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급' 나눈다" 요즘 2030 사이에 퍼지는 현상 | 능력주의, 낙수효과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0 июн 2024
  • *제작비를 지원 받은 콘텐츠입니다.
    내 삶과 우리 세상을 바로잡는 충분함의 철학
    아브람 알퍼트의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를 소개합니다.
    ✔ 참고 도서: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 , 아브람 알퍼트
    ✔ 책 보러 가기: bit.ly/4ayoQOF
    ✔ 제작: 책식주의(papervore@naver.com)
    ✔ 나레이션: 시호

Комментарии • 184

  • @bookvore
    @bookvore  18 дней назад +4

    오늘 소개해드린 도서는 『모든 삶은 충분해야 한다』입니다. 📕책 보러 가기: bit.ly/4ayoQOF

  • @user-my1jj9zm9f
    @user-my1jj9zm9f 5 дней назад +46

    나는 그냥 일주일에 두번 배달음식 시켜먹고, 마음 터놓고 대화 나눌 사람 두어명 주변에 있고, 건강하게 80까지만 살수 있으면 충분히 만족한다. 결혼은 포기했다..

    • @Aile967
      @Aile967 4 дня назад +5

      헐 일주일에 두번... 부자...

    • @user-wp3ki9dg9w
      @user-wp3ki9dg9w 22 часа назад

      @@Aile967 진짜 거의 매일 시켜먹는데 돈너무 아까움

  •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 13 дней назад +50

    -욕심부리지 말고 비교하지 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 @leeroa0001
    @leeroa0001 18 дней назад +55

    뭐든 중간이 좋습니다. 너무 안주하고 있기만하면 발전이 없고, 너무 스스로를 채찍질하면 본인이 바라는 미래와 현실과의 괴리로 인해 불행의 구렁텅이에 빠지기 마련이죠 이걸 잘 컨트롤하면 사회도 개인도 발전할 수 있습니다.

  • @user-Elisabeth524
    @user-Elisabeth524 18 дней назад +54

    급으로 나뉘는 세상~ 씁쓸합니다.
    위대함이 아닌 충분함으로~
    감사합니다 :)

  • @user-ez1hx8tt6m
    @user-ez1hx8tt6m 18 дней назад +31

    우리 모두는 이미 충분하다

    • @Someone111ify
      @Someone111ify 12 дней назад

      모자름

    • @Enid.._..
      @Enid.._.. 4 дня назад

      라고 정신승리를 하며...

    • @user-gn8tc5kl3v
      @user-gn8tc5kl3v 21 час назад +1

      ​@@Enid.._.. 정신승리좀하면 어떰ㅋㅋㅋ 본인이 행복하면된거지

  • @bella__swan
    @bella__swan 18 дней назад +17

    2:22 1. *낙수효과* - 위대한 소수가 다수에게 이익을 준다는 착각
    3:34 2. *능력주의* - 능력만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착각

  • @user-eu4mx3oh5w
    @user-eu4mx3oh5w 18 дней назад +52

    인생은 운이다,, 60년 살아보니 점점 더 확고해진다,,

    • @fighting0411
      @fighting0411 7 дней назад

      인생은 노력이죠

    • @the-sj3vq
      @the-sj3vq 5 дней назад +1

      If that’s all you’ve learned after 60 years

    • @audm08
      @audm08 3 дня назад +2

      99% 운.

    • @user-xt3ks4oc7k
      @user-xt3ks4oc7k 3 дня назад +3

      ​@@fighting0411인생은 유전

    • @Blue_Mints
      @Blue_Mints 3 дня назад +2

      인생은 밸런스입니다

  • @Xdjensmfm
    @Xdjensmfm 18 дней назад +29

    계급장놀이하는 한국친구들 끊고 외국친구들 만나니 그렇게 여유있을 줄 몰랐죠..

    • @S_Iron
      @S_Iron 14 дней назад +4

      Oh bro~🤓

  • @iamagoodhumanbeing
    @iamagoodhumanbeing 18 дней назад +12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세상이 이렇다면 참 좋을텐데.

  • @user-th4wy3pl5o
    @user-th4wy3pl5o 18 дней назад +22

    실제 낙수효과는 전체의 부를 늘릴 수 있으나 사회적 효용이 그만큼 크지 않다는 것이고 능력주의의 역시 운과 각종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이 크죠

    • @user-cq4qn9xj8l
      @user-cq4qn9xj8l 5 дней назад +2

      그뿐아니라 부작용도 엄청큼 문제는 그부작용을 부정하거나 보이지 않게 숨겨서 더큰문제임

  • @grandauphin
    @grandauphin 16 дней назад +14

    위대함이 아니라 충분함을 추구하라는 말 마음에 와닿네요 😊

  • @tjw2570
    @tjw2570 9 дней назад +7

    사람이 줄어서 경쟁이 줄어야해요~ 인구감소 적극지지!!

  • @jameschad8190
    @jameschad8190 7 дней назад +4

    이게 한국에서는 저게 행복이 맞는이유가 저렇게 안되면 주변에서 무시해서 살수가 없음

  • @user-ui4up1fc9n
    @user-ui4up1fc9n 5 дней назад +4

    상류층이아니면 노후대비가안되니까문제인거지....
    국가적으로 노후대비를 어느정도 해주지도않으니....
    이런경쟁이날뛰는거라고생각된다.

  • @kimi6190
    @kimi6190 10 дней назад +12

    저자도 결국 돈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네요. 부자가 더 기회가 많고 그래서 그 자녀가 또 부자가 되고. 그렇게 자녀를 위해 계속 노력하고. 그게 당연한 순리 아닌가요? 그냥 이대로 살자는 건 '난 어차피 안돼'라는 비관론일 뿐. .

    • @user-ib6wl4gb8r
      @user-ib6wl4gb8r 6 дней назад +2

      다른 관점도 있습니다. 권위와 권력이 일치하면 위와 같이 영상에서 논한 문제가 발생하고, 권위(사람들이 기꺼이 존경하고 되고싶어 하는 자리)와 권력(사람들이 필히 수용해야 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자리)이 분리되는 사회면 일본이나 독일 등 장인들이 각 분야에서 동시대에 동시다발적으로, 1등 1명이 아닌 1등급 n명으로 등장하기도 합니다. 한국은 권위+권력+도덕성 삼위일체가 되어 나타나는 유교사회 시스템이기 때문에 더욱 사람들이 유일한 하나의 목표만을 바라보고 하나의 분야에서 오직 1등 한 명만 기억하는 피 튀기는 경쟁을 하고 있다는 거죠.
      한국인이 돈을 기준으로 바라보는 시선 속에는 자기도 모르게 권위와 권력이 합해져 있는 것입니다. 똑같이 돈을 추구해도 권력이 적고 권위 추구를 높게 생각하는 사회에서는 뉘앙스가 크게 달라집니다.

  • @kyungcheollee4511
    @kyungcheollee4511 5 дней назад +4

    1인분의 중요성을 알게되었습니다.

  • @user-lv3pb9zf5l
    @user-lv3pb9zf5l 18 дней назад +56

    저는 그저 돈인데... 맹목적으로 갈구하진 않지만 적어도 안정된 노후와 일하기 싫을때 안해도 생계에 지장 없을 부를 원합니다. 그저 노예처럼 주어진거에 만족하고 시키는것만 하는 삶에 질려버렸습니다.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12 дней назад +3

      스스로 사업을 일으키세요 주어진 일 그만하시고 못하겠으면 그냥 부모로 부터 받은 유전자가 노예유전자인데 유전자 거스르지말고 평생 노예처럼 사시던가요

    • @fighting0411
      @fighting0411 7 дней назад

      또 그럴 간땡이는. 안된다는거지...(나를포함)

    • @user-qi5cp8cy3o
      @user-qi5cp8cy3o 5 дней назад +1

      ​@@youarehandsome뚫린입이라고 쉽게말하네 ㅋㅋ 리스크안고 사업하지그러냐 라는게 내놓는 답이냐?
      노동강도에 비해 급여가 적은 현실을 바꿀생각을 하라는거임 존나 코딱지만한 돈쥐어주고 개처럼 일하게 만드는 사회가 숨통막히게한다는 의미임 알겠음?😅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5 дней назад

      @@user-qi5cp8cy3o 그럼 니가 노동강도 널널하고 연봉 많이주는 주는 회사 만들어 왜 너는 하기싫지만 니들은 해라 이거임?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5 дней назад

      @@user-qi5cp8cy3o 그럼 니가 널널하고 연봉 많이 주는 회사를 만들던가 왜 너는 하기싫지만 남들은 해야된다 뭐 이거임?

  • @user-iw4dq8tj9o
    @user-iw4dq8tj9o 4 дня назад +1

    돈이 많으면 확실히 삶의 질이 올라가긴 합니다. 권력도 마찬가지고요.. 머리가 클수록. 배울수록 더 나은사람에게 끌리게 되어있습니다. 시대가 자꾸 변화 할수록이상한게 아니고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 @shk327
    @shk327 18 дней назад +18

    위대함을 추구하는건 당연한 일이고 장려해서 나쁠건 아니라 생각한다. 하지만, 단순 의사가 되고 강남 산다고 위대해지는건 아니라는 생각을 해야하는데 그러지 못하는게 문제이다.
    즉, 현대인들이 무지성하게 경제적 부만을 절대적인 진리인듯 착각하고 거기에 답이 있다는 판단을 하는 것에 있다.

    • @urcsr3
      @urcsr3 5 дней назад +1

      위대함의 기준이 단일화 되어있어서 다양하지못해 다 같은 곳만 바라보고, 그분야로만 경쟁력이 심한게 문제죠. 아직 한국은 다방면으로 우월한 나라가 아닌데도 한곳만 집중적으로 몰리는게 안타깝습니다.

    • @user-cq4qn9xj8l
      @user-cq4qn9xj8l 5 дней назад +1

      위대한것이라는건 주관적인 생각일뿐임

  • @user-fm2pl4yq2j
    @user-fm2pl4yq2j 7 дней назад +1

    2030 사이에 퍼진 문화라기 보단 애초에 피라미드 꼭대기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항상 많이 존재 해왔습니다.
    오히려 지금 사회적 지위가 높은 40~60세 분들이야 말로 이런 부분이 강했던 사람들이죠.

  • @ksjin3500
    @ksjin3500 13 дней назад +4

    지금 세계를 세 단어로 요약하면..나르시시즘, 능력지상주의,우생학...인거 같습니다.

  • @mild7des
    @mild7des 13 часов назад +1

    결혼은 스펙이 될 수 없습니다
    능력있는 사람이 결혼을 많이 하지만 이상한 사람도 결혼을 많이 하기 때문입니다. 본인 수준의 눈높이에 맞쳐 끼리끼리하기 때문에, 서울대, 의대처럼 진입벽이 높지 않고 비슷한 수준의 배우자와 타협이 가능합니다

  • @smk1525
    @smk1525 3 дня назад +2

    높은 확률로 정치병끼리 좌우 합작 할 것 같아서
    잔뜩 기대를 품고 들어왔는데 생각보다 별 일 없군요😂

  • @user-es7pb4ct8k
    @user-es7pb4ct8k 18 дней назад +4

    [돈과 권력 = 위대함] 이라고 하는것부터가 한심함.

  • @user-fs9bg3nf1u
    @user-fs9bg3nf1u 7 дней назад +2

    과열경쟁 대한민국 현실입니다
    다만 그것에 따른 부작용도 있을뿐

  • @user-lg8wl6qo6d
    @user-lg8wl6qo6d 5 дней назад +1

    낙수효과가 회사업체운영하고 그 밑에 일자리창출로 가야하는듯요 사람의 욕망을 생각못한 공리주의적 낙수효과는 노답인듯요

  • @Uvho
    @Uvho 2 дня назад +1

    1:38 난 중경외 졸업생이어도 제일 친한 형이랑 친구들 고졸 전대졸 출신도 많은데

  • @호랑좌
    @호랑좌 18 дней назад +27

    사람이 급을 나누는 걸 막을 순 없다, 하지만 급으로 사람을 나누려는 생각은 막아야 한다.

    • @natashamin1904
      @natashamin1904 17 дней назад

      나부터 '사람을 급으로 나누는 행위'를 멈추고, 친밀한 관계인 배우자와 자녀들과의 건강한 관계 맺기를 통하여 세습적이고, 사회적인 비극을 멈출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부터인 나의 성장과정에서 내면의 정서적 결핍은 무엇이었는지, 그 결핍으로 인하여 어떤 부정적 행동과 감정적 습관의 반복적 패턴(심리학적 용어로schema)이 있는지 성찰해본 후에, 부모가 되는 것입니다.
      세계정신과협회 진단 메뉴얼 기준인 DSM-5-TR의 B군 성격장애들 (예, 자기애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 장애)이 공통적으로 생애 초기 영,유아 시절을 기초로 하여 성장기 시절에 1차 보호자와 어떠한 애착관계와 양육 형태가 형성되고, 작용했는지 여부에 따라 병리적 증상이 나타난다는 수많은 연구 보고들이 있습니다.
      성인이 되어서도, 나의 내면의 자아와의 사이에서, 그리고 나와 상호작용을 하는 타인들과의 사이에서 각각, '건강한 관계 맺기'를 통하여 심리적 욕구충족이 이뤄진다고 하지요.
      근본적인 심리적 욕구가 친밀한 관계인 부모로부터 또는 가정내에서부터 성장기에 채워지지 않고 마음이 허기진 채로 사회로 나아갈 경우에, 사람들을 겉으로 보여지는 조건들에 따라 내가 그 대상에게서 '이익'을 얻거나 '우월감'을 얻어 낼 수 있는지의 초점이 맞혀지게 되는 행태들이 만연해진다고 하지요. 겉으로 보여지는 조건들 중심으로 사람을 계급으로 나누어 '관계맺기'에 익숙하다보니, 인생에서 가장 친밀하게 마음을 소통하고 공유하는 배우자와 가까운 대인 관계에서 조차, 역할놀이에만 몰두하는 '가짜 관계'들의 양상이 두드러지 셈이지요.
      따라서, 나부터 나의 내면에는 성장기에 어떠한 아픔과 결핍이 있었는지, 그로 인하여 과대 보상적으로 어떠한 부정적 행동과 감정적 패턴들이 관계맺기에서 형성되었는지 성찰해보고, 내 마음을 채워주는 '진짜 관계'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재평가 작업을 추천드립니다.

    • @violin7955
      @violin7955 16 дней назад +5

      똑같은 말인데 궤변이네요

    • @joycemeene8464
      @joycemeene8464 16 дней назад +2

      ​@@violin7955 뭘 똑같은 소리??? 원댓글님이 하는 말씀은 타인의 생각을 바꿀 수 없다 그러고, 대댓글님 말씀은 '적어도 나 주변의 타인들은 성찰과 교육을 통해 바꿀 수 있다' 그러는거임. 글 뜻을 이해를 못하니, '궤변'이라고 평가절하하네 ㅎㅎㅎㅎㅎ 😂

  • @user-ru4rp7et2z
    @user-ru4rp7et2z 18 дней назад +5

    전 목표는 높지만 그걸 단번에 쟁취를 못한다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계단식으로 하나씩 해결해 나갈리구요 결과물을 얻기위해 노력은 하겠지만 남과의 비교는 최대한 안할라구요 ㅋㅋ

  • @user-wp3zd1he8u
    @user-wp3zd1he8u 13 дней назад +3

    서울과 지방
    결혼과 미혼
    노예와 자본가
    급나눠짐

  • @smallbulb
    @smallbulb 4 дня назад

    돈이든 명예든 명성이든 어떤 목표든 그것이 삶의 전부가 되어 집착하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만족과 행복을 누릴수가 없습니다.

  • @mickeyshin4323
    @mickeyshin4323 5 дней назад +1

    저기 나온 생각이 인도인들 생각인데..
    종교인들 생각이고..
    이 사회는 성공과 부와 명예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온 사람들의 결정체라 생각되는데..
    그것을 부정하는 건가..

  • @user-xh9tf2si5r
    @user-xh9tf2si5r 2 дня назад

    엘리트주의, 위대함이 만들어낸 선진국이 울나라 이나.
    충분하게 살기 원한다면 개발도상국 이상은 없다.
    후퇴하지 않고 행복 지표를 올리기 위해서는 명상이 답이다

  • @OMG-mv8cd
    @OMG-mv8cd 17 дней назад +13

    낙수효과는 이미 구라로 판명되었고, 현실은 소수가 다수를 갈아서 부와 지위를 더 공고히하지. 맹목적인 능력주의는 논리와 비판적 사고 없이 운, 맥락, 조건, 상황 등등 다면적인 통찰력없이 단순무식한 사고의 결과고

    • @Someone111ify
      @Someone111ify 12 дней назад

      그럼 전라도에 있던 GM이 철수하면서 꼬라박은건요?

  • @chanwonmoon
    @chanwonmoon 6 дней назад +1

    미디어가 위대함을 보편적인것으로 보통의 삶으로 바꿔놨자너.
    보편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작가들이 대중을 몰아넣고있는거

  • @chaostv-lq1nx
    @chaostv-lq1nx 2 дня назад

    행복은 만족임 어차피 계속 위로 올라가는건 한계가 없어서 절대 행복을 찾을수가 없음

  • @KkebiHi
    @KkebiHi 2 дня назад

    어차피 죽을때 아무것도 못 가져감.
    사람은 빈손으로 태어나서 빈손으로 돌아간다.
    뭐 금수저로 태어났으면 살아있는 동안에 인생 난이도는 쉽겠지만,, 결국 본인이 이룬것은 없는거니까,, 성취감도 없고 공허할수도 있다고 봄...

  • @tangiblemark
    @tangiblemark 5 дней назад

    오 "meritocracy trap" 이라는 책인 줄 알았는데 다른 책이였군요. 내용이 비슷함

  • @user-sq8hb2wz3o
    @user-sq8hb2wz3o 2 дня назад

    돈 돈 돈 돈
    너무 지겨움
    우리 나라 사람들이 고도의 성장을 이룬것도
    과도한 경쟁을 하는것도
    애안낳고 엄한데 취업하지 않기로한 현 mz들까지
    한국인은 너무도 똑똑하다
    그래서 현실파악을 잘한다
    그리고 스스로를 채직질하고 불행한 사람이 많다

  • @dali7402
    @dali7402 12 дней назад +1

    충분함을 추구하는 분위기를 형성해야한다... 어떻게요? (정말 궁금해서 질문드리는 것입니다)

    • @user-nm5vc5yq7n
      @user-nm5vc5yq7n 5 дней назад

      지금도 충분하니까 욕심내지 말고 거지로 살아도 만족하라고요

    • @dali7402
      @dali7402 5 дней назад

      @@user-nm5vc5yq7n 감사합니다. 근데 제가 드린 질문은 바로 이것입니다. 거지로 살아도 만족하라...인류의 역사가 사유재산을 위한 투쟁이었고.. 따라서 거지로 살아도 만족 안 하잖아요? 그래서 그런 분위기를 어떻게 형성하나요? 라는 질문을 드린 것입니다.

  • @cis7853
    @cis7853 18 дней назад +3

    10번째 like

  • @user-ve4fq6bu7o
    @user-ve4fq6bu7o 9 дней назад +2

    난 위대해서
    맨날 두그릇씩 먹음

  • @user-pv8ts4kp7c
    @user-pv8ts4kp7c 14 дней назад

    적어도 10~25까지는 꿈을 쫓는 사람이 되어야죠~그래서 잘먹고 잘살면 됩니다 ^^

  • @user-yx3em9uu6z
    @user-yx3em9uu6z 4 дня назад +1

    비교만 안해도 행복하다.

  • @user-sj9yn2ud3wz
    @user-sj9yn2ud3wz 3 дня назад

    내 능력을 키워서 자연스럽게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건 좋은 일. 다만 내가 능력을 키워서 대단해졌기에 너네가 살기 좋은 세상이 된거야. 라는 생각은 싸이코 중에 싸이코

  • @user-ry5qh1my4s
    @user-ry5qh1my4s 2 дня назад

    박애주의 만족으로 노래하며 몇세기를 지나도 나오는 이야기이지만 항상 남들보다 잘 살려고하는 인간들이 넘치는 이 세상

  • @user-qh3fl3in7z
    @user-qh3fl3in7z 17 дней назад +3

    사람들 개개인이 잘못된게 아니라 한국 사회시스템 자체가 비교 경쟁 급나누기를 하는 시스템이라서 사람들 또한 그 시스템에 맞춰 그렇게 생각하게 되죠...

  • @youngminyoo1390
    @youngminyoo1390 3 дня назад

    애초에 세상은 절대 공평 하지 않다..

  • @user-qh5gr5wk5p
    @user-qh5gr5wk5p 7 дней назад

    한때는 세무직 공무원으로 10년 일하면 세무사 자격증을 준다던지 하던 시절도 있었는데 그때가 계급 사다리를 올라갈 마지막 시기였음..

  • @tmongtv2327
    @tmongtv2327 День назад

    문제는 한국사회가 개인의 생각을 냅두질 않는다는거..

  • @paradisenew7385
    @paradisenew7385 18 дней назад +5

    뭐든지 중간이 어렵다😢

  • @user-py4mj3lq9d
    @user-py4mj3lq9d 2 дня назад

    능력주의도 맞고 낙수효과도 맞고 이대로 충분하다도 맞고 세상은 이분법으로 살면 힘들다 ㅎ

  • @VisualSaint-le6ch
    @VisualSaint-le6ch 7 дней назад

    흔한일은 아니겠지만 직접겪은 학벌관련 실화인데 실수인지 고의인지 군대간 사이에 뜬금없이 F아닌 과목이 F로 변경되고 실제로 장학금이 지급되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원래는 편입에 문제없는 대부분A+,A 인 4.5만점에 대략 4.2 ~ 4.3수준에 체대입시 실기 절반넘게 만점등등이
    단순한 시간낭비, 돈낭비가 되었고 그다음부터 제대로 된 인생이 아니게 되었고 그냥 수시 정시로 체대 갈수 있는곳 갔다면 수원대,동국대 경주,순천향대 등등이었는데 그냥 갈걸그랬습니다.

  • @user-gh9jj1ni9s
    @user-gh9jj1ni9s 7 дней назад

    존나게 많을필요는 없다면서요 최소 가성비 행복 최소컷이 연봉1.5억~2억 또는 순자산 20억? 정도 컷이라던데 직장인 100명중에 50등이 세후 250 언저리 라던데 보통의 사람은 ㅈ뺑이쳐야지 행복권에 들어올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aoki8859
    @aoki8859 18 дней назад +2

    낙수효과가 제일 말이 안됨 ㅋㅋㅋ

  • @user-sj9yn2ud3wz
    @user-sj9yn2ud3wz 3 дня назад

    능력을 키울수록 겸손해져야지ㅡㅡ

  • @user-pp1yv7vp8b
    @user-pp1yv7vp8b 18 дней назад +4

    돈 건강 인성 중요 인생 운이있음😅

  • @LFD-ls7li
    @LFD-ls7li 5 дней назад

    인간이라면 누구나 위대함 더 나은 삶을 동경한다 이것은 어찌보면 당연하고 인류문명 발전의 원동력이다 근데 한국사회에서 위대함의 기준이 고작 의사, 강남 아파트 이딴거라는게 짜치네 ㅋㅋㅋ

  • @user-yh3ge6zf5l
    @user-yh3ge6zf5l 18 дней назад +1

    이벤트에 당첨 되어 책을 읽고 정말 큰 가치인 책을 선물 뱓았습니다. 올해는 꼭 책식주의에 책을 후원 하고 싶습니다. 책 선정은 책식주의 운영진께서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연락드리겠습니다.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같은 유노북스 추천 드립니다

  • @Mirao
    @Mirao 7 дней назад +6

    낙수효과 따위 전혀 없는데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4 дня назад

      애초에 문명의 중심에서 문물이 퍼지는데 이게 낙수효과가 아니면 대체 뭐임.
      한국이 고대에서 중세까지는 일본에 문물을 전해줬음.
      농사를 지어도 역법을 알아야 계절을 나눠서 농사시기에 맞춰 농사를 지을 수가 있음.
      우리가 쓰는 숫자도 아라비아 숫자인데. 그 전에는 한자로 표기했음.
      일만만 일천천 한자로 써서 표기했음.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4 дня назад

      예전에는 먹고 살려면 인구 90퍼가 농업에 종사해야 했는데. 이제는 인구1퍼 많이 종사함.
      과거에는 저품질의 식량구입에 소득의 절반을 썼는데. 현대에는 당시 기준 귀족들이나 먹을법한 식사에 소득의 10-20퍼를 씀.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4 дня назад

      일단 빈민국들을 제외한 지역에서 미성년자들이 공부만 해도 되는 환경이 만들어진게 20년도 안 됬음.

    • @Mirao
      @Mirao 4 дня назад

      ​@@user-ou3uc4pb6f영상 안 봤지?

  • @myi1973
    @myi1973 18 дней назад +18

    두뇌, 아이큐, 가정환경, 성격, 기회, 노력, 운, 교육...
    이 모든게 적절한 타이밍에 맞아떨어질때 성공하는거고 돈을 버는거임
    노력하지 말란게 아님 그냥 눈앞에 있는 목표 보고 할거 하면서 살면 됨 열심히 할 필요없음 그냥 하세요
    자꾸 열심히 하려고 하니까 행복에서 멀어지는거
    다 부자가 될 순 없고 모두가 다 성공할 순 없습니다
    그냥 있는 자리에서 뭐든 하세요 그럼 행복해짐
    어차피 다 늙으면 죽어요 행복하게 사는게 최곱니다

  • @dhvifolslall2
    @dhvifolslall2 3 дня назад

    ㅋㅋ 이론은 백날 이렇게 말해도 둘중 하나 고르라고 하면 성공,부유를 선택할거면서 ㅋㅋ

  • @user-fe4kh9tb2x
    @user-fe4kh9tb2x 6 дней назад +8

    이 영상 너무 갈라치기가 심한것같아요

  • @user-wk2dp9gi9e
    @user-wk2dp9gi9e 7 дней назад

    국가가 나아가야하는 방향때문에
    교육젱책으로 국민들 달리게했다
    덕분에 세계속에 한국이되었다
    이젠 하늘의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 @seokwonlee9613
    @seokwonlee9613 4 дня назад

    낙수효과가 없다는 반대이론이 잉여인간 론입니다. 인류문명은 똑똑한 0.9%와 창의적인 0.1%가 발전시켰고 나머진 먹고 싸다 가는 잉여인간이란 논리죠

  • @moonthree-tc6mw
    @moonthree-tc6mw 6 часов назад

    정치지도자는 절대로 1. 낙수효과, 2. 능력주의와는 거리를 두고 국민의 삶을 돌바야 한다. 국가 재정이 있어야 하는 이유가 뭔가. 내가 이해한 이재명 대표는 가장 충분함을 추구하고, 반드시 실천하는 정치가였다.

  • @user-sn1jf7nj8x
    @user-sn1jf7nj8x 17 дней назад

    과도한 경쟁이 스트레스의 요인이지만, 현재에 머물러서 발전없는 정체된 삶을 사는 것은 더 큰 불행을 안겨줄거라 생각해요. 그냥 누군가 괜찮다고 위로받고 안심하면 인생은 더 꼬일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 @DEEP-AAA
    @DEEP-AAA 18 дней назад +10

    모두가 자기삶에 안주하면 발전이 없는거 아닌가요

    • @user-df6fj8fd8w
      @user-df6fj8fd8w 11 дней назад +2

      진짜 이해가 안되는게 인간이 자유의지가 있고 모두가 본인 의지로 자기삶에 안주한다는 선택을 한다는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심?
      똑같은 옷 입은 사람 두명이 있으면 한명은 다른 옷 입고싶은게 자연의 이치인데 왜 자꾸 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거임?
      본인부터 지금 당장 하던 일이나 공부 다때려치우라고 하면 할거임? 절대 못하잖아?
      결국 본인도 지금 상태가 합리적이라고 생각해서 안주하는건데
      비합리적인 선택을 직접 할 수 있다고 생각함?
      꼴에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게 웃기다니까?
      모두가 자기삶에 안주하면 반드시 누군가는 그 현실을 못참고 튀어오를텐데 뭘 믿고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거임? 튀어 오른 본인은 자기가 잘나서 본인의 의지로 튀어오른줄 알겠지 ㅋㅋ 아니야?

  •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4 дня назад

    증명이 되지 ㅋㅋㅋㅋㅋ. 아니 우주에서 자원 가져오면 인류라는 집단의 기능성이 증대된건데.
    사회발전을 일으키는 사람이랑 단순히 돈 많은 양반은 별개임.

  • @user-yg9ko6uz8s
    @user-yg9ko6uz8s 18 дней назад +3

    사활을 걸고 밖에서 부딪혀 성공할 노력은 않하고 맨날 유튜브로 투자/경제채널이나 보며 인사이트 생겼다고 착각하면 뭐하나. 정작 자기손이 닿을 자산도 기술도 없는 자들이.

  • @junyoungchoi6052
    @junyoungchoi6052 4 дня назад

    ㅋㅋㅋ 피라미드. 지들끼리나 피리미드 급나누지. 힘있는사람. 경제력있는사람들은 신경도 안쓴다. 그냥 니들이랑 다른세계에 살뿐. 착각하지마라 피라미드 꼭대기에 올라도 그들과는 다르니..

  • @sunyounglee6899
    @sunyounglee6899 17 дней назад

    내가 급으로 나눠서 남들을 대하면 내 주위에는 그런 사람만 있을것
    내가 대접받고 싶은것처럼 남을 대접하라가 진리다.
    내가 곁에 두고 싶은 사람 그런 이상형이 되도록 내 자신이 노력하다 보면 그런 사람들이 주위에 모이는것처럼

  • @user-rc3kk4ks7l
    @user-rc3kk4ks7l 18 дней назад +2

    너무 지겨움

  • @grip7716
    @grip7716 16 дней назад +1

    경쟁이 있어야 사회가 발전한다. 더 나아지고 싶은 욕망은 삶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공산주의가 왜 망했는지 생각해봐야 할 일

  • @user-mt6lg3jr8d
    @user-mt6lg3jr8d 4 дня назад

    뭔 위대한 항로여? 우리사회에 루피들이 많네ㅎㅎㅎ 그런데 사회와 국가 국민성은 위대해지질 않을까?

  • @bryann7206
    @bryann7206 4 дня назад

    낙수효과는 경제학에서도 틀린 얘기일 뿐더러 성공 공식으로는 저 교수가 헛다리 짚은 듯. 아무도 성공 배경에 낙수효과가 있다고 가정하지 않음.

  • @iplayoldgames1
    @iplayoldgames1 18 дней назад +2

    낙수효과는 모르겠고 아마 한국은 오랜기간 동안 계급제 사회와 관료주의 사회여서가 아닐까 싶네요. 우리 부모님 세대만 해도 (50년대 ~ 60년대초) 그 당시에는 대학,대학원,박사라는게 공부 하는 사람만 공부했고 유학은 더더욱 힘들었음. 그렇게 그런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좋은자리를 꿰찼고 여기에 이르지 못한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친거 같아요. 그래서 자식에게 공부해라 닥달하고 사짜 직업을 해야 한다 하는거 같습니다. 그렇게 그런 자리를 꿰차야 양반이니해서 돈이 아무리 많아도 가방끈 짧으면 무시하는거처럼(주로 옛날 사람들) 공부,공부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나 시대는 확실히 달라지고 있다는걸 느낍니다. 제 세대만 해도(80년대 후반 90년대초) 공부가 1순위고 대체로 분위기가 공부말고 다른길은 없었거든요. 지금은 보아하니 학생들의 하고 싶은 직업군이 다양하고 공부하는 애들만 사짜 직업 이런걸 노리는걸 보니 확실히 달라지긴 한거 같습니다.

  • @user-oj7uj9zg8g
    @user-oj7uj9zg8g 18 дней назад +4

    어느 동네 산다고 급나누고 어느 학벌나왔다고 급나누고 하는 사람은 아직 못 본듯.. 전반적으로 이 사람의 행실이나 인생을 바라보는 태도나 비젼 등을 복합적으로 보면서 거리두기하거나 친하게 지내는거지.. 찐부자들도 비즈니스적으로 만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들도 외롭기 때문에 취미가 비슷하거나 만나면 재밋는 사람들하고 교류하고자하는 의지가 높았음. 어디사는지 어느학교나왔는지 따위로 사람 가리는 사람 못봤음. 결혼할것도아닌데 ㅋ

    • @user-hl4vc2rl3i
      @user-hl4vc2rl3i 18 дней назад +7

      많습니다~! 티 내거나 은근 안 내거나
      안 내는 척하지만 다 따지고 평가하는
      ㄴ들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 @user-eu9uy6dg6g
      @user-eu9uy6dg6g 18 дней назад +3

      ​@@user-hl4vc2rl3i저도 꽤 많이 봐서.. 그리고 나한테서도 발견했어요.. 나도 어쩔 수 없는 한국인이구나 했답니다.

  • @amurika6336
    @amurika6336 18 дней назад +1

    급 말고 카타고리로 나누면 안되낭

  • @rise5428
    @rise5428 11 дней назад +1

    한남x 한녀x 1,2찍x 한국o

  • @Sungwook11
    @Sungwook11 18 дней назад +1

    그래도 내자식은....

  • @MinsuKim33
    @MinsuKim33 16 дней назад +2

    낙수효과는 맞는말아닌가?
    현기, 삼성 같은 대기업빠지면 외화벌이 뭘로 할건데?
    2030 MZ친구들 서독가서 광부할수있어?
    우크라이나 파병갈수있어?
    내수? 초고속 노령화사회로 가는데 내수는 이미 글렀어

    • @MinsuKim33
      @MinsuKim33 16 дней назад

      인구가 늘어나고 발전하는 도시는 꼭 대기업 직장을 끼고 있다

  • @quenjun9714
    @quenjun9714 4 дня назад

    그냥 사회적 신뢰가 없는 것 같아요. 딱히 잘나지 않아도 문제 없는 사회면 문제 없겠지만 그러지 못하니......

  • @lty02023
    @lty02023 18 дней назад +1

    음 내 주변엔 없는데.. 급을 왜 나눠
    나눠서 얻는 게 뭐래

    • @user-wv4nq8gq6l
      @user-wv4nq8gq6l 18 дней назад +1

      당연한 인간의 본능임
      나보다 학력이 낮거나 나보다 못사는 사람보면
      마음속으로 무시하는 감정이 자동으로 생기게됨

  • @rsidr.h5505
    @rsidr.h5505 7 дней назад

    자꾸 인간의 본성을 거스르고 억지로 무시하는 논리를 펴는 건가요?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입니다. 당신은 그 구름에 똥밟는 밑도 끝도 없는 충분함에 안주하고 사세요~ 가치관이 다른 걸 혼자 성인군자가 된것마냥 강요하지 말구요.

  • @java458
    @java458 3 дня назад

    늘 국짐쪽은 낙수효과를 지지하지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12 дней назад +3

    이분은 말에 근거가 하나도 없네 이런 거 볼시간에 자기계발을 위해 책을 한자 더보세요

  • @jhseo-ku5lg
    @jhseo-ku5lg 18 дней назад +4

    가붕개로 살라는거군.

  • @junlee2342
    @junlee2342 11 дней назад +2

    이건 자본주의 무한경쟁 세상에 낙오된 극단적 사회주의자가 쓴 글인 듯 보이는 건 나만의 생각인가요?

  • @richart1555
    @richart1555 18 дней назад +1

    조선시대 반상계급이 이어졌으면
    양반은 양반대로 만족하고
    천민은 천민대로 체념하고
    이대로 괜찮은 줄 알고 살겠지만
    일제시대, 한국전쟁 후 출발점이 거의 같아진 상태에서
    새 출발한 우리 경쟁의 민족에겐 씨알도 안먹히는 소리지
    개나소나 다 성공하던 시대에 낙오자는 바보 맞구요
    우리 모두 최대한 빨리 성공한 부자가 되서 잘 살아보세!

  • @ilsmh22
    @ilsmh22 18 дней назад

    나눠...
    더 늙어봐라..

  • @egmont9852
    @egmont9852 18 дней назад +1

    "위대함"의 정의나 뜻은 무엇인가???

  • @kk-se7xc
    @kk-se7xc 5 дней назад

    능력주의를 미덕으로 만든 보수적인 사회가 이 사태를 만들었지 다양성을 인정하자 제발

  • @user-zq3hx9jf3g
    @user-zq3hx9jf3g 2 дня назад

    음... 한국은 자본주의고 누구나 평등한 사회인데 능력이 있는 사람이 성공하는건 당연한거지 당신이 이야기 하는건 그저 공산주의 사상일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