아쉽습니다.

  • @luckycharm-bq6vn
    @luckycharm-bq6vn Год назад +2

    콤플렏스관련 더 영상 제작해주실수있나요? 아니면 어떤 자료 참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저도 찾아보게요 :) 영상이 참 좋네요

  • @wonny1st
    @wonny1st Год назад

    그 어느 글쓰기 책보다 도움이 되었다

  • @김일환-m2h
    @김일환-m2h Год назад

    와우! 최고다

  • @hidden_wings
    @hidden_wings Год назад +5

    사람들이 글쓰기에 관심이없나벼
    동뒤영상중 역대급으로 조회수가안나오내용 😮
    라고 글쓰기를 해따

  • @woonie851
    @woonie851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컨텐츠 내용이 이 시점부터 슬슬 불안해지네요. 조던 피터슨 계속 인용하는 것도 그렇고.

  • @tpag20
    @tpag20 Год назад +31

    정말 재밌습니다. 끌어당김을 비판 하시는분께서 그것이 작동하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으시네요. 사실 끌어당김 법칙은 더 큰 상위 개념의 일부분입니다. 불교, 힌두교, 천주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신"으로 묘사하는 그것입니다. (불교는 제외겠군요) 동뒤님 말씀처럼 눈앞의 할 일을 하고 한 걸음씩 나아가는것이 지극히 정상적이고 올바르며, 이것을 현존상태, 신과 조우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나버린 과거에 얽매여있고 가능성 없는 장밋빛 미래를 망상하며 기도하고 끌어당기려 하는 상태와 반대죠. "외면하는것은 왜 틀렸나" 챕터에 설명하신 말들은 진리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감정을 외면하면 그것은 내면에 억눌리고 고유의 진동을 가진 에너지 덩어리가 되어 또 같은 상황을 자신의 인생에 끌어 당기게 됩니다. 자기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그것을 인정, 허용 해줄때 그 에너지는 사라집니다.(컴플렉스에서 해방됩니다) 그래서 자신의 상태에 대해서 글을 쓰는 것은 원하는 인생을 사는데 도움이 됩니다. 심리학에서는 메타인지라고 하고 사이비에서는 신과 만난다고 합니다. 명상의 수행 방법이기도 하며 영상에 나온대로 심리치료에 이용히 되기도 하지요.

    • @tpag20
      @tpag2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HK-th7br 싫어할수록 당신은 끌어당김의 법칙을 보게될것입니다 ㅋㅋㅋ

    • @tpag20
      @tpag20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1

      @@HK-th7br 자 보세요 님이 그게 싫어서 댓글을 달고 또 거기에 답변하는 저를 또 보게되죠. 당신이 저를 끌어당겼습니다. 싫어하면 끌어당겨집니다. 부정적 감정도 에너지이기 때문이에요. 끌어당김의 반대는 무관심 입니다.

  • @mi_um
    @mi_um Год назад +9

    이 영상에서 시사하는 부분이 인생에 있어 치트키급인 도구인데, 너무 귀찮고 효과가 즉각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는 듯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 영상에 전적으로 크게 동의합니다.
    실제로 효과보기도 해서 저는 이 툴이 제대로 먹힌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 @살림특공대
    @살림특공대 Год назад +2

    콤플렉스가 무엇인지 대하여 공부하시고 영상을 만드신 영상은 아닌거 같습니다. 콤플렉스는 복합체를 뜻하며 사회적 경험과 개인적인 경험의 차이에서 나오는 심리적 문제를 뜻합니다. 제가 말하는게 아니라 콤플렉스 단어를 처음으로 만든 칼 융이 한말입니다. 무슨 뜻인지 모르실까봐 말씀드리면 강아지에 대한 사회적 경험은 귀엽다. 반겨준다. 와 같은 긍정적 이미지 이지만 개한테 물렸던 개인적 경험이 있는 사람은 무섭다. 고통스럽다.와 같은 부정적 이미지가 생기게 됩니다. 그러면서 강아지에 대한 사회적 경험과 개인적인 경험의 차이로 인하여 심리적 복합체가 만들어지고 이것을 콤플렉스가 생겼다 라고 말합니다. 즉 사회적 경험과 개인적 경험이 서로를 더욱 밀어내면 밀어낼수록 개인은 고통스럽게 됩니다. 동기부여와 콤플렉스 관련하여 영상 만드시는 것 같아서 이렇게 글 남깁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 @user-nm2ki2sg3z
    @user-nm2ki2sg3z Год назад +2

    하필 조던 피터슨

  • @parasite3529
    @parasite3529 Год назад

    사랑해요 ❤

  • @neverhesitation
    @neverhesitation Год назад

    동뒤님.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동뒤님의 권위에 기대지는 않고 참고하는 구독자로서 대단한 통찰력과 글쓰기 능력, 표현력, 호소력에 항상 많이 배워갑니다.
    특히, 영상 내용에서 말씀하셨던 "방법론 중독 사회"라는 키워드에 저는 인상이 깊었는데요. 혹시 안도 슌스케의 《정의감 중독 사회》라는 책을 보셨는지요? 현대 사회에서 쓸데없는 정의감에 가득찬 사람들에 대한 비판하는 내용의 책인데 저는 이 책을 통하여 현대사회에 그릇되고 편협한 시각을 가진 사회인들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안목과 통찰력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동뒤님의 영상을 참고하면서 저또한 동기부여 채널을 운영하려고 준비중입니다. 동뒤님의 메세지를 반박할 수 있을만한 양질의 동기부여 영상으로 채널을 성장시키려고 동뒤님 영상을 많이 참고하고 있습니다. 글쓰기 능력에 대해서 중요시하는 내용들은 저도 충분히 공감을 할 수 있었던 대목입니다.
    양질의 컨텐츠와 영상을 만들어주시고 교훈과 메세지 전달에 대단히 노고가 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 @BreakingMotivation
      @BreakingMotivation  Год назад

      한 번 읽어보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배달원조저승사자
    @배달원조저승사자 Год назад

    글쓰게

  • @hlee327
    @hlee327 Год назад

    찬우 까는 느낌 인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