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대도시든 ,소도시든 전기를 필요로 하는 곳의 도심지 공단내에 원자력발전소를 건설하고 있습니다 . 그렇게 하므로써 송배전 시설비와 유지비가 필요없고 전기 누수도 없도록하고 있습니다 . 또 , 외국에는 태양광 패널을 대량으로 수출하면서 자국의 태양광 발전 적합 지역에 태양광 발전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 .
내륙에 발전소를 짓는다??? 가능하다면 해변가에 지어야 합니다. 발전소는 은근히 물을 많이 씁니다. 터빈을 돌리는 것, 보일러 온도 조절하는 것 등 물을 많이 씁니다... 절대 발전단가 낮아지기 어렵습니다. 아마도 대륙국가라서 송배전에 너무 큰 투자가 필요해서 내린 결정이겠지만 발전 단가가 낮아지는 않을 것입니다.
중국이 까불면 현무 미사일로 각시에 있는발전소만 푹 격해도 중국은 망하겟네 참 좋은 징조야
중국에서 원전사고가 나면 우리가 편서풍을 타고 온 방사능을 뒤집어 쓸 수가 있다는게 문제죠.
내륙에 발전소를 짓는다??? 가능하다면 해변가에 지어야 합니다. 발전소는 은근히 물을 많이 씁니다. 터빈을 돌리는 것, 보일러 온도 조절하는 것 등 물을 많이 씁니다... 절대 발전단가 낮아지기 어렵습니다. 아마도 대륙국가라서 송배전에 너무 큰 투자가 필요해서 내린 결정이겠지만 발전 단가가 낮아지는 않을 것입니다.
거 참. 우리나라는 대구에 세운다잖아요? 상수도 상류에 새워서 대구시민은 그 냉각수를 마시고. 대구시민을 원자력으로 무장시켜 북한 쳐들어 갈 모양. ㅎㅎ
원자력발전소 아닌거 같읍니다, 화력발전 냉각탑 같읍니다
원전 냉각탑과 석탄 발전 냉각탑의 모양이 유사하니 님의 견해가 맞을 수도 있겠습니다 . .
@@방방의골목길따라 원자력발전소는 바닷물을 이용해서 냉각을해서 냉각탑이 없어요(프랑스 정도만 강물을 냉각수로 사용해요)
@@임형-l7n 원자력발전소와 관련된 이미지를 검색하면 대부분 냉각탑 모양이 제가 올린 영상과 유사합니다 . 그래서 원전 냉각탑으로 생각하였습니다 .
중국의 열공급창으로 보이네요. 보통 시내에 있어서 겨울에 각 가정으로 스팀을 보내어 난방에 사용합니다.
옆에 개천인데 원자력을??
😊
5월에 백두산 갔다가 버스타고 가는데 원자력 발전소 냉각탑 2개가 주거지에서 가까운 곳에 있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