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기둥이라고 표시한 부분에 대한 설명이 잘못 되었습니다. 철근은 그냥 보아도 6m가 넘어 보입니다. 형틀 폼이 600*1200짜리 거푸집을 설치한 것만 보아도 상당한 높이란 것을 알수 있죠! RC와 PC는 설명을 잘 하셨는데.. 주차장 1개층 높이가 3.9M라고 하셨는데 실제 철근 길이는 상부 슬라브 위로 돌출 되어야 하므로 더 길게 합니다. 대형마트 주차장, 그리고 아파트 지하 주차장 높이가 최소 6M 입니다. 그러니 돌출 높이까지와 겹이음 길이까지 감안하면 최소 7M 이상은 되겠네요! 각 공법은 장단점이 따로 있습니다. PC가 RC보다 품질도 균일하고, 건설 공기도 단축할 수 있지만 그만큼 가격이 비쌉니다.
공기만 빠르지 부실하다 견고하지 못하다 하는 분들 많으신데 pc시공일을 몇년 했었던 제 입장에서는 공감할 수 없네요. 오히려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의 완성품을 얻기에 더 확실한 공법이라 생각합니다. 화성 삼성반도체, 구미 삼성전자 주차타워,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등등 아파트자하주차장 외에도 pc시공현장에서 일했었습니다.
PC공법은 공기단축이 주 목표이다. 장점 : 공기단축가능 단점 : RC공법 보다 비싸다 RC공법엔 철근공, 형틀공,시스템공, 등 여러분야의 인력 그리고 각종 자재 임대료 등 어마어마한 금액이 들어가지만 PC가 더 비싸다 그런데 왜 PC를 쓰냐 공기단축이 곧 돈이기 때문이다
내가 pc공법을 해봤는데요 조립이라 빠를것 같죠 저것도 생산기간이 필요해서 공기 단축이 엄청 있다 생각하지 마세요 그리고 pc슬라브의 조인부분 하자 많아서 비오면 물셀수 있음니다 그리고 pc로 세대 만들면 울려요 ㅋㅋ 일체가 안되서 울림 단점이 있음 그리고 높게 못올라감 기둥 해서 작업해야하는데 철근 배치도 틀어지면 안껴져서 그렇게 좋다 할수 없습니다 노조 애들때문에 pc공법 쓰는게요
기둥은 매트에 설치된 네개 이상의 앙카에 기둥바닥에 뚫린 구멍을 통과시켜 수직을 맞춰 너트로 체결한 후 가다를 대고 무수축몰탈로 앙카가 덮히도록 주입을 합니다. 최소 두개 이상의 서포트설치도 필요함. 기둥과 거더(보)는 서로 커플링할 수 있게 기둥에 철근형식의 볼트, 거더에 체결할 수 있는 구멍이있어 너트로 조인 후 후속작업으로 기둥과 거더의 틈을 백업, 우레탄폼 등으로 막은 후 기둥과 거더 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주입하여 양생시킵니다.
복합적인 문제입니다만 과학적이고 안정성을 보장받는 공법들이 나오고 일자리를 잃는건 건설근로자만의 문제는 아니지요 점점 자동화가 되어가니 숙명이 될 것이고 담합행태의 노조간부들과 연합들도 공급처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지요 그리고 피시공법으로 피시공장이 호황이라면 그분들이 일하시게 되는거니 저울로 재면 결국은 같은 자리입니다 항상 본인들만 생각하죠 이래서 건설노조는 무식하다는 겁니다 에센셜이나 해외노동자들이나 보고 배우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 건축법은 1도 모를텐데요
ruclips.net/video/UbQaZ3iVcGs/видео.html
PC 부재의 고질적 문제.. 조인트 부분.
유지관리로 배보가 배꼽이 큰 경우가 발생함. 장마때 보면 여기저기 누수 줄줄흘러 내리는거 눈으로봐도 못 잡음.
장점도 확실 하지만 PC 블록 현장이
(제가 일 해 본 6~7곳 공통) 제작 속도가 조립 속도를 못 따라가고... 위층으로 올라 갈 수록, 바람이 많이 부는 계절 일 수록 조립 속도도 늦이지더라구요.
사람은 구하긴구해요?
제작속도가 더딘건 제작공장 규모만 더키운다면 커버가 가능하지 않나요?
@@응아니야-w6c 괜히 늘렸다가 경제안좋아져서 공사가 줄어들면…오히려 독이되니까 사업확장 못하죠 ㅠ
@@abcde476 저도 단순히 이 생각 해봤는데 이런 이유 일 듯 해요.
현장만 따지면 pc공법이 빠르긴함.. 근데 pc스라브 타설하는거 짱남;; 댐바도 낮고 철근도 낮아서 탄력없으니 발바닥 아프고.. 그래서 요즘은 pc공법을 구장이나 지하주차장까지만 하고 아파트세대 올라가면 깽폼으로 바꾸죠.. 분배기작업을 씨피비로만 바꿔도 공정 겁나빨라지는데 다 돈이니..
프리케스트공법은 단점이 운반과정에서 도로상 여건이 좋지안을경우 (ex:요철이 많음) 제품에 손상이 올수있죠.
큰현장은 공장을 저기설치하면될듯
@@홍-g9b그럴바에야 바로 엮고 붓는 게 낫지 않나요??
이분 잘 아시네! 가끔 출하가 너무 빨라 양생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운반하는 경우 크랙이 갈 수 있습니다. 아무리 공장 생산이라도 하자는 있을 수 있습니다.
일체형보다 이음부위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집니다.. 저 좋은걸 왜 안하겠어요... 하나만 부식되도 잘못하면 전체를 다 뜯어야될수도..
PC로 대형창고 짓는 현장에 있었는데 크롤라 자빠져서 식겁했던 기억이...
그리고 PC조립하던 형님들 정말 대단하더라구요.
P C공법 이음부 10년지나면 실리콘경화로 누수 많음.
동남아살고있습니다 돈이없어서 시골에 땅만 구입해놓은 상황입니다 많이 배우고있습니다
간단하게 나마 2층집 멋지게 짓고싶습니다
어느나라인가요?
@@thekorean123 필리핀 시골입니다
한국어 잘하네
화이팅이요
PC로 건물올리게되면 건물올라가는속도 진짜 기가맥히게 빨라져요
Pc는 물새는것때문에 ... 희안하게 누수문제로 가보면 구조도면에 P자가 붙거나 pc임... ㅜ
pc로 조립하고 끝이 아니라 마무리는 무조건 타설임.. pc랑 타설 다 하는데 누수는 pc공법이라 생기진 않아요
광명 이케아가 저래 지었고. 대형 물류센터도 저래 지으는 곳들도 있었는데
최근 많이 줄어 든거 같은?
장단점이 있죠
손익이 안좋죠..
우리나라 물류센터는 99프로가 pc 공법의 조립임
아파트는 왜 pc공법이 안되느냐?
고층일수록 이건 너무 위험함
대신에 1세대 자체를 공장에서 찍어서 레고 형식으로 조립은 가능함
장담컨데 10년안에 이제는 5층짜리 아파트로
3d 프린터 공법으로 바뀔듯
저기 떠있는부분 꼼꼼하게 작업 해야할듯 하네요
잘못하면 안보이는 부분에 공기층 생기면 문제가 될수 있지요
위에 철근 사이에 공간은 스라브 설치 하고 나면 철근이 관통 되어서 들어 가는 것입니다
걸설현장 기둥 부실이 제일 문제가 아닐까요 지금 건설현장 부실공사가 걱정된다는 뎃글 정말 많이 올라옵니다
건설사들이 제대로 하고 있는지 걱정입니다
늘 잘보고 있습니다 화이팅 하세요
감사합니다.
철근 기둥이라고 표시한 부분에
대한 설명이 잘못 되었습니다.
철근은 그냥 보아도 6m가 넘어
보입니다.
형틀 폼이 600*1200짜리 거푸집을
설치한 것만 보아도 상당한 높이란 것을
알수 있죠!
RC와 PC는 설명을 잘 하셨는데..
주차장 1개층 높이가 3.9M라고 하셨는데
실제 철근 길이는 상부 슬라브 위로 돌출
되어야 하므로 더 길게 합니다.
대형마트 주차장, 그리고 아파트 지하
주차장 높이가 최소 6M 입니다.
그러니 돌출 높이까지와 겹이음 길이까지
감안하면 최소 7M 이상은 되겠네요!
각 공법은 장단점이 따로 있습니다.
PC가 RC보다 품질도 균일하고, 건설 공기도
단축할 수 있지만 그만큼 가격이 비쌉니다.
공기만 빠르지 부실하다 견고하지 못하다 하는 분들 많으신데 pc시공일을 몇년 했었던 제 입장에서는 공감할 수 없네요. 오히려 신뢰할 수 있는 품질의 완성품을 얻기에 더 확실한 공법이라 생각합니다. 화성 삼성반도체, 구미 삼성전자 주차타워,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등등 아파트자하주차장 외에도 pc시공현장에서 일했었습니다.
슬라브 라고 부르나요?
서포트(지지대)아닌가용?
뉴스에서는 동바리 라고 소개하던데..
우리나라가 일본인가요 ㅜㅡㅜ
Pc공법은 가장큰장점은 건설사 이익금이 커지는 공법입니다 공가기간이 단축되거든요 가장큰단점은 강화콘크리트(수분흡수X)로인해 누수현상이 심합니다 신축아파트들 지하렘프구간이 물바다가되는이유입니다 해외에서는 잘안쓰는공법이죠 지진이날경우에도 취약합니다
pc제품 자체가 비쌉니다. 그리고 rc는 끊어치기해서 그 부분 누수안됩니까?
뭐든 장단점이 있는거죠 ㅎㅎ 상황에 맞게하는게 제일 좋죠
PC공법은 공기단축이 주 목표이다.
장점 : 공기단축가능
단점 : RC공법 보다 비싸다
RC공법엔
철근공, 형틀공,시스템공, 등 여러분야의 인력
그리고 각종 자재 임대료 등
어마어마한 금액이 들어가지만
PC가 더 비싸다
그런데 왜 PC를 쓰냐
공기단축이 곧 돈이기 때문이다
지하주차장에 pc를 적용하면 기둥 사이에 4대까지 주차 가능 한 장 스팬이 가능한걸로 아는데 지하주치장이라도 pc를 적용해주면 좋겠어요.
시멘트 양생시간만충분히 준다면 튼튼합니다.
이게 정답.
하지만 안주죠
공기단축 할려고 ㅇ ㅈ ㄹ 하는건데 양생시간을 충분히 주겠음?
장기적으로 일체형 보다 견고할지 비용 감안 하면 저렴 할지도 의문 입니다.
고층 건물엔 못 쓰고
저층이고 넓은 건물 시공에 쓰는거죠
좋고 나쁘고 문제가 아니라여
단순하게 걍 조립식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현장 직 인데 pc공법은 현장 뷰지 겁나 차지해요 장단점이 았는고에요 pc공법이 좋타고만 할수 없어요
뷰지요?
뵤지 아니 오타 뱌지 아이것도오타 부지 즉 땅 노는땅 라면땅 말고
그건 건축에서 제대로 공정 계산 못하고 부재 신청해서 그럼
시공시 운반 문제와 조인트 처리만 잘 해결되면 좋은 대안 같습니다
전문가분들이 정말 많네요
의견이 다 갈라지는것도 신기하고
공기 단축하고 비용단축 하고 좋은데 누수에 정말 취약하죠
오~~ 노출된 철근 습기나 비에 젖어 녹스는게 대부분인데 저렇게 만들면 녹이 슬지 않겠네요.
녹슨 철근은 건물 수명이 몇십프로 단축된다는데.
녹슬어도 살만큼 살아요
우리나라 골조 다 그렇게 지어요
녹슨철근이 콘크리트경화가 더 잘되요
차라리 모를는게 좋아요!
철근 녹이 안날수가 없지요
기름을 칠할수도 없고 습기와 공기에 바로 노출 되기 때문에 3일지나면 녹습니다
철근은 어느정도 녹이 슬어야 해요
빠르고 편하죠 10집 중에 한 집은 아무리 완벽해도 접합부위 습기가 스며들어 곰팡이
예전 한참 pc유행할때 아파트는 그랬죠 그래서 요즘은 복합으로 많이들 갑니다 소음 습기 등을고려해 지하 주차장 쪽으로 psc를 적용해 장스판 가면 주차공간도 효율적이고 공기빠르고
Pc는 주거용은 적절하지 않죠 누수 때문에 물류창고나 주차타워정도?
올림픽 선수촌 벽사이로 쥐 돌아 다닌다던데 그럴수 있나요? 😮
[DH보 + 2중골데크]가 PC보다 더 빨라서
아파트주치장 요즘 많이 바뀌고 있는 추세
앞으로는 pc공법으로 건물 올리겠습니다
내가 pc공법을 해봤는데요
조립이라 빠를것 같죠
저것도 생산기간이 필요해서 공기 단축이 엄청 있다 생각하지 마세요 그리고 pc슬라브의 조인부분 하자 많아서 비오면 물셀수 있음니다 그리고 pc로 세대 만들면 울려요 ㅋㅋ 일체가 안되서 울림 단점이 있음 그리고 높게 못올라감 기둥 해서 작업해야하는데 철근 배치도 틀어지면 안껴져서 그렇게 좋다 할수 없습니다 노조 애들때문에 pc공법 쓰는게요
Pc보다 rc에서 크랙으로 물 새요. 요즘은 복합이라. 일체화 됩니다.
PC공법이 우리나라에 현실화가 잘안되고있어요 경량화와 생산 운반 조립 관리등이 일체형공법보다 merit 없는것으로 건설사들이 선호하질않죠 다 장단점은 있는데 고층화 건물에서는 유리하지 않을까요?
보여진 철근에 녹이엄청슬었네요
이렇게녹이슬지않으면좋겠네요
적당히 녹슨 철근이 콘크리트와 접착이 더 잘 됩니다.
어느정도의 녹은 오히려 더 좋은걸로 알고있습니다
pc공법이 빠른공기단축도 좋고
다 좋은데
고층일수록
지진나면 철근콘크리트 타설보다 위험합니다
다 장단점이 있어요
그래서 하중발생 하는곳은 PC로 안하고 RC로 합니다. 요즘 아파트 주차장 보면 기둥에 헌치 즉 주두가 있으면 그게 PC기둥입니다. 주로 그 위 지상이 거의 조경자리죠. 건물 주변 동지하는 모두 RC입니다.
결국 지진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부분은 보와 기둥의 힌지부분인데 인성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소량의 콘크리트로 현장타설접합하는 pc공법도 있습니다 이건 초고층 건물에도 아주 좋은 내진성능을 가진 공법입니다.
저 PC부재가 새로운 이유로 주목받는데 그게 바로 노조입니다. 건설노조들이 공사를 방해하거나 안 해먹으니까 차라리 사람 덜 쓰고 빨리 할 수 있는데 PC부재를 쓰는겁니다. 이음부만 잘 접합하면 저만한 부재가 또 없거든요
기둥 몇개만 있으면 단층 주택은 바로 만들겠네요
근데 보통 단층주택은 기둥이 필요없습니다. 벽 자체가 기둥(내력벽)이죠
그런데 요즘 아파트 29층에 왜 엘베를 한대만 만들까요?
본문과 관계없는 질문인데 바닥면적 60평(가로10m 세로20m) 되는 건축물을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할시에 중간에 기둥없이 건설 가능한지 기둥을 h빔(3층)으로 했을때 건축비는
h빔으로 하는게 얼마나 더 비싼지(예:1.3배, 2.5배등) 궁금합니다
빔이 훨씬 저렴합니다 다만 주택인지 공장인지에따라 다음 공정과 미관에 있어서 틀려지죠
공장이라면 빔 집이라면 빔 비추
저렇게 만들어서오면 철근을 빼돌릴수 없겠네요 순살자이처럼
건물 짓는거 한번씩 보면 궁금했던게
녹이 쓴 철근을 쓰는데 안정성엔 문제가 없는지 궁금해요 보통은 깨끗한 자재를 쓰는게 더 좋다고 생각을 하게되니...
그건 비가 와서 녹이 슨것임
모든게 장점과 단점이 있는것이다 차후 보완을 더하면 pc공법도 괜찮을듯
겉만 녹이 살짝나면 포틀렌트시멘트 흡착력이 오히려 좋아요
고층은 안돼겠네 요즘 우리나라도
지진이 나기시작하니 고층은 무리일듯...
무량판 구조에서 슬라브 만들때 철근 배근하려고 비워놓은 자리 같네요
여기 또 멍청하게 건설근로자들 일거리 뺏는다는 노조꼴통들 몇명보이네요
그만큼 피시공장은 바빠질테고 결국 인플레의 저울값은 어차피 같을텐데
본인들만 생각하니 다른 공장근로자들, 화주, 차주들 걱정은 애초에 배제되어 일거리뺏아간다 반복거리네요
PC는 방수구조물이 아닙니다.
당근 RC구조와 같이 별도 방수 필요 합니다.
PC공법의 단점은 시공단가가 약 20%수준 올라갑니다. 노조가 현장점거하는 곳에서 가끔씩 건설사가 시공기일을 단축하거나 노조에 상납하지않기위해 PC공법을 선택합니다. 장점은 공사기간단축, 구조물 안정성이높음.
마지막 중간 뚫린 기둥은 2절짜리 기둥. 저 뚫린 곳에 슬래브 층고.
pc공법은
주차장먀
가능합니다
영상이 앞뒤가 없네
철근 녹슬면 안되는줄 아는데ᆢ
녹슬은 철근으로 콘크리트
타설하면 되나요
옳으신 말씀입니다
철근 녹슬면 안되는데
한국은 일상ᆢ
정말큰일인데ᆢ
요즘은 아파트 지하주창에 많이 씁니다
힐스xx트 고층아파트 주차장은 대부분 pc조립공법으로 지어집니다...안전상 문제가 없으니 시공하는거겠지만...제가 보기에는 좀 불안해보이더군요...
모든일은 사람이 하는거라 기초 올릴때 수치 안맞으면 타설은 맞추기가 쉬운데 pc는 정확한 크기로 와서 맞추기가 어렵다더군여 병행해서 쓴다고 합니다
Pc 조립하고 윗부분 연결부위 별도 타설합니다.
재래식 아래부터 양생되면서 철근하고 같이올라가니깐 더 튼튼하지않을지?PC공법은 조립식이니깐 아래부분 철근은? 연결????
볼트 방식으로 연결하고 지지대로 고정합니다.
슬라브는 공구리 친 바닥을 말하는 것 아닌가요? 슬라브를 쭉 깐다는게 공구리를 쭉 깔고 바닥은 만든다는 말씀이신가요?
딱봐도 건설사 편한거지 입주민에겐 내구성 문제로 그닥...블럭과 블럭사이에 공구리로 접착시켜야는데 블럭에 하중때문에 이음새를 견고하게 부착이 불가능할것으로보임
제작 잘못한거 붙였다가 또 뜯고 제작 다시하고 인건비 운송비 장비대 더들고 일정못맞추고 에구구
누수문제는 해결 햇나 몰라...
초기 pc공법은 하자 장난아니었죠
지금은 많이 개선 되었다고 합니다
발음과 음성이 좋아서
집중이 잘 되네요
Pc건축은 골조만 생각한 이기적인 공법
궁금한게 있습니다. 기둥에 철근이 없어도 기둥 하중을 받을수 있나요?
기둥도 압축력뿐만아니라 인장도 작용합니다. 따라서 철근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현장에서 하는것만큼 틈이 없거나 튼튼할까요
건설업체 양생기간이나 꼭 지켜서 튼튼하고 안전한 건물 지어주시길.
1980년 후반에 (주)한양이 처음 도입했다가 망하는 계기가 된 공법중 하나임. 국내 집합건물에는 맞지않음. 대형상가.창고등이 맞는공법임.
음성 창영공장이네요^^
건설사들 말도안되는 신공법이라고 하면서 점점 부실공사로 가네...
품질이 일정하진않죠 외부환경요인도클텐데...음
호불호가 많이 생겨서 요즘은 많이 안쓰는것 같아요.
웃기고 있네
아파트 전부다pc공법임
공기 인건비 엄청단축됨
안쓴다는 말은 어디서 나오는거임?
@@K1024-l3t 어디 아파트여?
@@blueneeter 전국이요
@@K1024-l3t 재밌으시네요. 제가한곳은 PC는 아니였는데
@@blueneeter 원청이 돈 많겠죠
궁금한건 내구성과 가격인데 그건 쏙 빼놓고 이야기하시네요
벌써 30년도 더된 pc공법을 말하고 계시네요,
유로폼 나오면서 아파트현장에서 Pc는 완전히 사라졌고요, 초대형공장에 수직.수평보
나 다리상판에는 pc가 사용됩니다.
이상한 대한민국 아파트가 왜 비싸지는지 이상한 대한민국 외국은 없는사람들이 아파트에 산다는데...
프리케스팅 횡력 진동에 약할지 궁금합니다. 체결부가 얼마나 강하게 체결이 되는지요.
기둥은 매트에 설치된 네개 이상의 앙카에 기둥바닥에 뚫린 구멍을 통과시켜 수직을 맞춰 너트로 체결한 후 가다를 대고 무수축몰탈로 앙카가 덮히도록 주입을 합니다. 최소 두개 이상의 서포트설치도 필요함. 기둥과 거더(보)는 서로 커플링할 수 있게 기둥에 철근형식의 볼트, 거더에 체결할 수 있는 구멍이있어 너트로 조인 후 후속작업으로 기둥과 거더의 틈을 백업, 우레탄폼 등으로 막은 후 기둥과 거더 사이에 무수축 몰탈을 주입하여 양생시킵니다.
pc공법은 다 좋은데 기전배관 하자 ㅈㄴ게 많습니다~ 결국 나중에 까대기해서 주차장 천정 누수생기죠
요즘 시멘트 자체가 모래가 아니라 자갈이 주임
선생님
저는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에요
호기심이 많은 편이라서
저런 아파트나 건축은 어떻게 지을까
늘 궁금했는데 영상을 보고
정말 많이 배우고 있어요
재밌습니다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대리석 쇠우기
동바리 기둥 세우는거 개힘들다 ㅜ
아파트 기둥에 H빔없이 철근만넣어서 콘크리트로 붓는다고?? 충격이네...
대부분 철근만 들어갑니다.
이런공법이 좋지만 이걸로인해 건설현장 노동자들은 그만큼 일자리가 줄어들고 그로인해 업체들은 내국인보다 외국인 고용을 더 우선시 하게되죠.
복합적인 문제입니다만 과학적이고 안정성을 보장받는 공법들이 나오고 일자리를 잃는건 건설근로자만의 문제는 아니지요
점점 자동화가 되어가니 숙명이 될 것이고 담합행태의 노조간부들과 연합들도 공급처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지요
그리고 피시공법으로 피시공장이 호황이라면 그분들이 일하시게 되는거니 저울로 재면 결국은 같은 자리입니다 항상 본인들만 생각하죠 이래서 건설노조는 무식하다는 겁니다 에센셜이나 해외노동자들이나 보고 배우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 건축법은 1도 모를텐데요
한가지 확실한건 높이 올라 갈 수록 약함.
후자가 안전해 보이긴 하네... 근대 과연 저렇게 건물지으면 건축비 감당 안될듯 상가 같은건 솔직히 대충 올리고 보자는 식 아님?
ㆍ언제나 재공부 한다 생각하고, 다시 보게 됩니다.
ㆍ고맙습니다. ^^
ㆍ시공 단가?ㆍ작업 일수?들도 생각해 봐야겠죠.
ㆍ시공사들 입장도 있을꺼구요.
요즘은 복합적으로 하는듯. 직접 현장에서 만들기도 하고 가져오기도하고
우리나라는 PC공법 아직 이릅니다. 개판...
일단 단열치기 개빡쎄고 구워나오는거라서 강도가 쓸데없이 너무높아. 그리고 단차를 못맞춤.
저걸로 전시에 아주 빠르게 군수보급기지를 짓고, 물자를 나르면 좋겠는데?
전기 박스 배관은 다 노출로 가나요?
PC 제작하면서 매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층 단독주택 지을때
단가차이가 많이 날까요?
빔공사랑 같은거임 현장 요건대로 변경이나 변수 특히 변수가 너무많음 그럼 빔은 산소절단이라도 되는됨 pc는 답도없음
Pc가 공기상 편하긴 한데 접합부가 약해질 가능성이랑 철근과다할수잇슴 개별로 설계하기엔 애매
후속공정 열라 많음
타설도 양생 개같이 해서 무너지는 판국인데 그거에 비하면 pc가 나을수도
건축은 잘 모르지만.. 철골 저것만으로 버티냐.? 어떻게든 버티기야 하겠지만.. 안전해보이진 않다.. 요즘.. 자재 철골 빼먹은 건설사들 졸라 많은데.. 돈은 돈데로 받으면서. 자제 빼돌려.. 주머니 채울 생각하지말고. 제발 좀 제대로 된.. 아파트. 건물을 좀 만들자…
조립이후 마감기술이 못따라주면 제일 안좋아요ㅡㅡ
예전에
고 정주영 회장이
조립식형 아파트 건설 할려고 했는데......
저렴하게
아파트 건설을 할수가 있었는데도....
반대하는 건설업체와 아파트 조합원들이 반대를 하는 바람에....
PC철근 몇개 빼면 모르겠네요
ㅎㅎ 다 압니다.
오른 인건비에 대한 대안으로 많으쓰는듯했으나....
pc가 어제오늘 처음 나온기술도아니고.....많이 안쓰는이유는뭐
ㅎㅎ 96년이전에 나온 공법이죠.. 내가 96년도에 알바하다가 알게된 공법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