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세 가벼워 더 위험한’…입원 환자의 덫 ‘섬망’ / KBS 2024.03.11.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보이는 증세는 치매와 비슷하지만 치매는 아닙니다. 치매보다 증상이 가볍지만 그래서 되레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바로 섬망이란 증후군입니다.
    김현경 기자가 섬망의 위험성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요양병원입니다.
    150명 정도의 환자가 입원해 있습니다.
    낮엔 비교적 상태가 양호합니다.
    ["칼을 쓰면 칼로 망한다. 이걸 표현한 거예요. (할머니 너무 똑똑하시다)."]
    하지만 밤엔 사정이 달라집니다.
    ["아까 전에 왜 소리지르셨어요? 왜 이렇게 자꾸..."]
    그러나 이내 멀쩡해집니다.
    그러다가도 몸에 통증이 있거나 컨디션이 나쁘면 또 그럽니다.
    ["아가야! 아가야! (아이고)."]
    장소가 바뀌어도 증세가 나옵니다.
    [섬망 증세 노인 보호자 : "제주도에 가족 여행을 갔는데 바다가 보이는 카페에 앉아 있었어요. 그런데 바다를 보면서 '저기 전쟁이 났다고, 포를 쏘고 함선이 왔다 갔다 한다고' 막 그런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저희는 당황했죠. 이게 무슨 소린가."]
    일시적인 인지 장애.
    섬망입니다.
    뇌가 일시적으로 고장나는 증후군입니다.
    입원환자 다섯 중 한명이 겪을 정도로 흔한 증후군입니다.
    증상은 다양합니다.
    [김기주/선한빛요양병원 원장 : "대표적인 증상이 환시라고 해서 조상님이 보인다든가 벌레가 꿈틀거린다든가 피해 망상적인 증상이 같이 호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도 다양합니다.
    약을 잘못 먹었거나 큰 수술을 받은 뒤의 후유증 다른 신체기관에 문제가 있을 때도 올 수 있습니다.
    잠이 부족하거나 급격히 환경이 변해도 생길 수 있습니다.
    [정희원/서울 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 "섬망은 본인이 견딜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특히 중추 신경계, 그러니까 두뇌의 취약성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스트레스의 증상이 겉으로 섬망으로 불거져 나오는 거고요."]
    증세가 나타났다 곧 사라지는 일시적인 특성을 보이는 게 치매와 다른 점입니다.
    섬망을 치료하는 방법은 그 원인을 찾아내 제거하는 겁니다.
    문제는 나타나는 요인이 워낙 다양해서 그 원인을 단박에 찾기 쉽지 않다는 데 있습니다.
    특히 증세가 가벼운게 되레 독이 되기도 합니다.
    이내 좋아진단 이유로 상태를 방치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섬망 증세 노인 보호자 : "이게 제일 곤란한 게요 치매 하고 구별이 잘 안 되는 거예요. 치료법도 모르고 어떻게 해야 될지 몰라서 헤맨 시간이 참 길었던 것 같아요."]
    방치하다 큰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밤에 섬망이 잘 오기 때문입니다.
    [김기주/선한빛요양병원 원장 : "안타깝게도 요양병원에 입원하신 대다수는 보행장애가 동반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특히나 섬망 증상이 야간에 발생해 밖으로 나오시는 경우에는 낙상 같은 문제들이 생기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또 섬망이 치매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정희원/서울 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 : "어르신들이 갑자기 이치에 맞지 않는 말씀을 하신다거나 또는 의사 소통이 잘 안 된다고 하면 사실은 그때는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는 게 맞고요."]
    섬망 증상이 있다면 먹는 약제를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수면패턴을 일정하게 유지해야합니다.
    가족들이 옆에 있으면 증세가 나아지기도 합니다.
    전문가들은 섬망 고위험 환자들을 발굴해 집중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치매만큼 체계적인 치료 매뉴얼을 보급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촬영기자:김한빈 정민욱/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채상우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섬망 #질환 #증후군

Комментарии • 20

  • @이향순-s2v
    @이향순-s2v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5

    친정엄마가요양병원에계시는데밤마다선망증으로소리지르시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chrryfarm
    @chrryfarm Месяц назад +2

    선생님 알고보니 저희 남애편이 술만먹으면 몸을 다치거나 넘어저서 머리을 다치기도 하고 사고을 내고 3년 전 어머님 소천하시고 1년 제사 지나고 한달 쯤 있다가 한 동생은 춰장암으로 한명은 심장마비로 자다가 딱 일주일만에 죽고 그러더니 섬망증세 였더군요 모르고 있다가 침해처럼 증상때문에 안심센터에서 상담받아 맑은기억병원에서 약을먹고 살고있어요 그래서 의료기관에 가족요양을 아내가 해보려고 신청했는데 선망이라며 될지안될지 모르겠습니다 남편을 케어보려고 요양보호사 자격까지 했거든요 자기 어머니처럼 요양원에는 보내지 마라고 애원을 해서요 이제는 저보고 엄마라고 해요 서로가 불쌍하게 됬네요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될지요?

    • @증조이
      @증조이 16 дней назад +1

      아직 안늦었다면 섬망 치료를 위한 특정 수술을 권해드립니다. 수술로도 치유가 되면 증상이 사라지고 호전될 수 있습니다!

  • @this5885
    @this5885 5 месяцев назад +8

    내가볼땐 중구난방 처방약이 문제일듯싶다.그냥 처방만할뿐 복용약은 잘살피지도 않음

  • @과천오로라
    @과천오로라 Месяц назад +1

    2년 알콜중독후 섬망, 치매로 이어졌습니다.
    뇌에 강한 충격이 있었으면 섬망이 쉽게 나타나고 치매와 같은 뇌질환을
    부추깁니다. 아주 무섭습니다

  • @박성호-q4o
    @박성호-q4o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8

    마지막으로 정신과 약 모두 끊어보세요. 일주일만 기다려보세요.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실겁니다
    저희도 모든 걸 포기할 때쯤 검색해서 알아낸 정보로 해 보았더니 아버님이 정상으로 돌아오셨습니다.
    생각보다 정신과야 많이 독합니다. 오히려 이게 더 독이 되지요

    • @JacobJordan-g8i
      @JacobJordan-g8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3

      정신과약은 부작용이 적지 않고 중독성이 마약 만큼이나 강한 것도 적지 않습니다. 정신과약 중독되서 끊지 못하고 약물중독으로 사망하기도 해요.

    • @연톨
      @연톨 3 месяца назад +1

      저희 할아버지께서 파킨슨약을 4년째 복용중이신데 갑자기 섬망증세가 오시더니 일주일째 하루종일 소리지르고 헛소리를 하세요 ㅠㅠ 소변도 못 가리시고 ㅠㅠ 혹시 이런 경우이셨나요?

    • @김리리-w6o
      @김리리-w6o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런거 그냥 막 쓰지마라 정신과약이든 뭔 약이든 임의로 중단하면 위험하다
      그리고 의사말이나 잘들어라 정신과약이든 뭔 약이든 그냥 안먹으면 괜찮겠지 하면 더더욱 위험해진다
      오히려 독이라고 하는데 많은 환자들이 임의로 단약해서 더 증상커져서 오는 경우 많다
      이건 도움주는 댓글이 아니라 사람 망치는 댓글이다 위험한 소리 하지말아라

    • @chrryfarm
      @chrryfarm Месяц назад

      박상호선생님 감사합니다 남애편이 정신과 약을 끊고 한번 선생님 말씀대로 해 보기도 하겠습니다 본인이 노력을 많이 하는 모습도 보여요 그리고 이제야 나에게 엄마 말 잘 듣겠다고도 해요 집에서 케어하며 사랑으로 돌 보려구 요양사자격증도 받아 놨어요 인생이 참 맑은기역으로 살다가 꼴각 가면 좋으련만 참 건강과 몸부림을 치면서 사는 시간들을 보내며 살아가는것 같아요

  • @형석김-d1f
    @형석김-d1f 5 месяцев назад +10

    약이 원인일수 있네.

  • @짱구-u1r3p
    @짱구-u1r3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7

    의사소통이 잘안된다고 생각은 안해봤는가
    가족이 아니라 환자고 환자는 돈이니까

    • @MLee-rm3lj
      @MLee-rm3l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간병해보면 압니다... 의사소통하고 관계없어요...갑자기 귀신들린처럼 굴다가 정신차리면 기억 못하고....

  • @iajweof
    @iajweof Месяц назад +1

    뇌영양제 드시고나서 증상 많이 잡히시더라고요..

    • @Rainmaker1004
      @Rainmaker1004 Месяц назад

      뇌영양제가 어떤게 있을까요?

    • @iajweof
      @iajweof 29 дней назад

      @ 잇샤 nmn 영양제 드시고 있어요

  • @최복용-j9s
    @최복용-j9s 29 дней назад

    국민승! 패거리완패!

  • @w00ri-kt4di
    @w00ri-kt4di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섬망 증상 무섭죠...
    소변실수도 잦아지고 참 힘들더라구요.
    그런데 기저귀까지 계속 새서 더 힘들었습니다.
    여러 브랜드 기저귀 써봤지만
    고흡수성인기저귀만큼 흡수 잘되는게 없었네요.
    진짜 이거 쓰고 어찌나 편해졌는지 모릅니다.
    기저귀 쓰시는 분들은 참고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