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주택시장은 한국보다 헬이었구나 | 이 모든 것은 자산에서 시작되었다 | 채부심북스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4 апр 2024
  • 👉 이 내용은 아래 텍스트로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naver.me/GJE2Vc4A
    ✅ [네프콘] 채상욱의 아파트 가격&가치 연구소 구독하기
    naver.me/x9ct3yeH
    ✅ '채부심'채널 구독자들이라면 이 책은 읽어야지!
    2024년 화제의 도서 [피크아웃 코리아] 출간!
    출산율 제로사회, 우리의 생존전략을 다뤄봅니다.
    예스24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링크
    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www.aladin.co.kr/m/mproduct.a...
    👉영상이 재밌었다면 우리채널을 후원해주세요! 커피한잔 가격도 채널에 큰 도움이 됩니다.
    / @chaeboosim

Комментарии • 374

  • @chaeboosim
    @chaeboosim  Месяц назад +33

    영상 보시고 의견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Месяц назад +1

      1)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즐비한 한국과는 무관한 얘기. 한국은 재산권이 보장되어 있지 않은 국가이고 저소득층 중위 소득층의 정치권력이 막강하므로 부동산 자산으로 계급이 나뉘게 될 가능성이 없음. 2) 자산으로 계급이 나뉜 이유는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인데 지금 한국에선 둘 다 없음 3) 이런 썰들도 결국 유행을 타는 것이고, 사실은 이 유행마저 지나고 있음. 이 책은 이미 시대에 뒤떨어져 있음

    • @minoh3133
      @minoh3133 Месяц назад

      호주 살아보지도 않는사람들이 말이 많은법이지

  • @user-cz7cu8dl5k
    @user-cz7cu8dl5k Месяц назад +28

    고의적으로 인플레 발생시키고 자산가격 부풀리기 이게 기득권이 하는 패턴입니다 그래야 사람을 다루기 쉬워지니까 저출산은 현명한 결과의 산물입니다

    •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28 дней назад

      현대경제학의 주류는 시카고대학에서 나왔죠. 누가 여기에 투자를 하는지 알면 답나옴.
      우리는 무지 무능해서 가난한게 아니라,제도적으로 착취하는 자들이 있기에 가난한 거심.

  • @user-my6ip9dx4x
    @user-my6ip9dx4x Месяц назад +75

    한국젊은이들 똑똑해...이 모든 걸 예상하고 출산율이 떨어지는 걸 보니..

  • @Forster45
    @Forster45 Месяц назад +21

    호주 교민입니다. 많이 공감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호주가 한국보단 조금 더 기회가 있지 않나 합니다. 그리고 제가 살고 있는 멜번.. 세계적으로 살기 좋다고 꼽히지만 한국 서울보다 부동산 저렴하다고 느껴집니다. 무엇보다 이민자인 제가 다주택자가 될 수 있는 호주..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klee06able
      @klee06able Месяц назад

      경매… 살벌하던데요

  • @Aussie_Army
    @Aussie_Army Месяц назад +88

    10년대 초반부터 워낙 이민자나 유학생이나 죄다 늘어나서 호주 대도시 권역의 단독주택이 많이 올랐죠. 다만 호주는 세계에서 엔트리 시급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기도 하고, 여전히 미국 영국 등에 비해 지니계수도 양호한 편이고, 1인당 gdp 대비 양육비가 프랑스와 더불어 선진국 중에서 가장 낮은 편에 속하는 나라이기도 하고, 워낙 사회 자체가 가족주의적이고 여유로운만큼 아직도 여전히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살기 좋은 나라라고 개인적으론 생각합니다.
    호주뿐 아니라 영국 워킹클래스들의 자부심 같은 걸 볼때도 느끼지만 전체적인 서구권 국가들과 한국과의 차이라면 결국 사회적 계급의 차이를 받아들이되 그 계급 자체가 단순히 피라미드식 우열 관계, 너와 나의 '급 차이'를 나누는 시스템이 아닌 사회 구성원 개인마다를 구성하고 있는 정체성으로 정의되는 사회이기도 하고, 사람들도 그만큼 남에 엄청난 관심은 없다보니 스스로 본인의 자리에서 얻을 수 있는 행복을 누리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이는게 아닐까 싶어요. 무조건적인 계급 상승 욕구가 분명 한국인들보다 덜한 느낌..

    • @jdp7151
      @jdp7151 Месяц назад +15

      한국은 계급간 무시와 갑질이 심해서 그렇습니다

    • @bayesianlee6447
      @bayesianlee6447 Месяц назад +6

      ㅇㅇ 호주는 지하자원이 많은 나라라, 그냥 자국민 두뇌력 하나로 굴러가는 한국이랑 차원이 다름 괜히 우리만 출산율 0.65가 아님

    • @user-ih6db3xn3h
      @user-ih6db3xn3h Месяц назад +3

      시급 높긴하지만 세금과 공공요금도 그만큼 높아 전체적 밸런스는 비슷해 보입니다. 결국은 이민사회로 정착된 문화이기에 타인에 관심이 덜할수 있어보입니다. 단순 비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것 같아요

    • @jdp7151
      @jdp7151 Месяц назад +1

      @@user-ss2pi2mm9n 궁금한게 있습니다만 로얄 클라스는 다 돈이 많은가요? 걔네 중에서도 가난해지거나 몰락하는 경우가 있지 않을까요? 워킹클라스 보다 더 험한 일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긴 있을거 같은데요, 반면에 워킹클라스 중에서도 부를 많이 축적한 사람은 로얄 클라스보다 더 로얄같이 사는 사람도 있을거 같고요

    • @jdp7151
      @jdp7151 Месяц назад +1

      @@user-ss2pi2mm9n 저도 그리생각해봤지만 아무래도 경제적 상황에따라 행동 양식 , 격식도 이에 따라갈거 같아서요 아무리 로얄 계층이라도 경제적상황이 안좋다면 주변에 아쉬운소리 한번 더 해야하고, 로얄 수준의 교육기회 및 사고방식이 자녀에게 계속 전수되기 어려울거 같아서요.

  • @kay203
    @kay203 Месяц назад +55

    자산이 신분제라는 말 동의합니다. 이제는 정말 특수한 (상위 1% 이내)의 재능이 아니면 부모가 준 격차를 좁힐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죠. 사실 지난 몇십년간이 예외적이고, 인류는 항상 이래왔긴 했지만...ㅠㅠ

    • @user-rs9su5jo6r
      @user-rs9su5jo6r 28 дней назад

      예전에는 여자들이 교육을 못받아서 가난한 집안에서도 천재가 나올수 있었는데, 요즘은 DNA도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서 결혼을 하니까 자산 물려주는 부모가 재능도 같이 물려줍니다. 예외는 있지만 점점 드물어지죠.

  • @taeshimdavid6535
    @taeshimdavid6535 Месяц назад +28

    금융쪽에 있는데
    저같은 금리와 투자 세금 전문가들이
    그자식들의 부의 대물림을 위해 일해주죠
    돈이 없는 계급들은 지식도 없고 도와줄 사람도 없고
    최고 학부나와서 좋은 직장들어가 뼈 빠지게 임원달아도 강남아파트 가기 힘들어요

  • @user-ih6db3xn3h
    @user-ih6db3xn3h Месяц назад +6

    시드니에 3년째 살고 있는데요. 임차인입니다ㅋ 그런데 현재 호주 상황 정확하다고 생각해요. 자기자본 없이 이민은 꿈도 꾸지마세요. 호주는 상속 증여세도 없어서 격차는 더 심해질수밖에 없어요

  • @user-lh6jc8xi7x
    @user-lh6jc8xi7x Месяц назад +29

    성장으로 이뤄진 자산이냐, 빚으로 이뤄진 자산이냐에 따라 내•외부 충격에 달라 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내•외부 충격이 왔을 때 계층간 이동도 일어 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rorykim974
      @rorykim974 20 дней назад +1

      오 이건 진짜 그렇네요

  • @Beyourself72880
    @Beyourself72880 Месяц назад +2

    멀리서 호주 소식보니 반갑네요. 시드니에 사는 교민으로써 위 내용에 엄청 공감 됩니다.
    호주중에서도 특히 시드니 부동산 시장은 말 그대로 헬 입니다. 말씀 하신대로 그리고 책의 내용처럼..
    1. 언급된 최상위계층, 상위계층까지 집중된 부동산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투자 세금 혜택 및 부동산 혜택 몰빵 수준. 기득권층에 집중된 부동산 정책.
    2. 인플레이션으로 건설사들 줄도산에 주택 건설 비용 상승 그리고 게으른 각 지자체 카운슬 승인 체계로 주택 승인 프로세스 심각 지연 등등이 공급 차질에 영향. 공급 심각히 부족.
    3. 반면에 폭발적 수요. 23년의 경우 순 이민자만 60만명 넘어서며, 이민자들 캐쉬들고 이민하여 올캐쉬로 구매하는 경우도 빈번하고 FOMO로 급해진 구매자들이 줄을 섬. 인도, 중국, 대만, 홍콩, 유럽, 러시아 등 국제정세가 복잡한 요즘 폭발적 이민으로 이어지고 미친 수요로 이어짐.
    4. 양극화 지속 심각해지고 있으며, 노동 수익으로는 가장 인기많은 시드니 주택 구매는 사실상 쉽지 않은 수준. 호주의 아파트는 한국으로 치면 빌라의 주거 형태인데 구매 쉽게 가능하나, 부동산으로 차익을 보기는 쉽지 않은 비인기 주거형태임. 여기서 양극화 및 보이지 않는 계급 사회 형성.
    5. 다만 한인 교민들 한국의 빡센 부동산 시장에서 넘어와서 다들 집 여럿채 보유하며 기득권에 속한 교민들도 많으나, 현실적으로 신규로 진입하는 이민자들, 교민들은 쉽지 않은 환경임. 앞으로도 쉽지 않음.
    누군가에게는 호주 부동산은 ‘헬’ 이고 누군가에게는 한국보다 좋은 ’천국‘ 임.

  • @ym3707
    @ym3707 Месяц назад +41

    무서운 얘기네요~~ ㅎㄷㄷㄷ
    우리 아이들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휴~~

    • @Wklcugehdj
      @Wklcugehdj Месяц назад

      안낳으면 걱정 할 필요도 없죠

  • @user-ci5ie1ux9b
    @user-ci5ie1ux9b Месяц назад +4

    매번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다음영상도 기다려집니다!^^

  • @119a
    @119a Месяц наза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heavenlee416
    @heavenlee416 Месяц назад

    유튜브 열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user-bc6ql5zm7i
    @user-bc6ql5zm7i Месяц назад +3

    채부심북스 너무 좋아요. 계속 읽고있어요^^

  • @bjh7332
    @bjh7332 Месяц назад +6

    선좋아요 선댓글 후감상!

  • @user-pq5zf3po7o
    @user-pq5zf3po7o Месяц назад +11

    와..소름돋네요.!
    감사합니다~

  • @popchu3539
    @popchu3539 Месяц назад

    너무유익합니다.

  • @user-yr3vu3of5b
    @user-yr3vu3of5b Месяц назад +1

    인트로듣고 좋아요 누르고 듣습니다~
    늘 감사히 듣고있습니다.

  • @user-qs1eo7xh6p
    @user-qs1eo7xh6p Месяц назад +1

    공감 되는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hw3pc3xc8v
    @user-hw3pc3xc8v Месяц назад +36

    이 책을 알기 전에 깨달았는데.. .자산으로 이 사회가 계급사회로 되었다는걸! . . .
    그래서 .. 요즘 젊은이들 애 안낳는걸 선택한 것을 현명하다고 생각했네요..
    누구를 위해서...

  • @user-nd4yk7vi4h
    @user-nd4yk7vi4h Месяц назад

    감으로 느끼고 있었는데 책을 접하니 생각이 명징해집니다
    감사드립니다

  • @m_visual_school
    @m_visual_school Месяц назад +5

    진짜존경🎉

  • @user-wm4nx8em7k
    @user-wm4nx8em7k Месяц назад +8

    진짜 이번 영상은 돈주고 봐야할 정도로 많은 것을 배우네요🙏🏻정말 감사합니다

  • @jhg851
    @jhg851 Месяц назад

    좋은책과 정보 시대의흐름에 대한 설명까지 잘 보고 느끼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Месяц назад +9

    호주랑 한국만 그럴까요? 어느 나라든지간에 대출이 없는데 다주택자는 다 상급입니다. 이 세상에 제일 비싼게 집이니까요.

  • @user-oc1hh8kenxi2
    @user-oc1hh8kenxi2 Месяц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 @chaeboosim
      @chaeboosim  Месяц назад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db8jy1dz3g
    @user-db8jy1dz3g Месяц назад

    매우 좋은 정보이다.

  • @Muscle_Flower
    @Muscle_Flower Месяц назад

    채부심북스 너무 재밌어요 모르던 책을 살 수 있어 참 기쁩니다 ㅎㅎ

  • @ginapark9664
    @ginapark9664 Месяц назад

    참, 채부심 호주에서 열심히 시청하고 있고, 항상 퀄리티 있는 컨텐츠 만들어주셔서 감사히 생각합니다.

  • @uesr-a8vn3z0coj
    @uesr-a8vn3z0coj Месяц назад +35

    이건 뭐.. 중세시대 농노랑 똑같네요.
    일자리 얻으려면 도시로 갈 수 밖에 없고 임대료로 소득의 상당 부분을 내는 게 소작농이네요.
    자식에게 세금 없이 물려주는 걸 보면 중세 봉건제랑 똑같고. 계급 시대 맞네요.

  • @kim-vm8zo
    @kim-vm8zo Месяц назад +2

    늘 막연히 느껴왔지만 논리적으로 정리할수 없던 내용이 책으로 나와있었다니...ㅠㅠ 역시 사람은 많이 배우고 끝없이 공부해야하네요.... 늘 어려운 내용도 넘 쉽게 풀어주시고 감사합니다....

  • @leesunwu5025
    @leesunwu5025 Месяц назад +4

    한국도 꽤 전부터 아이들의 성적+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1.조부모의 경제력 , 2.부모의 경제력이 되었죠.
    저렇게 유아~성인 시절까지 돈으로 발라서 키워지고 거기에 다시 상속으로 얹어지니까 동수저나 그 이하의 집에서는 그냥 깔끔하게 혼자 살다 가는 것이 최선이 되어 버린 한국 사회.
    호주는 그나마 최저 시급도 한국의 2배 정도이고 무엇보다도 엄청난 복지의 선진국 입니다.

  • @skpark4619
    @skpark4619 Месяц назад +1

    땡큐땡큐,,,

  • @DOOBOO1127
    @DOOBOO1127 Месяц назад +3

    세상 특히 경제를 모르면 바보나 거지로 살게되겠어요.
    ㅎㄷㄷ 책소개 감사합니다.

  • @user-qp5ij9gk2r
    @user-qp5ij9gk2r Месяц назад +61

    그냥 한국 싱크로율 100%. 서울 국평 10억이 말이 되나요. 근데 집을 물려줘도 리모델링할 돈이나 청년세대들이 있을지..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Месяц назад +10

      상속세 때문에 물려줄 수나 있을지...

    • @user-dfg44fh653dfh
      @user-dfg44fh653dfh Месяц назад +6

      상속세를 낼 정도의 재력있는 집은 드물죠 한국인 중 93퍼센트는 상속세를 내지 않습니다

    • @sinkim4245
      @sinkim4245 Месяц назад +6

      @@user-dfg44fh653dfh 증여의 기적에 당하면 서울에 부동산 있는 사람 왠만해서 많든적든 상속세 내게 됩니다. 부모님 용돈드린 것도 증여로 잡으려는 국세청이라 뭐든 가능함.

    • @sean_pk015
      @sean_pk015 Месяц назад +4

      10억정도는 상속세가 많지 않습니다.

    • @jangseokhan1984
      @jangseokhan1984 Месяц назад +2

      @@user-dfg44fh653dfh 아직 안죽어서 그렇지 이제 죽기 시작하면, 서울 부동산 있으면... 웬만하면 상속세 대상입니다.

  • @user-gu6kv7pd5o
    @user-gu6kv7pd5o Месяц назад +26

    진짜 내용 좋네요. 밀레니얼 세대로서 '자산'에 집중해야겠습니다.. 물론 '소득'도...😂😂😂 한편으론 자녀세대를 위해서도 등골빠지겠네요ㅋㅋ

  • @user-ji5kf7kd2b
    @user-ji5kf7kd2b Месяц назад +11

    저는 이 코너가 젤 좋아요~~
    감사합니다

  • @DPCH0313
    @DPCH0313 Месяц назад +1

    채북심도 재밌군요

  • @hajune4153
    @hajune4153 Месяц назад +3

    와...이번 편은 진짜 소름이네요.

  • @sonnos4569
    @sonnos4569 Месяц назад +1

    채박사님, 항상 좋은 인사이트 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채상욱 애널리스트님을 follow-up 한 지가 어느덧 5년 째인데, 최근 채부심 채널영상은 단순한 정보전달을 넘어 가슴의 울림을 주네요. 언제나 번창하시고 항상 행복하세요.

  • @user-nq2vs9dx9z
    @user-nq2vs9dx9z Месяц назад +1

    자산이 계급장ㅠ 내용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kl2078
    @skl2078 Месяц назад +1

    갈라파고스 코리아~~~떠날수 없으면 동참해야 되겠네요 ㅠ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Месяц назад +13

    어렴풋이 다 알았던 내용.
    다만 대이터를 기반으로 논리적으로 정리한
    저자의 재능과 노력에 찬사를

  • @aseoul6000
    @aseoul6000 Месяц назад

    채널 내용 많이 공감 못하고 있었는데
    책 관련 컨텐츠는 매우 좋네요. 감사합니다.

  • @delfonicthe
    @delfonicthe Месяц назад +4

    덕분에 좋은 책도 알게되고 교양도 넓어지게 되는 기분입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FredyWater
    @FredyWater Месяц назад +5

    지방 소멸 도시에 다주택보유가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자산의 질을 따져서 계급을 니눠야지 무조건 소유 여부로 나눈다는것이 너무 어설픈거 아닌가요? 굳이 부동산으로 한정한다면 한국 같은 경우 넓게는 수도권 콕찝으면 용산 강남 서초 외에 큰 의미 있을까요

  • @LPark-dl4ur
    @LPark-dl4ur Месяц назад +8

    서울 아파트는 이제 분양가로 사도 월세수익률 1.5%입니다. 자산가도 그리 희망적이진 않아요. 😊

  • @NewYork7914
    @NewYork7914 Месяц назад +15

    미국도 얼마전 MZ 세대는 부모인 Boomer 세대로 부터 물려 받을 부동산이 엄청나다는 연구를 읽었습니다. American dream 중에 하나인 집장만은 이제 부모의 대물림없이는 점점 불가능해 지고 있는 미국. 부모세대(Boomer)에서 다 잘라 간 pizza pie 의 크기의 대물림 현상이 뚜렸해지는, 결국에는 ㅡ 중산층의 부동산의 세습화. Homeless 들이 눈에 띄게 늘어나는 이유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ㅠ

    • @chaeboosim
      @chaeboosim  Месяц назад +5

      주택엘리트 계급이네요

    • @samsungelec964
      @samsungelec964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에서는 상속세가 워낙 높아서 그런 기회가 대부분 효과적으로 차단되지요

    • @user-vm8yn4hb4w
      @user-vm8yn4hb4w 6 часов назад

      미국은 땅이 넓어서 어차피 비싸면 딴데가면 그만. 이런 마인드가 강해서 상관이 없죠.. 텍사스가 뜬 이유도 그 때문이고... 그래서 부동산 값 오르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쉽게쉽게 나옵니다.. 한국이 참 어렵죠

  • @Aurora-zd6gk
    @Aurora-zd6gk Месяц назад +2

    진짜 신생아 정책을 위해서 꼭 읽어야 하는 책.
    더 늦기전에 젊이들이 열심히 살면 자산을 늘려갈 수있도록 해줘야함

  • @bayesianlee6447
    @bayesianlee6447 Месяц назад +8

    와 미쳤는데 혹시 중국이 급작스럽게 GDP 25%이상을 차지하던 주택과잉 시장을 무너뜨려서 자산 경제화 되어 나라 망하는걸 초기에 진압한걸로 볼 수도 있으려나?
    일당, 일인 독재가 아니고서야 자산의 상승이라는 꿀을 버리고, 자산 하락 정책을 쓰기 정말 어렵기 때문에
    오히려 중국 같은 나라에서만 할수있는 일이려나

  • @jmy5716
    @jmy5716 Месяц назад +2

    캐나다도 마찬가지더군요

  • @harrynam74
    @harrynam74 Месяц назад +86

    호주 이민 22년차 채부심 구독자로서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1인당 GDP가 한국대비 2배 정도인 나라인데 코로나이후 집값이 올랐다해도 중심지 대비 주택가격은 한국이 더 비싼 느낌이라 한국 부동산 거품이 더 심하단건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그리고 한국은 이제서야 스트레스 DSR적용한다지만 제가 2019년에 3%대 주담대 받을때 스트레스 DSR 7%로 심사했음. 지금 딱 7.05%임. 은행놈들 진짜 똑똑함을 느낌....그래서 호주는 집살때 보증금 20%에 나머지 대출인데 일단 주담대 은행 심사 통과할 정도면 부실 비율은 크지 않음. 참고로 BRISBANE 외각 30KM정도에 코로나전 2019년 35만불 산 집이 현재 65만불 수준임. 한국에 비하면 껌값임. SYDNEY도 많이 올랐어도 서울 강남 비교하면 애교 수준...고로 한국 부동산은.거품이 심함...참고로 65만불 정도인 집이 180평에 건평 50평정도인 집을 예로든거임. 한국 아파트와 비교하려면 호주는 단독 주택을 비교해야함. 여기선 아파트는 비선호 주거 형태임.

    • @chaeboosim
      @chaeboosim  Месяц назад +17

      넵 감사합니다 그정돈데 그정도 논문나올정도면 모... 하하하... 시드니 박사들
      한국오면 껄껄

    • @bayesianlee6447
      @bayesianlee6447 Месяц назад +24

      신기하네요 체감상 한국이 더 자산화가 심한거다라면 어쩌면 현시각 한국이 자산경제화의 정점이며, 극심한 자산경제화는 젊은 세대의 사회진출, 결혼을 늦추며, 최종 출산율을 급격히 낮추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이는 자연스럽게 국가 경제 타격에 따른 자산가격 하락을 야기한다.
      이 순환을 막으려고 하면 할수록 출산율은 낮아지며 그 타격은 더욱 깊고 크게 된다.
      이게 제가 생각한 미래상

    • @gsc3989
      @gsc3989 Месяц назад +20

      30킬로떨어진데면 변두리죠. 한국도 외곽 나가면 집싸요.
      호주 시드니에서 도심이랑 가까운곳에 2000sq ft 50평 집가격이 4.5밀 호주달러라고 하던데 미국달라로 2.9밀 한국돈으로 40억 정도입니다. 한국이랑 비교해도 싼건 아니죠

    • @gsc3989
      @gsc3989 Месяц назад

      @@suchislifespace7725 호주 살기 안좋네요
      미국이 살기좋음 ㅋㅋ

    • @taewoong205
      @taewoong205 Месяц назад +5

      ​@@gsc3989 호주에서 30km개념은 가까운 개념이에요. 한국처럼 좁은 나라가 아니라서. 여전히 한국 부동산 가격이 높은 편

  • @reason321
    @reason321 Месяц назад +8

    호주는 넓은 지역에 마당있는 단독 주택이 수십억 하는데
    한국은 고층 아파트에 다 몰려 있어서...

  • @uyoume777
    @uyoume777 Месяц назад +7

    30대이하는 효자세대임. 사회 시스템상 남의 부모들한테 효를 다하는 마니또 세대. 그게 아니면.. 설거지 세대임.

  • @user-eu4ms7ct8f
    @user-eu4ms7ct8f Месяц назад +190

    자산을 가질 자신이 없다면 결혼과 출산은 절대 하면 안된다는 생각이 더 확실해지네요. 계급이 대물림 됩니다.

    • @user-vx7kk6xm6z
      @user-vx7kk6xm6z Месяц назад +67

      노력을 안하니까 그런소리하는거임... 내주변에도 애 안낳겠다는애들보면 소득 300언저리인데 저축은 1도안하고 버는대로 놀고먹고쓰는데 어떻게 자산이 늘겠음... 왜 애안낳을려그러냐 물어보면 가난을 대물림하기싫어서 이러그있는데 걔네가 진짜로 태어나지도않은 지 자식들 생각해서 그런소리하겠나 미래걱정없이 현제를 즐기고싶은거를 있지도않은 자식탓하는거뿐이지

    • @user-dfg44fh653dfh
      @user-dfg44fh653dfh Месяц назад

      노력충 등장​@@user-vx7kk6xm6z

    • @user-my6ip9dx4x
      @user-my6ip9dx4x Месяц назад +8

      푸하하...

    •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 Месяц назад +6

      상속세를 없애고 2대만 부의 이어달리기 하면 되는데
      계속 가난하게 살 운명임

    • @phjpjpjh467
      @phjpjpjh467 Месяц назад

      @@user-vx7kk6xm6z 역겹네. 노력은 그 누구도 안하는 사람은 없고, 영싱에서도 노력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구축된 환경에 좌절된 사람 얘기하고 있는데
      소득이 300따리가 아니라 그 아득히 넘는 사람들이 안낳는 이유를 넌 설멸할 수 있냐? 현재를 즐긴디고 니가 김히 넘겨짚는 이유가 그 사림들이 니보다 지능이 낮이서일까?
      틀니 쉰내니는 뭣같은 노력 현재소비 이딴 쓰레기 같은 말을 내뱉을수록 이 사회는 훨씬 더 빨리 가라앉을거다.

  • @jamiejj368
    @jamiejj368 Месяц назад +8

    시드니 ㄹㅇ 심각합니다. 제 친구도 다 정리하고 한국 들어왔어요 부모님이랑 같이 사는 캥거루족됨

  • @user-og5vz1et4h
    @user-og5vz1et4h Месяц назад +9

    항상 팩트를 리얼하게 전달하는 브레인! 멋지십니다

  • @user-gu6kv7pd5o
    @user-gu6kv7pd5o Месяц назад +3

    자막 좋아요👍🏻

  • @user-hy4wj6co8f
    @user-hy4wj6co8f Месяц назад

    귀차니즘에게 최고의 선물 👍

  • @hbm7042
    @hbm7042 Месяц назад +6

    흥망성쇠의 한 축을 보는거 같습니다.노비 양반의 계급 시대에서 자주적 근대화를 생략해 버려서 외형은 선진국을 띄고 있지만 내적으로는 골수 깊이 서열의 계급이 존재 하고 있죠. 양반은 기득권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노비는 끊임 없이 열등감과 피해의식에 사로 잡히죠. 집값이 비싸서 결혼도 안하고 애를 안낳는다고 하지만 저는 근본 적으로 보이지 않는 그림자에 의해 처절한 계급 투쟁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각 개인으로써 존재 할수 있어야 하는데 그건 대한민국에서 이상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서양이 평등과 자유의 개념을 쌓아 올리기 까지 얼마나 많은 피를 흘렸습니까. 한국이라는 나라는 현대사회를 무혈입성 한것이라 생각 합니다. 이렇게 출산율이 절망적이고 전세계에서 자살률로 정점을 찍지만 여전히 사회 구조적 관심보다 개인의 권력투쟁에 모든 에너지를 다 쏟고 있습니다. 레이달리오가 이러한 문제를 봉합하기 위해서는 협력,화해,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죠.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수 있을지 조금만 생각해 보면 정답을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정치나 국민정서를 보면 그것과는 상당히 거리가 멀다고 볼수 있습니다. 영상을 통해 소신있게 어두운 곳을 조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kc4jz2hb2t
    @user-kc4jz2hb2t 28 дней назад

    체상욱💕멋짐!!!

  • @user-vu5fs5ip2u
    @user-vu5fs5ip2u Месяц назад

    저자분들께 이 영상을 보내드리고 싶네요😊

  • @ordovices7440
    @ordovices7440 Месяц назад +3

    지난 40년간 금리가 계속 내려와서 벌어진 일이죠
    상품 인플레 조짐이 보이니 앞으로의 양상은 조금 달라지길 기대합니다

  • @user-dr9dt6br8x
    @user-dr9dt6br8x Месяц назад +6

    전 하층민이 됐어요

  • @user-vl4uq8kf1g
    @user-vl4uq8kf1g Месяц назад +2

    호주에 산지 2년 되었습니다. 한국에도 아파트가 있어서 집값 오르는 속도가 어마무시 함을 한국에서 겪고와서 오자마자 땅사서 집 짓고 있지요. 공유해 주신 내용에 공감하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동산거품은 한국이 더 심한 것 같아요ㅎㅎ 호주는 여전히 property investment에 뛰어들어 본인의 계급(?)을 올려갈 수 있는 상황이지만 한국은 인구 감소도 그렇고, 경기도도 다 걸핏하면 10억 이상이라 지금은 좀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 @EastWood2004
      @EastWood2004 29 дней назад

      호주 온지 2년만에 땅사고 집을 짓는다? 온지 30년 넘었지만 아주 희귀하고도 대단한 케이스 이네요. 안그래도 요듬 빌더들 툭하면 망하고 사라지는데요. 잘 되기 바래요.

    • @user-vl4uq8kf1g
      @user-vl4uq8kf1g 28 дней назад

      @@EastWood2004 네 감사합니다. 세계 어디서든 집 문제부터 해결해야 삶이 안정되니까요~ 다행히 제 빌더는 괜찮습니다ㅎㅎ

    • @EastWood2004
      @EastWood2004 28 дней назад

      @@user-vl4uq8kf1g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어느동네에 짓고 있는지 알수 있을까요?

  • @HolyWhale0326
    @HolyWhale0326 Месяц назад +3

    어지간하면 좋아요 안누르는데 누릅니다. 진짜 개소름... 감사합니다

  • @datazerobio7260
    @datazerobio7260 Месяц назад +1

    매우 잼있습니다. 호주와 달리 자원없는 한국에서 gdp도 꺽여가는데 자산경제가 유지될수있을까요? 집이 스펙이 아닌 한낱 시멘트가루모임을 알기까지 곡기끊기면 알지요

    • @cella7503
      @cella7503 27 дней назад

      집의 본질은 나무냐 벽돌이냐 시멘트가루냐가 아니라 깔고있는 땅입니다.
      인구감소는 상급지로의 쏠림을 심화시킬 것이고,
      GDP의 감소는 외화환산 기준으로 가격은 박살낼 지언정, 원화환산으로는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겁니다.

  • @user-ye1fo5zh5f
    @user-ye1fo5zh5f Месяц назад

    채상욱님 저출산 충격으로 집사는거 보류라고 했는데 뷰가
    바뀌었다고 보면 되는건가요?

  • @jdp7151
    @jdp7151 Месяц назад +1

    15:12 이말이 정말 무서운 사실이네요 이제 한국의 정치도 이와 비슷하게 가는거 같습니다

  • @foxinwheatfield
    @foxinwheatfield Месяц назад +13

    10 여년전부터 체감하고 있었던 일이지만 이렇게 정리해서 책으로 나왔다니 봐야겠네요.
    소득위주의 조세구조가 자산위주의 조세구조로 바뀌어야 한다 생각하지만 이런 얘기를 하면 빨갱이라고 바로 다굴맞고 사라지죠

    • @shh6880
      @shh6880 Месяц назад

      자산에 세금폭탄을 때리면 그 세금을 세입자에게 전가해버리니 서민들이 폭망했음
      안그러면 팔아야 세금을 내는데 세금폭탄을 때려서 강제로 팔라고 압박하는 짓을 하자는 공산주의 독재적 발상은 이미 실패로 끝남

  • @user-kl4mo8kc4y
    @user-kl4mo8kc4y Месяц назад +12

    감사합니다. 부가적으로 호주 집값 아는것과 연관해서 생각해보면
    1. 호주는 미국.캐나다와 같이 이민.새롭게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음.
    2. 중국.홍콩 부자분들이 미국.캐나다 다음으로 호주로 이민많이가고, 중국분들의 투자가 강하게 있어왔음.
    3. 한동안 아파트가 거의 새롭게 없었고, 신규주택허가가 굉장히 어려워왔음 특히 시드니. 그리고 코로나 이전부터 최저임금. 블루칼라 노동자들의 임금이 한국대비 상당히 높아, 집의 기본 가격또한 높았음.
    4.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집값이 상승, 거의 공식이 집1개 매수 집값상승하면 추가 대출을 받을 수 있어 투자용 부동산 구매가 돈을 많이 버는 공식임.
    5. 금리 상승으로 집값이 일부 조정이 있었지만 임대료 많이 같이 상승함. 살아야되는 유학생 이민자분들 등, 임대료가 어느정도 커버함.
    6. 작가님이 이야기한것처럼 어느정도 사는 유학생, 이민자2세는 부모님돈으로 집을 사고, 남는 방들만 렌트하기도함.
    7. 예로 10%만 돈이 들어가도 모기지 보증보험들면 충분히 집매수가 가능해왔음.
    8. 투자부동산으로 임대시. 이자등 비용이 소득세도 감면 혜택도 있음
    9. 양도세가 강하지만 상속세가 없음. 개인펜션(superannuation) 으로도 투자부동산 구매가 가능했었음.
    10. 다른외국과같이 가난한동네 부자동네가 나뉘어져있음. 그리고 특정동네에 따라 백인 부자 동양인. 부자 인도사람. 일반적으로 중동.아프리카 이민2-3세가 가난한 동네에 더많기도하고 이민이 많지만 사회적 이슈. 속으로 생각하는 갈라치가 많다고 느낌ㅋ
    11. 집이 비싸니 땅사고 건설사등으로 집을 지어서 들어가거나 파는것도 꽤 수익이 굉장해왔었음.
    12. 근데 시드니 품질좋은 아파트랑 한국서울아파트 비교해보면,, 서울 아파트 15-20억은 빘게 느껴질 수 있음.

  • @kim-hq2gu
    @kim-hq2gu Месяц назад +1

    멜번빼고 다른주는 집값이 미쳐가는데 왜멜번부동산은 안오르는지... 오르긴하는데 타주만못하네요

  • @mestorylife
    @mestorylife Месяц назад

    산업자본주의냐 금융자본주의냐 차이
    전자는 실체있는 성장 후자는 버블성장

  • @user-kw6dm4ej1h
    @user-kw6dm4ej1h Месяц назад +6

    진짜 씁쓸하네 노숙자 바로위라니

  • @zmfreeroo
    @zmfreeroo Месяц назад +2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부동산이 한국과 비슷하다 할지라도 호주는 원자재가 풍부한 나라라는 사실. 지구적 측면에서의 부동산 입지는 한국이 더 좋지 못한거 같네요. 크기도 훨씬 작고 ㅎㅎ;

  • @sunnykim5002
    @sunnykim5002 Месяц назад +1

    세계가 다 너무 무서워지네요...

  • @user-hr2mh4lq3v
    @user-hr2mh4lq3v Месяц назад

    부동산 가격을 물가에 넣는다고 하면, 그렇다면 주식 가격도 물가에 넣어야 하는 걸까요? 자산 가격을 물가에 넣으면 금태환으로 회귀한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 @korinyang3966
    @korinyang3966 Месяц назад +1

    호주의 주택 등 자산 시장를 통해 단편적인 지식이지 않나 봅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 즉 미국이나 호주 그리고 영국 등은 인구의 유입 등에 따라 인구 보너스와 호주의 경우에 동부 해안가를 중심으로 한 인구 밀집 분포, 주택 공급 부족 이외에도 광물 가스 에너지 등 지속적인 경상 수지의 급증, 판데믹에 의한 통화량 난발 등에 의한 영향이 더 클 수도 있지 않을까요?

    • @EastWood2004
      @EastWood2004 29 дней назад

      맞는 지적에요.
      제일 중요한것중 하나가 negative gearing입니다. 고소득층에겐는 엄청 유리한 세금제도 입니다.

  • @cellics
    @cellics Месяц назад

    인구가 줄어들면 주택가격은 내려가야 할것 같은데 미래가 어떻게 될지..?

  • @user-xo1uv1ni4d
    @user-xo1uv1ni4d Месяц назад

    15:14 그 이유가 뭔지를 알려주시면 더 좋을 거 같은데요

  • @user-sv2gl7qs1k
    @user-sv2gl7qs1k Месяц назад +10

    맞네요 소득기준말고 자산기준으로

    • @chaeboosim
      @chaeboosim  Месяц назад +1

      부모포함 자산입니드아

  • @SKY-nh3uh
    @SKY-nh3uh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나라에서 느끼고 있던 것이 똑같이 호주에서 일어나고 있었다니 소름 돋네요.

  • @user-tg8kl3ro1c
    @user-tg8kl3ro1c Месяц назад +1

    자산 불평등이 심화될 수록 새로운 소비자가 설 자리가 없죠
    한국은 부동산에 너무 많은 민간, 기업자본이 몰려있어서 자산 불평등을 해소하려고 하면
    엄청나게 많은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소위 말하는 악마같은 지주가 군림하는 게 아니라 평범한 서민들도 주택에 투자를 너무 많이 했어요. 뉴스에선 영끌이니 뭐니 하지만 실상은 한국 사회가 부동산 집중화된 자산형성이 대세니까 그걸 보고 열심히 살아보려는 사람들이 들어갔던 거죠.
    이 불평등을 해소하려면 그 사람들의 가정이 무너지고 거기에 걸린 대출과 파생상품이 터지는 걸 감수해야 한다는 건데.. 눈 뜨고 자기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걸 지켜보는 사람들이 얼마나 박탈감을 느끼겠습니까 몇십년간 쌓아온 노력이 날아가는 거니 사람이 여럿 죽겠죠.
    심지어 사회인 대부분이 주택과 엮인 투자를 했으니 인구의 대부분이 영향을 받을 겁니다.
    물론 언젠간 해결해야 하고 해결 못하면 노동 가치가 계속 떨어질 테니
    청년층,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이 불가능해집니다.
    결국 청년층은 노동 댓가에 실망하고 박탈감과 무기력을 느끼며 자산이 있는 기성세대에 의존해서 살아가야 할 텐데 이건 또 미래가 없어집니다.
    여러모로 낙장불입이네요. 누군가 머리 좋은 사람이 그럴듯한 해결책을 들고나와준다면 좋겠습니다.

  • @user-zl5vo3uk5z
    @user-zl5vo3uk5z Месяц назад

    캐나다도 거의 유사합니다 ...

  • @jmy5716
    @jmy5716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은 이미 부동산계급표가 예전부터 있지않았나요.

  • @user-nk8cn2sg3m
    @user-nk8cn2sg3m Месяц назад

    신기

  • @victorkim2954
    @victorkim2954 Месяц назад

    그래서 앞으로 아파트값이 오른다는 건가요? 내린다는 건가요?
    1채라도 사야 하나요? 임대주택에 살아야 하나요?

  • @doaya27
    @doaya27 Месяц назад

    뭐지 어디서 많이 들어본...😂 우리의 미래인가...

  • @hidrtesf53221
    @hidrtesf53221 4 дня назад +1

    한국의 부동산 자산 양극화는 다른나라보다 훨씬더 심할겁니다. 왜냐면미국을 예로 맨하튼 샐프란시스코 등 엄청비싸다고 해도 인구의 80%는 중소도시에 살고 미국중소도시는 집값자체는 진짜 한국지방보다 쌉니다. 집을 유지관리. 재산세 등 비용이 크지만 집을 사는건 누구나 알바만해도 모기지론 끼고 살수있을만큼 저렴한 주택이 많아요.
    반면 한국은 인구 반이상이 비싼 수도권거주. 훨씬 많은 인구가 집값으로 고통받거나 자산 양극화가 심화되는걸 느낌니다.

  • @666hello4
    @666hello4 Месяц назад +1

    그럼 저도 집을 가지고 있어야할까요? 이미 멸종이 확정된 이 나라에서...?

  • @hidrtesf53221
    @hidrtesf53221 4 дня назад

    한국상속세 크다고 자산가들은 불만이지만 미국은 상속세를 재산세로 미리 내는겁니다. 한국은 예전 수입이 낮은시대에 자산세를 낼 여력이 안되니 한 세대가 이전될때 상속세명목으로 한꺼번에 징수한거죠.하지만. 지금같은 자산 편중이 큰시대에 재산세를 미국처럼 쎄게 부과해야 부동산투기가 줄어들고 그게 경제 정의라고 생각합니다

  • @user-ch3dm9ej3x
    @user-ch3dm9ej3x Месяц назад +3

    정부정책이 얼마나 중요한지 ...

  • @wooowk3649
    @wooowk3649 Месяц назад +2

    그러면 계급을 올리기 위해 집을 결국 두채 가져야? 한다는 거네요😢

    • @flowerwind6213
      @flowerwind6213 Месяц назад +1

      대출없이 다주택자가 될 때 ...

  • @richardshin159
    @richardshin159 18 дней назад

    한국뿐만이 아니라 전세계가 그러함. 그리고 부자될 인간은 호주에서도 한국에서도 승승장구함

  • @fgjk18scb13x
    @fgjk18scb13x Месяц назад

    The asset economy

  • @myreason2cry206
    @myreason2cry206 Месяц наза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일부는 중국인들의 부동산 매입 영향도 있지 않을까요?

  • @user-uh5im5vd9o
    @user-uh5im5vd9o Месяц назад

    채상병 사건에 같은 채씨로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chaeboosim
      @chaeboosim  Месяц назад

      조사를 무마시킨 개새끼를 찾아내서 족쳐야할 사건이죠

  • @jhey-qp5ru
    @jhey-qp5ru 26 дней назад

    한국식으로 계급표를 수정하자면 서울에 집 가지고 있느냐 지방에 집 가지고 있느냐로 다시 세분화 필요ㅎㅎㅎ

  • @Owen-lx8mo
    @Owen-lx8mo 20 дней назад

    자산 가격 상승은 전세계적인 추세입니다... 새로운 시대로 또 변하고잇는거같네요.. 50년 뒤엔 정말로 계급사회가 다시 생길수도잇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