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물리학상’ AI 선구자 “이해범위 벗어난 AI 우려” / KBS 2024.10.09.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인공지능, AI 기술발전의 초석을 제공한 물리학자들이 수상했는데요, 하지만 이들은 눈부신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AI가 인간의 이해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보도에 정지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의 존 홉필드 교수와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의 제프리 힌턴 교수입니다."]
노벨위원회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머신러닝 즉 기계학습의 기초를 확립했다며 AI 선구자라 할 수 있는 홉필드와 힌턴 교수를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AI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런데 이들은 수상 소감 회견에서 의미심장한 소감을 발표합니다.
홉필드 프린스턴대 명예교수는 신경망 연구 덕분에 AI 연구는, 물리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없는 경이로움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존 홉필드/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 : "물리학자로서, 저는 통제할 수 없는 것에 매우 불안합니다. 제가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서 그 기술을 구동할 수 있는 한계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요."]
AI가 상상할 수 없는 수준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AI가 세상의 모든 정보 흐름과 결합되는 것에 우려를 표했습니다.
조지오웰이 소설 '1984'에서 그린 통제사회가 AI에 의해 현실화될 수 있다고도 경고합니다.
[존 홉필드/미국 프린스턴대 명예교수 : "제가 걱정하는 것은 AI와 전 세계 모든 것에 대한 정보의 흐름이 결합되는 것입니다. 통제의 세계가 걱정됩니다."]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힌턴 토론토대 교수 역시 AI가 통제에서 벗어나 생존 위협을 가져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역사적 분기점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빅테크 즉 거대기술기업들이 AI를 통제하는 문제에 대해 더 많은 연구자원을 쏟아부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정지줍니다.
영상편집:이인영/자료조사:김나영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노벨물리학상 #AI #빅테크
댓글이 참 답이 없네
수상자들이 기술 개발한데 공헌한 건 몇년 전이고 그 기술이 도움이 많이 됐다는 게 지금에 와서 입증됐기 때문에 수상 받은 거임.
그 짧은 시간에 생각보다 빨리 발전이 됐고 이 상태로 AI가 발전만 이루어지면 우리 손을 벗어난다고 경고하는 거임.
다들 생각이 없으신가?
AI 및 기초 과학 후진국인 나라에서
이런거 걱정 해주는게 웃음벨이다...
자아를 인터넷에 업로드?!
만들어놓고 위험하다, 나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와 저 무책임한 발언을 아무렇지 않게 웃으며 하는 저 정신상태.
서양인들은 뛰어난 능력으로 무슨 업적을 이루든지간에 그 밑바탕에 윤리도덕적인 바른 정신을 갖는 걸 먼저 해야 한다.
아무리 위대한 과학적 업적을 이룬들 이렇게 위험한 일을 저질러 놓고 나도 모르겠다, 위험성을 경고한다, 완벽한 통제 사회가 될 것이다............대체 이게 뭐 하는 짓꺼린지.
편리함 뒤에 그만큼 위험함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
이해할 수 없으면 탐구하길 포기하고, 편안한 유교와 성리학의 가르침에 매몰되서 아무것도 못하다가 서구열강과 일본한테 잡아먹힌 조선이 감히 누구를 비판함 ㅋㅋ
진짜 미국 유럽이 문명을 개척해나간다
AI 만 성공하던가 AI 도 실패하던가?
엄청 많이해요
포분위기로먹고사는학계의관행세계....사회와국가적뭉제나의탓
노벨상 권위를 스스로 깍아 먹고 있어서 그닥..
올해는 노벨위원회가 너무 정치 . 이슈적인 행보를 보임.. 관종도 아니고
걱정마라 헬조선 먼저 문 닫는다
자기들이 개발해놓고, 돈과 명예를 다 쥔 후, 위험할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한다...ㅈㄴ 역겨움. 한마디로 통제 불가능한걸 개발해놓고, 통제가 안될수도 있다, 위험하다 하는거 아닌가. 그러면, 자기들에게 더 많은 돈과 명예와 권력을 내놓으라는것인가? 아니면, 답이 없으니 포기하라는것인가? 아니면, 막으라는것인가? 확신없고 비전없는 결과물 만들어서 인류가 나아가는 방향을 바꾸어놓고, 위험할수도 있다고 경고한다고? 진짜 서양문명인들의 무책임한 개발정신이, 경이로울 정도다. 편하지만 인류를 파괴하는것만 만들어내는 그들의 개발, 진짜 인류의 미래에 대해 무책임한 인종들임.
님이 말한대로 과학자들이 개발한건 아직 프로토타입이라 불완전하다고 했는데도 완벽하지 않다는 이유로 비난하고 불만가지면 안되죠. 님처럼 개발 후 다듬어지는 단계없이 처음부터 완벽한 상품만을 인정해야한다면 애초부터 기술투자는 필요없습니다. 기술은 단계라는 과정이 분명히 필요한거고 뗀석기가 현재의 햄머드릴로 이어지는 역사는 님이 상상한 것 만큼 짧지가 않아요.
딱 서민수준 발언이네 본인이 누리거나 누리게될것들은 생각도 못함
@@bobs-l6u ㅇㄱㄹㅇ..저 주장이 진짜 개멍청한 논리인게 저 논리에 의하면 교통사고 유발하는 자동차생산기업들이 재벌인것도 역겨워야하고 비만을 유발하는 유명 맛집 요리사들도 역겨워야 할 대상이 됨ㅋㅋㅋ문명은 오류를 기반삼아 발전한다는 것 자체를 아예모르는 듯 ㅋㅋㅋ
라고 서양문명이 만들어낸 기계장치로 서양문명이 만들어낸 플랫폼에서 징징대는 ㅋㅋㅋㅋ
@@shanonnefranklin
불완전한 것이 아니라 이미 위험하다는 것이죠.
앞으로 통제불가능하게 될 만큼 더욱 발전할 것이고.
완벽한 통제사회 구축이 무슨 장난인 줄 아시나.
인공지능을 만든 최고의 과학자들이 저렇게 자기도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고 얘기하는 건 정말 무책임하고 위험한 게 맞죠.
앞으로 인류는 인공지능 이전과 이후로 나뉘게 될 것임.
바둑도 인공지능을 이기기 어려운데 그 위험성을 얕보면 안되고 고로 저 과학자의 발언은 무책임한것이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