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전망 총정리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3 апр 2024
  • ✅ '채부심'채널 구독자들이라면 이 책은 읽어야지!
    2024년 화제의 도서 [피크아웃 코리아] 출간!
    출산율 제로사회, 우리의 생존전략을 다뤄봅니다.
    예스24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링크
    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www.aladin.co.kr/m/mproduct.a...
    👉영상이 재밌었다면 우리채널을 후원해주세요! 커피한잔 가격도 채널에 큰 도움이 됩니다.
    / @chaeboosim
    👉 더 많은 인사이트,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naver.me/5R8DRmeA
    ✅ [네프콘] 채상욱의 아파트 가격&가치 연구소 구독하기
    naver.me/x9ct3yeH
    #주택 #아파트 #공급

Комментарии • 173

  • @doaya27
    @doaya27 Месяц назад +1

    늘 잘 챙겨보고있어요 화이팅!!

  • @user-xm7hc6ys3n
    @user-xm7hc6ys3n Месяц назад +58

    이 나라에서 이제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1986-1994]
    86년도의 은행 금리는 18%였다. 94년도까지 금리는 9.46%까지 인하되었고,
    이 시기에 전국 부동산가격지수는 상승하였습니다.
    [1994-1997]
    94년도부터 IMF 외환위기가 터진 97년까지 금리는 25.63%까지 상승하였으며
    이 시기에 전국 부동산가격지수는 하락하였습니다.
    [1998-2007]
    외환위기 이후 경기를 살리기 위해
    98년부터 07년까지 금리는 4~5%까지 획기적인 저금리가 유지되었고
    부동산 가격 상승이 완만하게 이루어졌습니다.
    [2008-2021]
    08년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함께 금융위기가 찾아왔고,
    금리는 기존의 5%에서 2%까지 인하되며 양적완화 정책, 무차별 현금 살포가 시작됩니다.
    그 이후로 10년이 넘게 1%대 초저금리가 유지되며 2018년부터 과열되는 시장을 잠재우기 위해 미국과 한국 대부분의 국가가 기준금리를 조금씩 올리는 찰나, 2019년 유례없는 코로나가 창궐, 다시금 세계 경제는 0% 금리, 무제한 양적완화를 실시합니다.
    경기 흐름에 맞게 금리를 올려야 할 시점에 금리를 내리는 현상이 20년이 넘게 쌓였고,
    그 결과, 세계 경제는 인류 역사에 있어 가장 악덕한 인플레이션 위기를 맞닥뜨렸죠.
    자산 가격은 폭등하고, 현금의 가치는 떨어졌습니다. 노동 의지는 꺾였고, 성실함과 근검절약의 정신을 가진 사람들은 벼락 거지가 되었고, 남의 돈으로 돈 먹고 돈 먹는 투기판이 되어버렸죠.
    [2022-2024]
    10%를 찍는 CPI에 연준은
    2022년 0.25%에서 5.5%까지 연속 10차례 금리 인상의 카드를 선보이게 되었죠.
    한국 또한 21년 8월부터 24년까지 3.5% 연속 금리 인상과 동결을 유지하고 있으며 22년, 23년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였습니다.
    우리는 모든 투자의 잣대가 되는 기준 금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 해야합니다.
    현재 금리는 물가에 따라 중앙은행이 조절을 하고 있고. 앞으로 금리의 향방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 파악할 수 있는 법.
    그렇다면 물가는 잡히고 있는가요?
    잡히고 있다면, 금리가 인하될 것이고
    물가가 다시 튄다면, 금리는 높은 상태로 동결되거나 인상될 것입니다. 24.4.10. 일주일 전 미국의 CPI 지수를 보면 ‘2%’ 목표 물가지수를 가지고 있는 연준 입장에서 ‘3.5%’ 물가 재상승을 확인했죠. 미국채 금리는 하루에 3%가 튀었고, 현재 FED WATCH는 하다못해 25BPS 금리 인상의 가능성마저 비추고 있습니다.
    다이먼 JP 모건 CEO는 군사 갈등과 지속적인 고유가로 인한 인플레 압력으로 미국 금리 8% 상승을 전망했고, 8% 금리 인상이 없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될 것이라 예측했죠.
    결국 금리를 올리지 않는다면,
    고금리뿐만 아니라 신용손실, 낮아진 비즈니스 규모, 더 어려운 시장을 초래할 것이라 내다봤습니다.
    여기서 한국물가를 봅시다.
    왜 미국 물가를 쳐다보냐고 묻는 혹자가 있을 수 있는데, 미국과 한국의 금리 역전 상황에서 미국의 물가 상승으로 미국금리가 올라간다면, 한국과 금리 역전 차이가 더 커지면서 미국으로 외화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같은 돈을 맡기는데,
    5.5% 이자를 주는 미국 달러 예금통장에 맡길까
    3.5% 이자를 주는 한국 원화 예금통장에 맡길까 생각해 보라)
    그리고 마지막느로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각합니다. 아니 심각이란 표현도 약한 정도의 멸망 수준이죠. 지금 동향에 출산율 1이상을 가정하는 통계에서도, 2072년, 지금으로부터 48년 후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절반이 됩니다.
    인구는 내년 5175만 명에서 3622만 명으로 -30% 인구가 사라지죠. 게다가 3622만 명 중에서도 반이 65세 노인이라는 이야기죠. 지금 한국 국민들의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등 비금융 자산이 80%를 차지합니다. 그 부동산을 차지하는 대다수는 50-60세대고. 베이비 부머 세대는 경제활동에서 이제 한걸음 물러나 은퇴하는 시기가 도래했습니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 비율로 65세 은퇴를 할 때 통계학적으로 노인들에게 남아있는 자산이라곤 부동산 자산 80%밖에 없다는 이야기.
    노인들은 이 하나뿐인 부동산을 팔아, 각종 연금 및 금융 자산으로의 전환을 통해 생활비를 마련해야 합니다. 실제로 나의 부모님도 하나뿐인 잠실에 있는 하나뿐인 집 팔고 현금화 하려고 하시는데 1년이 넘게 집 한번 보러오는 사람이 없는 현실이죠.
    오를 대로 오른 부동산 자산 가격을 30, 40세대들이 받아내기 버거운 상태. 저조차 세후 현재 1억4천만원 정도 연봉에 현금 4억을 모아둔 상태지만, 고향땅 잠실에 집하나 장만하기는 불가능, 죽을때쯤에 겨우 한채 마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 정부는 젊은 세대에게 대출을 늘려주고, 상환 기간도 50년 60년으로 늘려 미래의 빚을 끌어줄 수 있게 도와주고 지금 부동산의 오른 가격을 살 수 있게 지속적으로 도와주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30,40세대들은 이렇게라도 죽을 때까지 집을 마련할 수 있지만, 20세대들은 더 오른 가격의 부동산을 짊어질 수 있을까? 아마도 대출 상환 기간을 200년은 족히 늘리고, 0% 금리로 대출해 준다면 가능할 지도.
    인구구조 개선이 안된다면,
    결국
    대한민국의 부동산이 우상향에 의문을 가지게 됩니다.
    39세 이하 부동산 자산은 75% 금융자산 비중은 18% 불과하다. 50대보다도 낮아 '쏠림' 심각하고 부동산 침체 땐 노후 절벽 우려된다고 봅니다.
    5060세대 부자들은 대부분 부동산 투자로 성공했죠. 부모 세대의 경험은 3040세대로 이어져 ‘부동산 몰빵’을 더 심화시켰습니다. 퇴직연금을 비롯한 노후를 뒷받침할 재원을 헐어 부동산에 쏟아붓고 있다는 것. 하지만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와 부동산시장 둔화 영향으로 이들의 재산 증가율은 부모 세대에 크게 뒤지는 상태.
    자본주의가 태어난 역사적 이래
    금리 고점에서 피벗 하여 금리 인하가 되는 시기에 단 한 번도 자산 가격이 올라간 적이 없습니다.
    경제 흐름을 꼼꼼하게 체크합시다.
    CPI, PPI, Core CPI가 적어도 2%대로 안정되는 기간을 살피고, 그전까지는 절대 부동산 매매는 하지 않는 것이 추천되죠.
    전세는 2년의 계약기간 때문에 빠르고 긴밀한 경제 변화에 따른 대응이 불가능하므로 절대 비추천. 전세로 산다는 것은 나의 목돈을 집주인에게 투자비용으로 빌려주고 나의 투자 기회비용을 모두 잃는 것입니다. 무주택자라면 반드시 지방, 외곽의 가격이 낮은 월세로 시드를 불려가고 물가가 낮아지는 시기까지 금융자산으로 리밸런싱 해야 한다.
    부동산도 물론 장기적으로 우상향할테지만, 고금리 상황에 이자비용과 세금 손해가 훗날 물가가 정상으로 돌아왔을 때 다른 자산의 상승 비용폭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인구구조를 파악하면서, 출산율과 고령화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면 부동산보다는 금융 자산의 포지션을 늘려가며
    주식, 채권, 암호화폐, 리츠, 원자재 등으로 다변화시켜 노후자산을 대비해야 합니다.
    이 나라에서 이제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m.blog.naver.com/marcopolroh/223419955791

    • @ksjang9892
      @ksjang9892 Месяц назад +5

      냉철한 분석입니다

    • @JTKMAN-ke5di
      @JTKMAN-ke5di Месяц назад +1

      금융자산투자도 만만치가 않으니 방법 좀 알려주세요 ㅜ

    • @user-oc4hn8ff5y
      @user-oc4hn8ff5y Месяц назад +1

      그렇게 판단하면 파시면 됩니다 ㅎㅎㅎ

    • @kims_urano
      @kims_urano Месяц назад +5

      부동산은 이성의 영역이 아니라 광기의 영역이죠 ㅎㅎㅎ

    • @user-xm7hc6ys3n
      @user-xm7hc6ys3n Месяц назад

      @@user-oc4hn8ff5y 이미 제가 사는 집은 남겨두고, 한채는 팔고 금, 채권, 리츠, 나스닥, 암호화폐 분산투자했습니다.

  • @mute8566
    @mute8566 Месяц назад +2

    역시 퀼리티가 다른영상 잘봤습니다!!

  • @_honey1661
    @_honey1661 Месяц назад +1

    경제는 모르지만 우선 책은 사야할거같아서!! 책샀어요!! 화이팅입니다!

  • @abs71655
    @abs71655 Месяц назад +10

    믿고 보는 채부심 감사합니다!!!

  • @user-ep7tk4xi8o
    @user-ep7tk4xi8o Месяц назад +1

    이야기를 너무 잘하심...옆에 있으면 정말 유쾌하고 좋을듯 합니다...

  • @AbudaBlue
    @AbudaBlue Месяц назад +6

    자막있으몀 좋겟습니당 ㅋㅋ

  • @user-kd9ri4fk4r
    @user-kd9ri4fk4r Месяц назад +14

    부동산 유튜버 중 가장 편안하게 조용히 동영상을 볼 수 있어서 참 좋고, 응원합니다

  • @user-eo7bk7qo2j
    @user-eo7bk7qo2j Месяц назад +9

    감사합니다.

  • @user-gv4ju8sq9k
    @user-gv4ju8sq9k Месяц назад +21

    무주택 : 집값 떨어져도 안사고 올라도 안삼
    1채보유 : 오르던 떨어지던 변하는거 없음
    다주택 : 어떻게든 팔려고 기회보는중(집값이 오를거라고 믿고 싶음. 상급지 제외 안팔면 똥값되는거 확실)

    • @user-gb1pj8wz6r
      @user-gb1pj8wz6r Месяц назад +6

      이게 맞지. 무주택이 집사고 싶어서 안달난 것처럼 비하하지만 돈있는 무주택자 만나봤는데 집꾸미는것도, 안정적인것도, 한곳에 오래사는것도 싫어하고 무엇보다 주택가격에 대한 돈이 아깝다가 가장 강하고. 현물자산쪽 투자하고 있었고 마치 돈많아도 차에 관심없는거하고 비슷.

  • @user-fj1vo9pb3h
    @user-fj1vo9pb3h Месяц назад +30

    정말 정확한 분석!!
    역시 채상욱!!
    공급 상승론 주장하는 전문가는 걸러도 됩니다. 주택시장은 철저하게 수요자 중심이고 일단 민간에 자금이 있어야 하고 (수출이 잘되어서 시중에 돈이 잘 돌어야 함) 집에대한 투자수요가 붙어야 집값이 오릅니다. 몇 년안에 상승장 온다는 사람들은 그냥 걸러야 합니다.

  • @developerDD
    @developerDD Месяц назад +97

    단기 : 금리에 따라 달려있다
    1년 : 올해 경기에 달려있다.
    장기 : 나라 성장성에 달려있다.

    • @danaka_love
      @danaka_love Месяц назад +2

      이걸 총정리라 해야하나

    • @9-bz1ih
      @9-bz1ih Месяц назад

      @@danaka_love 컨닝..

    • @janehenry7758
      @janehenry7758 Месяц назад +1

      중장기적으론 힘들겠군요

    • @wlee5698
      @wlee5698 Месяц назад +2

      노동인구 감소 부양인구 증가
      이 나라는 장기적으로 답이 없음

    • @user-np5zm2yz5v
      @user-np5zm2yz5v Месяц назад

      부동산 지금 오른다는건 알고있었는데 이거보니까 확깨네 ㅋㅋㅋㅋㅋ

  • @il-dongyeo9045
    @il-dongyeo9045 Месяц назад +30

    집값이 가계부채와 인구감소 맞물리면 예외없이 하락했다는 데이터가 있씀 (기획재정부가 2012년 12월 발표한 '인구·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택시장 영향과 정책방향'에 따르면 일본과 미국, 영국, 스페인 등은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줄어드는 시점에 부동산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 @Chaneiur
      @Chaneiur Месяц назад +3

      최근 그 나라들 주택가격 동향은 보셨나요? 아무리 보고싶은 것만 본다지만 2012년을 보고 계시면 어떡해요.

    • @il-dongyeo9045
      @il-dongyeo9045 Месяц назад

      @@Chaneiur 동시대에 살고있다고 같이가는게 아니고 우린 앞서간 나라들의 전철을 밟고 살고 있어요. 일본은 1990년 이었고 스페인은 2008년 이었고 한국은 지금부터 입니다
      일본이 그나마 버틴건 준기축통화 덕이었고 스페인은 GDP가 한국에 추월당함. 우리는 스페인이 문제가 아니고 인도네시아보다 뒤쳐지게 될것임.

    • @ryanguhngukahn3638
      @ryanguhngukahn3638 Месяц назад +3

      문해력은 정말 지능과 비례하는 건가?😅

  • @user-lx6jj6xs2v
    @user-lx6jj6xs2v Месяц назад +8

    열심하시는 모습이 멋져요❤❤❤

  • @user-zp1tk2hx7x
    @user-zp1tk2hx7x Месяц назад +2

    똑똑이^^

  • @user-jh5yt6ye1b
    @user-jh5yt6ye1b Месяц назад

    진짜 내용 너무 좋다. 단기적으로 금리, 1년으로는 경기, 중장기적으로는 국가성장성.

  • @user-qk7ks8js8d
    @user-qk7ks8js8d Месяц назад +7

    주택시장 참가자들도 점점 스마트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집만 바라보다가 살림살이도 보게 되고 국가 경제, 나아가서 세계경제도 보고. 주택 매입 여부를 고려하는 데 있어 미국 연준 회의까지 참고하는 나라가 있을까요. 주택시장이 안정된다는 것의 의미는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냥 필요하면 사고 필요없으면 파는 상태가 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 @jiyeonlee6835
    @jiyeonlee6835 Месяц назад

    매우 심도 있는 분석!

  • @user-yp3cl9zb1l
    @user-yp3cl9zb1l Месяц назад +2

    과연 총선도 끝나겠다 집값 추이 누구 말이 맞는지 확인 할 수 있을 거 같아 기대됩니다 ❤

  • @kay203
    @kay203 Месяц назад +28

    장기적으론 올라갈 길이 없다 서울 최상급지 몇군데 빼고는. 단기적으로야 가짜반등은 좀 있겠지

    • @user-oy7iu9yh8r
      @user-oy7iu9yh8r Месяц назад +3

      동감이요

    • @user-qe5vo3yx6o
      @user-qe5vo3yx6o Месяц назад +1

      물가상승률정도는 반영할겁니다. 다만 그 이상의 상승은 절대 없을것이므로 부동산 이외의 다른 유형의 자산이 훨씬 더 가치높겠죠.

    • @masterkara
      @masterkara Месяц назад +2

      주요 경기도 역세권도 강세 일듯 합니다.
      분당 판교 수지 동탄 광교 남부권 중심

    • @punos78
      @punos78 Месяц назад +1

      최상급지는 이미회복돼서 저가 신축이 더 가격 오를듯

  • @serge.lee1219
    @serge.lee1219 Месяц назад

    부동산이 인구, 공급보다는 총통화량과 m2통화량에 의해 움직여진다고 생각하는 투자자입니다. 총통화량은 자본주의 시스템이 유지되는 한 계속 증가할 것이고 M2의 경우도 금리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부분이 있으나 현재 M2대비 서울경기의 주택매매지수는 20 21년 고평가구간을 지나 22년말23년초부터 저평가 구간에 진입해있는 상태인데요. 수도권 매수는 단기 금리에 의해서 일시 M2통화량의 하락의 가능성도 있겠지만 2년 이후(비과세시점)를 생각한다면 비교적 안전한 구간에 진입해있지 않나 생각되는데 이 관점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몰론 순환장세가 이뤄질만큼 수요가 없어서 개별물건마다 하락률이 다르기에 각 물건마다 조심해서 접근해야하는 부분은 있겠습니다만요!)

  • @LPark-dl4ur
    @LPark-dl4ur Месяц назад +1

    2020 2021년에 풀린 과도한 부채를 녹이려는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는 느낌입니다. 😊

  • @Lucas-gz8sy
    @Lucas-gz8sy Месяц назад +3

    사람들이 왜 주택가격이 지금 오르고 있냐고 하는데 제 분석 요인 이야기 해 봅니다.
    1. 지난 코로나 시국 3년동안 결혼 인구가 급감하였고 이들은 대기수요가 됨.
    2. 결혼 대기수요가 코로나 거리두기가 끝난 시점부터 결혼식장 예약을 시작 함. (실제 현재 웨딩업계 대 호황 중 임)
    3. 결혼예식은 보통 9개월~1년전에 예약을 하게 됨.
    4. 그들이 예식을 하는게 그게 작년 말에서 올해구간임
    5. 결혼은 분가이고 주거공간을 요구하는 일 임.
    6. 이들이 눈물을 머금고 주택을 거래하는 상황 임.
    7. 추가로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과 달리 말만 건전재정이고, 수익을 거둔자에게 세금을 줄여주면서 부족한 세수를 통화량을 늘려서 채우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가속화 하고 있기도 함.
    그렇기에 이들 수요가 끝나면 다시 저항이 걸릴 것으로 보임.

  • @daewoonkim671
    @daewoonkim671 Месяц назад +18

    채부심 5초 요약 오졌다리

  • @etce117
    @etce117 Месяц назад +3

    주변에 오른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전부 다주택자들임.

  •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Месяц назад +1

    달러를 사야 할까요....??(한 번도 안 사봐서 불안.... 🥺🥺)

  • @user-wh2yz5zg2l
    @user-wh2yz5zg2l Месяц назад +5

    잘 들었습니다. 중장기 관점은 배문성 이사님 언급과도 동일한 의견 같습니다~ 결국 경제와 개개인의 소득수준이 올라가야…. 수요세가 늘고 집값 상승이 가능함. 반대로, 대체 그놈의 단순논리, 오로지 공급론ㅋㅋ 그 논리였으면 2018년엔 주택 가격이 폭락했어야지

  • @Mukorita
    @Mukorita Месяц назад +14

    저도 부동산 떨어질거라 보지만 한국 부동산 불패신화는 꺼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듯하네요. 결국 심리싸움이니.

  • @kevinjang142
    @kevinjang142 Месяц назад +13

    결국 정부에서 부동산에 유동성 공급을 어느 수준까지 허용해주느냐에 따라 결정되지 싶습니다.

    • @user-pj7yo8bm7u
      @user-pj7yo8bm7u Месяц назад

      HUG가 부도날 판이라... 지금 정부에서 돈이 없어서 위태위태한거 같습니다. 현 정권 내에서 금융사고 터지기 시작하면, 다음 대선때 100% 패하기 때문에, 가계든 기업이든 대출 나가는거 엄격하게 통제 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유동성 더 푸는거 쉽지 않아요~

  •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Месяц назад

    전세 대출 받을 때, '임대인'이 보증인이 되면 안 되나요?

  • @Trmn-si7qn
    @Trmn-si7qn Месяц назад +2

    3월이 지나 4월도 끝인데 2월 데이터로 ㅠㅜ 분석하시면 어째요. 3월 서울 거래량 4천건 넘어 가는 것 같더라고요. 아리하 한강조망이 26억으로 전고점 넘고… 상승이 마용성까지 바톤을 이은 것 같아요. 이제 그 다음 단계인 마곡 상암 같은 아랫급지들도 슬슬 움직이는 것 같구요.

  • @user-ln1tr5xy8s
    @user-ln1tr5xy8s Месяц назад +2

    곳곳에서 공사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는데
    당장 지방 청약보면 국평 3~5억대 분양하는 곳이 많던데 이것은 어떻게 설명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지가 차이는 있겠지만)
    그들 논리대로라면 지방은 싼 자재로 짓나요???
    공사비가 오른 부분도 있지만 지방이라도 3~5억대 공급이 가능한 것을 보면 고분양가인 곳은 이윤을 많이 남겨서 그런 것인가요

    • @peter.p.
      @peter.p. Месяц назад

      손해를 보고 파는거죠 특히 이미 삽뜬 사업은 더더욱

    • @user-cv9bv8zg5g
      @user-cv9bv8zg5g Месяц назад

      공사비에 땅값도 들어가는거 아녀?

  • @user-qe8ov7dy9m
    @user-qe8ov7dy9m Месяц назад +19

    ❤❤❤❤❤❤
    채부심!!!똑똑한 남자라 긍가
    잘생겨 보이는데
    착시현상 인가? ㅋㅋ

  • @victorkim2954
    @victorkim2954 Месяц назад +1

    의식주는 노동비를 올리고 노동비는 다시 의식주를 올릴뿐이지.

  • @user-yy3qr7uz9e
    @user-yy3qr7uz9e Месяц назад

    건설원가 인상분 매매가 반영이 언제쯤 영향을 줄까요?

  • @user-pk6jl7rn3x
    @user-pk6jl7rn3x Месяц назад

    나라별 주택가격 지수같은거 볼라면 어디서 보나요 ?

  • @user-nd4yk7vi4h
    @user-nd4yk7vi4h Месяц назад

    감사합니다.. 1분기 마감을 하네요..

  • @mjf244
    @mjf244 Месяц назад

    매수한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보유하게 됩니다.
    근데 무식한 것들은 단기간에 자기꺼는 비싸게 팔고 딴거는 싸게 사서 갈아타면 된다고 믿는 것들이 있죠..
    그런 것들은 제외하고.. 일반적인 경우를 분석해주신다면..
    10년, 20년후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인구감소를 남의 일인 듯 전망하는 분석가들이 많아서요.
    지금 10억주고 산 아파트가 20년후에 15억 20억에 팔아 부를 축적하고 노년에 편히 살 수 있을거라고 착각하는 호구들이 많아서요.
    인구감소를 어떻게 보시나요?

  • @user-ez1mx9le7h
    @user-ez1mx9le7h Месяц назад +13

    인플레이션이 심하기 때문에 명목가격이 지금보다 떨어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또한 정부가 최소한 명목가격 유지를 희망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user-gy1up4lm5n
    @user-gy1up4lm5n Месяц назад

    특례보금자리, 신생아 대출 등 40조를 풀었어요. 1조만
    풀어도 오르는데…
    그런데도ㅡ지금 정체죠.
    산이ㅡ깊을수록 골이 깊어요

    • @Lucas-gz8sy
      @Lucas-gz8sy Месяц назад +1

      문젠 이걸 돈을 찍어서 품. 이게 가장 문제.

  • @quoiquedon7002
    @quoiquedon7002 Месяц назад

    스페인의 사례는 적확한 비교 대상인 것 같습니다

  • @user-hd2wk1jz1l
    @user-hd2wk1jz1l Месяц назад

    상욱이형 텔레그램 형채널 고정시키면 바로찾을수있잖여유...ㅠ 사진은 딸이여유?

  • @user-wz4ul1gk4l
    @user-wz4ul1gk4l Месяц назад

    14:40

  • @sirung22
    @sirung22 Месяц назад +7

    수치가 별로 공감이 안되요.. 부산인데,, 사람들이 좋아하는 중상급지는 2017대비 1.5~2배는 되거든요.....

  • @user-gs1ym7dy1t
    @user-gs1ym7dy1t Месяц назад +3

    건축비 분양가가 저리 높은데 서울 아파트가 내려갈 수 있을까요?

    • @user-xd8gd6jj2q
      @user-xd8gd6jj2q Месяц назад

      몇년사이 건설단가 30~50%올랐다는데 똑같진 않더라도 키맞추기는할듯
      공사중신축과2~3년전건설한아파트키맞추기 파동,물가상승승률과 지가상승률 파동이 언제 교차할지는 모르지만....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Месяц назад +5

      땅값이 떨어지면 되죠

    • @Lucas-gz8sy
      @Lucas-gz8sy Месяц назад

      너무 높다보니 결국 집이 안전진단 D미만을 받는순간 갑자기 주택가격이 0원이 되는셈이 되어요. 강제퇴거해야하니까... 근데 재건축 비용이 올라서 지어올리지 못할정도가 된다면 어케될까요? ㅎㅎ

  • @Findthehiddenhamster
    @Findthehiddenhamster Месяц назад

    🍀🍀

  • @user-gy1up4lm5n
    @user-gy1up4lm5n Месяц назад +1

    우리나라 집값이 비트코인 수준.

  • @user-du9km4hn6u
    @user-du9km4hn6u Месяц назад

    2등 ?

  • @grandemalipnida
    @grandemalipnida Месяц назад +1

    이공계 푸대접 할 때부터 국가성장성은 빠이빠이...ㅠ

  • @motione1843
    @motione1843 Месяц назад +3

    서을 집값은 비트코인과 같음. 관점에 따라 전망이 다름. 지방 소도시 30평 2-3억이면 깨끗한 신축 아파트 널려있음. 서울에서 전세살다 은퇴 후 현금 저측하고 이자빋으면서 맘편히 걱정없이 사는게 최고임.

  • @user-dz8zo5rj4s
    @user-dz8zo5rj4s Месяц назад +5

    집값이 폭등해 지금 가격대를 유지한게 5년쯤 됐네요. 정박효과라는 강력한 인간심리가 있지요? 이젠 서울기준 25평 새아파트는 최저 10억이 이상하지 않아요. 폭등한 가격에 우리가 적응이 된거죠. 한번 오른 물건값은 절대 되돌아 가지 않는다는 법칙 아닌 법칙이지요. 이 적응된 상황에 공급에 조금이라도 차질이 있거나 유동성이 늘거나 하면 상식으론 이해가 안되는 투기판이 또 펼쳐질겁니다.

    • @peter.p.
      @peter.p. Месяц назад

      오히려 생각보다 논리적인 가격변동입니다. 생각해보세요. 지방 광역시 한번이라도 가보신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인구 줄줄 새고있는 곳들도 아파트만 여기저기 대책없이 짓고있을 정도로 서울 밖 여기저기 다 오르고 있던게 그동안의 상황이었습니다. 지금 지방 시장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상황인데 그럼 거기서 엑시트한 돈은 전부 증발하는게 아니라 어디론가 이동하게 되겠죠. 그 돈이 부동산 불패신화 서울로 올라오면서 서울은 앞으로 더 오르게 되는겁니다.

    • @user-pp1sq1ig3l
      @user-pp1sq1ig3l Месяц назад +1

      그 투기판도 지금 가격보다 떨어져야 일어날 수 있습니다.

    • @user-ur4pn1ry9h
      @user-ur4pn1ry9h Месяц назад

      건축자재업에서 일하고 있는디..이건비 원자재값 금리가 많이 올라가서 지금 원투룸 빌라 공사가 없음..진짜 없음..평당 300이면 ㄱ할거 600이상은 되야 하니....제가 볼때는 분양가도 올라가고 집값 다시 올라 간다고봄..

    • @sjk8544
      @sjk8544 Месяц назад

      금리 성장성 에 달렸다니까

  • @caffeine_
    @caffeine_ Месяц назад

    20억짜리 지금 들어가서 30억에 팔 수 있을 것 같냐???? 만약 그 때가 온다면 대파 한단에 5만원일거다

  • @ryanmckane9810
    @ryanmckane9810 Месяц назад +5

    집값 계속 오르는 중...실거래가...
    등기 일하면서 느끼고 있음. 전세가격도 오르는 중.
    나도 갈아타기 못해서 걱정이 많음.. 괜히 겁먹고 지르지 못해서...

  • @user-dt5sq7bq1l
    @user-dt5sq7bq1l Месяц назад

  • @woorhampark3686
    @woorhampark3686 Месяц назад +2

    서울 강남 송파 등은 3월 4 월 다 오르는 거 같아요..

  • @user-pv2bk1vm5q
    @user-pv2bk1vm5q Месяц назад +1

    갠적으로 경제성장
    중국의 4대용이라는 값싼 제품~~
    우리나라 제조업 피해 어느정도 커질것인지~
    삼성전자 반도체
    도전자 일본과 중국 반도체 몇년안에
    기술력~~
    후자 서민 부채 감당이 아디까지,
    저출산

  • @user-wr3yh1
    @user-wr3yh1 Месяц назад +5

    둔촌주공 11월에 1만2천가구 공급 폭탄 터집니다.
    조만간 2차 폭락 옵니다.

  • @KOR_J.H
    @KOR_J.H Месяц назад +1

    이거보고 경제한방 보러가야즤~ 거기도 채상욱이 떳다구~

  • @analyzerx
    @analyzerx Месяц назад +2

    통계 분석의 오류라고 봅니다. 한국은 서울과 수도권일부지역 그리고 지방을 분리해서 통계를 봐야 합니다. 한국을 전체 지역 통계로 보면 올바른 판단을 못내리십니다.

  • @spacegirls3964
    @spacegirls3964 Месяц назад

    대구 수성구 상승장입니다

  • @user-zp4ui9wo3e
    @user-zp4ui9wo3e Месяц назад

    하락주장할라고 딴나라 사례를 공급3000호 하면 내기할까요 안오르는지. 극하락논자. 유튜브로 돈벌라고. 사실을 알려주는게 양심상 낫지않을지

  • @user-sj7dw3zi6d
    @user-sj7dw3zi6d Месяц назад

    돈 없다고 지방 아파트 사라는 사람이 제일 양아치임. 차라리 서울에서 안전한 월세를 살고 말지.

  • @NewYork7914
    @NewYork7914 Месяц назад +5

    대한민국은 집값만 안정되면 세계에서 제일 살기 좋은 나라임 ㅡ 교육 수준 높고, 대중교통 끝내주고, 깨끗하고, 공공 도덕 수준 높고, 세계화 빠르고, 길거리 거지없고, IQ 높고, 눈치 빠르고, 미남/미녀 많고..
    적고보니, 이래서 집값이 금값이구나😅

    • @beajinsu
      @beajinsu Месяц назад

      미남 미녀??

  • @GaeEuiSaMang
    @GaeEuiSaMang Месяц назад +2

    무주택포지션은 주택시장 short이지. 해당되는 분이시라 bias감안하고 다들 보시길

    • @user-fp2dk6fd1o
      @user-fp2dk6fd1o Месяц назад +10

      ㅋㅋㅋㅋ 댓글로 있어보이기위해 애쓰시네..

    • @bowankim4185
      @bowankim4185 Месяц назад +4

      숏은 전세지 무주택은 걍 돈이없는건디..

    • @user-ve3hr7we2y
      @user-ve3hr7we2y Месяц назад +5

      ​@@bowankim4185무주택자가 돈이 없다고 생각하세요?ㅋㅋㅋ

    • @user-hm1ke3kj9m
      @user-hm1ke3kj9m Месяц назад +2

      내 아파트 월세로 들어온 사람 의사 부부던대???

    • @user-in5dv5um4g
      @user-in5dv5um4g Месяц назад

      ​@@bowankim4185
      무주택도 계획이 있어 현금 들고 있는 사람도 있어요

  • @rolleiholic
    @rolleiholic Месяц назад +77

    지금 전부집값오르고있다는데 틀리신거아닐까 걱정입니다..

    • @song2sexy
      @song2sexy Месяц назад +32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b92840055
      @b92840055 Месяц назад +98

      ㅎㅎ 틀리면 어떻고 맞으면 어떻습니까??
      불안한건 본인 마음이 아니신지 ~

    • @realstar7046
      @realstar7046 Месяц назад +70

      집값 오른다는 사람들 별로 없던데..

    • @nonnonno-sx5mk
      @nonnonno-sx5mk Месяц назад +69

      오를수가 있는 경제상황이 아님. 구조조정 시즌인데 지금 오른다는 곳들 상위소득자들 사는 곳 아니면 개노답인 상황

    • @nonnonno-sx5mk
      @nonnonno-sx5mk Месяц назад +54

      애초에 전세가 오르니까 과거 논리 가져와서 자~~갭투자 시즌 왔어요 이제 오를겁니다 이러는 꼴인데 그냥 경제문외한이 봐도 한국 상태 안좋음

  • @82harajuki
    @82harajuki Месяц назад +23

    숏포지션 잡으시고 아전인수로 해석하시는듯

    • @user-ve3hr7we2y
      @user-ve3hr7we2y Месяц назад +6

      각자의 뷰로 보는거지요 오를꺼 같으면 사시 떨어질꺼 같으면 파시고 다른 사람은 어떤 생각 하는지 참고만 하세요~

    • @paulhwang6622
      @paulhwang6622 Месяц назад +8

      댓글보면 한결같네 ㅋㅋ

    • @user-rp8wl3gr5j
      @user-rp8wl3gr5j Месяц назад +4

      본인은 부자가 되셨는지 궁금하네요

    • @Graphite19731
      @Graphite19731 Месяц назад +2

      롱포지션 잡으시고 아전인수로 해석하시는듯

    • @user-uc7yd9vm6s
      @user-uc7yd9vm6s Месяц назад

      그런 뉘양스가 상당 있죠 ㅎㅎ😂

  • @jackchris8265
    @jackchris8265 Месяц назад +3

    선대인 후속모델 탄생

  • @user-dt5sq7bq1l
    @user-dt5sq7bq1l Месяц наза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