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하게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rocess macro model 4에 대한 질문인데요, 독립변수 X를 하위범주 X1, X2, X3로 나누고 매개변수는 M1, M2, M3, 종속변수는 Y1, Y2, Y3로 하면 연구모델을 9개로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결과표에 대한 해석시 유의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아니면 X는 그냥 한 변수로 통합해서 종속변수 3개에 대한 연구모델 3개에 대한 결과표만 해석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독립변수 1, 매개변수 3개, 종속변수 2개로 연구모델 2개에 대한 해석을 한 선행연구는 있는데 복수의 독립변수를 설정한 연구는 아직 찾지 못했서 통계적 제한점 유무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AMOS 관련 영상도 봤는데요, AMOS로 하는 것이 나을까요?)
본인이 속한 전공과 심사교수님들에 따라 성향이 다르니 지도교수님과 상의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전공은 매개효과를 분석할 때 통합해서 분석하라고 하는 전공도 있고요, 이럴때는 AMOS로 분석해야 되겠지요. 아니면 회귀분석과 macro를 선호하는 전공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공에서 사용하는 방법론을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X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보다는 3개로 분석해야 의미가 더 있으니까 분리해서 총 9개 모델로 하는 것이 좋겠네요. 이부분도 지도교수님과 상의해서 결정하세요. 전반적으로 본인이 정하기 말고 지도교수님과 상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보며 궁금한점이 있어 글 남깁니다. 독립변수가 범주형 변수인 경우(9개의 대인외상 목록이 있습니다) 어떻게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 아래 댓글과 마찬가지로 x 1개 독립변수 넣고 나머지 공변인에 넣는 것인지 2. 아니면 multicategorical을 사용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1번의 경우라면 코딩을 어떻게 하고 보면 되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더미변수처럼 0,1로 코딩해야하나요?)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독립변수가 범주형인 경우에는 경로분석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회귀분석이라기 보다는 ANOVA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연속변수+범주형으로 회귀분석에서 사용할 경우는 있습니다만 독립변수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단, SPSS Macro 책을 쓴 Hayer에서는 독립변수가 범주형일때도 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놓기는 했는데,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Hayer p.189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말로 설명하면 Model 4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이때 범주형 변수는 가변수처리해서 사용할 수 있기는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독립변수가 수치형+범주형으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이론적인 모형을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어떻게 전개해 나갈지, 어떤 tool로 사용할지를 잘 고민해서 사용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관심있는 변수들의 직간접효과만 중요하기 때문에 통제변수는 넣지 않습니다. 통제변수는 연구에서 분석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직간접효과표로 정리하기 전에 회귀분석표를 사전에 작성하는데, 이때 통제변수도 같이 넣어서 회귀분석표를 작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궁금한 것이 있어 몇가지 질문 드려도 될까요? 1. 만약 독립변수(예:부모양육태도(애정,거부,과보호))가 여러개인 경우 x에 1개독립변수를 넣고 공변인에 나머지를 넣으면되나요? 아니면 반드시 공변인에 넣을 필요는 없나요? 다른 논문들 보니 안넣은 연구들도 있는것 같아서요! 공변인에 넣는다면, 각 부모양육태도의 상대적 효과를 볼수 있는건가요? 2. 공변인에 넣을경우, 연구모형 그림은 애정,거부,과보호 각각 개별분석한 모형으로 그려야 될까요? 아니면 SEM처럼 한모형 안에 애정,거부,과보호를 한꺼번에 넣은 그림을 그려야할까요? 어디에도 여쭤볼공간이 없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저자인 Hayes의 책에 보면 다중 X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Estimation of a Model with Multiple X Variables in PROCESS". 책에 보면 X1을 제외한 다른 변수는 공변량에 넣고 분석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공변량에 넣는다는 것은 통제변수로 사용된다는 것으로 다른 X2,3의 효과를 통제한다는 의미입니다. 2. 연구모형과 분석모형은 의미가 다릅니다. 연구모형은 본인이 연구에서 의미를 두는 가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러한 모형을 실제로 tool을 이용해서 분석할때는 분석 tool에 따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석이 됩니다. macro에서는 X1을 한개만 넣게 되어 있어서 다른 변수를 공변량에 넣도록 되어 있는 것이고, 다른 tool(AMOS, R)에서는 다르게 분석이 됩니다. 따라서 연구모형을 그릴때는 이론적인 모형으로 그리면 됩니다. 다른 tool에 대해서는 제 채널홈으로 오면 나와 있으니 참고하세요.^^
@@bigdata_leecho상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1. 그럼 연구결과 제시할 때 그림을 그릴 때는 각 독립변수 별로 각각 3개의 그림을 제시하면 되는지 3개의 독립변수를 한꺼번에 하나의 그림으로 그려야되는지 궁금합니다. 2. 공변인으로 통제했을 때, 분석결과 표에서 공변인도 함께 기입해주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결과값에서 Boot000이라고 붙은 부분은 분석할때 마다 바뀝니다. 이유는 부트스트래핑이라는 방법 자체가 임의로 데이터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돌릴때마다 데이터가 바뀌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화면과 다른 부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분석후에 비표준화된 값을 적으시면 됩니다. ^^..
부분매개, 완전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접효과(인성 -> 학습성과)만 별도로 돌린 후에 직접효과가 있는지도 분석해야 합니다. 직접효과가 의미가 있었는데, 매개효과를 넣어도 분석했더니 변화했다라고 설명이 되어야 겠지요. 동영상에서는 매개효과에 대한 부분만 설명한 것입니다. 만약 완전매개, 부분매개인지 부가 설명을 하려면 동영상 앞부분에 노아 있는 표를 표시하고 설명을 하셔야 합니다. ^^.
교수님 안녕하세요 제 연구결과도 예시자료와 똑같은 형태인데요, 말씀하신 직접효과를 언급해야 완전매개인지 알 수 있다고 한것은 모델6번 만으로는 설명할수없다는게 맞는걸까요? 독립종속간 직접효과만을 본걸 따로 돌리는건 바론앤캐니가 얘기한걸로 다중회귀분석-선형 방법을 통해 독립종속 관계가 유의한지 봐도 되는건가요? 답장주시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통계인데 왜 설명이 쏙쏙 들어오죠? 와우😮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친절하신 설명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
상세하게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process macro model 4에 대한 질문인데요, 독립변수 X를 하위범주 X1, X2, X3로 나누고 매개변수는 M1, M2, M3, 종속변수는 Y1, Y2, Y3로 하면 연구모델을 9개로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결과표에 대한 해석시 유의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아니면 X는 그냥 한 변수로 통합해서 종속변수 3개에 대한 연구모델 3개에 대한 결과표만 해석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독립변수 1, 매개변수 3개, 종속변수 2개로 연구모델 2개에 대한 해석을 한 선행연구는 있는데 복수의 독립변수를 설정한 연구는 아직 찾지 못했서 통계적 제한점 유무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AMOS 관련 영상도 봤는데요, AMOS로 하는 것이 나을까요?)
본인이 속한 전공과 심사교수님들에 따라 성향이 다르니 지도교수님과 상의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어떤 전공은 매개효과를 분석할 때 통합해서 분석하라고 하는 전공도 있고요, 이럴때는 AMOS로 분석해야 되겠지요. 아니면 회귀분석과 macro를 선호하는 전공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공에서 사용하는 방법론을 선택해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X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보다는 3개로 분석해야 의미가 더 있으니까 분리해서 총 9개 모델로 하는 것이 좋겠네요. 이부분도 지도교수님과 상의해서 결정하세요. 전반적으로 본인이 정하기 말고 지도교수님과 상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교수님 간접효과에서 Effect가 -.0009인경우는 멀까요? 마이너스가 나오는이유는 멀까요~? ㅠㅠ
간접효과에서 Effect가 -.0009인경우 p-value가 0.05보다 크기 때문에 -0.009이라고 해석하면 안되고 0이라고 해석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영상 보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보며 궁금한점이 있어 글 남깁니다.
독립변수가 범주형 변수인 경우(9개의 대인외상 목록이 있습니다) 어떻게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 아래 댓글과 마찬가지로 x 1개 독립변수 넣고 나머지 공변인에 넣는 것인지
2. 아니면 multicategorical을 사용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1번의 경우라면 코딩을 어떻게 하고 보면 되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더미변수처럼 0,1로 코딩해야하나요?)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독립변수가 범주형인 경우에는 경로분석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회귀분석이라기 보다는 ANOVA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연속변수+범주형으로 회귀분석에서 사용할 경우는 있습니다만 독립변수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단, SPSS Macro 책을 쓴 Hayer에서는 독립변수가 범주형일때도 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놓기는 했는데,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Hayer p.189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말로 설명하면 Model 4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 이때 범주형 변수는 가변수처리해서 사용할 수 있기는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독립변수가 수치형+범주형으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이론적인 모형을 기반으로 통계분석을 어떻게 전개해 나갈지, 어떤 tool로 사용할지를 잘 고민해서 사용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영상보며 궁금한 점이 있어 글 남깁니다
저기서 통제변수를 넣었을 경우 결과 표에 통제변수에 대해서는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매개효과 분석에서는 관심있는 변수들의 직간접효과만 중요하기 때문에 통제변수는 넣지 않습니다.
통제변수는 연구에서 분석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직간접효과표로 정리하기 전에 회귀분석표를 사전에 작성하는데, 이때 통제변수도 같이 넣어서 회귀분석표를 작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궁금한 것이 있어 몇가지 질문 드려도 될까요?
1. 만약 독립변수(예:부모양육태도(애정,거부,과보호))가 여러개인 경우
x에 1개독립변수를 넣고 공변인에 나머지를 넣으면되나요? 아니면 반드시 공변인에 넣을 필요는 없나요?
다른 논문들 보니 안넣은 연구들도 있는것 같아서요!
공변인에 넣는다면, 각 부모양육태도의 상대적 효과를 볼수 있는건가요?
2. 공변인에 넣을경우, 연구모형 그림은 애정,거부,과보호 각각 개별분석한 모형으로 그려야 될까요?
아니면 SEM처럼 한모형 안에 애정,거부,과보호를 한꺼번에 넣은 그림을 그려야할까요?
어디에도 여쭤볼공간이 없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 저자인 Hayes의 책에 보면 다중 X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Estimation of a Model with Multiple X Variables in PROCESS". 책에 보면 X1을 제외한 다른 변수는 공변량에 넣고 분석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공변량에 넣는다는 것은 통제변수로 사용된다는 것으로 다른 X2,3의 효과를 통제한다는 의미입니다.
2. 연구모형과 분석모형은 의미가 다릅니다. 연구모형은 본인이 연구에서 의미를 두는 가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되는 것입니다. 다만 이러한 모형을 실제로 tool을 이용해서 분석할때는 분석 tool에 따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석이 됩니다. macro에서는 X1을 한개만 넣게 되어 있어서 다른 변수를 공변량에 넣도록 되어 있는 것이고, 다른 tool(AMOS, R)에서는 다르게 분석이 됩니다. 따라서 연구모형을 그릴때는 이론적인 모형으로 그리면 됩니다.
다른 tool에 대해서는 제 채널홈으로 오면 나와 있으니 참고하세요.^^
@@bigdata_leecho상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1. 그럼 연구결과 제시할 때
그림을 그릴 때는
각 독립변수 별로 각각 3개의 그림을 제시하면 되는지
3개의 독립변수를 한꺼번에 하나의 그림으로 그려야되는지 궁금합니다.
2. 공변인으로 통제했을 때, 분석결과 표에서 공변인도 함께 기입해주어야 할까요?
1.네. 동시에 제시해 주면 됩니다.
2. 공변인(통제변수)도 같이 기입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간접효과 부분에 LLCI, ULCI 값이 잘못 입력된 거죠? standardized되기 전의 값을 표에 적으면 되는 것 맞나요?
안녕하세요. 결과값에서 Boot000이라고 붙은 부분은 분석할때 마다 바뀝니다. 이유는 부트스트래핑이라는 방법 자체가 임의로 데이터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돌릴때마다 데이터가 바뀌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화면과 다른 부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분석후에 비표준화된 값을 적으시면 됩니다. ^^..
직접효과는 없고 간접효과만 있다는 거면 저 연구는 완전매개라고 할 수 있는건가요?
부분매개, 완전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직접효과(인성 -> 학습성과)만 별도로 돌린 후에 직접효과가 있는지도 분석해야 합니다.
직접효과가 의미가 있었는데, 매개효과를 넣어도 분석했더니 변화했다라고 설명이 되어야 겠지요.
동영상에서는 매개효과에 대한 부분만 설명한 것입니다. 만약 완전매개, 부분매개인지 부가 설명을 하려면 동영상 앞부분에 노아 있는 표를 표시하고 설명을 하셔야 합니다. ^^.
교수님 안녕하세요 제 연구결과도 예시자료와 똑같은 형태인데요,
말씀하신 직접효과를 언급해야 완전매개인지 알 수 있다고 한것은
모델6번 만으로는 설명할수없다는게 맞는걸까요?
독립종속간 직접효과만을 본걸 따로 돌리는건 바론앤캐니가 얘기한걸로 다중회귀분석-선형 방법을 통해
독립종속 관계가 유의한지 봐도 되는건가요?
답장주시면 정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