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파이브 (Big Five) 성격 이론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июн 2024
  • Big 5 성격 이론은 개방성(Open), 성실성(Conscientious), 외향성(Extravert), 친화성(Agreeable), 신경증(Neurotic) 이 다섯가지 특성을 스펙트럼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보다 세밀한 성격 분석을 제공합니다.
    각 특성의 앞글자를 따서 OCEAN 이론이라고도 하고 5가지 특성을 다루기 때문에 5요인 이론이라고도 부릅니다.
    후원으로 영상제작에 힘을 주세요 🐦
    / sprouts
    다른 언어의 채널들도 둘러보세요
    영어: / @sprouts
    스페인어: / sprouts español
    독일어: / @sproutsdeutschland
    태국어: / @spoutsthailand
    중국어: / @sproutschinese
    터키어: / sprouts türkiye
    러시아어: / @sproutsrussia
    페르시아어: / @sproutsfarsi
    프랑스어: / @sproutsenfrancais
    이태리어: / @sproutsitalia
    에스페란토어: / @sproutsesperanto
    출처 및 수업자료 🎓
    sproutsschools.com/
    마음에 드시는 주제에 투표하시거나 새로운 주제를 제안해보세요 🔊
    sprouts.featureupvote.com/
    이 영상은 후원자분들의 도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Adam Berry, Anil Raut, ArkiTechy, Artur, azad bel, Badrah, Cedric.Wang, Christoph Becker, cnotv, Cory McAbee, David Markham, Delandric Webb, Digital INnov8ors, Dr. Matthias Müller-Mellin, Duane Bemister, Elias Reuss, Eva Marie Koblin, F J V Souza Fh, Gerardo Enrique Nieto, Izzy, jakob steensig, Jeffrey Cassianna, Jim Pilgrim, Joanne Doyle, Leonel, Liam Dalling, Linda Kinkead, Linus Linderoth, Lucia Simone Winston, Mambo no 9, Marcel, María, martin, Martin Streule, Martina Hrebenarova, Mathis Nu, Mezes.Macko, Michael Paradis, Natalie O’Brien, Okan Elibol, Oweeda Newton, Peihui, Povilas Ambrasas, Raymond Fujioka, SAMAR ABDULKADER DAKAK BADAWI, scripz, Solongo Ganbat, Stefan Gros, Taka Kondo, Takashi HIROSE, Thomas Aschan, Yassine Hamza, Yvonne Clapham 이 외의 많은 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www.patreon.com/sprouts 에 오시면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함께한 이들
    대본: Ludovico Saint Amour di Chanaz and Jonas Koblin
    그림:: Pascal Gaggelli
    채색: Nalin
    편집: Peera Lertsukittipongsa
    제작: Selina Bador
    사운드 디자인: Miguel Ojeda
    한글화 작업: 토리 ( onesweetfunnyday@gmail.com )
    출처
    positivepsychology.com/big-fi...
    www.123test.com/big-five-pers...
    www.sciencedirect.com/science...
    en.wikipedia.org/wiki/Big_Fiv...
    www.verywellmind.com/the-big-...
    unique2brilliance.com/persona...
    챕터
    00:00 빅 파이브 성격 이론 소개
    00:36 개방성
    00:53 성실성
    01:17 외향성
    01:35 친화성
    01:54 신경증
    02:39 루이스 골드버그
    03:27 각각의 성격 유추해보기
    #빅파이브 #mbti #성격테스트
    폰트적용: 나눔손글씨장미체, 여기어때잘난체

Комментарии • 81

  • @SproutsKorea
    @SproutsKorea  2 месяца назад +24

    Big 5 성격이론은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 이 5가지 특성이 모두에게 있으며, 그 특성들을 각기 다른 비율로 가지고 있다고 하는 이론입니다.
    MBTI는 쉬운 접근성과 직관전인 분류법으로 일반인에게 인기가 많으나 일부 학계에서는 그 과학적 타당성에 대해 논란이 있는 반면 Big 5는 심리학 연구를 통해 발전한 이론적 근거를 갖추고 있으며, 널리 인정받는 성격 모델이라고 합니다. 😊
    다음의 링크는 카카오톡에서 제공하는 무료 검사입니다. 이는 간단한 자가진단용이며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재미로 받아보세요. ^^ together.kakao.com/big-five

  • @Narshegl
    @Narshegl 22 дня назад +31

    MBTI가 우리를 너무 흑백으로 나눈다면, Big5는 너무 직관적이지 못해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하죠. 반면에 TCI는 두 검사의 장점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봐요. 선천적 기질부터 후천적 성격까지, 내가 타고난게 무엇인지 바꿀수 있는건 무엇인지 비교적 직관적이게 알려주기에. 다음영상으로는 TCI검사에 대한건 어떤가요?

  • @raccoonramen
    @raccoonramen Месяц назад +75

    심리학자들이 제일 나쁘네 ㅋㅎㅋㅎㅋ

    • @yjm1111
      @yjm1111 17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onglubdub
    @donglubdub Месяц назад +18

    그림이 너무 예뻐요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2 месяца назад +139

    신경증은 전생에 무슨죄를 지었길래

    • @Kuper_Khoe
      @Kuper_Khoe Месяц назад +8

      ㄹㅇ 심지어 흑인임

    • @user-c48np3qv2p
      @user-c48np3qv2p Месяц назад +53

      ​@@Kuper_Khoe그게 이거랑 뭔 상관이노

    • @user-tw9sn7li5x
      @user-tw9sn7li5x 28 дней назад +1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림 혼자 우울한거 웃김

    • @user-it6ss7tw4n
      @user-it6ss7tw4n 26 дней назад

      @@Kuper_Khoe이런애도 지식 좀 주워 먹겠다고 여기까지 기어왔네

    • @llllllllllllllllllllll1l
      @llllllllllllllllllllll1l 25 дней назад +1

      그냥 운이 없는거지

  • @nocountryforgoblin6812
    @nocountryforgoblin6812 Месяц назад +60

    빅5는 뭔가 이론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이 보여서 께름칙함. mbti와 달리 개인의 성격을 좋다 나쁘다처럼 가치판단의 영역에 올려두는것 같아서 기분나쁘다고 해야하나? 어떤 사람은 그런거 아니라고 하는데 아무리 설명을 들어도 그렇게 들림.

    • @user-zk5mi4je1i
      @user-zk5mi4je1i Месяц назад +25

      둘 다 믿어도 되는지 잘 모르겠음. 고전 심리학이 뉴턴 물리학처럼 뇌과학 스타트를 찍은 건 맞지만, 과학적 방법론보단 환자들을 관찰하면서 느낀 개인의 직관에 의존하고 있다는 느낌이 듬. 그나마 비전문가가 만든 mbti보단 찐 심리학자들이 만든 빅5가 더 낫겠다는 생각.

    • @qovyx
      @qovyx Месяц назад +16

      @@user-zk5mi4je1i 맞는 말입니다. 그냥 이런 성격도 있구나, 경험하지 못했던 사람에 대해 이해하는 방법을 도와주는 사회성측으로 유의미한 것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 MBTI도 그렇고 애니어그램 등등 다 다른 성격에 대해 얘기하는 것이지만, 사람들이 주로 보는것은 나, 관심있는 사람이었으며 그것이 흥미를 끄는 순간 상품이 된 것으로 보여요. 개인의 직관에 의존하지만, 모든 개인은 다를 수 있으며 어떻게 접근하는가 라고 보면 될 것 같네요.

    • @nm3817
      @nm3817 20 дней назад +1

      ​@@user-zk5mi4je1i현대에 와서야 직관으로는 한계가 명확할정도로 과학이 많이 발전했지만 어쨌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한다고 하면 직관이 뛰어나야 새로운 발견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

    • @user-ss6dt1yq2f
      @user-ss6dt1yq2f 18 дней назад

      mbti가 사람의 개개인의 성격을 존중하려해도 요즘 우리나라 인터넷을 보면...... 좋은 mbti라는둥 나쁜mbti라는둥 이런게 많아졌기에 차라리 더 정확한 빅5가 쪼금은? 낫지 않을까 생각해봐요

    • @infiniteme28
      @infiniteme28 17 дней назад +1

      나쁘다고 생각이 든다면 고치면 되죠. 누구랑 비교할 거 있나요? 고치기 싫으면 받아들이면 그만이죠. 근데 좋은 성격이 정해져 있나?? 다 가치관이 다른데. 개성이죠.

  •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24 дня назад +11

    어쨌든 중요한 건 빅5 성격도 고정된 건 아니라는 거예요. 저는 신경증 백분위 점수가 50점 이상 낮아졌어요.

  • @user-eo9rp2yo6g
    @user-eo9rp2yo6g 17 дней назад +2

    나머지 4명 너무 고맙다

  • @abd56790
    @abd56790 11 дней назад

    확실하게 말할 수 있어요ㅋㅋ 저 중에선 개방성입니다. 섞여도 90대 10 정도라 확실히 개방성.

  • @kgdrihocidw
    @kgdrihocidw 17 дней назад

    1번 신경증 2번 친화성 3번 내향성 4번 성실성 5번 개방성
    맞나요?

  • @user-ky5do8fy9j
    @user-ky5do8fy9j 15 дней назад +3

    빅5 이게 너무 소름끼칠정도로 객관적이고
    MBTI에 비해 일반인들이 숙지하기엔 살짝 복잡해서 장 안쓰이더러구요....
    전 고딩시절 진로시간에 헤뵜는데 소름끼칠정도로 맞아 떨어지더러구요

  • @khg2852
    @khg2852 15 дней назад

    한국에서는 정직성을 추가해서 헥사콘이라고도 하고, 성격 검사에서 MBTI보다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고 하네요.

  • @yunwonmom9608
    @yunwonmom9608 2 дня назад

    조금 더 뒤쪽 예시가 있으면 좋겠어요

  • @GYJ1209
    @GYJ1209 14 дней назад +1

    어떤 미친 과학자가 나를 한 섬에 가둬두고 관찰하는거라면?

  • @user-lr6xl4iy4t
    @user-lr6xl4iy4t Месяц назад +9

    빅파이브의 반대성향들을 왜해적이라고표현했는지 궁금해요. ㅎㅎ

    • @SproutsKorea
      @SproutsKorea  Месяц назад +9

      아악..!! 반대성향이 나쁜 성격이어서 해적으로 그린 건 아니라고 생각해주세요 ^^;;
      신경증도 있으니까요
      성실성도 너무 높으면 적응력이 부족할 수 있고 외향성도 너무 높으면 충동성이 강할 수 있다고 하네요 😊

    • @user-lr6xl4iy4t
      @user-lr6xl4iy4t Месяц назад +1

      @@SproutsKorea 아아. 감사해요!

    • @user-bh9ei9fl1z
      @user-bh9ei9fl1z Месяц назад +1

      아 그런 의미였군요. 좋은 지적이였네요👍

  • @SK-kk3fm
    @SK-kk3fm 17 дней назад +1

    근데 신경증 유형은 생존에 도대체 어떤 도움이 되길래 살아남은걸까요? 사회적활동도 힘들것같고 개인의 생존에도 큰 도움이 안될것같은데

    • @kgdrihocidw
      @kgdrihocidw 17 дней назад +6

      위험 감지 능력이지 않을까요

    • @lessless6382
      @lessless6382 14 дней назад +2

      조직의 부정적 시그널을 체크해서 위기에 대응 하는데 최적화 된게 신경증적 성격입니다. 보통 보안 경호원 감사팀 경찰 같은 직종에 어울리죠

    • @0Ho969
      @0Ho969 8 дней назад +1

      매사에 무신경한 사람과 같이 일하는 것보다 예민한 사람과 일하는 게 결과는 항상 좋음.

    • @jin2729
      @jin2729 14 часов назад

      @@0Ho969그건 아님. 능력이 똑같을 때 신경성이 높은 쪽이 더 일처리를 완벽하게 하는 거지 모든 면에서 더 낫다고 할 수는 없음.

  • @user-jv7nj9re8d
    @user-jv7nj9re8d 8 дней назад

    여기서도 성향을 대충 10가지 이상으로 나누는거같은데

  • @ID-OUTPUT
    @ID-OUTPUT 17 дней назад +3

    아니 그래서 구하긴 한거임??

    • @abd56790
      @abd56790 11 дней назад

      끝까지 안 봄? 핑프ㄷㄷ 안구함. 심리학자들은 관찰만 하고 가고, 해적들은 선장이 리스크를 싫어해서 그냥 갈길 감.

  • @violet_sparow
    @violet_sparow 27 дней назад +2

    전 제가 5개중 하나로 표현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친화성을 제외한 나머지 4개가 골고루 나타나는 성격인듯 해요
    언제나 아이디어로 넘쳐나면서, 사람들이랑 어울리는거 좋아하고, 무슨일이 생기면 어떤것을 해야할지부터 단계별로 생각하고, 의외로 혼자있을땐 저 자신에 대해 고민하면서 혼란스러워 하니까요.
    솔직히 납득이 되는 검사는 아니네요... 사람이 어떻게 5개로 나눠지겠어요?

    • @Iillilliliiiillilililli
      @Iillilliliiiillilililli 27 дней назад +1

      영상 안보셨나요????

    • @violet_sparow
      @violet_sparow 27 дней назад

      @@Iillilliliiiillilililli 안그래도 다른 답글에서 깨닫고 난 뒤였어요~ 댓글은 귀찮아서 수정 안하고있네요ㅎㅎ

  • @sedee351
    @sedee351 15 дней назад

    애드라 신경증 뭐라하지 말자, 쟤네들이 무인도에 가기전에 헛소리하고 기분나쁜말할때 혼자 삭힌 신경즛이라구

  • @thepalebluedotbyHyun
    @thepalebluedotbyHyun 15 дней назад

    저는 왜 이 채널만 보면 모든게 결정되어있는 걸로 보일까요😢
    iq영상도, 부모와의 애착 영상도 그렇고ㅜㅜ

  • @catjaykim
    @catjaykim 3 дня назад

    학자들은 그저 지켜봤다?이야...

  • @user-mq5fw7oy3y
    @user-mq5fw7oy3y 13 дней назад +2

    신경증은 대체 어떻게 지금까지 유전자가 생존해온거노?

    • @user-dg2vj5wo9g
      @user-dg2vj5wo9g 12 дней назад +3

      불안과 의심 걱정이야말로 생존과 직결된 특징이니깐요

    • @user-ns1ud5ql2e
      @user-ns1ud5ql2e 8 дней назад +1

      너는 위험감지 능력을 버리냐?ㅋㅋ

    • @WOWHi-og8tc
      @WOWHi-og8tc 12 часов назад

      호랑이가 가까이 오는데 무신경하고 개방적이고 친화적인 애들은 다 죽었거든

  • @user-un3uc8uj8y
    @user-un3uc8uj8y 17 дней назад

    0. 0%
    c 300%
    e 10%
    a. 0%
    n 0%

    • @user-un3uc8uj8y
      @user-un3uc8uj8y 17 дней назад

      반론 하려는데 본인이 이렇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뭐라 못하겠네..
      근대 보통은 정반대 속성이라 한들
      둘다 갖고 있을수도 있는데 심리 아닐까 싶은데

  • @user-en9nm5eg1m
    @user-en9nm5eg1m 19 дней назад

    이건 좀 어렵네. 각 성격에 단계가 있다는 건강? 어디든 양극은 나쁜 거고?
    mbti는 쉬워서 유명해 진 것 같네 ㅋ

  • @ybkim2241
    @ybkim2241 Месяц назад +2

    노라 패급

  • @aty637
    @aty637 15 дней назад +2

    상식적으로 16가지 성격도 안 정확한데 5가지 성격이 더 정확하겠냐?
    더 정확하다고만 말하고 왜 더 정확할 수 있는지는 1도 말 안해주는 영상

    • @user-wq8yw5qt9i
      @user-wq8yw5qt9i 14 дней назад +1

      5가지로 나눈게 아닌데...

    • @honeykris5113
      @honeykris5113 12 дней назад

      mbti가 4가지 지표를 가지고 사람의 성격 유형을 16개로 분류한 거라면, 빅5는 5가지 지표를 가지고 분류한 것이니까요. 그것을 mbti처럼 치우침에 따라 둘씩 나눈다면 25개 성격 유형이 나올 뻔했지만 이건 그렇게 단순화하지 않고 각 성향을 퍼센트로 봅니다. mbti도 사실 퍼센트 지표를 따져보면 16개로 단순화되지는 않지만, 이건 일단 지표가 더 많으니까 더 정확하다고 볼 수 있지요.

  • @16thChemical
    @16thChemical Месяц назад +1

    BIG5가 MBTI보다 더 정확한 게 아니라 MBTI와는 다른 성격적 척도를 다루는 것이죠.ㅎㅎ

    • @SproutsKorea
      @SproutsKorea  Месяц назад +5

      위 고정 댓글에도 썼지만, 심리학계에서는 비판을 받는 지점이 꽤 있다고 알고 있어요
      www.vox.com/2014/7/15/5881947/myers-briggs-personality-test-meaningless
      위의 기사나 위키백과에서 mbti의 비판부분을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아요
      반면 빅파이브는 심리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성격모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무조건 mbti는 잘못됐다!!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학계에서의 입지에 대한 이야기였어요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 @user-st9nb5lc9z
      @user-st9nb5lc9z 21 день назад +3

      더 정확합니다. 심리학이론의 가치는 논리성과 과학적 검증성을 바탕으로 해야하거든요. 정규 심리평가에 mbti가 들어가지 못하는 이유이고요.

    • @khg2852
      @khg2852 15 дней назад

      더 정확한 게 맞아요. mbti는 이분법적이고 목적과 일치하지 않는 질문도 많은 등 과학적, 연구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쉽기때문에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 뿐입니다.

  • @user-hd1up4wy6p
    @user-hd1up4wy6p Месяц назад +3

    mbti는 다양한 관점에서 다각화라고 시켰지 이건뭐 답안지 1개 띡주고 넌 이거야 ㅇㅈㄹ 하면 선택이 되겠냐

    • @SproutsKorea
      @SproutsKorea  Месяц назад +34

      오해가 있으신거 같아서 다시 말씀을 드리자면
      사람들이 친화성, 신경증 등 한가지만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다섯가지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그 비율이 모두 다르다는 겁니다 😊

    • @user-sd5xo2se6x
      @user-sd5xo2se6x Месяц назад +10

      왤케 뿔났음

    • @Howtochooseproperhandle
      @Howtochooseproperhandle Месяц назад +28

      이게 신경증인가요? 아니면 개방성이 낮은걸까요? ㅋㅋㅋㅋㅋ

    • @judy0718
      @judy0718 Месяц назад +9

      @@Howtochooseproperhandle걍 멍청한거요

    • @user-yq4yb5yu7i
      @user-yq4yb5yu7i Месяц назад +11

      ㅈㄹ ㄴ mbti도 전혀 다각화 되지 않았고 실질적인 사용방식은 더 엉터리라 t는 감정이 없어 f는 공감을 잘해! 이러고 놀고있잖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