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가 만든 노벨화학상 대체 뭐길래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백민경 교수)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 👉언더스탠딩 문의: understanding.officialmail@gmail.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
    👉언더스탠딩 멤버십 가입
    / @understanding.

Комментарии • 453

  • @victoriajo8467
    @victoriajo8467 2 месяца назад +84

    진짜 섭외랑 강의력..어마어마하다❤

  • @김안수-o3t
    @김안수-o3t 2 месяца назад +127

    이분도 정말 전문가이시군요. 앞으로도 자주 나오셨으면 좋겠습니다.

    • @ALETHES
      @ALETHES 2 месяца назад +18

      저런 분 자꾸 방송에만 나오면 랩실과 학생들 관리가 그만큼 어려워집니다. 가끔씩만 나오는 거로 (아니면 포닥들이 대신 출연해주거나 ㅋㅋㅋㅋ)

    • @a3nka78a
      @a3nka78a 2 месяца назад +4

      교수가 연구를 해야지

    • @00oncina16
      @00oncina16 Месяц назад +3

      이런데 나올 분이 아닌데..연구 열심히해서 노벨상 타셔야할 분임.

  • @바다소리-i9r
    @바다소리-i9r 2 месяца назад +255

    이런 걸 볼수있다는걸 보면 언더스탠딩의 존재가치를 느낍니다

  • @momsartroom
    @momsartroom 2 месяца назад +18

    저처럼 정말 평범한 사람이 교수님의 이번 설명을 듣고 정말 넘쳐나는 흥미로움을 감당할 수 없을 정도네요 백 교수님의 첫 목소리 부터 똑똑하며 명료하게 설명 시작하는 말솜씨는 듣는 사람을 앞도 시킬 정도로 힘이 있으십니다. 이렇게 훌륭하신 분이 다시 돌아오셔서. 한국에서 학생들을 가르치신다니 한국에 미래가 밝아 보일 정도입니다. 평범한 사람도 이해하기 쉽게 이렇게 멋진 컨텐츠를 만들어 주셔서 정말 너무 감사해요,,, 제가 어디 가서 이런 강의를 쓸 수 있겠습니까 Understanding 뿐입니다. 응원합니다.

  • @yawoo93
    @yawoo93 2 месяца назад +64

    백민경 교수님의 어머님 감사합니다. 덕분에 엄청난 지식을 습득할수있었습니다!!

    • @badaro-h6c
      @badaro-h6c 22 дня назад +1

      박민경 교수님 어머님도 매우 훌륭하고 똑똑하신 분일 겁니다..어떤 분이지 매우 궁금합니다...평범한 분인지....가르치는 분인지...

  • @RYJ-y5f
    @RYJ-y5f 2 месяца назад +10

    감사합니다.

  • @lkm
    @lkm 2 месяца назад +296

    이번 교수님 강의 정말 잘하는 이유 => 한 파트에 똑같은 질문 최소 5번 하고 넘어가는 아저씨 둘 데리고 2번 안 넘기고 설명해서 진도 쭉쭉 뺌;;;

    • @JS-kg8pt
      @JS-kg8pt 2 месяца назад +23

      이게 레알…ㅋㅋㅋㅋ

    • @어멈-x2l
      @어멈-x2l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아저씨 둘도 설대졸업생이예유 이제 왜 질문 최소 5번씩 해주셨는지 알겠쥬?

    • @김코숏-n7g
      @김코숏-n7g 2 месяца назад +5

      ㅋㅋㅋㅋㅋ

    • @Kim2-j1y
      @Kim2-j1y 2 месяца назад +29

      시청자 이해하라고 여러 번 질문하는 거지, 만일 정작 진행자가 멍청한거면 애초에 대담 자체가 안 됨

    • @kayyu3188
      @kayyu3188 2 месяца назад +2

      ㅋㅋㅋㅋㅋ

  • @JjjeeeJjeee
    @JjjeeeJjeee 2 месяца назад +138

    정말 설명잘하시네요 교수님의 명석함이 화면를 뚫고 나오는...😮

  • @metatree5596
    @metatree5596 2 месяца назад +84

    노벨 화학상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이공계 교수님들이 많이 나와서 청소년들에게 과학의 재미를 알려주면 좋겠내요. 일론머스크가 세상을 바꾸는것처럼요.

  • @Rrainbow-l5y
    @Rrainbow-l5y 2 месяца назад +30

    전문가와 보통시민을 연결시켜 주는
    언더스탠딩에게 감사 드립니다.

  • @시공너머로
    @시공너머로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작년에 이미 강의를 들었는데 잘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더이상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자세하게 설명하시더군요..

  • @The21rain
    @The21rain 2 месяца назад +8

    교수님!! 정말 설명 쉽고 찬찬히 잘 해 주시네요. 조각 조각은 알고 있는 내용도 있었지만, 하나로 쭉 이어서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 뿐만 아니라 강의도 잘하시는 교수님 같습니다.

  • @JS-kg8pt
    @JS-kg8pt 2 месяца назад +35

    이런 강의 내용이 후손들 먹여살리고 국가가 부강해지는 내용이다… 세상은 저멀리 앞서가는데 정신 차리자 대한민국 제발..ㅠ

  • @juhyungkim1817
    @juhyungkim1817 2 месяца назад +25

    발음이 거의 아나운서 급+전달력도 최강~존경스러워요

  • @김용심-f8i
    @김용심-f8i 2 месяца назад +29

    언더스탠딩 정말 최고입니다 👍

  • @singbetter1
    @singbetter1 2 месяца назад +21

    로제타폴드 개발한 베이커교수님 제자시군요. 생명공학계의 큰별이 되실 분이시네요. 아이들에게 꼭 보라고 권해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angjun8654
    @sangjun8654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본 것 중에 제일 어렵네요. 연구하시는 박사님들, 교수님들 대단하십니다!

  • @一妄一語
    @一妄一語 2 месяца назад +134

    '단백질'이라는 한자 표기는 독일어 'Eiweiß'를 번역한 것으로, 계란의 흰자위를 모델로 하여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이는 단백질의 대표적인 예시인 계란 흰자위의 특성을 반영하여 명명된 것입니다.
    蛋 (단): 알
    白 (백): 흰
    質 (질): 성분

    • @一妄一語
      @一妄一語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나도 ai한테 물어 봄 ㅋㅋ

  • @knockknockyoo5812
    @knockknockyoo5812 Месяц назад +9

    백민경 교수님이 논문 인용이 젤 많이돼서 노벨화학상 탈 수있었어요. 진짜 엄청난 교수님이에요.

  • @Kkim0830
    @Kkim0830 2 месяца назад +18

    설명 똑부러지게 잘 한다!! 감사합니다!

  • @Thorne-w1k
    @Thorne-w1k 2 месяца назад +34

    크~언더스탠딩 퀄리티 보소

  • @christinelee7036
    @christinelee7036 2 месяца назад +9

    마침 궁금하던 주제였는데 잘 봤습니다 교수님 어머님 감사합니다 😊

  • @jin-soolee9545
    @jin-soolee9545 2 месяца назад +196

    90년생의 초고속 조교수 등극 사이언스 2번(보통 사이언스하나만 내도 난리남)
    서울대가 정말 대단한게 바로 낚아채서 교수 시킨 ㄷㄷㄷ

    • @DonghyukOh-h7l
      @DonghyukOh-h7l 19 дней назад

      @@jin-soolee9545 왠지 이분도 20-30년후에 노벨상 받을것같은 느낌이 드네요

  • @babyblaire
    @babyblaire 2 месяца назад +11

    쉽게 접하지 못하는 주제인데 정말 쉽게 알려주시네요❤ 다음에도 나와주세요

  • @YoungHoonRim
    @YoungHoonRim 2 месяца назад +20

    너무 재미있습니다.^^

  • @andersonmlengineer7349
    @andersonmlengineer7349 2 месяца назад +40

    진짜 이런분의 강의를 어디서 이렇게 쉽게 듣냐 ㅋㅋㅋㅋ 감사합니다 ~

  • @songoh3069
    @songoh3069 2 месяца назад +9

    화학 이라는 학문을 쉽고 명료하게 설명하시는 모습에서 진정한 전문가(학자)의 최상을 봅니다.
    감사드리고요 교수님의 노벨상을
    기대하고 응원합니다.

  • @김경진-k5w9c
    @김경진-k5w9c 2 месяца назад +52

    교수님 제자들 진짜 복 받았다. 서울대생들아! 공부 열심히 해서 나중에 꼭 노벨상 받아라~

  • @tazo812
    @tazo812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역시 경지에오르신분의 설명은 명쾌하십니다!!!

  • @어게인-k7w
    @어게인-k7w 2 месяца назад +8

    이분 설명 정말 잘해주시네요... 이해가 잘갑니다 👏👏

  • @lsw0713
    @lsw0713 2 месяца назад +40

    이런 고퀄리티 영상을 안방에서 편하게 누워 듣는데 그저 감사드립니다 공영방송은 왜 이러지 못할까

    • @danielkorarg
      @danielkorarg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진짜 공영방송에서 이런 방송을 해야하는데…

    •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런 퀄리티로 안 만들어도 전국민 계좌에서 매달 2500원씩 삥뜯어서 먹고 살수 있게 국회의원들이 법만들어 줬으니깐

    • @JiwoongKIM8
      @JiwoongKIM8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안 하나요? 가끔 강의식으로 방송 하잖아요. 다큐도 많이 합니다. KBS 아니고 EBS에서 해도 되겠네요. 사람들이 티비에서 거의 안 보고 유튜브에서 볼 뿐이지. EBS에서 상대성이론 같은 것 방송도 했어요. KBS에서 제프리 힌튼 교수 인터뷰도 했고요. 이렇게 강의식은 아니었지만.

    • @hyunsoojin7100
      @hyunsoojin7100 2 месяца назад +1

      @@JiwoongKIM8 EBS를 무시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KBS가 문제지요.

  • @KaniSalon
    @KaniSalon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고퀄리티 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역시 언더스탱딩 최고

  • @신오딘-g7v
    @신오딘-g7v 2 месяца назад +135

    서울대는 법대 줄이고 공대를 확대합시다 말씀만 들어도 똑똑하고 분야에서의 엄청난 자신감
    차세대 노벨화학상 후보다

    • @jajajamjom
      @jajajamjom 2 месяца назад +19

      맞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저분은 자연대입니다. 자연대는 기초과학이라 보통 공대보다 지원이 덜하죠. 요즘은 나아졌으려나...

    • @문스윙스-g7p
      @문스윙스-g7p 2 месяца назад +1

      같은분야로 2번은 안줍니다 ㅋㅋㅋ

    • @Curious_jy
      @Curious_jy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법대는 없어진거멀라여? ㅋㅋㅋㅋ

    • @dollarking4108
      @dollarking4108 2 месяца назад

      로스쿨 줄여봐야 문돌이들이 단백질 개발이나 AI 코딩 못함

    • @angel-fj4sy
      @angel-fj4sy 25 дней назад

      서울대라,,,,, 서울대라고 다똑똑한거같아???내가만난 서울대의새는.너무 똑똑해서 사고만치고ㅡ똑똑한머리는 사기치는데만쓰던데,,,,,그리고
      좋은머리로 사람을아주잘죽이더라,,,,,,,
      서울대,,,서울대,,,,,서울대,,,,,,!!!!하아ㅡ 이름만들어도 소름돋고 개빡침,,,,,,,,,,,,,,,,

  • @NewEra198009
    @NewEra198009 2 месяца назад +5

    응원합니다 백교수님 궁금했는데 너무 좋은 설명이네요

  • @김현상-l4b
    @김현상-l4b 2 месяца назад +39

    내 기준으로 전문가가 나왔는데 여기에 MC가 전문적인걸을 의견제시하는것도 한국인 특성.
    다들 너무 똑똑해.

    • @고고학자
      @고고학자 2 месяца назад +9

      한국인특인데 더 세분해서 한국아저씨특이죠

    • @wrwsxf
      @wrwsxf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고고학자2222 한국아저씨 종특임 진짜

  • @psmqdt-r4x
    @psmqdt-r4x 2 месяца назад +52

    알파폴드 이전의 단백질 예측 프로그램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성분들간에 작용하는 힘을 넣어 그러한 힘이 작용할 때 가장 안정한 구조를 찾는 방식을 썼습니다. 백교수 강의에서 빠진 부분은 한 아미노산 서열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단백질 이성질체의 수가 어마어마하다는 것입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자들은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는 다 합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 모두를 합성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단백질의 경우는 생체내에서 그 많은 이성질체들 중에 하나의 이성질체로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예외로 광우병의 경우 두가지 이성질체를 다 가질 수 있기에 프리온 단백질이 다른 이성질체로 바뀌어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경우가 아니면 어마어마한 수의 이성질체 중에 하나의 형태만 가지는 걸 구성 성분간의 작용하는 힘하에서 찾는 건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힘들고 따라서 구조 예측이 난항을 겪은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물리화학적인 방법이 아닌 패턴학습을 통해 알아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물론 왜 가능한지는 모르는게 현재 AI가 갖는 한계입니다.

    • @ksw591
      @ksw591 2 месяца назад +5

      글쵸. 한계는 있어 요즘 절충안인 PINN이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긴하죠. 여하튼 결론적으로 현상을 잘 예측하니깐 인공지능이 여기저기서 쓰이는거고 한계는 있을거에요.

  • @moonlike02
    @moonlike02 9 дней назад +1

    진짜 제가 궁금했던 것 다 대신 물어봐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 @aeyoungheatherly4204
    @aeyoungheatherly4204 2 месяца назад +6

    교수님 감사합니다

  • @ojmkww
    @ojmkww 2 месяца назад +6

    백교수님 언더에 나오셨네요~~ 와 ~~ 섭외 잘하셨네요 ~~ 감사합니다

  • @jlee3680
    @jlee3680 2 месяца назад +30

    도넛모양의 동전모양 자석을 실에 꿰었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자석들이 조금씩 자력이나 모양이 다르고요.
    자석 수십~수백개를 꿰었다고 했을때 그 자석의 순서가 일정하더라도 꿰던 순간의 상황에 따라 결과적으로 자석이 뭉친 모양은 매우 다양해질 수 있습니다.
    자석 하나하나가 아미노산이고
    꿰어져서 뭉쳐진 덩어리가 단백질입니다.
    어떤 덩어리는 원형에 가까워서 굴러갈 수도 있고, 어떤 덩어리는 스프링모양을해서 완충작용같은걸 할 수도 있을겁니다. 또 어떤건 스패너 모양미 되어서 너트를 빼는데 쓸 수도 있을겁니다.
    이처럼 단백질은 구조가 그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 @이기환-w9q
    @이기환-w9q Месяц назад +1

    훌륭한 내용을 회람하니 대단히 공감이갑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 @zackgreinke2382
    @zackgreinke2382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와..원래 좋은 내용 다뤄주시지만 이번엔 좋아요 백만개쯤 주고싶은 회차네요.....

  • @serene-88-n9v
    @serene-88-n9v 2 дня назад

    ㅎ 두분 진행과 교수님 보며 어려운 분야를 웃으며 공부했네요. 어머님도 감사합니다.언더스탠딩 최고!

  • @웃짜-x5n
    @웃짜-x5n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너무 좋은 콘텐츠입니다. 감사합니나😊😊😊

  • @richrich22
    @richrich22 2 месяца назад +21

    언더스탠딩 섭외력 무엇 입니까!!!

  • @은주-u3b
    @은주-u3b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와 백민경교수님을 언더스탠딩에서 뵙다니~ 감사의 의미로 구독&좋아요 먼저 누르고 듣습니다. 감사합니다!

  • @블랙스완-y8z
    @블랙스완-y8z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와 이걸 보네요 대박

  • @pher7626
    @pher7626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어려운 내용을 이렇게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수월했고 너무 흥미롭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만채-e6u
    @만채-e6u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난 이프로님 비유 덕분에 중간중간 이해잘되고 살짝 지루해질 법할때 오히려 피식 웃으면서 집중력 다시 생기고 좋던데ㅋㅋㅋ딱딱함속에서 조그만한 재미덕분에 언더스탠딩에 자꾸 끌림ㅋㅋㅋㅋ이프로님 안대표님 덕분에늘 재밌게 봅니다

    • @kenlee1704
      @kenlee1704 Месяц назад

      완전동감해요. 절대 다수들의 의견일거라 생각합니다~~

  • @20세기소년-w1b
    @20세기소년-w1b 2 месяца назад +16

    교수님 설명 대박이에요❤

  • @ljs2358
    @ljs2358 2 месяца назад +3

    훌륭한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 @KritikaZero
    @KritikaZero 2 месяца назад +42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AI의 힘도 정말 대단하지만 항상 타분야의 협업도 중요한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 @조약돌-z8u
    @조약돌-z8u 2 месяца назад +2

    교수님
    설명도 잘 하시지만 말씀하시는게 매력이 넘치시네요.

  • @본-y4d
    @본-y4d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언더스탠딩 언제나 유익합니다!!!

  • @솔개-v8s
    @솔개-v8s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정말 대단 하신 분이시네요
    건행 하세요^^

  • @suyeonju9081
    @suyeonju9081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너무 멋진 강의네요. 감사합니다

  • @한사람-k9c
    @한사람-k9c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백민경교수님 키워주셔서 감사합니다.
    어머님 만수무강하세요.
    참 좋으시겠어요.😊

  • @zao2fzFWV5
    @zao2fzFWV5 2 месяца назад +55

    17:05 이진우 기자님 말도 안되는 소리 좀 그만하세요…내용이 자꾸 끊기잖아요.

    • @감비아-w6k
      @감비아-w6k 2 месяца назад +14

      이건 게스트가 수준 높다보니 각잡고 보는데 헛소리가 좀 많이 거슬리긴 함

    • @newcancertreatment4321
      @newcancertreatment4321 Месяц назад

      @@zao2fzFWV5 저는 이런 진행방식 좋아요. 저는 현직 연구원이에요

    • @kenlee1704
      @kenlee1704 Месяц назад

      다들 생명과학자들만 왔나... 강의듣고 빨랑 집에 가려는 학생같네. 시험에 안나오는건 굳이 질문하지 말자는 학생들같네..

    • @감비아-w6k
      @감비아-w6k Месяц назад +1

      @@kenlee1704 대학 강의듣는데 유치원생이 엄마가 좋아요 아빠가 좋아요 하는것도 들어줘야하나? 갈길가소 헛소리 말고

  • @Jake-pu7eq
    @Jake-pu7eq 2 месяца назад +65

    사회자의 내용 요약 및 정리도 중요하지만 과유불급이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 @shk3461
      @shk3461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중간에 좀 과하게 끼어든다는 느낌이 저도 들더군요

    • @sook5336
      @sook5336 Месяц назад

      들을수가 없네요. 정말... 답답할 정도로. 과하다 과해.

    • @hpark7917
      @hpark7917 Месяц назад

      비슷한생각하시는분들이 많네요ㅎ
      명강의 인데 중간중간 너무 끊기는 느낌

    • @kenlee1704
      @kenlee1704 Месяц назад

      모두를 위한 방송이지 대졸자를 위한 방송이나 대학강의 아니잖아요. 사회자들은 단순하게 막 말하는거 같지만 시청자들이 갖게될 궁금증이나 확장성을 생각하며 꼭 필요한 질문들 많이하고 있고 저는 많은 동움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핵심 지식만 뽑아내고 싶겠으나 이는 한국의 주입식 교육의 폐해를 단적으로 보여주네요. 비판적사고나 확장된 사고는 거세된채 엑기스 지식만 뽑아가고 싶은 전형적인 한국식 학생태도... 계속 이러면 한국. 미래없고 천재도 안나와요.

  • @ke0015
    @ke0015 2 месяца назад +32

    이진우씨 진행방식 너무 마음에 안 듭니다. 교수님 답변하시는데 자꾸 왜 말 끊으시는거에요? 예전에도 그래서 영상 보다 중단했네요. 불필요한 추임세나 영양가 없는 질문은 하지 마세요. 시청자에 대한 예의가 아닙니다!!!!!!!!!!!

    • @beng5747
      @beng5747 2 месяца назад +4

      100% 동의합니다. 정말 똑똑하신 교수님 모셔놓고 20%도 못들은것 같아요. 중간에 자기들 쓸때없는 대담으로 20분은 날렸습니다. 그거 아니었으면 최소한 30~40%는 더 들었을텐데 말이죠.

    • @Coco-l4z5j
      @Coco-l4z5j Месяц назад

      동의...둘다,💦

    • @kenlee1704
      @kenlee1704 Месяц назад +1

      거참... 이프로 덕에 어려운 개념 이해하게되고 정리까지 된다. 항상그렇다. 추임새 질문이 더 명확하게 해주는데 예의 운운하지 마세요. 기가막히네..

    • @sori4089
      @sori4089 22 дня назад

      강의가 끝나고 질문하던지 진행자들 말장난하지말고

  • @DdoDdoHee1
    @DdoDdoHee1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백민경 교수님 어머님 덕분에 좋은 방송 잘 들었네요 ㅎㅎ

  • @maro7057
    @maro7057 2 месяца назад +22

    쓸데없는 소리 잘라낸 버전은 없나요? 시간이 아깝네요 ㅎㅎ

  • @CharliePack74
    @CharliePack74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쏙쏙 들어옵니다. ㅎㅎ

  • @jinachoi3698
    @jinachoi3698 2 месяца назад +15

    와... 진짜 나는 이런 현상을 모르고 살아온 거군요; 아직 7분 봤는데 벌써 교수님 대단하심. 잘 보겠습니다😮

  • @하경조-j1y
    @하경조-j1y 2 месяца назад +2

    항상 좋은 정보와 공부. 감사요

  • @bluenadia27
    @bluenadia27 2 месяца назад +35

    노벨상 받은 논문의 핵심1저자가 저분이시군요!

  • @다니엘-f4h
    @다니엘-f4h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좋은 내용입니다. 앞으로도 진짜 전문가 초빙해서 과학이야기 많이해주세요

  • @powercib8320
    @powercib8320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 @박세진-i8d
    @박세진-i8d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정말 어려운걸 쉽게 설명해 주시는 군요. 잘 들었습니다.

  • @oxdo9261
    @oxdo9261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응원합니다

  • @제니-p4s
    @제니-p4s 2 месяца назад +2

    백민경교수님 부모님 너무 부럽습니다〜〜〜〜〜

  • @richard3153
    @richard3153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백교수님 어머님 감사합니다 캐나다에서 잘 이해 했습니다

  • @산기슭-w2s
    @산기슭-w2s 2 месяца назад +6

    와..어머님 진심 감사합니다

  • @user-cp3ky6tx4p
    @user-cp3ky6tx4p 2 месяца назад +4

    백교수어머님 감사합니다 ㅎㅎ

  • @호호아줌마-r1l
    @호호아줌마-r1l 2 месяца назад +8

    관련 연구기간을 엄청 줄여준 업적을 이루신 분들이네요. 신약 개발도 점프해서 많은 분들의 희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설명해 주신 교수님, 언더스탠딩께 감사드립니다.

  • @ojmkww
    @ojmkww 2 месяца назад +5

    백교수님 설명 다 들어봤는데, 언더에서 잘 이해 했습니다~~ 진행자님들의 질문
    과 백교수님의 눈높이 설명 덕분입니다 ~~
    감사합니다 ~~

  • @DONGSUNSHIN-di9he
    @DONGSUNSHIN-di9he Месяц назад +1

    잘들었습니다🎉

  • @김현상-l4b
    @김현상-l4b 2 месяца назад +17

    내가 생각한바로 유튜브 때문에 한국인들은 모든 분야에 최고의 첨단을 달릴듯.

  • @mines-hih
    @mines-hih 28 дней назад

    AI 관심 생긴 일반인인데 너무 흥미롭고 재밌습니다 유익한 내용을 쉽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새 영상 챙겨보겠습니다

  • @junghyunlim21
    @junghyunlim21 2 месяца назад +30

    사회자들의 별 의미없는 질문 좀 줄이면 안되나요? 정상적으로 중고등학교 졸업한 사람들이면 다 아는 상식에서 벗어나는 질문은 시간만 잡아먹고 굳이 안해도 될 것 같습니다. 사회자들의 시답지 않은 질문 때문에 한정된 시간을 너무 써버리니 출연자가 준비한 자료를 다 보여주지 못하고 끝내는 일이 반복되는 것 같습니다. 아무리 문송해도 그 정도 상식도 없는 사람들이 이런 동영상을 보고 있을 리는 없잖아요.

    • @kenlee1704
      @kenlee1704 Месяц назад

      동의하기 힘드네요, 쟐난척 하시는거로밖에..

  • @sungso7689
    @sungso7689 2 месяца назад +1

    넘 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

  • @oasis5325
    @oasis5325 Месяц назад +1

    진행자분들께서 노벨상 받은분의 연구논문인데도 불구하고 통찰력 있게 바라보고 소신있게 질문 하신것에 대해 새삼 대단하다고 느낍니다. 로제타폴드와 알파폴드가 정밀한 공학계산기와 같은 툴이 될지는 추후 이들을 활용한 연구결과들에 의한 신약이 개발 될 때 밝혀지겠죠. 아직 공학계산기와 비교하기에는 신약개발과 같은 결과로 증명된게 없으니 비교하기에는 시기상조라 생각이 듭니다.

  • @banwar
    @banwar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언더스탠딩 박수, 좋은 컨텐츠였다

  • @득도자경주최00
    @득도자경주최00 Месяц назад +2

    참 좋아요 ^^

  • @순살통닭-c3s
    @순살통닭-c3s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정말 유익하네요^^

  • @SoriKids
    @SoriKids Месяц назад +3

    교수님께서 설명하실 때 톡톡 껴들지 않으면 좋겠네요

  • @jskim8516
    @jskim8516 Месяц назад +1

    리처드 파인만 처럼 쉽게 설명하시네요 이해가 쏙~!

  • @이종석-p8i
    @이종석-p8i Месяц назад +2

    구독했습니다.

  • @tktk4965
    @tktk4965 2 месяца назад +3

    딕션이 엄청 좋으시네

  • @genosyde78
    @genosyde78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이거다. 인공지능 카테고리에 저장 했어요.
    건설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적용 하기위해 연구 중입니다.
    오늘 말씀 들으면서 앞으로 개발 방향에 큰 가르침이 됐어요.
    특히 단백질 연구팀이 인공지능을 활용 하기위한 단계별 접근법은
    저의 연구에도 그대로 적용 될것 같아요.

  • @anthonykim9235
    @anthonykim9235 2 месяца назад +7

    어려운 걸 쉽게 설명하면서 디테일이 사라지면 문제가 쉬워보인다. 하지만 문제해결의 핵심은 디테일을 처리라는 거.

  • @iminiz
    @iminiz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컨텐츠 어마어마하네요.

  • @zeonkim1000
    @zeonkim1000 2 месяца назад +1

    삼프로하고 별도인지 몰랐어요. 바로 구독했습니다ㅎㅎ

  • @andolsound
    @andolsound 2 месяца назад +12

    로제타폴드도 노벨화학상을 받은 거군요! 백민경교수님 감사합니다.

  • @mancomong
    @mancomong 2 месяца назад +4

    그냥 교수님 단독 강의 보고 싶네요. 강의 진도가 나가질 않네

  • @제니-p4s
    @제니-p4s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자랑스럽습니다〜〜〜

  • @sunmoon1068
    @sunmoon1068 2 месяца назад +2

    쉽고 재밉습니다!

  • @imray9755
    @imray9755 2 месяца назад +3

    이 영상은 단백질 관련 ai 의 방향을 이해하는데 아주 유용해서 몇번 더 보고 공부좀 해둬야 겠네요

  • @ksw591
    @ksw591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코로나와 인공지능 덕분에 인생성공을 실현중이신분. 이런분들보면서 느낀점은 조기에 성공하려면 내공을 쌓고 있어야하고 새로운 분야에 귀기울여서 발빠르게 움직여야 한다는 것. 물리적법칙만 고집해 학문범위를 좁힐 필요가 없음

  • @류재근-l4k
    @류재근-l4k 2 месяца назад +4

    와... 100% 이해는 다 못하지만 끝까지 듣고 있는 나를 발견하고 깜놀...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